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삼은 당나라 시인으로, 난양 출신으로 장링으로 이주했다. 744년 진사에 급제한 후 군 복무를 시작하여 고선지 장군과 봉상청의 부하로 복무했으며, 고적, 두보, 이백과 교류했다. 안사의 난 시기에 중앙 아시아 전초 기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으며, 사천성 등 지방 관직을 거쳐 768년 은퇴했다. 그의 시는 변새시로 유명하며, 작품은 《전당시》와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잠씨 - 잠팽
잠팽은 후한 초 광무제를 섬겨 형주와 남방 지역 평정에 기여한 장군으로, 공손술과의 전투 중 암살당했으나 군율과 용맹으로 이름을 떨치고 장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715년 출생 - 교황 스테파노 2세
교황 스테파노 2세는 752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롬바르드족의 위협에 맞서 프랑크 왕국의 피핀 3세와 동맹을 맺고 교황령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피핀에게 프랑크 왕으로서의 정통성을 부여했다. - 770년 사망 - 두보
두보는 당나라 시대의 시인으로, 이백과 함께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여겨지며 '시성'이라 불리고, 사회 현실 비판과 민생에 대한 연민, 안사의 난을 겪으며 전쟁의 참상과 민중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시사'라는 평가를 받는 등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70년 사망 - 아베노 나카마로
아베노 나카마로는 8세기 견당사로 당나라에 건너가 과거에 급제 후 당 현종의 총애를 받으며 관리로 활동하고 이백, 왕유 등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펼쳤으나, 귀국에 실패하고 안남 도호를 지내다 장안에서 사망한 일본인 유학생이다.
잠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잠삼 |
로마자 표기 | Cen Shen 또는 Cén Cān |
자 | 가주 (嘉州) |
로마자 표기 | Cén Jiāzhōu |
출생 | 715년 |
출생지 | 형주 강릉 |
사망 | 770년 |
사망지 | 청두 사천성 |
직업 | 시인 |
2. 생애
참심은 난양(오늘날의 허난성)의 관료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이후 장링(오늘날의 후베이성)의 지저우로 이주했다. 증조부 참문본, 백부 참창건, 삼촌 참희는 모두 재상이었고,[2] 아버지 참지는 형주 자사였다. 참심이 10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집안 형편이 어려워졌지만, 부지런히 경전과 역사책을 많이 읽으며 공부했다. 20세 때 장안으로 가 744년 진사에 합격했다.[2]
이후 고선지 장군과 봉상청의 부하로 약 10년간 군 복무를 했고, 751년경 고적, 두보와 좋은 친구가 되었으며, 이백과도 교류했다.[3] 755년부터 763년까지 안사의 난을 겪으며 당나라 제국의 중앙 아시아 전초 기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왕당파를 지지하여 768년 은퇴할 때까지 복원 과정에서 여러 지방 관직(주로 쓰촨성)을 역임했다.
초기 시는 산수시였으나, 10년 동안 북서 변경 지역에서 복무하며 겪은 혹독한 기후와 전투 경험은 후기 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4] 757년 두보 등의 추천으로 우보궐이 되었고, 759년 괵주 자사, 762년 태자중윤·전중시어사 겸 관서절도판관, 765년 가주 자사를 지냈다. 768년 벼슬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반란군에 막혀 성도에 머물렀고, 770년 그곳에서 56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그는 난양(오늘날의 허난성)의 관료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이후 장링(오늘날의 후베이성)의 지저우로 이주했다. 그의 증조부인 참문본, 백부인 참창건과 삼촌인 참희는 모두 재상이었다.[2] 그의 아버지 참지는 형주 자사였다. 참심이 10살이 되던 해에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그의 집안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다. 그 후 참심은 부지런히 경전과 역사책을 많이 읽으며 공부했다. 그는 20세 때 장안으로 이주하여 744년에 진사에 합격했다.[2]749년, 참심은 고선지 장군과 봉상청의 부하로 약 10년 동안 군 복무를 했다.[2] 약 751년에 고적, 두보와 좋은 친구가 되었다.[3] 참심의 또 다른 친구는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이백으로, 그는 "장진주(將進酒)"라는 시에서 "...늙은 스승, 참... 술을 가져오라! 잔을 결코 쉬지 말게! 당신을 위해 노래를 부르리! 당신의 귀를 기울여 주십시오!"라며 참심을 언급했다.[2]
755년부터 763년까지 안사의 난으로 중국 북부 지역은 내전, 재난, 혼란을 겪었다.[2] 이 기간 동안 참심은 당나라 제국의 중앙 아시아 전초 기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그는 왕당파를 지지하여, 768년 은퇴할 때까지 복원 과정에서 여러 지방 관직(주로 쓰촨성)에 진출했다.[2]
참심의 초기 시는 항상 산수시였지만, 그의 후기 시는 그렇지 않다.[2] 그는 약 10년 동안 북서 변경 지역에서 복무했으며, 이 지역의 혹독한 기후와 끊임없는 전투에서의 경험은 그의 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4] 천보 3년(744년) 진사 출신으로, 오랫동안 절도사의 막료로서 서역에 있었다.[2] 안록산의 난이 있었던 지덕 2년 (757년)에 숙종이 있던 봉상에 달려가 두보 등의 추천으로 우보궐이 되었고, 그 해 10월에는 숙종을 따라 장안으로 갔다.[2] 건원 2년 (759년)에 괵주의 자사가 되었고, 보응 원년 (762년)에 태자중윤·전중시어사가 되어 관서절도판관을 겸했으며, 영태 원년 (765년)에 가주의 자사가 되었다.[2] 대력 3년 (768년), 벼슬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도중에 반란군에 막혀 성도에 머물렀고, 대력 5년 (770년)에 그곳에서 56세로 사망했다.[2]
2. 2. 서역 복무와 안사의 난
749년, 참심은 약 10년 동안 군 복무를 시작하여 고선지 장군과 봉상청의 부하로 복무했다.[2] 약 751년에 참심은 고적과 두보를 만나 좋은 친구가 되었다.[3] 이들은 모두 시인이었다. 참심의 또 다른 친구는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이백이었는데, 그는 "장진주(將進酒)"라는 시를 지었고, 그 시에는 친구 참심을 언급하는 구절이 있다. "...늙은 스승, 참... 술을 가져오라! 잔을 결코 쉬지 말게! 당신을 위해 노래를 부르리! 당신의 귀를 기울여 주십시오!"참심은 755년부터 763년까지 안사의 난이 전국을 뒤흔들고 내전, 재난, 온갖 혼란이 중국 북부 지역으로 확산되던 시기를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광대한 당나라 제국의 중앙 아시아 전초 기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그는 왕당파를 지지하여, 768년 은퇴할 때까지 복원 과정에서 여러 지방 관직(주로 사천성)에 진출했다.
참심은 약 10년 동안 북서 변경 지역에서 복무했으며, 이 지역의 혹독한 기후와 끊임없는 전투에서의 경험은 그의 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4] 천보 3년(744년) 진사에 급제했다. 오랫동안 절도사의 막료로서 서역에 있었으나, 안록산의 난이 있었던 지덕 2년 (757년)에 숙종이 있던 봉상에 달려가 두보 등의 추천으로 우보궐이 되었고, 그 해 10월에는 숙종을 따라 장안으로 갔다. 건원 2년 (759년)에 괵주의 자사가 되었고, 보응 원년 (762년)에 태자중윤·전중시어사가 되어 관서절도판관을 겸했으며, 영태 원년 (765년)에 가주의 자사가 되었다.
2. 3. 안사의 난 이후의 활동과 죽음
안사의 난이 발발한 755년부터 763년까지, 참심은 혼란스러웠던 중국 북부 지역에서 내전과 재난을 겪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당나라 제국의 중앙 아시아 전초 기지에서 여러 직책을 맡으며 왕당파를 지지했고, 768년 은퇴할 때까지 복원 과정에서 여러 지방 관직(주로 사천성)에 진출했다.[4]천보 3년(744년) 진사에 합격한 후, 오랫동안 절도사의 막료로서 서역에 있었다. 안록산의 난이 일어난 지덕 2년(757년)에 숙종이 있던 봉상으로 가서 두보 등의 추천으로 우보궐이 되었다. 그해 10월 숙종을 따라 장안으로 갔다. 건원 2년(759년)에 괵주 자사가 되었고, 보응 원년(762년)에 태자중윤 겸 전중시어사가 되어 관서절도판관을 겸했다. 영태 원년(765년) 가주 자사가 되었다. 대력 3년(768년) 벼슬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도중에 반란군에 막혀 성도에 머물렀고, 대력 5년(770년)에 그곳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작품 세계
잠삼은 전장에 머문 지 10여 년 동안 비분강개하는 시를 많이 지었으며, 동시대인들은 그의 시에 대해 "식견이 맑고 멀리 내다보며, 논의가 우아하고 바르다"라고 평했다.[1] 그의 작품은 당시삼백수에 7편이 수록될 정도로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70여 수에 달하는 변새시(邊塞詩)는 잠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힌다.
잠삼 사후 30년이 지나 그의 아들 잠좌공(岑佐公)이 유문을 수집하고, 두확이 『잠가주시집(岑嘉州詩集)』 8권을 편찬했다.[1] 현존하는 403수 중 70여 수가 변새시이고, 「감구부(感旧赋)」 한 편과 「초북객문(招北客文)」 한 편이 묘비명이다.[1]
3. 1. 변새시(邊塞詩)의 대가
잠삼은 전장에 머문 지 10여 년 동안 비분강개하는 시를 많이 지었으며, 동시대인들은 그의 시에 대해 "식견이 맑고 멀리 내다보며, 논의가 우아하고 바르다"라고 평했다. 그의 시 7편은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70여 수에 달하는 변새시(邊塞詩)는 잠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힌다.다음은 잠삼의 대표적인 변새시 중 하나인 〈호가곡으로 안진경을 보내 롱서로〉의 일부이다.
호가곡(胡笳曲)으로 안진경(顔真卿)을 보내 롱서(隴西)로 |
---|
그대는 듣지 못했는가, 호가의 소리 가장 슬픈 것을 |
자줏빛 수염에 푸른 눈의 호인이 부네 |
한 곡조를 불어도 오히려 끝나지 않으니 |
누란(楼兰)의 정수(征戍) 아이들 근심에 겨워하네 |
차가운 가을 8월, 소관(蕭關)의 길 |
북풍이 불어 천산(天山)의 풀을 끊네 |
곤륜산(崑崙山) 남쪽, 달이 기울려 하네 |
호인이 달을 향해 호가를 부네 |
호가의 원망, 장차 그대를 보내네 |
태산(泰山)에서 멀리 롱산(隴山)의 구름을 바라보네 |
변방의 성에서는 밤마다 시름에 젖은 꿈을 꾸네 |
달을 향한 호가를 누가 기뻐하며 들을까 |
이 시는 변방의 풍경과 병사들의 애환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변새시의 정수를 보여준다.
3. 2. 주요 작품
잠삼의 시 7편이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었으며, 다음 시들이 포함된다.[1]- 고적 및 설거와 함께 호은사 탑에 오르다
- 서정의 풍장군을 전송하는 런닝마강의 노래
- 서정의 풍장군을 전송하는 휠타워의 노래
- 향리로 돌아가는 전서기 오를 전송하는 백설의 노래
- 좌습유 두보에게 보내는 편지
- 협률사 가지 시에 대한 조광전 초회
- 수도로 가는 사자를 만나다
그의 작품집은 전당시 198권에서 201권에 수록되어 있다.[1] 전장에 머문 지 10여 년, 그의 시는 비분강개하는 바가 있어, 동시대인들에게 "식견이 맑고 멀리 내다보며, 논의가 우아하고 바르다"라고 평을 받았다.[1] 저서로 『잠가주집(岑嘉州集)』 7권이 있다.[1] 잠삼 사후 30년이 지나 그의 아들 잠좌공(岑佐公)이 유문을 수집하고, 두확이 『잠가주시집(岑嘉州詩集)』 8권을 편찬했다.[1] 현존하는 403수 중 70여 수가 변새시(邊塞詩)이고, 「감구부(感旧赋)」 한 편과 「초북객문(招北客文)」 한 편이 묘비명이다.[1]
호가곡(胡笳曲)으로 안진경(顔真卿)을 보내 롱서(隴西)로 | |
---|---|
그대는 듣지 못했는가, 호가의 소리 가장 슬픈 것을 | |
자줏빛 수염에 푸른 눈의 호인이 부네 | |
한 곡조를 불어도 오히려 끝나지 않으니 | |
누란(楼兰)의 정수(征戍) 아이들 근심에 겨워하네 | |
차가운 가을 8월, 소관(蕭關)의 길 | |
북풍이 불어 천산(天山)의 풀을 끊네 | |
곤륜산(崑崙山) 남쪽, 달이 기울려 하네 | |
호인이 달을 향해 호가를 부네 | |
호가의 원망, 장차 그대를 보내네 | |
태산(泰山)에서 멀리 롱산(隴山)의 구름을 바라보네 | |
변방의 성에서는 밤마다 시름에 젖은 꿈을 꾸네 | |
달을 향한 호가를 누가 기뻐하며 들을까 |
참조
[1]
서적
Kanjigen entry "Cen Can" (Shinshin/Shinjin)
Gakken
2006
[2]
논문
Liu and Lo
[3]
논문
Wu
[4]
논문
Dav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