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가행 (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가행은 7세기 초 당나라를 배경으로 한 중국 만화이다. 당나라 이건성의 딸인 이장가가 현무문의 변으로 가족을 잃고 복수를 다짐하며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이장가, 돌궐의 장군 아사나준 등이 있으며, 역사적 사건과 허구를 조화롭게 엮어 여성 주인공의 성장 서사를 그린다. 2021년에는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만화 - 중국 만화
    중국 만화는 18세기 문인화에서 기원하여 서양 석판 인쇄술 도입과 함께 발전, 전쟁을 거치며 홍콩에서 산업화되었고, 1990년대 이후 정부 지원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웹툰과 웹코믹으로 발전하고 있다.
  • 중국의 만화 - 오빠를 고칠 약은 없어!
    유령의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오빠를 고칠 약은 없어!》는 고등학생 오빠 시펀과 중학생 여동생 시먀오의 일상과 성장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독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 복수를 소재로 한 만화 - 26년 (만화)
    강풀의 만화 《26년》은 5·18 민주화 운동 가해자인 '그 사람'을 암살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5·18 당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26년 후 복수를 위해 암살 작전을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고, 영화로도 제작되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개봉되었다.
  • 복수를 소재로 한 만화 - 우로보로스 (만화)
    《우로보로스 -경찰을 재판하는 것은 내게 있다-》는 칸자키 유야의 만화로, 고아 출신 두 남자가 보육원 선생님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경찰과 야쿠자가 되어 복수를 계획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15년에는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역사 만화 - 장미왕의 장례행렬
    스가노 아야미의 만화 《장미왕의 장례행렬》은 장미 전쟁을 배경으로 셰익스피어의 희곡 《헨리 6세》와 《리처드 3세》를 원안으로 하여 양성구유로 태어난 리처드 3세의 고뇌와 욕망을 그린 작품으로, 드라마 CD, TV 애니메이션, 무대 등으로 미디어 믹스화되었다.
  • 역사 만화 - 아즈미 (만화)
    아즈미는 코야마 유가 그린 만화로,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암살자로 길러진 아즈미의 이야기를 다루며, 영화, 게임, 연극으로도 제작되었고, 일본 미디어 예술제 우수상과 쇼가쿠칸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했다.
장가행 (만화)
기본 정보
제목장가행
원제長歌行
장르역사
만화
작가샤다
출판사광둥 신세기 출판사
슈에이샤
게재지만우
울트라 점프
레이블영 점프 코믹스 울트라
시작호2011년 8월호
종료호2016년 3월호
권수既刊8권(2016년4월현재)

2. 역사적 배경

작품의 배경은 7세기 초, 당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영토를 계속 확장해나가던 시기이다.[1]

당시 당나라에서는 건국 황제인 고조 이연의 뒤를 이을 후계자를 둘러싼 다툼이 치열했다. 결국 626년(무덕 9년), 고조의 둘째 아들인 이세민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이를 '현무문의 변'이라 부른다.[1] 이 사건을 통해 이세민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태종)로 즉위하게 되며, 이는 작품의 주인공 이장가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역사적 배경이 된다.[1]

2. 1. 현무문의 변 (626년)

7세기 초, 당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그 판도를 계속 확장해나가던 시대였다.

626년(무덕 9년), 당나라 건국 황제인 고조 '''이연'''의 아들들 사이에서 후계자 다툼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이연의 차남인 '''이세민'''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를 '''현무문의 변'''이라고 부른다. 이 사건 이후, 이세민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인 태종으로 즉위했으며, 이건성과 이원길의 남은 가족들을 제거하려 했다. 이 혹독한 숙청 속에서 이건성의 딸인 '''이장가'''(통칭 영녕공주)만이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소년으로 변장하여 떠돌던 이장가는 우연히 자신의 어머니가 "영녕공주"를 위해 절에서 추모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어머니와 자신의 이름이 적힌 위패를 보며 슬픔에 잠긴 장가 앞에 어린 시절 스승이었던 '''위징'''이 나타난다. 위징은 "영녕공주는 이미 죽었으니, 편안히 잠들기를 바란다"며 장가를 위로하려 했지만, 장가는 "목숨이 붙어있는 한, 숙부 이세민을 반드시 지옥으로 떨어뜨리겠다"고 선언하며 복수를 다짐한다.

복수를 결심한 장가는 우연히 만난 소년 '''두'''와 함께 고향인 장안을 떠나 북쪽의 요충지인 삭주로 향한다. 삭주는 당나라의 적대 세력인 '''돌궐'''과의 최전선에 위치하여 전쟁이 끊이지 않는 변방 지역이었다. 장가는 이곳에서 기반을 다지고 군대를 조직하여 복수를 위한 거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뛰어난 지략을 발휘하여 삭주 자사 '''공손항'''의 신뢰를 얻는 데 성공하고 자사부에 잠입한다. 또한, 돌궐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경차도위에 임명되기도 한다.

한편, 삭주 근방에는 돌궐군의 상성 장군인 '''아사나준'''이 삭주를 점령하기 위해 주둔하며 기회를 엿보고 있었고, 돌궐군을 격파한 장가에게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장가와 공손항 모르게 당나라 조정에서는 삭주와 관련하여 은밀한 계획을 꾸미고 있었다.

현무문의 변 이후 당 태종의 즉위는 고구려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 고구려당나라의 팽창 정책에 맞서 국방력을 강화했으며, 이는 훗날 나당전쟁으로 이어지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3. 주요 등장인물

7세기 초, 당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영토를 확장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626년 당 고조 이연의 후계자 자리를 둘러싼 다툼 끝에 차남 이세민(훗날 당 태종)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는 현무문의 변이 일어난다. 이 사건 이후 태종으로 즉위한 이세민은 이건성과 이원길의 일족을 제거하려 했고, 이건성의 딸인 주인공 이장가만이 간신히 살아남아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작품에는 복수를 위해 신분을 숨기고 남장한 채 살아가는 주인공 이장가를 중심으로, 그녀와 복잡한 관계로 얽히는 돌궐의 장군 아사나준, 장가를 돕는 고아 소년 두(竇)와 충직한 노신 진고, 장가의 성장을 돕거나 앞길을 막아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이장가: 본작의 주인공. 현무문의 변으로 몰락한 전 황태자 이건성의 딸로, 숙부 이세민에게 복수하기 위해 남장을 하고 활동한다.
  • 아사나준: 돌궐의 장군. 거란족 출신이지만 돌궐 대칸의 양자가 되었다. 삭주에서 장가와 얽히게 된다.
  • 두(竇): 장가의 제자가 되는 고아 소년.
  • 공손항: 삭주의 자사. 장가의 능력을 알아보고 중용하지만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진고: 공손항의 충복이었으나 그의 사후 장가를 섬기는 노인. 암살단 '안행문'을 이끌었다.
  • 미미고려: 회흘족 소녀. 장가와 우정을 쌓지만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 목금: 아사나준의 충직한 측근.
  • 라예: 수나라의 장수 출신으로 당나라에 귀순했던 노장. 장가의 아버지 이건성과 친분이 있었다.
  • 아사나사얼: 돌궐의 소칸이자 일릭 카간의 조카. 아사나준과 대립한다.
  • 수의 이건공주: 돌궐의 가돈(대칸의 아내)이자 수나라 공주. 아들 아사나사얼을 후계자로 만들려 한다.[4]


이 외에도 당나라 조정의 인물들과 돌궐, 회흘 등 다양한 세력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의 깊이를 더한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이장가 (李長歌)

본작의 주인공이다.[4] 15세 소녀로, 전 황태자 이건성의 딸이자 영녕공주다. 눈썹과 눈매가 아름다운 미모를 지녔고, 오른쪽 눈 아래에 검은 점이 특징이다. 어머니는 회흘(위구르)족 출신으로, 이 때문에 황족 자녀 중에서는 다소 낮게 여겨졌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군학과 무술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이는 무술 스승 위지경덕, 군학 스승 위징, 심지어 숙부인 이세민에게도 인정받을 정도였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깊이 간직하고 있다.

626년 발생한 현무문의 변으로 아버지 이건성과 일가족 대부분이 숙부 이세민에게 살해당하자, 혹독한 추격을 피해 홀로 살아남았다. 공적으로는 사망 처리되었으나, 생존 사실이 알려지면 이세민에게 제거될 위험이 있어 신분과 성별을 숨긴 채 남장을 하고 다닌다. 어린 시절 스승 위징으로부터 "영녕공주는 죽었으니 편히 잠들라"는 말을 듣지만, "목숨이 붙어있는 한 반드시 숙부 이세민을 지옥으로 떨어뜨리겠다"며 복수를 맹세한다.

복수를 위해 왕도 장안을 떠나 북방 요충지인 삭주로 향하던 중, 고아 소년 를 만나 제자로 삼는다. 삭주에서는 돌궐과의 최전선에서 뛰어난 지략으로 자사 공손항의 신임을 얻어 군사로 활약하며 군공을 세워 경차도위에 임명된다. 그러나 당나라 조정의 배신과 돌궐의 맹공으로 삭주는 함락 위기에 처한다. 장가는 삭주 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공손항의 목을 적장 아사나준에게 바치고 스스로 포로가 되는 길을 택한다.

돌궐군에 포로로 잡혀 북쪽으로 이동하던 중, 회흘족 소녀 미미고려를 구해주고 서로 비밀(장가가 여자라는 사실)을 공유하며 깊은 우정을 쌓는다. 또한 적장이었던 아사나준과도 점차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 하지만 돌궐 내부 권력 다툼에 휘말려 아사나준과 함께 위기에 처하고, 이 과정에서 미미고려가 자신을 배신했음을 알게 된다.

깊은 상처를 입고 쓰러진 장가는 류운관 상단의 도움으로 낙양으로 옮겨져 평온한 시간을 보낸다. 이곳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개인적인 복수를 넘어 "난세를 평정하고 모든 백성이 평온하게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진정한 길임을 깨닫는다. 이후 류운관이 습격당했을 때, 진고가 이끄는 안행문과 아사나준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다.

일행과 함께 장안에 잠시 거점을 마련한 장가는 자신의 뿌리인 어머니의 고향 회흘로 가기로 결심한다. 여행을 앞두고 아사나준과 단둘이 시간을 보내며 그에게 특별한 감정을 느끼기 시작한다. 회흘 땅에서 예상치 못하게 어머니의 일족과 재회하지만, 숙부 길리발의 계략으로 인해 정체가 드러나는 위기를 맞는다.

삭주 시절부터 앓아온 병은 돌궐에서의 고된 생활로 악화되어, 현재도 가끔 객혈을 하는 등 건강 문제를 안고 있다.

  • 성우: 주작등/신추향, 유서함(어린 시절) (2015년 중국 모션 코믹 기준)

3. 2. 아사나준 (阿史那隼)

성우: 오뢰

돌궐의 장군으로, 20세 전후이다. 전투 능력이 뛰어나고 자유분방하며 격렬한 성격을 가진 미청년으로 묘사된다. 유목 민족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적에게는 약탈이나 무저항 민간인 학살도 서슴지 않지만, 한번 인정한 상대에게는 경의를 표하고 아군에게는 자신의 위험을 무릅쓰고 정을 쏟는 모습을 보인다.

삭주군과의 싸움에서 이장가의 능력을 알아보고 흥미를 느끼며, 삭주가 항복하자 약탈과 학살을 멈추는 조건으로 장가를 자신의 군사로 영입한다. 이는 그의 실리적인 면모와 함께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을 보여준다.

돌궐의 최고 권력자인 길리대칸의 양자이지만, 실제로는 돌궐에게 정복당한 거란족 출신이다.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길리 대칸에게 충성을 다하며 후계자 다툼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는 자신의 출신 배경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능력으로 인정받고자 하며, 이는 이장가를 받아들이는 모습에서도 드러난다. 하지만 뛰어난 전공과 강력한 군사력 때문에 길리대칸의 아내인 의성공주와 대칸의 조카 아사나사얼로부터 경계와 적대를 받고 있다.

측근으로는 어릴 때부터 그를 섬겨온 목금이 있다.

3. 3. 기타 인물

; 목금(穆金)

: 성우 - 봉삼

: 아사나준의 충실한 측근 청년. 어릴 때부터 아사나준을 섬겼으며, 변덕스러운 그를 사적으로 보좌한다. 유목민족 사회에서 여성의 일로 여겨지는 잡무까지 처리하며, 첩자를 경계하는 아사나준을 위해 여성들을 가까이 두지 못하게 한다. 냉철하고 영리하며, 아사나준 휘하에 들어온 이장가의 능력은 인정하지만, 그녀가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고 생각해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는다.

; 미미고려(彌彌古麗)

: 아사나준이 삭주 공략의 포상으로 받은 회흘족 소녀. 아사나준의 명령으로 위험에 처했으나, 포로가 된 이장가에게 보호받는다. 이후 이장가의 시녀이자 비밀(이장가가 여자라는 것)을 공유하는 친구로 지낸다. 금발 벽안의 아름다운 외모를 가졌으며, 이장가는 그녀에게서 회흘족이었던 어머니의 모습을 떠올린다. 본래 회흘계 소부족 족장의 딸이었으나, 동생의 목숨과 부족의 재건을 위해 이건공주의 밀정으로 아사나준에게 보내졌다. 이장가에 대한 우정과 밀정으로서의 임무 사이에서 갈등한다.

; 아두(阿竇)

: 성우 - 마정

: 이장가의 제자가 된 12~13세 소년. 본래 고아였으나 장안의 과자 가게에서 일하다 갈 곳을 잃고, 이장가의 복수심을 알게 된 후 제자가 되었다. 이장가와 진고 밑에서 여러 가지를 배우며 성장하고 있다. 이세민에게 원한을 품고 있으며 장군이 되는 것을 꿈꾸지만, 구체적인 사연은 알려지지 않았다.

; 공손항(公孫恆)

: 성우 - 오릉운

: 중국 북방 삭주자사. 끊임없는 돌궐과의 분쟁 속에서도 백성을 위한 선정을 베풀었으나, 그의 군사력은 중앙 정부의 경계를 받았다. 남장한 이장가를 군사로 중용하여 돌궐과의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었지만, 중앙의 배신으로 위기에 처한다. 결국 삭주 백성을 지키기 위해 항복하고, 자신의 목을 적장 아사나준에게 내어주며 죽기 전 모든 것을 이장가에게 맡긴다.

; 진고(秦古)

: 성우 - 선효명

: 공손항을 섬기던 외눈의 노인. 공손항 사후 그의 유언에 따라 이장가를 섬기게 된다. 과거 환상의 암살단 '안행문(安行門)'을 이끌었으며, 돌궐의 포로가 된 이장가의 행방을 찾고 세력을 키우기 위해 안행문을 다시 조직한다.

; 사마강(司馬康)

: 성우 - 정인

: 삭주에 파견된 당나라의 행군 도독. 전투를 꺼리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인물이다. 군사력을 키운 공손항을 견제하며 중앙 정부의 뜻에 따라 항복을 종용했다. 이 과정에서 방해가 되는 이장가를 제거하려 했고, 직접 항복 사절로 돌궐 진영에 갔으나 아사나준에게 살해당했다.

; 위징(魏徵)

; 방현령(房玄齡)

; 두여회(杜如晦)

: 당 태종의 주요 신하들이다.

; 당 태종(唐太宗)

; 이건성(李建成)

: 현무문의 변과 관련된 중심 인물들이다.

; 라예(羅藝)

: '군신'으로 이름을 떨친 노장. 본래 수나라 장수였으나 당나라에 귀순하여 중국 북동부를 다스리는 연왕이 되었고, 이씨 성을 하사받아 '이예'라 칭했다. 이장가의 아버지 이건성과 가까웠으며, 이건성이 이세민에게 살해당하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도주했다. 재기를 위해 돌궐과 접촉하려다 우연히 이장가와 만나지만, 그녀의 조언에 분노하고 깊은 부상으로 인해 부하 '연운십팔기'를 이장가에게 맡기고 사망했다.

; 연운십팔기(燕雲十八騎)

: 라예의 직속 부대였던 강력한 기병대. 검은 갑옷과 검은 말을 타고 다니며, '군신', '일기당천'으로 불릴 만큼 뛰어난 실력을 지녔다. 라예의 유언에 따라 새로운 주인인 이장가에게 충성을 다한다.

; 일릭 카간(頡利可汗)

: 돌궐의 최고 지도자이다.

; 아사나사얼(阿史那社爾)

: 돌궐의 소칸(小汗)이자 일릭 카간의 조카. 아사나준과 대립 관계에 있다.

; 금슬(錦瑟)

: 아사나사얼의 측근인 한족 여성. 본래 수나라 왕가의 측근이었으나, 수나라 멸망 후 돌궐로 망명했다.

; 수의 이건공주[4]

: 돌궐의 가돈(可敦, 대칸의 아내)이자 수나라 왕가의 공주. 자신의 아들 아사나사얼을 후계자로 만들기 위해 경쟁자인 아사나준을 제거하려 한다.

; 서풍(緒風)

; 원낭(媛娘)

; 이순풍(李淳風)

; 정담진인(靜澹真人)

; 손사막(孫思邈)

; 사도랑랑(司徒郎郎)

; 호도(皓都)

성우는 2015년에 중국에서 모션 코믹화되었을 때의 성우이다.

4. 줄거리

7세기 초, 당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영토를 확장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626년(무덕 9년), 당나라 건국 황제 고조 이연의 아들들 사이에서 후계자 다툼이 벌어져, 차남 이세민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는 현무문의 변이 일어난다. 이 사건으로 황태자였던 아버지와 가족을 모두 잃은 이건성의 딸 이장가(영녕공주)는 유일하게 살아남아, 황제가 된 숙부 이세민에게 복수를 맹세한다. 남장을 하고 장안을 탈출한 장가는 북쪽 변방 요충지인 삭주로 향하며 가혹한 운명에 맞서 싸우기 시작한다.

4. 1. 장안 탈출과 삭주에서의 활약

626년(무덕 9년), 당나라 건국 황제 고조 이연의 후계자 다툼 과정에서 차남 이세민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는 현무문의 변이 일어난다. 변란 후 황제로 즉위한 이세민은 이건성과 이원길의 일족을 몰살하려 했고, 이건성의 딸인 이장가(영녕공주)만이 겨우 목숨을 건진다.

남장을 하고 도망치던 장가는 우연히 자신의 어머니가 절에서 '영녕공주'를 추모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어머니와 자신의 거짓 무덤 앞에서 슬픔에 잠긴 장가 앞에 어린 시절 스승이었던 위징이 나타나 '영녕공주는 죽었으니 편히 잠들라'고 조언하지만, 장가는 숙부 이세민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

복수를 결심한 장가는 우연히 만난 소년 와 함께 고향 장안을 떠나 북방의 요충지인 삭주로 향한다. 삭주당나라의 적대 세력인 돌궐과의 최전선으로, 장가는 이곳에서 기반을 다져 군대를 일으킬 계획을 세운다. 장가는 뛰어난 지략으로 삭주 자사 공손항의 신뢰를 얻어 그의 막료가 되고, 돌궐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경차도위라는 직책을 받는다.

한편, 삭주 인근에는 돌궐의 장군 아사나준이 군대를 이끌고 주둔하며 삭주를 공격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고, 돌궐군을 물리친 장가에게 관심을 갖게 된다.

4. 2. 돌궐에서의 포로 생활과 내분

한편, 삭주 근교에서는 돌궐군의 상성 장군인 '''아사나준'''이 삭주를 점령할 기회를 노리며 주둔하고 있었다. 아사나준은 돌궐군을 여러 차례 격파한 이장가에게 관심을 보이며, 본격적인 진격을 위한 때를 살피고 있었다. 또한, 장가와 삭주 자사 공손항이 모르는 사이에 당나라 조정에서는 삭주와 관련하여 은밀한 계획을 꾸미고 있었다.

4. 3. 낙양에서의 깨달음과 새로운 목표

(섹션 내용 작성을 위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5. 작품의 특징

"장가행"은 당나라 초기 현무문의 변이라는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이건성의 딸이라는 허구적 인물 이장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상상력을 조화롭게 결합시킨 점이 특징이다. 작품은 단순한 복수극을 넘어, 황족 내부의 권력 다툼, 당나라돌궐 간의 국가적 대립, 조정 내의 정치적 암투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의 이해관계가 얽힌 복잡하고 입체적인 갈등 구조를 보여준다. 특히, 남장을 하고 험난한 여정에 나선 여성 주인공 이장가가 시대적 제약을 극복하고 뛰어난 지략과 리더십을 발휘하며 주체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서사가 설득력 있게 그려진다. 이러한 요소들이 어우러져 독자들에게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5. 1.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조화

이 작품은 당나라 초기 역사의 중요한 사건인 현무문의 변을 주요 배경으로 삼아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허구를 조화롭게 엮어낸다.

626년(무덕 9년), 당나라의 건국 황제 이연의 후계 자리를 둘러싼 권력 다툼 끝에, 차남 이세민이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고 황위에 오른 사건, 즉 현무문의 변은 실제 역사 기록에 기반한 핵심 설정이다. 작품은 이 비극적인 역사적 사건을 이야기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러나 주인공 '이장가'는 역사적 인물인 이건성의 딸이라는 설정이지만, 실제 역사 기록에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적 인물이다. 작가는 현무문의 변에서 살아남아 숙부 이세민에게 복수를 다짐하는 '영녕공주 이장가'라는 인물을 창조하여 극적인 서사를 이끌어간다. 이처럼 "장가행"은 역사적 사실 위에 '살아남은 공주의 복수'라는 허구적 이야기를 덧입혀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작품 속에는 이세민, 이건성, 위징 등 실존했던 역사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의 현실감을 높인다. 하지만 주인공 이장가의 구체적인 행적, 예를 들어 남장을 하고 북방의 요충지 삭주로 가서 돌궐과의 전투에 참여하는 등의 내용은 작가의 상상력에 기반한 허구적 전개이다. 당시 당나라돌궐의 긴장 관계 등 시대적 상황은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사건과 인물 간의 관계는 이야기의 재미를 위해 각색되었다.

결론적으로 "장가행"은 현무문의 변이라는 실제 역사적 사건과 실존 인물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장가'라는 매력적인 허구의 인물과 그녀의 파란만장한 여정을 통해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상상력을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5. 2. 다양한 인간 군상과 갈등

작품은 7세기 초, 당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세력을 확장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야기의 중심 갈등은 626년(무덕 9년)에 발생한 현무문의 변에서 시작된다. 당시 당나라 황제 이연의 차남 이세민은 후계자 자리를 놓고 형인 황태자 이건성과 동생 이원길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한다. 이 사건 이후 태종으로 즉위한 이세민은 이건성과 이원길의 남은 가족까지 제거하려 든다.

이 비극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인물이 바로 이건성의 딸인 주인공 이장가이다. 그녀는 혹독한 추격을 피해 남장을 하고 도망치던 중, 자신의 어머니와 자신의 (거짓) 묘 앞에서 복수를 다짐한다. 어린 시절 스승이었던 위징은 그녀에게 과거를 잊고 평안히 살기를 권하지만, 장가는 숙부 이세민에 대한 복수를 포기하지 않는다.

장가는 우연히 만난 소년 와 함께 북방의 요충지인 삭주로 향한다. 삭주는 당나라와 적대 관계인 돌궐과의 최전선으로, 끊임없는 전쟁이 벌어지는 곳이다. 장가는 이곳에서 군대를 키워 복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뛰어난 지략으로 삭주 자사 공손항의 신임을 얻어 그의 막부에 들어가고, 돌궐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지위를 얻게 된다.

한편, 삭주 인근에는 돌궐의 명장 아사나준이 주둔하며 호시탐탐 삭주를 노리고 있다. 그는 장가의 활약에 주목하며 대립 구도를 형성한다. 또한, 당나라 조정 내부에서도 삭주를 둘러싼 보이지 않는 음모가 진행되고 있어, 단순한 개인의 복수극을 넘어 국가 간의 대립, 조정 내의 암투 등 복잡한 갈등 관계가 펼쳐질 것을 암시한다. 이처럼 황족 내부의 권력 다툼에서 시작된 갈등은 국경 지역의 군사적 긴장, 개인적인 복수심, 정치적 음모 등 다양한 차원으로 확장되며 여러 인물들의 이해관계가 얽히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5. 3. 여성 주인공의 성장 서사

현무문의 변으로 일가족을 잃은 황태자 이건성의 딸 이장가는 숙부인 이세민에게 복수하기 위해 자신의 신분과 여성이라는 성별을 숨기고 남장을 한 채 험난한 여정을 시작한다.[4] 이는 당대 여성에게 가해진 사회적 제약을 넘어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첫걸음이다.[4] 장가는 어린 시절부터 위징 등에게 군학과 무술을 배우며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어머니가 회흘족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았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4]

장가는 북방의 요충지인 삭주로 향하여 뛰어난 지략으로 자사 공손항의 신임을 얻고 군사(軍師)로 활약하며 돌궐과의 전투를 승리로 이끈다.[4] 남성 중심의 전쟁터에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숨긴 채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고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은 인상적이다.[4] 그러나 조정의 배신과 돌궐의 맹공으로 삭주는 위기에 처하고, 장가는 삭주 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공손항의 목을 바치고 스스로 돌궐 장수 아사나준의 포로가 되는 길을 택한다.[4]

돌궐군과 함께 북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가는 회흘족 소녀 미미고려를 구하고, 서로의 비밀(장가가 여자라는 사실)을 공유하며 깊은 우정을 쌓는다.[4] 미미고려는 병든 장가를 헌신적으로 간호하며, 장가에게는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돌아보고 인간적으로 성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4] 미미고려 역시 동생과 부족의 운명을 위해 수의 이건공주의 명을 받아 아사나준에게 보내진 밀정이라는 비밀과 장가에 대한 우정 사이에서 갈등하는 입체적인 여성 캐릭터로 그려진다.[4] 돌궐의 내부 권력 다툼에 휘말려 위기를 겪기도 하지만, 장가는 기지를 발휘하여 이를 극복해 나간다.[4]

깊은 상처를 입고 낙양으로 흘러 들어간 장가는 평온한 시간을 보내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자신의 길이 단순히 개인적인 복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난세를 평정하고 모든 백성이 평온하게 살아가는 것"에 있음을 깨닫는다.[4] 이는 복수심에 불타던 소녀에서 백성을 생각하는 지도자로 나아가는 중요한 내적 성장을 보여준다.[4] 이후 아사나준과의 관계도 변화하며 단순한 적대 관계를 넘어 복잡한 감정이 싹트기 시작하지만, 장가는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주체적인 모습을 잃지 않는다.[4]

작품에는 장가 외에도 자신의 야망을 위해 아들 아사나사얼을 내세우고 정적인 아사나준을 제거하려는 수의 이건공주[4] 등 다양한 위치와 욕망을 가진 여성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여성 서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6. 미디어 믹스

중국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2021년 방영되었다.[13] 일본에서도 2022년 방영되었다.

6. 1. 드라마 <장가행>

중국에서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드라마가 제작되어 2021년 3월 31일부터 텐센트 비디오 등에서 방영되었다.[13] 각본은 배우비(裴雨飛)가 쓰고, 주예빈(朱鋭斌)이 감독을 맡았다.[13] 드라마는 총 49부작으로, 회당 약 45분 분량이다.[13]

원작의 이야기를 충실히 따르면서도, 특히 이장가와 이락언 등 여성 캐릭터들의 주체적인 면모를 부각시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주인공 이장가 역의 디리러바와 상대역 아사륵준 역의 오뢰를 비롯하여, 이락언 역의 자오 루스 등 주요 배우들의 연기가 주목받았다.[13]

배역배우
이장가 (李長歌)디리러바
아사륵준 (阿詩勒隼)오뢰
호도 (皓都)리우 위닝[13]
이락언 (李楽嫣)자오 루스[13]
위숙옥 (魏叔玉)팡 이룬[13]



일본에서는 2022년에 WOWOW 채널을 통해 처음 방송되었다.

7. 한국어판 정보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한국어판 정보가 없습니다.)

참조

[1] 웨이보 就到這裏吧,我受夠了。 http://www.weibo.com[...]
[2] 뉴스 夏天岛变“荒岛”,员工急寻姚非拉 http://news.163.com/[...]
[3] 뉴스 漫画圈这场对撕,看来要跨年了 http://news.ifeng.co[...]
[4] 문서 中国語版(簡体字版)では「义成公主」と表記されている。「义」は「義」の簡体字であるため、「義成姫」の誤訳と考えられる。
[5] 웹사이트 長歌行/1|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6] 웹사이트 長歌行/2|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7] 웹사이트 長歌行/3|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8] 웹사이트 長歌行/4|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9] 웹사이트 長歌行/5|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10] 웹사이트 長歌行/6|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11] 웹사이트 長歌行/7|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12] 웹사이트 長歌行/8|夏達|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ウルトラ| https://books.shueis[...] 2021-08-20
[13] 웹사이트 長歌行 http://c7fan.com/asi[...]
[14] 뉴스 夏达《长歌行》震撼面世 http://news.enorth.c[...] 北方网 2011-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