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미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미두수는 고대 점성술에서 발전한 술수로,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점술 체계이다. 당나라 시대에 시작되어 송, 명나라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으며, 사주팔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세를 분석한다. 자미두수는 12궁에 별을 배치하고, 14개의 주요 별(자미, 태양, 태음 등)과 기타 별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특성과 미래를 예측한다. 자미두수는 여래장 칙천법, 십팔비성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미래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상황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자미두수
개요
명칭자미두수
중국어 간체紫微斗数
중국어 정체紫微斗數
병음zǐwēi dǒu shù
한자 의미자미와 두를 사용하여 점치는 방법
분야명리학
역사
기원중국
창시자진희이
특징
구조12개의 궁과 108개의 별을 기반으로 함
주요 별자미성, 천부성
응용개인의 운명, 성격, 적성 등을 예측
관련 용어
명궁, 형제궁, 부부궁, 자녀궁, 재백궁, 질액궁, 천이궁, 노복궁, 관록궁, 전택궁, 복덕궁, 부모궁
주요 별자미성, 천기성, 태양성, 무곡성, 천동성, 염정성, 천부성, 태음성, 탐랑성, 거문성, 천상성, 천량성, 칠살성, 파군성
보조 별좌보성, 우필성, 문창성, 문곡성, 천괴성, 천월성, 경양성, 타라성, 화성, 영성, 지공성, 지겁성, 천공성, 해신성
기타사화성계 (화록, 화권, 화과, 화기)
관련 서적
도교 천문 역산학图解道教天文历算学·紫微斗数 (天下第一神数)
저자임경범

2. 역사

자미두수는 고대 점성술에서 발전한 새로운 술수이다. 당나라 시대 도교 신자인 여순양(呂純陽|여순양중국어)이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송나라 시대 진희이(陳希夷|진희이중국어), 명나라 시대 뤄훙셴(羅洪先|뤄훙셴중국어)에 의해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했다.[2]

사주팔자와 달리 자미두수는 순전히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자미두수 명리학 연구는 전통적으로 천문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역사적으로 재능 있는 천문학자와 점성가들은 중국 왕조 시대 황실 관료로 채용되어 황제의 점성술 차트를 제작했는데, 이는 황제의 운명이 왕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점성가들은 별을 관찰하여 유일하게 고정된 것처럼 보이는 '자미성'(紫微星|자미성중국어)을 발견했다. 자미성은 황제에 해당하는 천체이며 서양에서는 북극성으로 알려져 있다.

2. 1. 기원과 발전

자미두수는 고대 점성술에서 발전한 새로운 술수이다. 전통적으로 당나라 시대 도교 신자인 여순양(呂純陽중국어)이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송나라 시대 진희이(陳希夷중국어), 명나라 시대 뤄훙셴(羅洪先중국어)에 의해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했다.[2] 그러나 정확한 기원은 학파마다 여전히 논쟁 중이다.

자미두수는 사주팔자와 달리 순전히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사주는 전통적인 중국 절기와 관련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한다. 이 차이로 인해 두 시스템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여겨진다.

자미두수 명리학 연구는 전통적으로 천문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역사적으로 재능 있는 천문학자와 점성가들은 중국 왕조 시대 황실 관료로 채용되어 황제의 점성술 차트를 만들었다. 황제의 운명은 왕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한 궁정 점성가들은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는 데 중요했다.

점성가들은 별을 관찰하여 유일하게 고정된 것처럼 보이는 '자미성'(紫微星중국어)을 발견했다. 이는 황제에 해당하는 천체로, 서양에서는 북극성으로 알려져 있다. 자미두수에서 이 별은 물리적 근거를 가지지만, 나머지 "별"들은 시간의 순환적 흐름을 나타내며, 반드시 하늘의 물리적인 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자미두수는 출생 차트가 미래에 대한 절대적인 지침이 아니라, 세부적인 예측의 한 형태로 본다. 운명과 행운은 복잡하며, 단일 요소로 변경되지 않는다고 여긴다. 실무자들은 미래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유리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다고 믿는다. 자미두수는 "우주의 영적 역학"을 인식하여 변화 패턴을 찾고 "근본적인 진실"에 이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자미두수는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한 점술로, 생년월일시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과 운세를 점치는 명(命) 점술의 하나이다.[7] 서양 점성술의 하우스와 유사한 12궁에 별을 배치하고, 그 별의 길흉(吉凶)을 통해 점을 친다. 별의 배치는 천체의 실제 위치와는 무관하다.[8]

자미두수는 많은 '별'을 사용하며,[9] 이 '별'들은 중요도에 따라 분류된다. 중요도가 높은 '별'은 대부분 실존하는 천체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같은 이름을 가진다.

자미두수는 봉신연의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지만, 『자미두수전서』에는 그러한 연관성을 추측하게 하는 기술은 없다.

자미두수에서는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특히 중시되는 갑급(甲級)성의 대다수가 이 두 별자리에 기원을 두고 있다. 갑급성과 실제 별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자미원북두칠성남두육성중천
북극성 - 자미(甲級주성)



북두칠성 중 녹존과 문곡은 갑급이면서도 보성(輔星)이다. 자미, 탐랑, 거문, 염정, 무곡, 파군, 천부, 천량, 천기, 천동, 천상, 칠살, 태양, 태음 14성이 갑급 주성으로 불리며,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하다. 특히 '어떤'이라는 상의의 주요 부분과 길흉 판단은 갑급 주성에서 이루어진다.

북두칠성의 염정, 무곡, 파군은 죽음의 심부름꾼으로 여겨졌지만,[10] 자미두수에서도 군사 관련성이 있으며, 파군은 특히 강하다. 이는 자미두수의 별들이 실제 천체 위치와 무관하게 계산되더라도, 같은 이름의 실제 천체에 적용된 상징을 계승한다는 증거이다.

자미두수의 별들이 실제 천체의 성질을 계승한다는 현상은 태양·태음에서 더욱 현저하다. 예를 들어 태양은 새벽에 해당하는 묘궁(卯宮)에 있을 때 품위가 최상인 '''묘(廟)'''가 된다. 또한 자미두수에서 태양의 기본적인 상의는 공명정대(公明正大)하며, 이는 서양 점성술 등에서 실제 태양의 상의와 공통된다.

따라서 자미두수에서 실제 천체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자미두수의 별이 '허성(虛星)'이라는 주장은 틀렸다.

2. 2. 한국 전래와 발전

자미두수는 당나라 시대 도교 신자인 여순양(呂純陽|여순양중국어)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여겨진다. 송나라 시대에는 진희이(陳希夷|진희이중국어)에 의해, 명나라 시대에는 뤄훙셴(羅洪先|뤄훙셴중국어)에 의해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했다.[2] 그러나 정확한 기원은 여러 학파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사주팔자와 달리 자미두수는 순전히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사주는 중국 절기에 매핑되는 육십갑자를 사용하는데, 일부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두 시스템을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만든다고 믿는다.

자미두수의 일부인 명리학(命學|명학중국어) 연구는 전통적으로 천문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재능 있는 천문학자이자 점성가들은 중국 왕조 시대에 황실 관료로 채용되어 황제를 위한 점성술 차트를 제작했는데, 이는 황제의 운명이 왕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한 궁정 점성가들은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점성가들은 별들을 관찰했고, 그중 유일하게 고정된 것처럼 보이는 '자미성'(紫微星|자미성중국어)을 발견했다. 자미성은 황제에 해당하는 천체이며 서양에서는 북극성으로 알려져 있다. 자미두수에서 이 별은 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의 나머지 "별"들은 시간의 순환적인 흐름을 표현하는 것이며, 반드시 하늘의 물리적인 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 3. 현대 한국 사회의 자미두수

현대 한국 사회에서 자미두수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원본 소스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정보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자미두수는 사주팔자와 함께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점술 체계 중 하나이다. 사주팔자가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자미두수는 순전히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두 체계는 경쟁 관계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자미두수는 천문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중국 왕조 시대에는 황실에서 천문학자이자 점성가들을 관료로 채용하여 황제의 운명을 점치고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는 황제의 개인적인 운명이 왕국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한 별은 '자미성'(紫微星)으로, 황제에 해당하는 천체이며 서양에서는 북극성으로 알려져 있다. 자미두수의 다른 "별"들은 시간의 순환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반드시 실제 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미두수는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로 사용되지만, 실무자들은 이것이 절대적인 지침이 아니라 세부적인 예측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 그들은 운명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요소로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믿는다. 대신, 미래의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 활용한다.

3. 차트 구조

자미두수는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한 점술로, 주로 생년월일시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과 운세를 점치는 명(命) 점술의 하나이다.[7] 서양 점성술의 하우스와 비슷한 개념인 12궁에 달력에서 산출되는 별을 배치하고, 그 별의 길흉(吉凶)을 따져 점을 친다. 이때 별의 배치에는 천체의 실제 위치는 고려되지 않는다.[8]

자미두수에서는 많은 '별'을 사용하여 점을 치지만[9], 이 '별'들은 중요도에 따라 분류된다. 중요도가 높은 '별'의 대부분은 실존하는 천체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실제 천체와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자미두수와 봉신연의의 관련성은 『자미두수전서』에서 찾아볼 수 없다.

6길성(천괴, 천월, 좌보, 우필, 문창, 문곡)과 6살성(경양, 타라, 화성, 영성, 지공, 지겁), 그리고 여러 잡성들이 명반에 배치되어 길흉에 영향을 준다.

3. 1. 12궁

자미두수는 사주명리학과 달리 음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술수로서, 한 사람의 일생에 영향을 주는 것들을 알아볼 수 있도록 12개의 구역으로 나눈 12사항궁[13]을 사용한다. 14주성이 각각의 궁에 배치되어 운명을 추단하며, 12궁(十二宫중국어)은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다. 각 궁에 특정 별이 있으면 삶의 해당 부분에 대해 길조 또는 흉조로 간주된다.

12궁은 다음과 같다.

# 명궁 (命宮중국어)

# 형제궁 (兄弟宮중국어)

# 처궁 (夫妻宮중국어)

# 자녀궁 (子女宮중국어)

# 재백궁 (財帛宮중국어)

# 질액궁 (疾厄宮중국어)

# 천이궁 (遷移宮중국어)

# 친구궁 또는 부하궁 (交友宮중국어)

# 관록궁 (官祿宮중국어)

# 전택궁 (田宅宮중국어)

# 복덕궁 또는 업궁, 조상궁 (福德宮중국어)

# 부모궁 (父母宮중국어)

각각의 별들은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에 배당되는데, 예전부터 북두칠성은 죽음을 관장하는 별이고 남두육성은 생명을 관장하는 별이라고 표현되어 왔다. 별의 중요도에 따라 甲級星과 乙級星으로 등급을 나누기도 한다. 자미두수에서는 특히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을 중요시하며, 중시되는 갑급(甲級)성의 대다수가 이 두 별자리에 기원을 두고 있다.

3. 2. 14 주성

자미두수는 12개의 구역(12사항궁[13])에 14주성을 배치하여 운명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각각의 별들은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에 배당되며, 예로부터 북두칠성은 죽음을, 남두육성은 생명을 관장한다고 여겨졌다. 별의 중요도에 따라 갑급성과 을급성으로 나뉘는데, 14주성은 갑급성에 해당한다.

14주성은 다음과 같다.

자미원북두칠성남두육성중천



북두칠성의 녹존과 문곡은 갑급성이지만 보성(輔星)으로 분류된다. 자미, 탐랑, 거문, 염정, 무곡, 파군, 천부, 천량, 천기, 천동, 천상, 칠살, 태양, 태음의 14개 별이 갑급 주성으로 불리며,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어떤'이라는 상의(象意)의 주요 부분과 길흉 판단의 기준이 된다.

북두칠성을 본뜬 국자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염정, 무곡, 파군은 죽음의 심부름꾼으로 여겨졌으며[10], 자미두수에서도 군사와 관련이 깊고, 특히 파군은 그 경향이 강하다. 이는 자미두수에서 사용하는 별들이 실제 천체의 위치와 무관하게 달력에서 계산되더라도, 같은 이름의 실제 천체에 적용된 상징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미두수의 별들이 실제 천체의 성질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은 태양과 태음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태양은 새벽에 해당하는 묘궁(卯宮)에 있을 때 품위가 최상인 묘(廟)가 된다. 또한 자미두수에서 태양이 갖는 기본적인 상징은 공명정대(公明正大)하며, 이는 서양 점성술 등에서 실제 태양의 상징과 공통된다.

따라서 자미두수에서 실제 천체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자미두수에서 사용하는 별이 '허성(虛星)'이어서 실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3. 3. 기타 별

자미두수에서 사용되는 별들은 중요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갑급성과 을급성으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6길성(천괴, 천월, 좌보, 우필, 문창, 문곡)과 6살성(경양, 타라, 화성, 영성, 지공, 지겁) 그리고 여러 잡성들이 명반에 배치되어 길흉에 영향을 준다.[13]

다양한 학파에서는 18개에서 수십 개에 이르는 별들의 존재와 강도에 중요성을 부여하며, 이 별들 간의 상호 작용과 변환을 고려하기도 한다. 그러나 14개의 주요 별은 여러 계보에서 일관되게 사용된다.[3][4]

자미두수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갑급(甲級)성의 대다수는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에 기원을 두고 있다. 갑급성 중 일부는 실제 별과 대응된다.

구분별 이름실제 천체등급비고
자미원북극성북극성甲級주성
북두칠성탐랑(貪狼)큰곰자리 α별甲級주성
거문(巨門)큰곰자리 β별甲級주성
녹존(祿存)큰곰자리 γ별甲級
문곡(文曲)큰곰자리 δ별甲級
염정(廉貞)큰곰자리 ε별甲級주성
무곡(武曲)큰곰자리 ζ별甲級주성
파군(破軍)큰곰자리 η별甲級주성
남두육성천부(天府)궁수자리 ζ별甲級주성
천량(天梁)궁수자리 τ별甲級주성
천기(天機)궁수자리 σ별甲級주성
천동(天同)궁수자리 φ별甲級주성
천상(天相)궁수자리 λ별甲級주성
칠살(七殺)궁수자리 μ별甲級주성
중천태양태양甲級주성
태음태음甲級주성



북두칠성 중 녹존과 문곡은 등급이 낮아 갑급 보성(輔星)으로 분류된다. 자미, 탐랑, 거문, 염정, 무곡, 파군, 천부, 천량, 천기, 천동, 천상, 칠살, 태양, 태음의 14개 별은 갑급 주성으로 불리며, 자미두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어떤'이라는 상의의 주요 부분과 길흉 판단은 갑급 주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북두칠성에서 국자 손잡이를 구성하는 염정, 무곡, 파군은 죽음의 심부름꾼으로 여겨졌으며,[10] 자미두수에서도 군사와 관련이 깊고, 특히 파군은 그 경향이 강하다. 이는 자미두수에서 사용하는 별들이 실제 천체의 위치와 무관하게 달력에서 계산되더라도, 같은 이름의 실제 천체에 적용된 상징을 계승한다는 증거가 된다.

자미두수 별들이 실제 천체의 성질을 계승한다는 현상은 태양과 태음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태양은 새벽에 해당하는 묘궁(卯宮)에 있을 때 품위가 최상인 '''묘(廟)'''가 된다. 또한 자미두수에서 태양이 갖는 기본적인 상의는 공명정대(公明正大)하며, 이는 서양 점성술 등에서 실제 태양의 상의와 공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자미두수에서 실제 천체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자미두수에서 사용하는 별이 '허성(虛星)'이어서 실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4. 자미두수와 관련된 술수

자미두수는 고대 점성술에서 발전한 새로운 술수이다. 그 원형이 되는 술수에는 여래장 칙천법, 십팔비성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자미두수는 당나라 시대 도교 신자인 여순양(呂純陽|여순양중국어)이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송나라 시대 진희이(陳希夷|진희이중국어), 명나라 시대 뤄훙셴(羅洪先|나홍선중국어)을 거치며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했다.[2]

사주팔자와 달리 자미두수는 순전히 음력과 밤하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사주팔자는 육십갑자와 관련이 있는데, 일부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두 시스템을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만든다고 본다.

명리학 연구는 전통적으로 천문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역사적으로 재능 있는 천문학자이자 점성가들은 중국 왕조 시대에 황실 관료로 채용되어 황제의 점성술 차트를 만들었다. 황제의 운명은 왕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궁정 점성가들은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는 데 중요했다.

점성가들은 별을 관찰했고, 그중 유일하게 고정된 것처럼 보이는 '자미성'(紫微星|자미성중국어)을 발견했다. 이 별은 황제에 해당하는 천체로, 서양에서는 북극성으로 알려져 있다. 자미두수에서 이 별은 물리적 근거를 가지지만, 나머지 "별"들은 시간의 순환을 표현하며 반드시 하늘의 물리적인 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점술과 마찬가지로, 자미두수 실무자들은 출생 차트가 일어날 일에 대한 완벽한 지침이 아니라 세부적인 예측의 한 형태로 본다. 운명과 행운은 복잡하며, 단일 요소로 변경되기 어렵다고 여긴다. 실무자들은 미래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유리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다고 믿는다. 자미두수는 "우주의 영적 역학"을 인식하여 변화의 패턴을 찾고 "근본적인 진실"로 이끄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4. 1. 여래장 칙천법

여래장 칙천법은 자미두수의 원형에 해당하는 기예 중 하나이다. 자미두수는 14주성과 12개의 보좌살성으로 구성되는데, 여래장 칙천법에서는 14주성과 보좌살성에 따라 부처님, 보살, 명왕을 배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불, 보살, 명왕을 찾고 그에 적합한 수호석(보석) 및 기도법을 활용한다. 이렇게 수호신의 가피를 받아 영혼을 성장시키고 운명을 개척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기문둔갑을 비롯한 상수학과 함께 운용되기도 하며 남화밀교와 남화밀법에서 전승하고 있다. 밀교점성술인 수요경과는 또 다른 방식의 밀교 점성술이다.

4. 2. 십팔비성

십팔비성(十八飛星)은 당나라송나라 시대에 유행했던 고대 점성술에서 사용된 별들로, 자미두수의 원형이 되는 술수 중 하나이다. 십팔비성은 11개의 정요(正曜)와 7개의 부요(副曜)로 구성된다.

십이정요(十二正曜)는 다음과 같다.

칠부요(七副曜)는 다음과 같다.

  • 천장
  • 천이
  • 모두
  • 천인
  • 천형
  • 천요
  • 천곡


이에 더하여 사요(四曜)인 삼태, 팔좌와 용지, 봉각이 포함된다.

참조

[1] 서적 图解道教天文历算学·紫微斗数 (天下第一神数)
[2] 웹사이트 Fengshuifortunetelling.com http://www.fengshuif[...] 2007-05-22
[3] 서적 潘國森斗數教程(一):入門篇 https://books.google[...] 獨立作家-心一堂 2016-05-01
[4] 서적 中国神祕文化百科知识 https://books.google[...] 上海文化出版社
[5] 문서 北極星が紫微星と呼ばれていたのに対応して、北天における北極星周辺の区域には[[紫微垣]]の名前がある。
[6] 문서 ただし紫薇は植物である[[百日紅]]の別名である。百日紅は中国では地上の紫微垣である宮廷によく植えられた植物である。そのため百日紅に紫薇の別名がある。
[7] 문서 ただし、個々の問題について占う卜占術や、風水への応用も伝承されている。
[8] 문서 ただし太陰太陽暦の日付には月相とそれなりの対応があるので、実際の太陽と月の間の角度が反映されていると言えないことはない。
[9] 문서 100個を越える星があり、流派によって使用する星の数が異なることがある。
[10] 문서 後には北斗七星全体が死の星座とされ、さらには南斗六星が対を成す形で生の星座と見なされるようになる。
[11] 사전 명사 <민속> 사주 보는 책의 하나. 중국 송나라 진희(陳希)가 지은 것으로, 자미성과 북두칠성의 빛이나 위치로 보아 길흉을 점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출처:네이버 국어사전)
[12] 문서 진희이 선생의 이름은 박(搏)이고 자(字)는 도남(圖南)으로 안휘성(安徽省) 박주( 州) 진원(眞源)사람이었다. 송나라 열전(列傳)이 있긴 하지만 자세하지 않고 누락된 부분이 많다. 이 분은 한 평생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문을 닦았을 뿐만 아니라 더욱 易學에 정통하고 깊은 조예를 쌓은바 복희씨(伏羲氏)가 괘(卦)를 그려낸 이래로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창시자(創始者)이며 세상에서 진박역학(陳搏易學)이란 그 상수학(象數學)은 소요부(邵堯夫)에 이르러 크게 빛난 바가 크다.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좋기는 이 한 가닥에 지나지 않는데 세상에서 대합천(大合天)이란 공부법도 이에서 비롯되었으나 그 진결(眞訣)은 이미 실전(失傳)되었고, 지금 전해지고 있는 것은 가짜인 것이다. 선생은 또한 선천무극도(先天無極圖)와 태극도(太極圖)도 전했는데 현문(玄門)에서는 ‘진박도학’이라고 하였다. 이는 대대로 전해지다가 주렴계에 이르러 유학(儒學)에 인용되어서는 송나라 명리학(命理學)의 효시가 되었다.
[13] 문서 12개의 궁으로 각각 명궁 / 형제궁 / 부처궁 / 자녀궁 / 재백궁 / 질액궁 / 천이궁 / 노복궁 / 관록궁 / 전택궁 / 복덕궁 / 부모궁으로 나뉜다.
[14] 문서 동양천문학에서 말하는 하늘을 크게 3으로 나눈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으로 나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