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아고 (오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아고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오셀로》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셀로의 부관이자 조언자였지만, 오셀로를 질투하여 그를 파멸시키려는 악당이다. 그는 주변 인물들을 교묘하게 조종하여 오셀로가 아내 데스데모나를 의심하게 만들고, 결국 살해하도록 유도한다. 이아고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으며, "정직한 이아고"라는 가면 뒤에 숨어 다른 인물들을 속이는 데 능숙하다. 극 중 그는 "동기 없는 악의"를 보여주는 인물로 묘사되며, 그의 복잡한 성격과 동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2. 극 중 역할



이아고는 오셀로의 오랜 전우이자 신뢰받는 조언자였다. 하지만 희곡 초반에 이아고는 마이클 카시오가 오셀로의 부관으로 승진하면서 자신은 부당하게 누락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아고는 오셀로를 몰락시키기 위한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로데리고라는 조력자를 둔다. 로데리고는 오셀로가 사라진 후 이아고가 오셀로의 아내 데스데모나의 애정을 얻도록 도울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으로 그의 계획을 돕는다.

2. 1. 카시오를 함정에 빠뜨리다

이아고는 자신의 조력자인 로데리고를 이용하여 카시오를 술에 취하게 만들고 싸움을 벌이게 하여 그의 지위를 박탈당하게 한다. 로데리고는 이아고가 오셀로를 제거한 후 데스데모나의 사랑을 얻게 해주겠다는 거짓 약속에 속아 이아고를 돕는다. 이아고는 카시오와 로데리고 사이에 싸움을 벌이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로데리고는 이아고에게 배신당해 살해되고, 카시오는 부상만 입는다.

2. 2. 오셀로의 질투심을 자극하다

이아고는 아내이자 데스데모나의 시녀인 에밀리아를 조종하여 오셀로가 데스데모나에게 준 손수건을 데스데모나에게서 빼앗게 한다. 그리고 나서 오셀로에게 카시오가 그 손수건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았다고 말한다. 오셀로가 질투심에 휩싸이자, 이아고는 그에게 숨어서 자신이 카시오와 대화하는 것을 지켜보라고 한다. 이아고는 그런 다음 오셀로에게 카시오의 정부인 비앙카에 대한 저속한 대화가 사실 데스데모나에 대한 것이라고 믿게 한다. 질투심에 미친 오셀로는 이아고에게 카시오를 죽이라고 명령하고, 그 대가로 그를 부관으로 임명하겠다고 약속한다.

2. 3. 배신과 파멸

이아고는 로데리고와 카시오 사이에 싸움을 붙인다. 이 과정에서 로데리고는 이아고에게 살해되고, 카시오는 부상을 입는다. 이아고의 계획은 오셀로가 이아고의 혐의를 받는 데스데모나를 죽이면서 성공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곧 에밀리아가 이아고의 배신을 밝히자 이아고는 분노하여 그녀를 죽이고 체포된다. 그는 체포되기 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설명을 요구받았을 때, "아무것도 묻지 마시오. 아는 대로 아시오. 지금부터 나는 한마디도 하지 않겠소."라며 입을 굳게 다문다. 오셀로가 자살한 후, 권한을 위임받은 카시오는 이아고에게 투옥과 고문을 선고한다.

3. 인물 묘사

이아고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 가장 사악한 악당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오셀로의 특별한 신뢰를 배신하고, 정직하고 헌신적인 사람이라는 평판을 유지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주변 사람들을 조종한다. 셰익스피어는 이아고를 오셀로의 고결함 및 청렴함과 대비시켜 그의 사악함을 더욱 부각시킨다.[6] 이아고는 극 중에서 1,097행의 대사를 하는데, 이는 오셀로보다 더 많은 대사량이다.

이아고는 종종 "정직한 이아고"로 불리며, 다른 등장인물들을 속이는 기술을 보여주는 마키아벨리주의적인 음모가이자 조종자이다. 다른 등장인물들은 그를 의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장 진실한 사람으로 여긴다.

셰익스피어 비평가 A. C. 브래들리는 "이아고의 사악한 인물만큼 이 다른 곳에서 이렇게 훌륭하게 묘사된 적이 없다"라고 말했으며,[6] "상상력의 가장 큰 강렬함과 섬세함이 그의 창조에 들어갔기 때문에 셰익스피어의 사악한 인물들 중에서 최고이다."라고 평가한다.[6] 이아고의 실제 동기에 대한 의문은 독자들의 흥미를 계속 자극하고 학문적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4. 비평적 논의

학자들은 '오셀로 비극'을 논하면서 이아고의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왔다. 프레드 웨스트는 셰익스피어가 인간 정신, 특히 이아고와 같은 사이코패스적 인물의 심리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고 보았다. A. C. 브래들리는 이아고를 통해 셰익스피어가 악의 본질을 드러내려 했으며, 심지어 실낙원사탄보다 더 악한 인물로 묘사했다.[6]

반면 웨스턴 밥콕은 이아고를 악의보다는 사회적 속물근성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인 인물로 해석했다. 존 드레이퍼는 이아고가 뛰어난 지능을 가진 악당이라기보다는 상황을 이용할 줄 아는 기회주의자라고 보았다.[6]

4. 1. 이아고의 복잡성

학자들은 오랫동안 이아고의 역할에 대해 논쟁해 왔으며, 그의 성격과 책략의 복잡성을 강조했다. 프레드 웨스트는 셰익스피어가 인간 정신의 작용에 특히 관심이 많았으며, 이아고는 자신의 행동에 아무런 잘못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코패스"의 정확한 초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셰익스피어가 "어떤 종류의 동료애도 극도로 약하고 이기심이 거의 절대적인 완벽하게 제정신인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관찰했고, 그래서 이아고를 만들었다"고 믿는다.[6]

A. C. 브래들리는 이아고가 "악에 관한 두 가지 사실을 가장 완벽하게 결합하여 보여주는데, 셰익스피어에게 가장 깊은 인상을 준 것 같다"고 썼다. 그 두 가지는 "어떤 종류의 동료애도 너무 약해서 거의 절대적인 이기심이 가능해지는 완벽하게 제정신인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러한 악이 강한 의지와 지성의 예외적인 능력과 양립할 수 있고 심지어 쉽게 결합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6] 그는 또한 "이아고를 실낙원사탄과 비교하는 것은 거의 터무니없는 일처럼 보이는데, 셰익스피어의 인물이 밀턴의 악마를 악에서 훨씬 능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6]

반면에 웨스턴 밥콕은 독자들이 이아고를 "사회적 속물근성에 대한 끊임없는 두려움으로 고통받고 이에 맞서 싸우는, 영리하고 지적인 인간"으로 보기를 바란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아고를 움직이는 것은 악의가 아니라 두려움이라고 본다.

존 드레이퍼는 이아고가 단순히 "기회를 영리하게 포착하는 기회주의자"이며, "가장 예민한 직업적 및 개인적 동기"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는 이아고가 "기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포착했다"고 주장하며, 이아고가 "일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영리하거나 사악하지 않다"고 결론 내린다.

4. 2. 이아고에 대한 다양한 해석

A. C. 브래들리는 이아고의 사악함이 셰익스피어의 다른 어떤 악당보다 뛰어나다고 평가했으며, 이아고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등장하는 사탄과 비교하기도 했다.[6] 웨스턴 밥콕은 이아고를 사회적 속물근성에 대한 끊임없는 두려움에 시달리는 인물로 해석했다. 밥콕에 따르면 이아고를 움직이는 것은 악의가 아니라 두려움이다. 존 드레이퍼는 이아고가 기회주의적인 인물이며, 직업적, 개인적 동기에 의해 행동한다고 주장했다. 드레이퍼는 이아고가 "기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포착했다"고 보았다.

5. 동기

이아고의 동기는 셰익스피어 학계에서 오랜 논쟁거리였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이아고의 행동을 "동기 없는 악의"라고 묘사했다.[10] 이는 이아고가 ''헛소동''의 돈 존이나 ''타이터스 앤드로니쿠스''의 에이론처럼, 다른 등장인물들의 삶에 아무런 목적 없이 혼란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로렌스 피시번과 케네스 브래너가 각각 오셀로와 이아고 역을 맡은 1995년 영화 ''오셀로''의 한 장면

5. 1. 질투심

레오네 테산디에는 이아고가 데스데모나, 카시오, 오셀로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악행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이아고는 그들이 자신보다 더 고귀하고 관대하며, 카시오의 경우 더 잘생겼다고 생각한다.[11] 특히 그는 카시오의 죽음을 필요악으로 여기며, "그는 삶에서 매일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 나를 추하게 만든다"라고 말한다.[12]

앤디 서키스는 이아고가 한때 좋은 군인이었지만 배신감과 질투심에 사로잡혀 친구를 파멸시키려는 인물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이아고를 처음부터 악의적으로 연기하고 싶지 않았으며, 질투심을 느끼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없는 평범한 사람으로 묘사했다.[12]

5. 2. 자기 본성의 폭로

이아고는 자신의 독백과 가끔씩의 방백을 통해서만 자신의 진정한 본성을 드러낸다. 그 외에는 매력적이고 친절한 모습을 보이며, 카시오오셀로에게 겉으로 보기에 합리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이아고는 스스로 "그리고 내가 악당 짓을 한다고 말하는 자는 누구인가, 이 조언이 무료로 주어지고 정직할 때...?"라고 말한다.[13]

이는 연극을 이끄는 극적 아이러니이다.

5. 3. 베르디 오페라에서의 이아고

주세페 베르디의 1887년 오페라 ''오텔로''에서 이아고는 셰익스피어 원작에는 없는 2막 아리아 "나는 잔혹한 신을 믿는다(Credo in un dio crudel)"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드러낸다.[13] 그는 잔혹한 신을 믿으며, 자신이 행하는 악은 운명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정직한 사람은 거짓된 존재이며, 인류는 불의한 운명의 농담이라고 믿는다.

참조

[1] 뉴스 NEWS; Liev Schreiber Is Iago to David's Othello at Public Theater http://www.playbill.[...] Playbill, Inc. 2001-09-10
[2] 뉴스 THEATER; Striking Performances Light Up 'Othello' https://www.nytimes.[...] 1990-07-01
[3] 뉴스 Saluting those who forged ahead with a purpose in the tiatr world https://timesofindia[...] 2016-12-07
[4] 웹사이트 The Lost Cult of CATCH MY SOUL https://cinema.wisc.[...] 2024-08-24
[5] 서적 Verdi's Shakespeare: Men of the Theater https://books.google[...]
[6] 서적 Shakespearean Tragedy Macmillan Press 1974
[7] 간행물 Iago the Psychopath South Atlantic Modern Language Association 1978-05
[8] 간행물 Iago-an Extraordinary Honest Ma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5-Autumn
[9] 간행물 Honest Iago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1931-09
[10] 웹사이트 How Iago Explains the World https://www.nytimes.[...] 2024-12-17
[11] 서적 Oeuvres Complètes Robert Laffont
[12] 문서 V.i.19–20
[13] 문서 II.iii.31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