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방주의는 국제법상 국가의 일방적인 행위를 의미하며, 항의, 승인, 통고, 약속, 포기 등의 유형이 있다. 국제법위원회는 일방적 행위에 대한 법전화 작업을 진행했으나, 일방적 행위의 정의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지도 원칙을 제시했다. 또한, 국제 관계 변화에 따라 국제법의 흠결이 발생할 경우, 긴급한 일방적 국내 조치가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는 학설이 제기되었으며, 긴급 피난 행위는 국가와 국제기구의 불가결한 이익 보호를 위해 인정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관계론 -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여러 국가가 특정 원칙에 따라 협력하는 것으로, 강대국을 구속하고 소국에게 영향력을 부여하며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최근 일방주의와 포퓰리즘 강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국제관계론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 일방주의 | |
|---|---|
| 개요 | |
| 정의 | 어떤 다른 행위 주체의 동의 없이 한 행위 주체에 의해 수행되는 행동이나 행위 노선. 외교 정책에서 다른 국가나 기관과 협력하지 않고 한 국가가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정책. |
| 특징 | |
| 장점 | 신속한 의사 결정 및 행동 가능. |
| 단점 | 국제적 고립. 다른 행위 주체의 반발이나 비협조 초래 가능성. |
| 예시 | |
| 국가 | 미국의 이라크 전쟁 개입.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파리 협정 탈퇴. |
| 개인 | 회사의 경영진이 주주의 동의 없이 중요한 사업 결정을 내리는 경우. 개인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묻지 않고 스스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경우. |
| 참고 | |
| 관련 용어 | 고립주의: 특정 국가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최소화하려는 외교 정책. 집단 행동: 여러 행위 주체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행동. |
2. 국제법상 일방적 행위
국제법상 일방적(법률) 행위는 일반적으로 승인, 항의, 통고, 약속, 포기의 5가지로 분류된다.[4] 이 행위들은 각각 특정한 법적 효과를 발생시키며,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승인: 어떤 상태, 상황, 행동을 자국에 대항력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 항의: 어떤 상태, 상황, 행동을 자국이 합법으로 받아들이지 않음을 표명하고 자국의 법적 권리를 유지하는 행위이다.
- 통고: 어떤 자국의 행동이나 사실을 타국에 알리고, 그 타국이 그 이후 그 사실에 대해 몰랐다고 항변할 수 없게 하는 행위이다.
- 약속: 자국이 장래의 자국 행동에 대해 구속될 의사를 표명하는 행위이다.
- 포기: 자국이 보유하는 법적 권리를 더 이상 행사하지 않도록 버리는 행위이다.
2. 1. 승인
어떤 상태, 상황, 행동을 자국에 대항력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말한다. 「동부 그린란드의 지위 사건」에서 상설국제사법재판소는 노르웨이 외무장관 이렌이 덴마크와의 외교 문서 교환에서 "해당 문제 해결에 어떤 어려움도 초래하지 않는다"고 선언함으로써, 노르웨이가 덴마크의 동부 그린란드 주권을 다투는 것을 삼가야 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4]2. 2. 항의
항의는 어떤 상태, 상황, 행동을 자국이 합법으로 받아들이지 않음을 표명하고 자국의 법적 권리를 유지하는 행위이다.[4] 프레아 비헤아 사원 분쟁에서 국제사법재판소는 태국이 사원 지도에 관해 프랑스 당국과의 교섭 중에 몇 차례 항의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하지 않았고, 전 내무대신이자 시암 왕립 협회장이었던 인물이 사원을 방문했을 때도 자국의 권원에 대해 어떤 행동이나 반응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태국이 당시 사원이 그려진 지도를 수락한 것으로 간주했다.[4]2. 3. 통고
통고는 어떤 자국의 행동이나 사실을 타국에 알리고, 그 타국이 그 이후 그 사실에 대해 몰랐다고 항변할 수 없게 하는 행위이다.[4] 어업 사건에서 국제사법재판소는 노르웨이가 영해 획정에 관한 법 제도를 국제연맹 사무총장에 대한 각서, 노르웨이 최고재판소 판결, 프랑스와의 외교 문서 교환을 통해 널리 알렸으며, 영국은 이를 무시할 수 없었다고 판시했다. 따라서 영국의 장기간에 걸친 항의 부재 및 국제 공동체의 일반적 용인을 근거로 노르웨이는 해당 자국 법 제도를 영국에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2. 4. 약속
약속은 자국이 장래의 자국 행동에 대해 구속될 의사를 표명하는 행위이다. 국제사법재판소는 1974년 핵실험 사건에서, 자국이 구속될 명확한 의사가 공공연하게 표명된 경우 그 선언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구속력을 갖는다고 판시했다. 1974년 6월 8일 프랑스 대통령 부의 성명, 1974년 6월 10일 웰링턴 주재 프랑스 대사관의 뉴질랜드 외무성 앞 서한(la France sera en mesure de passer au stade des tirs souterrains...|프랑스는 지하 핵실험 단계로 이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될 것이다프랑스어), 1974년 7월 25일 프랑스 대통령의 기자 회견 선언, 1974년 9월 25일 프랑스 외무장관의 유엔 총회 연설 등 일련의 대기권 핵실험 중지 표명은 프랑스 자신을 구속하며, 이로써 호주 및 뉴질랜드의 청구 목적은 상실되었다고 판시했다.[4] 이에 대해 프랑스가 단지 대기권 핵실험에서 지하 핵실험으로 옮겨가는 정책을 말했을 뿐이라는 비판도 있다.[4]2. 5. 포기
자국이 보유하는 법적 권리를 더 이상 행사하지 않도록 버리는 행위를 말한다. 1986년 국제사법재판소의 니카라과에서의 군사적, 준군사적 행동 사건 이후, 니카라과 정부와 미국 정부는 화해했고, 니카라과는 문서로 "니카라과 정부는 관련 사건을 기초로 한 향후 모든 소송의 권리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4]。3. 국제법위원회의 법전화 작업
국제법위원회(ILC)는 1996년부터 국가의 일방적 행위에 관한 관습법 법전화 작업을 진행했으나, '일방적 행위' 정의 자체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2006년에 '법적 의무를 창설할 수 있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에 적용되는 지도 원칙'을 작성하는 데 그쳤다.[5]
3. 1. 지도 원칙
국제법위원회(ILC)는 1996년부터 "국가의 일방적 행위"에 관한 관습법 법전화 작업을 진행했지만, "일방적 행위" 정의 자체에 대한 일치된 견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2006년에 "지도 원칙"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데 그쳤다. 이 지도 원칙은 "'''법적 의무를 창설할 수 있는 국가의 일방적 선언에 적용되는 지도 원칙'''"이다.[5]첫 번째 원칙은 "공개적으로 구속될 의사를 표명하는 선언은 법적 의무를 창설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 행위를 위한 조건이 충족될 때, 그러한 선언의 구속력은 신의성실에 기초한다. 관계국은 그러므로 그 선언을 고려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다. 그러한 국가는 그 의무가 준수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세 번째 원칙은 "그러한 선언의 법적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 그것이 행해졌을 때의 모든 사실적 상황, 그것이 일으킨 반응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규정한다.
"지도 원칙"은 이처럼 일방적 선언이 구속력을 가지는 조건으로 내용, 상황, 반응을 열거하지만, 어떻게 그것들이 실현되면 구속력을 가지는가 하는 실현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6]
4. 일방적 (국내) 조치의 대항력
국제 관계가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 국제법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국제 공서의 보호를 목적으로 긴급하게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국내 조치는 합법, 위법 여부를 떠나 정당한지 부당한지를 다툴 수밖에 없다는 견해가 있다.[7] 이러한 견해에서 제시하는 일방적 조치의 예로는 미국 통상법 슈퍼 301조 적용(현재는 미국 스스로 적용을 포기),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다국적군의 행동, 199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의한 코소보 공습, 공해에서의 일방적인 어업 제한 조치(1893년 베링 해 물개 사건) 등이 있다.[7][8]
이 학설은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막대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지금도 그 옳고 그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4. 1. 야마모토 소지 교수(전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의 견해
야마모토 소지 도호쿠 대학 명예교수(전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는 국제 관계가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 국제법의 결함(lacunae)이 발생하고, 그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국제 공서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긴급한 일방적인 국내 조치는 합법, 위법을 따질 수 없이, 정당한지 부당한지를 다툴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렇게 정당하다고 인정된 일방적인 국내 조치가 실효성(les effectivités)을 축적했을 때, 상대국에 대한 대항력(opposability)을 획득하고, 후에 형평의 원칙(실정법규 밖에 있는 형평; equity ''praeter legem'')의 작용 속에서 새로운 합의를 형성했을 경우, 실정 국제법을 보완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7]4. 2. 무라세 신야 교수(유엔 국제법위원회 위원)의 견해
무라세 신야 조치 대학 교수(유엔 국제법위원회 위원)는 야마모토 소지 교수의 이론을 보완하여, 국제법규에 결함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국제법규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동일한 이론이 적용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전에 충분한 협의를 하거나, 다른 대체 수단을 모색하는 등, 신의성실의 원칙을 다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8]4. 3. 대항력을 보유한 일방적 조치의 예
야마모토 소지도호쿠 대학 명예교수(전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와 무라세 신야조치 대학 교수(유엔 국제법위원회 위원)가 주장하는 방식으로 대항력을 보유한 일방적인 조치의 예는 다음과 같다.[7][8]5. 긴급 피난 행위
2001년 유엔 국제법 위원회(ILC)는 반세기에 걸친 노력 끝에 "국가 책임 조약 초안"을 채택했으며, 같은 해 유엔 총회는 이 초안에 주목하는 결의(A/RES/56/83)를 채택했다. 이 초안 제25조는 긴급 피난(l'état de nécessité프랑스어)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긴급 피난은 중대하고 절박한 위기로부터 어떤 불가결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일 경우, 국제 의무에 부합하지 않는 행위의 위법성을 없애주는 예외적인 상황으로 인정될 수 있다.[9]
5. 1. 국가의 불가결한 이익 및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
1996년 텍스트에서 "그 국가의 하나의 불가결한 이익"(an essential interest of the State)이었던 문구는 2001년 텍스트에서 "그 국가의"(of the State)라는 부분이 삭제되었다. 주석에 따르면, 이는 해당 국가의 불가결한 이익뿐만 아니라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the essential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9]5. 2. 국제기구의 긴급 피난 행위
2011년, 국제법위원회(ILC)의 "국제 기구의 책임 조약 초안" 제1독 완료 텍스트 제25조(긴급 피난)에서는 국제기구가 국가의 불가결한 이익 및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피난 행위를 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10]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이미 국가 간 합의 원칙을 대체하는, "인류의 사활적 이익"(les intérêts vitaux pour l'humanité프랑스어) 보호를 위한 "긴급성 원칙"(le principe d'urgence프랑스어) 또는 "필요성 원칙"(le principe de nécessité프랑스어)이 제창되기도 했다.[11]
5. 3. 긴급성 원칙 또는 필요성 원칙
2001년 유엔 국제법 위원회는 "국가 책임 조약 초안"을 채택했고, 같은 해 유엔 총회에서 이를 유의하는 결의가 이루어졌다. 이 조약 초안 제25조는 "긴급 피난"(necessity, l'état de nécessité)을 규정하고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9]:"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국제 의무에 합치하지 않는 행위의 위법성을 조각하는 이유로서, 긴급 피난은 국가에 의해 원용될 수 없다.
:(a) 그 행위가, 중대하고 절박한 위기에 대해, 어떤 불가결한 이익(an essential interest)을 보호하기 위해, 그 국가에게 유일한 수단일 것..."
여기서 "어떤 불가결한 이익"은 1996년 텍스트에서는 "그 국가의 하나의 불가결한 이익"(an essential interest of the State)이었지만, 2001년 텍스트에서는 "그 국가의"(of the State)라는 문구가 삭제되었다. 이는 그 국가의 불가결한 이익 및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the essential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9]
이러한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 보호를 위한 긴급 피난 행위(일방적 행위)는 관습법으로서 성숙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유엔 국제법 위원회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달로서 본 조항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유엔 국제법 위원회의 "국제 기구의 책임 조약 초안" 2011년 제1독 완료 텍스트 제25조(긴급 피난)에서도 국제 기구에 의한 국가의 불가결한 이익 및 국제 공동체 전체의 불가결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피난 행위가 인정되고 있다.[10]
학설에서는 국가 간의 합의 원칙을 대체하는, "인류의 사활적 이익"(les intérêts vitaux pour l'humanité)의 보호를 위한 "긴급성 원칙"(le principe d'urgence) 또는 "필요성 원칙"(le principe de nécessité)이 제창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Unilateralism (n.).
https://www.etymonli[...]
[2]
웹사이트
Confrontation, Unilateral Action, Interference in States' Internal Affairs Must Yield to Dialogue, Cooperation, Speakers Stress at Annual General Assembly Debate - World
https://reliefweb.in[...]
2022-09-24
[3]
서적
Essentia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Ninth Edition) 9th Edition
[4]
서적
Les actes juridiques unilatéraux en droit international public
L.G.D.J.
1962
[5]
간행물
Report of the Fifty-eighth Session(2006)
A/61/10
2006
[6]
논문
Travaux de la Commission du droit international (cinquante-huitième session) et de la Sixième Commission (soixante-unième session)
2006
[7]
논문
一方的国内措置の国際法形成機能
1991
[8]
논문
Perspectives from International Economic Law on Trans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1995
[9]
서적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s Articles on State Responsibility.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
간행물
Report of the Sixty-third Session(2011)
A/66/10
2011
[11]
논문
Un essai sur le caractère juridique des normes internationales, notamment dans le domaine du droit humanitaire et du droit de l'environnement terrestre
Editions Frison-Roche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