이시카와 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카와 고는 볼리비아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선수 생활을 한 축구 선수이다. 1985년과 1987년 FIFA U-16 세계 선수권 대회에 볼리비아 대표로 출전했으며, 1988년 일본으로 건너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혼다 FC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2년 J리그 출범과 함께 요미우리 클럽(현 도쿄 베르디)으로 이적하여 두 번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은퇴 후에는 스포츠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거나 해설가, 코치, 단장 등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 거주한 볼리비아인 - 에디발도 에르모사
에디발도 에르모사는 브라질 출신으로 볼리비아 국적의 축구 선수이며, 여러 리그에서 활동하며 무앙통 유나이티드와 호르헤 윌스터만 소속으로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볼리비아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다. - 일본에 거주한 볼리비아인 - 훌리오 세자르 발데비에소
훌리오 세자르 발데비에소는 볼리비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볼리비아 국가대표로 85경기 15골을 기록하고 1994년 월드컵에 참가했으며 여러 클럽에서 선수 생활 후 볼리비아와 팔레스타인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이시카와 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 이시카와 |
원어 이름 | 石川 巧 (이시카와 코) |
출생일 | 1970년 3월 10일 |
출생지 | 산타크루스데라시에라, 볼리비아 |
키 | 170cm |
포지션 | 수비수 |
유소년 경력 | |
유소년 클럽 | 아카데미아 타우이치 아길레라 |
유소년 클럽 | 부난 고등학교 |
선수 경력 | |
연도 | 1989–1992 |
클럽 | 혼다 |
출전 | 50 |
득점 | 0 |
연도 | 1992–1997 |
클럽 | 베르디 가와사키 |
출전 | 134 |
득점 | 2 |
연도 | 1998–2002 |
클럽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출전 | 105 |
득점 | 2 |
총 출전 | 289 |
총 득점 | 4 |
수상 내역 | |
팀 | 혼다 |
준우승 | 1991 JSL 컵 |
팀 | 베르디 가와사키 |
우승 | 1993 J1 리그 |
우승 | 1994 J1 리그 |
준우승 | 1995 J1 리그 |
우승 | 1992 J.리그 컵 |
우승 | 1993 J.리그 컵 |
우승 | 1994 J.리그 컵 |
준우승 | 1996 J.리그 컵 |
우승 | 1996 천황배 |
준우승 | 1992 천황배 |
팀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우승 | 1999 천황배 |
2. 유년 시절 및 볼리비아에서의 선수 생활
고 이시카와es는 1970년 3월 10일 볼리비아의 오키나와 이주지에서 태어났다.[6] 부모님은 모두 오키나와현 출신 볼리비아 이민자였다.[7] 4형제 중 막내로,[7]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전기와 수도 없이 생활하며 매일 물을 길어오고 닭의 알을 팔아야 했다.[7] 7살 때 어머니가 슈퍼마켓을 시작하면서 생활이 안정되었고, 집에 처음으로 전기와 수도가 들어왔다.[7][8]
이시카와 고는 1988년 일본으로 건너가 사이타마현의 무난고교에 편입하면서 일본 축구와 인연을 맺었다.[14] 고등학교 졸업 후 혼다 FC에 입단하여 일본 실업 축구 무대에서 활약했다. 혼다 FC에서는 오토바이 조립 작업을 하며 연습하는 생활을 했다.[18]
여름 방학 때 형과 함께 산타크루스데라시에라에 있는 아카데미아 타우이치 아길레라 훈련에 참가했다.[9] 10살 때 부모님을 설득하여 아카데미아 타우이치 아길레라에 입학했다.[9] 처음에는 수업료를 냈지만, 곧 재능을 인정받아 면제받았다.[9]
아카데미아 타우이치 아길레라 시절, 마르코 에체베리, 에르윈 산체스와 함께 팀 동료로 활약했으며, 이들은 훗날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축 선수가 되어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6]
1984년과 1985년에는 고시아 컵에서 팀의 주력 멤버로 활약하며 대회 2연패에 기여했다.[10] 1985년 중국에서 열린 FIFA U-16 세계 선수권 대회에 볼리비아 대표로 출전하여 3경기 모두 출전했지만, 팀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0][11][12] 1987년 캐나다에서 열린 FIFA U-16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주전 선수로 3경기 모두 출전했지만, 팀은 1차 리그에서 탈락했다.[12]
3. 일본에서의 선수 생활
1992년, J리그 출범과 함께 요미우리 클럽(현 도쿄 베르디)으로 이적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20] 베르디 가와사키 시절, 오른쪽 풀백으로서 J리그 초창기 팀의 전성기를 이끌며 1993년, 1994년 두 번의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3] 1990년대 초 베르디 가와사키에서 사이드 백으로 뛰며 리그에서 가장 침착한 수비수 중 한 명으로 꼽혔고, 거의 10년 동안 그 명성을 유지했다.[2]
1998년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로 이적하여[21] 2002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다.[22][23]
3. 1. 클럽 경력 통계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일본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1989/90 | 혼다 FC | JSL 디비전 1 | 14 | 0 | 0 | 0 | - | 14 | 0 | |
1990/91 | 17 | 0 | 4 | 0 | - | 21 | 0 | |||
1991/92 | 19 | 0 | 4 | 0 | - | 23 | 0 | |||
1992 | 베르디 가와사키 | J1리그 | - | 5 | 0 | 8 | 0 | 13 | 0 | |
1993 | 22 | 1 | 2 | 0 | 7 | 0 | 31 | 1 | ||
1994 | 40 | 1 | 2 | 0 | 3 | 0 | 45 | 1 | ||
1995 | 27 | 0 | 1 | 0 | - | 28 | 0 | |||
1996 | 19 | 0 | 1 | 0 | 16 | 0 | 36 | 0 | ||
1997 | 26 | 0 | 2 | 0 | 6 | 0 | 34 | 0 | ||
1998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J1리그 | 33 | 0 | 4 | 0 | 1 | 0 | 38 | 0 |
1999 | 29 | 0 | 3 | 0 | 6 | 0 | 38 | 1 | ||
2000 | 27 | 1 | 2 | 0 | 6 | 0 | 31 | 1 | ||
2001 | 15 | 0 | 0 | 0 | 4 | 0 | 19 | 0 | ||
2002 | 1 | 0 | 0 | 0 | 0 | 0 | 1 | 0 | ||
합계 | 289 | 4 | 22 | 0 | 65 | 0 | 376 | 4 |
'''기타 공식전'''
- 1993년
- * J리그 챔피언십 2경기 0득점
- 1994년
- * 산와 뱅크 컵 1경기 0득점
- * XEROX SUPER CUP 1경기 0득점
- * J리그 챔피언십 2경기 0득점
- 1995년
- * 산와 뱅크 컵 1경기 0득점
- * XEROX SUPER CUP 1경기 0득점
- 1996년
- * 산토리 컵 1경기 0득점
- 1997년
- * XEROX SUPER CUP 1경기 0득점
'''국제 경기'''
- 2000/01 아시안 컵 위너스 컵 3경기 0득점
3. 2. 클럽 우승 기록
시즌 | 클럽 | 타이틀 |
---|---|---|
1993 | 베르디 가와사키 | J1 리그 |
1994 | 베르디 가와사키 | J1 리그 |
4. 국가대표 경력
이시카와 고는 U-16 볼리비아 대표로 FIFA U-16 세계 선수권 대회(1985년, 1987년)에 두 번 출전했다.[10][12] 1989년부터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표팀(U-23 일본 대표)에 선발되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예선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19] 1993년 일본 대표팀에 소집되었으나, 국제 A매치 출전 기록은 없다. 1995년 코파 아메리카에 출전하는 볼리비아 대표팀의 소집 제의를 받았으나, 당시 국제 축구 연맹(FIFA)의 선수 국적 변경 규정이 불확실하여 고사했다.[6]
5. 플레이 스타일
이시카와는 1990년대 초 베르디 가와사키에서 오른쪽 풀백으로 뛰며 리그에서 가장 침착한 수비수 중 한 명으로 자리잡았고, 거의 10년 동안 그 명성을 유지했다.[2] 나이가 들면서 오버래핑 속도는 줄었지만, 매우 정확한 크로스를 통해 공격에서도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2] 페페 감독의 지시로[19] 베르디 가와사키, 나고야 그램퍼스에서는 주로 오른쪽 풀백으로 출전했지만, 본인은 리베로 포지션을 가장 선호한다고 밝혔다.[24] 그는 J1 리그가 창설되기 전 브라질에서 짧은 기간 훈련하며 좋은 감각과 위치 선정 능력을 길렀고, 1992년 일본으로 돌아와 베르디 가와사키에 합류하여 리그의 젊은 스타 중 한 명이 되었다.[3]
6. 소속 클럽
이시카와 고는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클럽에서 활동했다.
1990년대 초, 이시카와는 베르디 가와사키에서 오른쪽 수비수로 활약하며 리그에서 가장 안정적인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2] 베르디에서 두 번의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에서는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다.[3]
이시카와는 볼리비아에 있는 아카데미아 타우이치 아길레라에서 어린 시절 축구를 시작했다.[2] 이후 1988년 사이타마현의 무난 고등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여,[14] 축구부원으로 활동하며 고교 총체 4강, 고교 선수권 8강 진출에 기여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혼다기연공업 축구부에 입단했다.[15][17][18] 1992년에는 요미우리 클럽으로 이적하여[20] J리그 초창기 베르디 가와사키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1998년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로 임대 이적 후,[21] 1999년에 완전 이적했다.[22][23]
참조
[1]
J리그
J.League
https://data.j-leagu[...]
[2]
FIFA player
Ko Ishikawa
[3]
웹사이트
Stats Centre: Ko Ishikawa Facts
http://guardian.touc[...]
Guardian.co.uk
2009-06-22
[4]
간행물
海外おきなわ最新情報
[5]
J리그
Jリーグ
https://data.j-leagu[...]
[6]
간행물
石川康インタビュー(週刊文春'96.3.28号)
[7]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8]
간행물
石川康インタビュー(週刊文春'96.3.28号)
[9]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0]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1]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2]
FIFA player
[13]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4]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5]
간행물
石川康インタビュー(週刊文春'96.3.28号)
[16]
뉴스
国際化の高校サッカー 武南にボリビア二世 仙台育英にブラジルから留学生
1988-12-10
[17]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8]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19]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20]
뉴스
サッカー読売クに日本代表候補の柱谷哲二、石川康が入団
1992-05-26
[21]
보도자료
“石川 康(いしかわ こう)選手” 新加入(期限付移籍)のお知らせ
http://www.nagoya-gr[...]
名古屋グランパスエイト
1998-02-20
[22]
보도자료
“石川 康(いしかわ こう)選手” 新加入(移籍)のお知らせ
http://www.nagoya-gr[...]
名古屋グランパスエイト
1999-01-30
[23]
뉴스
呂比須がグランパス契約
1999-01-31
[24]
간행물
サッカー移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