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징턴 (영국 의회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징턴은 영국 의회 선거구로, 1950년 신설되어 노동당의 강세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1922년 총선 이후 노동당 후보만이 당선되었으며, 램지 맥도널드 전 총리가 이 지역구 출신이다. 1950년부터 2017년까지 노동당은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보수당은 2001년 이후 자유민주당에게 밀리는 경향을 보였다. 2024년 총선에서는 노동당 그레이엄 모리스가 당선되었다. 이 지역구는 과거 탄광 지역을 포함하며, 현재는 농업과 서비스업이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이스트잉글랜드의 영국 의회 선거구 - 시티오브더럼 (영국 의회 선거구)
시티오브더럼은 1983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더럼 시를 포함하며, 노동당이 강세를 보여 2024년 총선에서 메리 포이가 당선되었다. - 1918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애버라본 (영국 의회 선거구)
애버라본은 1918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노동당의 안전 지역구 중 하나이며, 램지 맥도널드가 이 지역구 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 1918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시티오브더럼 (영국 의회 선거구)
시티오브더럼은 1983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더럼 시를 포함하며, 노동당이 강세를 보여 2024년 총선에서 메리 포이가 당선되었다.
이징턴 (영국 의회 선거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징턴 |
의회 | 영국 |
선출 방식 | 1인 |
유형 | 자치구 |
지역 | 잉글랜드 |
카운티 | 더럼주 |
이전 선거구 | 시햄 |
시작 연도 | 1950년 |
선거인 수 (2023년) | 70,043명 |
선거인 수 (2010년 12월) | 65,618명 |
주요 도시 | 시햄 피털리 이징턴 머턴 |
정치 | |
의원 | 그레이엄 모리스 |
정당 | 노동당 |
유형 | 카운티 |
2. 역사
이징턴 지역구는 1950년 잉글랜드 구획위원회의 지역구 개편 심의에서 기존의 시햄 지역구를 대체하여 신설되었다. 이곳은 1922년 총선부터 노동당 후보만 당선된 곳으로, 노동당 대표와 영국 총리를 지낸 램지 맥도널드의 지역구이기도 하다.
1950년 신설 이후 2017년까지 노동당은 매 선거에서 50% 이상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위와 표 차이가 40% 이하로 좁혀진 것도 1979년, 1983년, 2019년 총선뿐이었다. 2019년 총선에서 노동당이 전국적으로 참패했음에도 이징턴에서는 득표율 50% 이하, 19% 차이로 당선을 유지했다. 2015년 총선에서는 노동당 승리 지역구 중 27번째로 큰 득표차를 기록하기도 했다.[27]
보수당은 2001년 총선에서 2위를 기록한 후 자유민주당에 밀렸으며, 2015년 총선에서는 영국 독립당이 약진했으나 노동당 득표수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2017년에는 보수당이 다시 상승했지만, 노동당과의 격차는 여전히 컸다.
투표율은 1950년 총선에서 87.7%로 가장 높았고, 2005년 총선에서 52.1%로 가장 낮았다. 1992년과 2005년 총선에서는 전국 투표율과 반대로 이징턴 지역구 투표율이 감소하기도 했다.
2. 1. 선거구 역사
1950년 잉글랜드 구획위원회의 지역구 개편 심의에서 기존의 시햄 지역구를 대체하는 지역구로 신설하였다. 시햄 지역구 시절이던 1922년 총선부터 노동당 후보만 당선되고 있다. 노동당 대표와 영국 총리를 지낸 램지 맥도널드의 지역구이기도 하다.1950년 지역구 신설부터 2017년까지 매 선거에서 노동당의 득표율은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2위와의 표격차가 40% 이하로 내려간 적도 1979년, 1983년, 2019년 총선의 3차례뿐이다. 전국적으로 노동당이 참패를 당했던 2019년 영국 총선에서도 득표율 50% 이하, 19% 표차로 최저 성적을 기록하였을 뿐 노동당 후보의 당선은 유지되었다. 2015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이 승리한 232개 지역구 중에서 득표차순으로는 27번째로 큰 지역구로 조사되기도 했다.[27]
보수당은 2001년 총선에서 2위를 기록한 이래 자유민주당에게도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2015년 총선에서는 영국 독립당이 1983년 총선 이래 가장 좋은 2위 성적을 보이며 약진하였으나, 여전히 노동당 후보 득표수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2017년에는 독립당이 몰락하고 보수당이 상향선을 그렸으나 노동당과의 표차는 40% 이상으로 머물렀다.
최고투표율은 1950년 총선의 87.7%였으며, 최저투표율은 2005년 총선의 52.1%였다. 가끔씩 전국 투표율의 추세와 배치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1992년 총선과 2005년 총선에서는 전국 투표율이 증가한 반면 이징턴 지역구의 투표율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 2. 구획 변천
2010년 잉글랜드 구획위원회는 선거구 개편 심의를 실시, 이징턴 지역구는 남부 세지필드 지역구와의 경계 일부 조정만을 권고하였다.[6]
2023년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기 검토에 따라, 2024년 영국 총선부터 의회 선거구령 2023에 의해 시행되어, 선거구는 다음과 같은 경계를 갖는다.
- 더럼주의 다음과 같은 행정구역: 블랙홀스, 도돈, 데네사이드, 이징턴, 호든, 머튼, 패스필드, 피터리 이스트, 피터리 웨스트, 시햄, 쇼튼 앤 사우스 헤튼, 트림던 앤 손리 (일부), 그리고 윙게이트.[7]
3. 지역 정보
지금은 농업과 서비스업이 지역 주류 산업으로 떠올랐지만, 옛날에는 석탄, 철광석 채굴산업이 좌우하던 지역구였다. 현재도 알루미늄 정제용 형석 채굴처럼 맥석의 광물 추출 산업이 이뤄지고 있다. 남쪽의 달링턴에서는 교량 사업 등 국제적인 교통 시설 건설 사업이 이뤄진다. 북쪽으로는 선덜랜드라는 대도시가 자리잡고 있으며 서비스업이 주류이다.
4. 역대 국회의원
이징턴 선거구는 1950년 신설된 이후 2019년까지 모든 선거에서 노동당이 과반수를 득표했지만, 2019년에는 득표율이 처음으로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노동당은 이 지역에서 역사상 단 한 번도 19% 미만으로 득표율 차이가 떨어진 적이 없으며, 4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네 번(1979년, 1983년, 2019년, 2024년)뿐이었다.
2015년 총선에서는 영국 독립당(UKIP)으로의 평균 이상의 스윙이 18.7%를 기록했다. 2019년, 새롭게 결성된 브렉시트당(이후 개혁 UK로 이름 변경)은 19.5%의 득표율을 얻었다. 2024년 선거에서는 개혁 UK가 보수당을 추월하여 득표율을 29.8%로 증가시켰다.
투표율은 1950년 87.7%에서 2024년 49.5%까지 다양했다.
5. 역대 선거 결과
이징턴 선거구는 1950년 신설된 이후 2019년까지 모든 선거에서 노동당 후보가 과반수 득표를 기록하며 당선된 지역구이다. 그러나 2019년 총선에서는 노동당 득표율이 처음으로 50% 미만으로 하락했다.
1922년 선거 이후 노동당이 계속해서 의석을 차지하고 있으며, 총리를 역임했던 램지 맥도널드가 이 지역구 의원이었다. 노동당은 2019년 총선에서 큰 타격을 입었지만, 여전히 19% 이상의 득표율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2015년 총선에서는 영국 독립당(UKIP)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18.7%의 득표율 상승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2019년에는 브렉시트당(이후 개혁 UK로 변경)이 19.5%의 득표율로 선전하며 노동당의 득표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투표율은 1950년 87.7%를 최고점으로 기록한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01년에는 49.5%까지 하락했다.
;1950년대
연도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1950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8,367 | 81.05 |
보수당 | C.A. 맥팔레인 | 8,972 | 18.95 | |
1951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7,899 | 80.77 |
보수당 | 조지 W. 로시터 | 9,025 | 19.23 | |
1955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4,352 | 79.07 |
보수당 | 조지 W. 로시터 | 9,095 | 20.93 | |
1959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6,552 | 79.79 |
보수당 | 조지 W. 로시터 | 9,259 | 20.21 |
;1960년대
연도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1964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4,028 | 80.45 |
보수당 | 조지 W 로시터 | 8,270 | 19.55 | |
1966년 | 노동당 | 매니 신웰 | 32,097 | 81.37 |
보수당 | 마이클 스파이서 | 7,350 | 18.63 |
;1970년대
1970년, 1974년 2월, 1974년 10월, 1979년 네 차례의 총선에서 모두 노동당의 잭 도르먼드 후보가 이징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1970년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33,418 | 79.80 |
1970년 총선 | 보수당 | 마이클 스파이서 | 8,457 | 20.20 |
1974년 2월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33,637 | 71.96 |
1974년 2월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13,107 | 28.04 |
1974년 10월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28,984 | 65.82 |
1974년 10월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8,047 | 18.27 |
자유당 | N.J. 스캐그스 | 7,005 | 15.91 | |
1979년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29,537 | 60.60 |
1979년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11,981 | 24.70 |
자유당 | V. 모리 | 6,979 | 14.39 |
;1980년대
1983년 영국 총선에서 이징턴 선거구에서는 노동당 잭 도먼드 후보가 5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5] 자유당 프랭크 E. 패터슨 후보는 25.1%, 보수당 콜린 J. 콜슨-토마스 후보는 16.5%를 득표했다. 잭 도먼드의 과반수 득표율은 33.3%였고, 총 투표율은 67.5%였다.
1987년 영국 총선에서는 노동당 존 커밍스 후보가 6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4] 보수당 윌리엄 페리 후보는 16.3%, 자유당 조지 하워드 후보는 15.6%를 득표했다. 존 커밍스의 과반수 득표율은 51.8%였고, 총 투표율은 73.4%였다.
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1983년 영국 총선[25] | 노동당 | 잭 도먼드 | 25,912 | 59.4 | -1.2 |
자유당 | 프랭크 E. 패터슨 | 11,120 | 25.1 | +10.7 | |
보수당 | 콜린 J. 콜슨-토마스 | 7,342 | 16.5 | -8.2 | |
1987년 영국 총선[24] | 노동당 | 존 커밍스 | 32,396 | 68.1 | +8.7 |
보수당 | 윌리엄 페리 | 7,757 | 16.3 | -0.2 | |
자유당 | 조지 하워드 | 7,447 | 15.6 | -9.5 |
;1990년대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노동당 | 존 커밍스 | 34,269 | 72.7 | +4.6 |
보수당 | 윌리엄 페리 | 7,879 | 16.7 | +0.4 |
자유민주당 | 피터 프라이탁 | 5,001 | 10.6 | -5.0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노동당 | 존 커밍스 | 33,600 | 80.2 | +7.5 |
보수당 | 제이슨 D. 홀란드 | 3,588 | 8.6 | -8.1 |
자유민주당 | 짐 P. 헤펠 | 3,025 | 7.2 | -3.4 |
국민투표당 | 리차드 B. 풀프리 | 1,179 | 2.8 | 신규 |
대영 사회당 | 스티브 P. 콜본 | 503 | 1.2 | 신규 |
;2000년대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노동당 | 존 커밍스 | 25,360 | 76.8 | -3.4 |
보수당 | 필립 F. 러블 | 3,411 | 10.3 | +1.7 |
자유민주당 | 크리스토퍼 J. 오드 | 3,408 | 10.3 | +3.1 |
사회주의 노동당 | 데이브 로빈슨 | 831 | 2.5 | New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노동당 | 존 커밍스 | 22,733 | 71.4 | -5.4 |
자유민주당 | 크리스토퍼 오드 | 4,097 | 12.9 | +2.6 |
보수당 | 루실 니콜슨 | 3,400 | 10.7 | +0.4 |
영국 국민당 | 이안 맥도날드 | 1,042 | 3.3 | New |
사회주의 노동당 | 데이브 로빈슨 | 583 | 1.8 | -0.7 |
5. 1. 2020년대
2024년 총선: 이징턴[9]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노동당 | 그레이엄 모리스 | 16,774 | 48.9 | |
개혁 UK | 린 머피 | 10,232 | 29.8 | |
보수당 | 조앤 호위 | 3,753 | 10.9 | |
노스이스트당 | 메리 카트라이트 | 1,581 | 4.6 | |
녹색당 | 스티븐 애시필드 | 1,173 | 3.4 | |
자유민주당 | 토니 퍼거슨 | 811 | 2.4 | |
과반수 득표수 | 6,542 | |||
투표율 | 34,385 | |||
노동당 유지 |
5. 2. 2010년대
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율 변화(±%) |
---|---|---|---|---|---|
2019년 총선 | 노동당 | 그레이엄 모리스 | 15,723 | 45.5 | -18.2 |
보수당 | 클레어 앰브로시노 | 9,142 | 26.4 | +3.7 | |
브렉시트당 | 줄리 모건 | 6,744 | 19.5 | 신인 | |
자유민주당 | 도미닉 헤이니 | 1,526 | 4.4 | +3.1 | |
노스이스트당 | 수잔 맥도넬 | 1,448 | 4.2 | -2.4 | |
2017년 총선 | 노동당 | 그레이엄 모리스 | 23,152 | 63.7 | +2.7 |
보수당 | 바니 캠벨 | 8,260 | 22.7 | +9.8 | |
노스이스트당 | 수잔 맥도넬 | 2,355 | 6.6 | +4.1 | |
영국 독립당 | 올린 로버츠 | 1,727 | 4.7 | -14.0 | |
자유민주당 | 톰 핸콕 | 460 | 1.3 | -1.1 | |
녹색당 | 마티 워린 | 410 | 1.1 | -1.0 | |
2015년 총선 | 노동당 | 그레이엄 모리스 | 21,132 | 61.0 | +2.1 |
영국 독립당 | 조너선 아너트 | 6,491 | 18.7 | +14.0 | |
보수당 | 크리스 햄프셰어 | 4,478 | 12.9 | -0.8 | |
자유민주당 | 루크 암스트롱 | 834 | 2.4 | -13.6 | |
노스이스트당 | 수잔 맥도넬[13] | 810 | 2.3 | 신인 | |
녹색당 | 마티 워린 | 733 | 2.1 | 신인 | |
사회당 | 스티브 콜본[14] | 146 | 0.4 | 신인 | |
2010년 총선 | 노동당 | 그레이엄 모리스 | 20,579 | 58.9 | -12.4 |
자유민주당 | 타라 사빌 | 5,597 | 16.0 | +3.1 | |
보수당 | 리처드 해리슨 | 4,790 | 13.7 | +3.0 | |
영국 국민당 | 셰릴 던 | 2,317 | 6.6 | +3.4 | |
영국 독립당 | 마틴 아이켄 | 1,631 | 4.7 | 신인 |
5. 3. 2000년대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
노동당 | 존 커밍스 | 22,733 | 71.4 | -5.4 | |
자유민주당 | 크리스토퍼 오드 | 4,097 | 12.9 | +2.6 | |
보수당 | 루실 니콜슨 | 3,400 | 10.7 | +0.4 | |
영국 국민당 | 이안 맥도날드 | 1,042 | 3.3 | New | |
사회주의 노동당 | 데이브 로빈슨 | 583 | 1.8 | -0.7 | |
과반수 득표 | 18,636 | 58.5 | -8.0 | ||
투표율 | 31,855 | 52.1 | -1.5 | ||
노동당 유지, 스윙 -4.0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
노동당 | 존 커밍스 | 25,360 | 76.8 | -3.4 | |
보수당 | 필립 F. 러블 | 3,411 | 10.3 | +1.7 | |
자유민주당 | 크리스토퍼 J. 오드 | 3,408 | 10.3 | +3.1 | |
사회주의 노동당 | 데이브 로빈슨 | 831 | 2.5 | New | |
과반수 득표 | 21,949 | 66.5 | -5.1 | ||
투표율 | 33,010 | 53.6 | -13.4 | ||
노동당 유지 |
5. 4. 1990년대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
노동당 | 존 커밍스 | 33,600 | 80.2 | +7.5 | ||||
보수당 | 제이슨 D. 홀란드 | 3,588 | 8.6 | -8.1 | ||||
자유민주당 | 짐 P. 헤펠 | 3,025 | 7.2 | -3.4 | ||||
국민투표당 | 리차드 B. 풀프리 | 1,179 | 2.8 | 신규 | ||||
대영 사회당 | 스티브 P. 콜본 | 503 | 1.2 | 신규 | ||||
과반수 | 30,012 | 71.6 | +15.6 | |||||
투표율 | 41,895 | 67.0 | -5.5 | |||||
노동당 유지 | 스윙 | +7.8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
노동당 | 존 커밍스 | 34,269 | 72.7 | +4.6 | ||||
보수당 | 윌리엄 페리 | 7,879 | 16.7 | +0.4 | ||||
자유민주당 | 피터 프라이탁 | 5,001 | 10.6 | -5.0 | ||||
과반수 | 26,390 | 56.0 | +4.2 | |||||
투표율 | 47,149 | 72.5 | -0.9 | |||||
노동당 유지 | 스윙 | +2.1 |
5. 5. 1980년대
1983년 영국 총선에서 이징턴 선거구에서는 노동당 잭 도먼드 후보가 5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5] 자유당 프랭크 E. 패터슨 후보는 25.1%, 보수당 콜린 J. 콜슨-토마스 후보는 16.5%를 득표했다. 잭 도먼드의 과반수 득표율은 33.3%였고, 총 투표율은 67.5%였다.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1983년 영국 총선[25] | 노동당 | 잭 도먼드 | 25,912 | 59.4 | -1.2 |
자유당 | 프랭크 E. 패터슨 | 11,120 | 25.1 | +10.7 | |
보수당 | 콜린 J. 콜슨-토마스 | 7,342 | 16.5 | -8.2 | |
과반수 득표율 | 14,792 | 33.3 | -2.6 | ||
투표율 | 44,374 | 67.5 | -6.8 |
1987년 영국 총선에서는 노동당 존 커밍스 후보가 6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4] 보수당 윌리엄 페리 후보는 16.3%, 자유당 조지 하워드 후보는 15.6%를 득표했다. 존 커밍스의 과반수 득표율은 51.8%였고, 총 투표율은 73.4%였다.
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1987년 영국 총선[24] | 노동당 | 존 커밍스 | 32,396 | 68.1 | +8.7 |
보수당 | 윌리엄 페리 | 7,757 | 16.3 | -0.2 | |
자유당 | 조지 하워드 | 7,447 | 15.6 | -9.5 | |
과반수 득표율 | 24,639 | 51.8 | +18.5 | ||
투표율 | 47,600 | 73.4 | +5.9 |
5. 6. 1970년대
1970년, 1974년 2월, 1974년 10월, 1979년 네 차례의 총선에서 모두 노동당의 잭 도르먼드 후보가 이징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선거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1970년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33,418 | 79.80 |
1970년 총선 | 보수당 | 마이클 스파이서 | 8,457 | 20.20 |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수 24,961 (59.60%), 투표율 69.28% | ||||
1974년 2월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33,637 | 71.96 |
1974년 2월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13,107 | 28.04 |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수 20,530 (43.92%), 투표율 73.95% | ||||
1974년 10월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28,984 | 65.82 |
1974년 10월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8,047 | 18.27 |
1974년 10월 총선 | 자유당 | N.J. 스캐그스 | 7,005 | 15.91 |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수 20,937 (47.55%), 투표율 69.01% | ||||
1979년 총선 | 노동당 | 잭 도르먼드 | 29,537 | 60.60 |
1979년 총선 | 보수당 | J.S. 스마일스 | 11,981 | 24.70 |
1979년 총선 | 자유당 | V. 모리 | 6,979 | 14.39 |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수 17,556 (35.90%), 투표율 74.33% |
5. 7. 1960년대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
노동당 | 매니 신웰 | 32,097 | 81.37 | |
보수당 | 마이클 스파이서 | 7,350 | 18.63 | |
과반수 득표수 | 24,747 | 62.74 | ||
투표율 | 39,447 | 70.54 | ||
노동당 유지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
노동당 | 매니 신웰 | 34,028 | 80.45 | |
보수당 | 조지 W 로시터 | 8,270 | 19.55 | |
과반수 득표수 | 25,758 | 60.90 | ||
투표율 | 42,298 | 75.22 | ||
노동당 유지 |
참조
[1]
웹사이트
The 2023 Review of Parliamentary Constituency Boundaries in England – Volume two: Constituency names, designations and composition – North East
https://boundarycomm[...]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24-07-03
[2]
서적
Boundaries of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1885–1972;
https://www.worldcat[...]
Political Reference Publications
1972
[3]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1970
https://www.legislat[...]
[4]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1983
https://www.legislat[...]
[5]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1995
https://www.legislat[...]
[6]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2007
https://www.legislat[...]
[7]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Order 2023
https://www.legislat[...]
[8]
간행물
2012-03
[9]
Youtube
Easington
https://www.bbc.co.u[...]
[10]
뉴스
Easington Parliamentary constituency
https://www.bbc.co.u[...]
BBC
2019-11-24
[11]
뉴스
Easington Parliamentary constituency
https://www.bbc.co.u[...]
BBC
2019-11-24
[12]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5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3]
뉴스
New political party the North East Party launches its first ever manifesto
http://www.chronicle[...]
Chronicle Live
2015-02-21
[14]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 – Campaign News |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https://web.archive.[...]
2015-01-16
[15]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0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6]
문서
http://www.durham.go[...]
[17]
뉴스
BBC NEWS – Election 2010 – Easington
http://news.bbc.co.u[...]
[18]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05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19]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01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0]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97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1]
뉴스
Easington: Constituency – Politics
https://www.theguard[...]
2013-01-22
[22]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92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3]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s://web.archive.[...]
Politics Resources
2010-12-06
[24]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7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5]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3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6]
웹인용
Electorate Figures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s://web.archive.[...]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11-03-13
[27]
문서
List of Labour MPs elected in 2015 by % majority
http://www.ukpolitic[...]
UK Political.info
2017-01-29
[28]
간행물
2012-03
[29]
뉴스
Easington Parliamentary constituency
https://www.bbc.co.u[...]
BBC
2019-11-24
[30]
뉴스
Easington Parliamentary constituency
https://www.bbc.co.u[...]
BBC
2019-11-24
[31]
웹인용
Election Data 2015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