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앙투안 베르디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앙투안 베르디에는 1767년 툴루즈에서 태어나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활약한 프랑스 군인이다. 1785년 군에 입대하여 스페인과의 전쟁, 이집트 원정, 유럽 전역에서 복무했으며, 피게레스 요새 점령, 피라미드 전투, 다미에타 전투 등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사단장으로 승진하고 명예의 사벨을 수여받았으며, 러시아 원정, 스페인 반도 전쟁에도 참여했다. 백일천하 기간에는 프랑스의 귀족이 되었고, 워털루 전투 이후 툴롱을 약탈로부터 보호했다. 1817년 은퇴 후, 생 루이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 철 왕관 훈장 사령관 등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혁신적인 전술로 수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이스마일 요새 함락 등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 육군 및 해군 대원수 칭호를 받았고 그의 군사 전략은 후대 러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은 프랑스의 귀족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고 프랑스 혁명 기간 라인란트 지역을 점령하는 등 활약했으나, 반역죄로 기소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 허영심과 독선적인 태도, 혁명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니더빌러 파이앙스 공장 투자는 그의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도미니크 방담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장군으로, 나폴레옹에게 인정받은 군사적 재능과 잔혹한 성격, 그리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공훈, 쿨름 전투 포로, 워털루 전투 이후의 추방 등 파란만장한 삶으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스탕달
    스탕달(마리 앙리 베유)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나폴레옹 군대 참여와 이탈리아 생활을 통해 『적과 흑』, 『파르마의 수도원』 같은 심리 묘사와 역사적 배경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20세기 이후 재평가받아 프랑스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남기기도 했다.
  • 1767년 출생 - 아누웡
    아누웡은 1804년 비엔티안의 통치자로 임명된 라오스의 왕으로, 불교 후원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참파삭 왕국을 통합했으나, 시암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라오스 민족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라오스에서는 영웅으로 기려지지만 태국에서는 반란자로 평가받는다.
  • 1767년 출생 - 앤드루 잭슨
    앤드루 잭슨은 미국의 제7대 대통령으로서, 군사적 성공을 통해 국민적 영웅이 되었고, 강력한 대통령 권한 행사, 제2 미국 은행 폐지,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추진 등 잭슨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으나 인종차별적 정책에 대한 논란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장앙투안 베르디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앙투안 베르디에 장군
장앙투안 베르디에 장군
출생일1767년 5월 2일
출생지툴루즈
사망일1839년
사망지마콘
군사 경력
소속프랑스 육군
복무 기간1785년–1817년
최종 계급장군
주요 참전 전투
훈장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툴루즈에서 태어난 베르디에는 1785년 군에 입대하여 1792년 오주로의 부관이 되었다. 1793년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워 고급부관으로, 1795년에는 준장으로 진급했다. 이후 3개 척탄병 대대를 지휘하며 이탈리아에서 메드라노 요새를 공략하고, 카스틸리오네 전투아르콜 다리 전투에 참전했다. 아르콜 다리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으나,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붕괴될 때까지 전투를 계속했다.

2. 1. 군 입대

툴루즈에서 태어난 베르디에는 1785년 2월 18일 프랑스 왕국 육군에 입대했다. 1792년 동부 피레네 군에 있던 오주로의 부관(Aide-de-camp)을 맡았다.

2. 2. 프랑스 혁명 전쟁 초기

1792년, 베르디에는 동부 피레네 군에서 오주로 장군의 부관(Aide-de-camp)으로 복무했다. 1793년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1개 라이플 대대만으로 4,000명의 스페인 병사와 80문의 대포로 수비하는 피게레스(Figueres)의 외벽 보루(Redoubt)를 공략해 고급부관(Adjutant-General)으로 승진했다.[1] 1795년 준장으로 승진해 3개 척탄병 대대의 지휘관이 되었고, 다음 해 이탈리아에서 메드라노(Medolano) 요새를 공략했다. 카스틸리오네 전투에서 여단장이 되었고, 아르콜 다리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으나,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붕괴될 때까지 전투를 계속했다.

3. 이집트 원정

베르디에는 클레베르 장군 휘하 여단을 지휘하며 이집트 원정에 참전했다. 피라미드 전투에서 승리에 기여했다. 아크레 공성전에서 적의 총검돌격에 의해 부상을 입었다. 1799년 11월 1일, 1,000명의 병력으로 다미에타에 접근했던 8,000명의 예니체리를 격파하여 사상자 2,000명, 포로 800명, 대포 10문, 군기 32개를 획득하는 큰 공을 세웠다. 클레베르는 베르디에에게 명예의 사벨(Sabre of Honour)을 수여하고 사단장으로 승진시켰다.

4. 유럽 전역

프랑스로 돌아온 베르디에는 1801년부터 1806년까지 이탈리아오스트리아 전선에서 활약했다. 1805년 전역에서 마세나 원수 휘하 이탈리아 군 사단을 지휘하던 중 아디제 강을 건너다 부상을 입었고, 이후 리보르노 사령관이 되었다. 1806년 2월, 나폴리 군으로 전속되어 레이니에의 군단 사단을 지휘했고, 캄포 테네세 전투에 참전했으며, 7월에는 코센차를 비웠다.[1]

1807년 3월, 이탈리아를 떠나 그랑 아르메에 합류했고, 5월에는 란느 휘하 예비군단 제2사단을 지휘했다. 하일스베르크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이듬해 제국의 백작과 철십자 훈장 사령관에 서임되었다.[1]

1810년 4월, 프랑스로 돌아오기 한 달 전 아레니스 데 마르 주변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

4. 1. 스페인 반도 전쟁

1808년, 베르디에는 스페인에서 로그로뇨 전투에 참가하여 승리하였고, 제1차 사라고사 공성전을 지휘했지만 바일렌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면서 공성전을 포기해야 했다.[1] 이듬해인 1809년에는 헤로나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1]

5. 러시아 원정

1812년, 베르디에는 러시아 원정에 참전하여 야부코보, 카스티치, 폴로츠크, 스볼나에서 전투를 벌였다. 그는 두 번째 폴로츠크 전투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어 프랑스로 후송되었고, 후퇴의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1]

6. 이후 활동

1813년과 1814년, 베르디에는 외젠 드 보아르네 휘하의 프랑스-이탈리아 군단을 지휘했다. 아카 전투에서 머스캣 총알에 허벅다리를 관통당하는 부상을 입었으나 부관의 도움으로 복귀했다. 1814년 2월 8일 민치오 강 전투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오스트리아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워 역습을 가해 격퇴했다.[1]

루이 18세의 제1차 왕정복고 때 베르디에는 퇴역했지만 생루이 십자가를 수여받았다. 1815년 1월 17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를 수여받았고, 나폴레옹에게 철 왕관 훈장 사령관에 서임되었다.[1]

1817년 8월 1일 조례로 다시 은퇴했으나, 1830년 과거 공적에 의해 짧은 기간 복귀했다가 곧 영구히 은퇴했다. 베르디에의 아내는 전장에서 언제나 남편과 함께 있었기 때문에 극찬받았다.[1]

6. 1. 백일천하

나폴레옹의 백일천하 동안 베르디에는 프랑스의 귀족이 되었고, 제8군사지구(마르세유) 사령관에 임명되었다.[1] 워털루 전투 이후 혼란 속에서 그는 툴롱을 약탈로부터 보호했다.[1]

7. 은퇴와 죽음

루이 18세의 제1차 왕정복고 때 베르디에는 퇴역했지만 생루이 십자가를 수여받았다. 1815년 1월 17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를 수여받았고, 나폴레옹에게 철 왕관 훈장 사령관에 서임되었다.

1817년 8월 1일 조례에 따라 베르디에는 다시 은퇴해야 했으나, 1830년 과거 공적에 의해 짧은 기간 복귀했다가 곧 영구히 은퇴했다. 전장에서 베르디에의 아내는 언제나 남편과 함께해 극찬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8. 훈장 및 영예

루이 18세의 제1차 왕정복고 때 베르디에는 퇴역했지만, 생 루이 훈장을 수여받았다. 1815년 1월 17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를 수여받았고, 나폴레옹에게 철 왕관 훈장 사령관으로 서임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