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핵심 기술로,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1982년 한국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에 연결된 이후, 정부의 IT 산업 육성 정책과 함께 TCP/IP는 인터넷 환경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링크 계층으로 구성되며, TCP와 IP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TCP/IP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거의 모든 컴퓨팅 플랫폼에서 구현되어 인트라넷 구축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조 모형 - 폰 노이만 구조
    폰 노이만 구조는 CPU, 주소 지정 메모리, 버스를 핵심 요소로 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로,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통해 명령어와 데이터를 동일한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 참조 모형 - 더블린 코어
    더블린 코어는 웹 자원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메타데이터 표준으로, 15개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확장되었고,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DCMI에서 관리된다.
  • 컴퓨터 통신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컴퓨터 통신 - 모뎀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장치이며, 전화선, 케이블,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하며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다.
  • 컴퓨터 네트워킹 -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는 데이터를 단일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와 대비되며, 개인적 또는 고유한 리소스가 필요한 네트워크 프로세스에 사용되지만, 대량 데이터 전송 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 컴퓨터 네트워킹 - 노드 (네트워크)
    노드(네트워크)는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장치를 의미하며, 물리적 네트워크 노드, 인터넷 노드, 통신 네트워크 노드, 분산 시스템 노드, 네트워크 가상화 노드 등으로 분류된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프로토콜 스위트 개요
TCP/IP 모델
TCP/IP 모델
설명인터넷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집합.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프로토콜과는 다름.
다른 이름인터넷 모델
TCP/IP 모델
참조RFC 1122
RFC 1123
계층 구조
응용 계층BGP
DHCP
DNS
FTP
HTTP
IMAP
IRC
LDAP
MGCP
MQTT
NNTP
NTP
ONC RPC
POP
RTP
RTSP
RIP
SIP
SMTP
SNMP
SSH
텔넷
TLS/SSL
XMPP
전송 계층TCP
QUIC
UDP
DCCP
SCTP
RSVP
인터넷 계층IP
IPv4
IPv6
ARP
ICMP
ICMPv6
NDP
IGMP
IPsec
링크 계층SPB
터널링
L2TP
PPP
MAC
이더넷
IEEE 802.11
DSL
ISDN
주요 특징
역할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모음
설계 목표다양한 네트워크 기술 지원
유연성
확장성
상호 운용성
기타
관련 문서인터넷 프로토콜
OSI 모델

2. 역사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1960년대 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수행한 연구개발의 결과로 탄생하였다.[75] 1970년대 초, DARPA는 모바일 패킷 라디오, 패킷 위성 서비스 등 여러 데이터 전송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972년 로버트 칸은 DARPA 정보 처리 기술 사무소에 합류하여 위성 패킷 네트워크와 지상 기반 라디오 패킷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연구했다. 1973년 봄, 빈턴 서프는 칸과 함께 ARPANET의 차세대 프로토콜 설계를 위해 노력했다.[2][3]

칸과 서프는 1973년 여름까지 지역 네트워크 프로토콜 간의 차이점을 공통 인터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숨기고, 호스트에게 신뢰성 기능을 위임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서프는 CYCLADES 네트워크 설계자인 루이 푸쟁과 후베르트 짐머만의 공로를 인정했다.[7][8] 1978년에는 전송 제어 프로그램을 연결 없는 계층인 인터넷 프로토콜과 신뢰할 수 있는 연결 지향 서비스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분할했다.[14][15][16][17]

네트워크 설계는 종단간 원칙을 포함했는데, 이는 도널드 데이비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CYCLADES 네트워크에서 루이 푸쟁에 의해 개척되었다.[18][19][20] 이 설계를 통해 다른 로컬 특성과 관계없이 동일한 원칙을 사용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ARPANET에 연결할 수 있었다.

DARPA는 BBN Technologies, 스탠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계약하여 여러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프로토콜의 운영 버전을 개발했다.[21] 1983년, ARPANET은 TCP/IP 프로토콜로 전환하면서 현대 인터넷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85년,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는 컴퓨터 산업을 위해 3일간의 TCP/IP 워크숍을 개최하여 TCP/IP의 보급과 상업적 이용 증가를 도왔다.

1994년에 리눅스 1.0이 공개되면서, UNIX의 기능 상당 부분이 오픈 소스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1995년에 윈도우 95는 TCP/IP, 텔넷, ftp, 웹 브라우저 등을 기본 탑재하여, 일반적인 통신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9년 윈도우 2000POSIX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며, TCP/IP를 비롯해 UNIX에 더 가까운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있다.[66]

2001년 Mac OS X는 UNIX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2005년 11월 9일, 칸과 서프는 미국 문화에 대한 공헌을 기려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받았다.

2. 1. 한국 인터넷의 역사와 TCP/IP

1982년, 전길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미국과의 인터넷 연결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에 연결된 국가가 되었다.[64] 1980년대 후반에는 일본 대학교에서도 Unix 계열 OS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대학 내 네트워크에 TCP/IP가 사용되었다. 1988년 8월 2일, JUNET에 크게 관여한 무라이 준에 의해 일본에서 인터넷으로의 TCP/IP 접속 시험이 이루어졌다.[65]

1990년대 초, 한국통신(현 KT)이 상용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 김대중 정부는 '사이버 코리아 21' 정책을 추진하며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과 IT 산업 육성에 힘썼다. 이는 한국이 인터넷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노무현 정부는 'e-Korea 비전 2006'을 통해 전자정부 구축과 IT 산업 고도화를 추진했다. 현재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TCP/IP는 이러한 인터넷 환경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3. TCP와 IP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인터넷 프로토콜(IP)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프로토콜이며, 이 둘의 이름을 따서 TCP/IP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IP는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지정하고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 순서가 바뀔 수도 있는 비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1]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 TCP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전달하고, 오류를 검출하여 수정하며,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1] HTTP, FTP, SMTP 등 많은 응용 프로토콜들이 TCP 위에서 동작하며, 이러한 프로토콜들을 묶어서 TCP/IP라고 부르기도 한다.[1]

4.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 구조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기능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을 광범위한 운영 범위로 분할한 것이다. RFC 1122 및 1123에서는 링크 계층, IP 계층, 전송 계층, 응용 계층 및 지원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4개의 추상화 계층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는 이 구조를 변경한 적이 없으므로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

다음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표이다.[39][40]

계층프로토콜
응용 계층DNS, TFTP, TLS/SSL, FTP, HTTP, IMAP, IRC, NNTP, POP3, SIP, SMTP, SNMP, SSH, 텔넷, ECHO, 비트토렌트, RTP, PNRP, rlogin, ENRP, …
전송 계층TCP, UDP, DCCP, SCTP, IL, RUDP, …
인터넷 계층IP (IPv4, IPv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더넷, Wi-Fi, 토큰링, PPP, SLIP, FDDI, ATM, 프레임 릴레이, SMDS, …



이러한 네트워킹 모델은 일반적인 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한 보다 포괄적인 참조 프레임워크인 OSI 모형보다 먼저 개발되었다.[38]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 연구 개발을 통해 발전해 왔다. 이 과정에서 프로토콜 구성 요소와 계층화의 세부 사항이 변경되었으며, 업계 협회의 병렬 연구와 상업적 이익이 설계 기능과 경쟁했다. 특히,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노력은 유사한 목표를 달성했지만,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더 광범위한 범위를 가졌다.

IP군은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캡슐화하여 추상화한다.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에서는 인터넷 구조에 관하여 "Layering Considered Harmful(해로운 것으로 간주되는 계층화)"이라는 제목의 절에서 "계층화" 개념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있다. 계층화는 개념적, 구조적인 장점이 있지만, 구현 면에서는 효율성을 저해하거나 복잡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이 지향하는 "단순화" 원칙에 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73]

4. 1.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이다. 응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가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를 다른 호스트나 동일 호스트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범위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통신 파트너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및 피어 투 피어 네트워킹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아키텍처로 특징지어진다. 프로세스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포트를 통해 주소를 지정한다.

응용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DNS, TFTP, TLS/SSL, FTP, HTTP, IMAP, IRC, NNTP, POP3, SIP, SMTP, SNMP, SSH, 텔넷, ECHO, 비트토렌트, RTP, PNRP, rlogin, ENRP, OSPF, IS-IS, BGP


4. 2.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응용 계층 프로세스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이다. TCP, UDP, DCCP, SCTP, IL, RUDP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1]

4. 3.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인터네트워킹은 송신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과정은 라우팅이라고 불리며, 계층적인 IP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호스트 주소 지정 및 식별을 통해 지원된다. 인터넷 계층은 잠재적으로 다른 IP 네트워크에 위치한 호스트 간에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그램 전송 기능을 제공하며, 데이터그램을 목적지까지 추가로 중계하기 위해 적절한 다음 홉 라우터로 전달한다. 인터넷 계층은 잠재적으로 여러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책임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인터넷 계층은 서로 다른 IP 네트워크의 상호 작용인 인터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며, 본질적으로 인터넷을 구축한다.

인터넷 계층은 다양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구별하지 않는다. IP는 다양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각 프로토콜은 고유한 프로토콜 번호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및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GMP)은 각각 프로토콜 1과 2이다.

인터넷 프로토콜은 인터넷 계층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네트워크 호스트를 식별하고 네트워크에서 해당 호스트를 찾기 위해 두 가지 주소 지정 시스템을 정의한다. ARPANET 및 그 후속 인터넷의 원래 주소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이다. IPv4는 32비트 IP 주소를 사용하므로 약 40억 개의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1998년에 128비트 주소를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의 표준화로 해결되었다. IPv6 생산 구현은 약 2006년에 등장했다.

IP상에서 가동하는 OSPF나 TCP상에서 가동하는 BGP 등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도 인터넷 계층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67][68][69] ARP와 RARP는 IP 하위, 링크 계층 상위에서 작동하므로, 중간에 속한다고 생각된다.
링크 계층은 동일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링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이다. 이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에는 다음이 있다.

4. 5. 주소 결정 프로토콜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은 인터넷 계층링크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IP 주소물리적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1] RARP는 ARP와 반대로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1]

4. 6. OSI 모델과 비교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계층 구조는 OSI 모델의 7계층 구조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계층의 수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은 4계층(또는 링크 계층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누면 5계층)을 사용하는 반면, OSI 모델은 7계층을 사용한다. OSI 모델의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에서는 응용 계층에 포함되어 있다.

두 모델의 계층별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OSI 모델
응용 계층DNS, TFTP, TLS/SSL, FTP, HTTP, IMAP, IRC, NNTP, POP3, SIP, SMTP, SNMP, SSH, 텔넷, ECHO, 비트토렌트, RTP, PNRP, rlogin, ENRP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TCP, UDP, DCCP, SCTP, IL, RUDP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IP (IPv4, IPv6)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더넷, Wi-Fi, 토큰링, PPP, SLIP, FDDI, ATM, 프레임 릴레이, SMDS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IETF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구조의 개발은 OSI에 준거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여러 번 언급했다.[38]

5. 핵심 아키텍처 원칙

미국 국방부는 1982년 3월, TCP/IP를 모든 군사 컴퓨터 네트워킹의 표준으로 선언했다.[24][25][26] 같은 해, NDRE와 피터 키르스틴의 런던 대학교 연구 그룹이 이 프로토콜을 채택했다.[27] 1983년 1월 1일, ARPANET의 NCP에서 TCP/IP로의 전환이 공식적으로 완료되면서 새로운 프로토콜이 영구적으로 활성화되었다.[24][28]

1985년, 인터넷 자문 위원회(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는 컴퓨터 산업을 위한 3일간의 TCP/IP 워크숍을 개최하여 250명의 벤더 대표가 참석, 이 프로토콜을 홍보하고 상업적 사용을 증가시켰다. 같은 해, 첫 인터롭 컨퍼런스가 개최되어 TCP/IP의 광범위한 채택을 통한 네트워크 상호 운용성에 초점을 맞췄다. 초기 인터넷 활동가인 댄 린치에 의해 설립된 이 컨퍼런스에는 처음부터 IBM 및 DEC와 같은 대기업들이 참석했다.[29][30]

IBM, AT&T, DEC는 경쟁 고유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TCP/IP를 채택한 주요 기업들이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는 엔지니어, 조직 및 국가들이 어떤 표준이 가장 우수하고 강력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문제, 즉 OSI 모델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 대해 양극화되었다.[36][37][38]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종단간 원칙, 견고성 원칙, 캡슐화와 같은 핵심 아키텍처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5. 1. 종단간 원칙 (End-to-End Principle)

종단간 원칙(End-to-End Principle)은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은 가능한 한 최종 노드(end-point)에 위치시키고, 네트워크 자체는 단순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네트워크의 복잡성을 줄이고, 확장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5. 2. 견고성 원칙 (Robustness Principle)

견고성 원칙(Robustness Principle영어)은 "송신하는 데이터는 보수적으로, 수신하는 데이터는 관대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데이터를 보낼 때는 최대한 표준을 준수하여 보내고, 데이터를 받을 때는 표준에서 약간 벗어나더라도 최대한 해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원칙은 다양한 구현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5. 3. 캡슐화 (Encapsulation)

캡슐화는 프로토콜 및 서비스의 추상화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캡슐화는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제품군을 일반 기능의 계층으로 나누는 것과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모델의 최상위 계층)은 일련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층 아래로 보낸다. 데이터는 각 계층에서 추가로 캡슐화된다.[41]

IP군은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캡슐화함으로써 추상화한다. 일반적으로, 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더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지금까지 IETF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을 4계층에서 변경한 적이 없다. IETF는 7계층으로 구성된 OSI 참조 모델을 따르는 시도를 하지 않았으며, 표준화 과정(Standards Track)에 있는 프로토콜 사양이나 기타 구조적 문서를 OSI 참조 모델에 대해 참조하지도 않는다.

인터넷 구조에 관하여 "Layering Considered Harmful(해로운 것으로 간주되는 계층화)"이라는 제목의 절에서는 "계층화"라는 개념에는 개념적, 구조적인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한편, 구현 면에서는 계층 단위로 비슷한 최적화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효율적인 구현을 저해하고 복잡화를 초래하거나, 하위 부분에만 존재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인터넷 프로토콜이 지향하는 "단순화"라는 원칙에 반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73]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의 시작과 끝에 하위 계층 프로토콜에 기반한 헤더와 푸터를 부가한다. (캡슐화). 이러한 계층적인 통신 규약의 설계를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 구현

1970년대 초,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연구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가 등장했다. 1973년 봄, 로버트 칸과 빈턴 서프는 개방형 아키텍처 상호 연결 모델을 만들기 위해 협력했다. 이들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간의 차이를 공통 프로토콜로 숨기고, 네트워크 대신 호스트가 신뢰성을 책임지도록 했다. 위베르 지머만과 루이 푸쟁도 이 설계에 기여했다.[59]

1973년에서 1974년 사이, 스탠퍼드 대학교의 서프 네트워크 연구 그룹은 최초의 TCP/IP 사양인 [63]를 만들었다. DARPA는 BBN 테크놀로지스, 스탠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계약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상의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TCP v1, TCP v2, TCP/IP v4 등 4가지 버전이 개발되었으며, TCP/IP v4는 현재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64]

1975년 스탠퍼드 대학교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간의 TCP/IP 통신 시험이, 1977년 11월에는 미국, 영국, 노르웨이 간의 시험이 실시되었다. 1983년 1월 1일, ARPANET은 TCP/IP로 완전히 전환되었다.[64] 1982년 3월, 미국 국방부는 모든 군사용 컴퓨터망을 위해 TCP/IP 표준을 만들었다.[65]

1985년,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는 TCP/IP 워크숍을 개최하여 상업적 이용을 촉진했다. 1994년 리눅스 1.0, 1995년 Windows 95 등에서 TCP/IP를 기본 탑재하며 널리 사용되었다. 1999년 Windows 2000은 POSIX를 지원하며 UNIX에 더 가까운 시스템을 제공했다.[66] 2001년 매킨토시의 Mac OS X는 UNIX를 기반으로 한다.

2005년 11월 9일, 칸과 서프는 미국 문화에 대한 공헌으로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았다. 오늘날 TCP/IP는 대부분의 OS에 구현되어 있다. 널리 사용되는 구현은 버클리 소켓이며, lwIP, KA9Q, TINET[74] 등도 있다.

7. 인트라넷

TCP/IP를 사용하여 구축된 사설 네트워크를 인트라넷이라고 부르며, 이는 오늘날 LAN에서 사실상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인트라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이메일 (SMTP/POP3/IMAP4)
  • DNS
  • HTTP
  • FTP
  • 인터넷 릴레이 챗 (IRC)
  • NTP

참조

[1] 논문 The DoD Internet Architecture Model North-Holland 1983-10-01
[2] 서적 Where wizards stay up late : the origins of the Internet http://archive.org/d[...] New York : Simon & Schuster 1996
[3] 서적 Open standards and the digital age: history, ideology, and networ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22-12-20
[4] 서적 Inventing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20-05-15
[5] 간행물 Oral History of Robert (Bob) W. Taylor http://archive.compu[...] 2008-10-11
[6] 서적 The innovators : how a group of hackers, geniuses, and geeks created the digital revolution http://archive.org/d[...] New York : Simon & Schuster 2014
[7] 논문 A Protocol for Packet Network Intercommunication https://www.cs.princ[...] 2015-10-18
[8] 뉴스 The internet's fifth man https://www.economis[...] 2013-12-13
[9] 웹사이트 Specification of Internet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Version 2) https://www.rfc-edit[...] 1977-03-01
[10] 서적 Machines and romances: the technical and narrative construction of networked computing as a general-purpose platform, 1960–199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2008
[11] 간행물 Entrepreneurial Capitalism and Innovation: A History of Computer Communications, 1968–1988 https://historyofcom[...] 2007
[12] 문서 Internet Hall of Fame
[13] 웹사이트 2.3.3.2 Comments on Internet Protocol and TCP https://www.rfc-edit[...] 1977-08-15
[14] 서적 Inventing the Internet
[15] 논문 Protocols for Interconnected Packet Networks 1980-10-01
[16] 논문 "Industrial Legislatures": Consensus Standardiz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https://jscholarship[...] Johns Hopkins University 2007
[17] 문서 Internet Experiment Notes https://www.rfc-edit[...]
[18] 웹사이트 Designed for Change: End-to-End Arguments, Internet Innovation, and the Net Neutrality Debate https://www.itif.org[...]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2009-09-01
[19] 서적 Entrepreneurial Capitalism and Innovation: A History of Computer Communications 1968-1988 https://web.archive.[...]
[20] 논문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for Computers Giving Rapid Response at remote Terminals https://people.mpi-s[...] 1967-10-01
[21] 웹사이트 How the Internet Came to Be https://web.archive.[...] 1993
[22]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Stanford University TCP Project https://www.rfc-edit[...] 1980-04-01
[23] 서적 Physical and Logical Security Convergence: Powered By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Syngress 2011
[24] 웹사이트 From the ARPANET to the Internet http://www.columbia.[...] TCP Digest (UUCP)
[25] IETF
[26] IETF
[27] 논문 The Internet: On its International Origins and Collaborative Vision http://www.ais.org/~[...]
[28] 웹사이트 TCP/IP Internet Protocol https://www.livingin[...]
[29]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https://www.internet[...] Internet Society 1997
[30] 웹사이트 Vinton G. Cerf : An Oral History https://exhibits.sta[...] 2020
[31] 웹사이트 Using Wollongong TCP/IP with Windows for Workgroups 3.11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Internet Protocols at CERN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Desktop TCP/IP at middle age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About http://www.romkey.co[...] 2011-02-17
[35] 웹사이트 KA9Q TCP Download Website
[36] 잡지 OSI: The Internet That Wasn't https://spectrum.iee[...] 2020-02-06
[37] 논문 Rough Consensus and Running Code' and the Internet-OSI Standards War https://www2.cs.duke[...] IEEE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38] 서적 A History of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ing: The People who Made it Happe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11-07
[3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IETF https://www.ietf.org[...] 2024-02-27
[40] 학술지 IETF Protocol Suite for the Internet of Things: Overview and Recent Advancements http://dx.doi.org/10[...] 2020-06
[41] 웹사이트 Rethinking the design of the Internet: The end-to-end arguments vs. the brave new world https://www.csd.uoc.[...] 2022-10-08
[42] 서적 TCP/IP Network Administration O'Reilly 2002
[43] 학술지 Service location protocol: automatic discovery of IP network services http://dx.doi.org/10[...] 1999
[44] 학술지 Enabling "Protocol Routing": Revisiting Transport Layer Protocol Design in Internet Communications http://dx.doi.org/10[...] 2017-07
[45] 학술지 Cross layer link adaptation sche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ttp://dx.doi.org/10[...] 2009-04-07
[46] 서적 TCP/IP Illustrated: the protocols http://www.kohala.co[...] Addison-Wesley 2012-04-25
[47] 서적 Network Fundamentals, CCNA Exploration Companion Guide https://books.google[...] Cisco Press 2016-09-12
[48] 서적 The TCP/IP Guide: A Comprehensive, Illustrated Internet Protocols Reference https://books.google[...] No Starch Press 2016-09-12
[49] 서적 Internetworking with TCP/IP: Principles, protocols,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016-09-12
[50] 서적 Computer Networks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PTR 2016-09-12
[51] 서적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https://books.googl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16-09-12
[52] 서적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http://www.pearsonhi[...] Pearson/Addison Wesley 2008-07-16
[53] 서적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016-09-12
[54] ISO 표준 ISO/IEC 7498-1:1994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Basic Reference Model: The Basic Model
[55] 서적 Foundations of modern networking : SDN, NFV, QoE, IoT, and Cloud https://www.worldcat[...] 2016
[56] 문서 1980년대의 업계 유행어인 [[개방형 시스템 (컴퓨터)|개방형 시스템]](「네오다마」의 「오」)의 「개방」과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다.
[57] IETF Requirements for Internet Hosts―Communication Layers 1989-10
[58] 웹사이트 The TCP/IP Guide - TCP/IP Architecture and the TCP/IP Model http://www.tcpipguid[...]
[59] IETF ARPA Network Functional Specifications https://www.rfc-edit[...] 1969-05
[60] IETF A Standard for the Transmission of IP Datagrams on Avian Carriers 1990-04-01
[61] 웹사이트 The informal report from the RFC 1149 event https://www.blug.lin[...] 2001-04
[62] IETF Requirements for IP Routers 1995-06
[63] IETF Specification of Internet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1974-12
[64]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https://www.livingin[...] 2006-01-30
[65] 웹사이트 From the ARPANET to the Internet http://www.columbia.[...] TCP Digest (UUCP)
[66] 뉴스 Microsoft Releases Windows 2000 to Manufacturing https://news.microso[...] 1999-12-15
[67] 서적 Networking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12-21
[68] 서적 Cloud Computing Networking: Theory, Practice,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09-22
[69] 서적 Cable and Wireless Networks: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09-03
[70] IETF Requirements for IP Version 4 Routers 1995-06
[71] IETF Requirements for IP Version 4 Routers 1995-06-01
[72] IETF Requirements for IP Version 4 Routers 1995-06-01
[73] IETF Some Internet Architectural Guidelines and Philosophy 2007-11-20
[74] 웹사이트 TINET https://www.toppers.[...] TOPPERS Project, Inc 2014-03-26
[75] 논문 The DoD Internet Architecture Model http://citeseerx.ist[...] North-Holland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