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센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센차는 부센토 강과 크라티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이탈리아의 도시이다. 브레티족의 수도였으며, 알라리크 1세의 전설적인 무덤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 시대에는 노르만, 호엔슈타우펜, 앙주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스페인 통치와 프랑스 지배를 거쳐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주요 명소로는 코센차 대성당, 호엔슈타우펜 성, 산 도메니코 교회 등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팀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센차도의 코무네 - 아만테아
아만테아는 이탈리아 코센차현에 위치한 도시로, 비잔틴 제국, 이탈로-노르만, 앙주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1638년 지진으로 파괴되었고, 로카(성), 산 베르나르디노 교회, 팔라초 델레 클라리스 등의 명소가 있으며, 음악 앙상블, 부쿠노토라는 전통 디저트, 멸치 가공 등의 문화적 특징을 가진다. - 코센차도의 코무네 - 파올라 (이탈리아)
파올라는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주 코센차현의 티레니아해 연안에 위치한 해안 도시로, 성 프란치스코의 성지로 종교적 중요성을 가지며 남부 티레니아 철도의 중요한 기차역이자 파올라-코센차 철도의 환승 지점으로서 교통의 요지이다. - 이탈리아의 도청 소재지 - 페라라
페라라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위치한 도시로, 1264년 에스테 가문의 지배 이후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이탈리아의 도청 소재지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이탈리아의 도시 - 페라라
페라라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위치한 도시로, 1264년 에스테 가문의 지배 이후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이탈리아의 도시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코센차 | |
---|---|
지리 | |
위치 | 칼라브리아 주 코센차 현 |
프라치오니 | 돈니치, 산트이폴리토, 보르고 파르테노페, 무오이오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코센차 시 |
현지 명칭 | 쿠센차 (칼라브리아어) |
별칭 | 브루치아의 아테네 |
행정 | |
국가 | 이탈리아 |
광역 자치 단체 | 칼라브리아 주 |
도 | 코센차 현 (CS) |
시장 | 프란츠 카루소 (이탈리아 사회당) |
코무네 | 린데페라리, 카스트롤리베로, 마르티라노 롬바르도, 멘디치노, 몬탈토 우푸고, 파테르노 칼라브로, 피아네 크라티, 피에트라피타, 로글리아, 산 필리, 산 루치도, 트렌타, 자파로 |
인구 | |
총 인구 | 67,563명 (2020년 12월 28일 기준) |
도시 인구 | 200,257명 |
인구 밀도 | 1,814명/km² |
거주민 | 코센티니 (이탈리아어: cosentini) |
지리 정보 | |
면적 | 37km² |
해발 고도 | 238m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앙유럽 표준시 (UTC+1) |
여름 시간대 |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 (UTC+2) |
우편 번호 | 87100 |
지역 번호 | 0984 |
성인 | 필라의 성모 |
축일 | 2월 12일 |
지진 등급 | 1등급 |
ISTAT 코드 | 078045 |
세무 코드 | D086 |
공식 웹사이트 | 코센차 시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코센차는 브루티족의 수도였으며, 헬레니즘의 이오니아 식민지의 영향에 맞서는 방어선이었다. 판도시아 전투에서는 브레티족과 루카니아족 연합군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삼촌인 에피루스의 알렉산드로스를 물리치기도 했다.[2] 아우구스투스 황제 치하에서 코센차는 로마의 포필리아 가도의 중요한 경유지가 되었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자치 도시 특권을 누렸다.[2]
코센차는 부센토와 크라티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해발 238m의 실라 산맥과 해안 산맥 사이의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슈바벤 시대의 성이 내려다보이는 구시가지는 크라티 강으로 이어진다. 현대 도시는 부센토 강 너머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거의 산으로 둘러싸인 코센차는 지중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미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
3. 역사
410년 서고트족의 왕 알라리크 1세는 로마를 약탈한 후 코센차 지역에서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부센토 강과 크라티 강의 합류 지점에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노예들이 강물의 물길을 돌려 무덤을 만들고, 알라리크 1세와 보물을 매장한 후 다시 물길을 돌렸다. 무덤의 위치를 비밀로 하기 위해 노예들은 모두 살해되었다.[12]
롬바르드족과 사라센족 간의 분쟁으로 파괴되었던 코센차는 988년경 재건되었지만, 11세기 초 다시 파괴되었다. 주민들은 주변 언덕으로 피신하여 작은 촌락("casali")을 건설했다. 11세기 전반, 노르만족의 봉건 공작령이 되었고, 코센차는 그 수도가 되었다. 호엔슈타우펜 왕조 통치 시기에는 칼라브리아 법원(Curia Generale)의 소재지가 되었으며, 프리드리히 2세는 코센차의 건설과 경제 활동을 장려하고 연례 박람회를 개최했다.
이후 코센차는 발루아-앙주 가문의 지배에 격렬하게 대항했으며, 발루아-앙주 가문과 아라곤 왕관 사이의 공방전에 휘말렸다. 1432년 앙주 왕 루이 3세는 코센차 성에 정착했고, 1434년 사망 후 대성당에 묻혔다.
1500년 코센차는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점령되었다.[1] 16세기 동안 코센차는 칼라브리아 부왕령의 수도이자 아카데미아 코센티나를 중심으로 문화적 중요성이 높아졌다.[1] 아카데미아 코센티나에는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 아우로 잔니 파라시오, 마르티라노 형제, 안토니오 세라 등이 있었다.[1]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14년) 중 1707년 나폴리 왕국의 지배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로 넘어갔다가, 1735년부터는 스페인 부르봉 가문 (시칠리아 부르봉 왕조)의 손으로 돌아갔다.[1] 프랑스 혁명기에는 1799년에 파르테노페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지만, 코센차 출신 파브리치오 루포 추기경이 이끄는 반공화파 군대에 의해 곧 점령되었다.[1]
1806년부터 1815년까지 코센차 사람들은 프랑스 지배에 맞서 싸웠으며, 잔혹한 탄압을 받았다. 이 시기 코센차는 카르보나리 비밀 결사의 요람이 되었다.[1] 1813년에는 많은 반역자들이 처형되었고,[1] 1821년과 1837년의 지역 폭동은 리소르지멘토의 신호탄이었다.[1] 1844년 3월 15일 봉기에는 반데라 형제가 가담했다가 처형되었다.[1] 1860년 주세페 가리발디 부대의 활약으로 칼라브리아는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1]
3. 1. 고대
'''코센티아'''(Κωσεντίαgrc[2])는 브루티족의 수도였으며, 이탈리아 민족이 헬레니즘의 이오니아 식민지의 영향에 맞서는 방어선이었다. 판도시아 전투가 벌어진 곳도 바로 이 지역으로, 브레티족과 루카니아족으로 구성된 작은 이탈리아 군대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삼촌인 에피루스의 알렉산드로스를 물리쳤다.[2] 수 세기 동안 코센차는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유지했다.[2] 아우구스투스 황제 치하에서 이 도시는 칼라브리아와 시칠리아를 연결하는 로마의 포필리아 가도의 중요한 경유지가 되었다.[2] 로마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자치 도시 특권을 누렸다.[2]
3. 2. 알라리크 1세의 전설적인 무덤
410년, 서고트족의 왕 알라리크 1세는 로마를 약탈하여 800년 이상 로마를 함락한 최초의 외적이 되었다. 알라리크는 로마 정복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보물을 축적했다. 역사가 요르다네스에 따르면,[3] 알라리크는 로마를 약탈한 후 군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향했으며, 코센차 지역에 이르러 사망할 때까지 순조롭게 진군했다. 정확한 사망 원인은 불분명하다. 질병으로 사망했다는 설과 적군의 공격으로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그의 군대는 코센차에 왕을 매장하여 그를 기렸다. 그의 매장지는 부센토 강과 크라티 강의 합류 지점이라고 전해진다. 노예들을 동원하여 부센토 강의 물길을 돌려 알라리크, 그의 말, 그리고 로마 정복으로 얻은 모든 보물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큰 무덤을 팠다. 무덤이 완성되자 강은 다시 원래의 물길로 돌아갔고 무덤은 물에 잠겼다. 그 후, 아무도 이 위치를 누설하지 못하도록 알라리크의 군대는 모든 노예들을 죽였다.[12]
3. 3. 중세: 노르만, 호엔슈타우펜, 앙주 시대
사라센과 롬바르드 사이의 격렬한 분쟁으로 도시는 파괴되었다가 988년경에 재건되었지만, 11세기 초에 다시 파괴되었다. 파괴를 피하려는 주민들은 도시를 떠나 주변 언덕에 피신하여 작은 촌락(여전히 "casali"라고 불림)을 건설했다.
11세기 전반에 롬바르디아 칼라브리아는 노르만족의 봉건 공작령이 되었고, 코센차가 수도가 되었다. 이 도시는 곧 로제르 기스카르의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고, 오랜 포위 끝에 다시 점령되었다. 이후 호엔슈타우펜의 통치하에 이 도시는 칼라브리아 법원(Curia Generale)의 소재지가 되었다.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이 도시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그는 건설과 경제 활동을 장려했으며, 중요한 연례 박람회를 개최했다.
이후 코센차는 성직자들의 지원을 받아 발루아-앙주 가문의 지배에 격렬하게 대항했다. 크라티스 계곡에서 봉기가 확산되는 동안, 이 도시는 발루아-앙주 가문과 아라곤 왕관 사이의 공방전에 휘말렸다. 1432년, 앙주 왕 루이 3세는 아내 사보이의 마르가레트와 함께 코센차 성에 정착했다. 그가 1434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했을 때, 그는 대성당에 묻혔다.
3. 4. 스페인 통치와 근대
1500년, 코센차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점령되었다.[1] 16세기 동안 코센차는 칼라브리아 부왕령의 수도로서 성장의 시기를 경험했으며, 아카데미아 코센티나를 중심으로 문화적 중요성도 증가했다.[1] 아카데미아 코센티나에는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 아우로 잔니 파라시오, 마르티라노 형제, 안토니오 세라 등이 있었다.[1]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14년) 중 1707년, 나폴리 왕국의 지배는 스페인에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손으로 넘어갔고, 1735년부터는 스페인 부르봉 가문 (시칠리아 부르봉 왕조)의 손으로 돌아갔다.[1] 프랑스 혁명기에는 1799년에 파르테노페아 공화국의 수립이 선언되었지만 단명으로 끝나고 파브리치오 루포 추기경이 이끄는 반공화파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1] 파브리치오 루포 추기경은 코센차 출신이었다.[1]
3. 5.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현대
1806년부터 1815년까지 코센차 사람들은 프랑스의 지배에 맞서 치열하게 싸웠다. 그 시기는 잔혹한 탄압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카르보나리 비밀 결사의 요람이 되었다.[1] 1813년에는 이 도시에서 많은 반역자들이 처형되었다.[1] 1821년과 1837년의 지역 폭동은 리소르지멘토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1] 이어서 1844년 3월 15일 봉기가 일어났고, 이는 코센차의 발로네 디 로비토에서 추종자들과 함께 처형된 반데라 형제의 "고귀한 어리석음"으로 절정에 달했다.[1] 1860년, 주세페 가리발디 부대의 빠르고 압도적으로 영웅적인 행위가 있은 지 몇 달 후, 국민 투표를 통해 칼라브리아가 새로운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음을 선포했다.[1]
4. 주요 명소
코센차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명소들이 있다.
- '''산 도메니코 교회''': 1448년에 설립된 이 교회는 중세 및 르네상스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16개의 응회암 기둥으로 이루어진 장미 창과 꽃, 성인, 문장으로 상감된 나무 현관(1614)이 특징이다. 교회 내부에는 산 필리 출신 화가 안토니오 그라나타의 작품들이 있으며, 그중에는 성 도미니크와 아녜제 다 몬테풀치아노 성인 사이의 묵주 성모를 묘사한 캔버스(18세기 후반)가 있다. 높은 제단은 다색 대리석(1767)으로 만들어졌다.
- '''코센차 대성당''': 11세기 전반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대성당은 1184년 지진으로 파괴되었다가 1222년에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재건되었다.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덮였다가 19세기 말에 원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아라곤의 이사벨라의 묘가 있으며, 루카 조르다노의 ''이마콜라타''와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기증한 ''스타우로테카''가 소장되어 있다.
- '''수녀원 (Monastero delle Vergini)''': 가에타노 아르젠토 거리에 있는 이 수녀원은 장식된 응회암으로 만들어진 정문과 나무로 조각된 안쪽 문이 특징이다. 내부에는 16세기 그림인 수태고지와 조반니 다 타란토의 ''필레리오의 성모''가 있다.
- '''조스트라 베키아 (Giostra Vecchia)''': 15세기에 르네상스 양식이 도입된 지역으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교회와 수도원이 있다. 중앙 신도석에는 1700년에 제작된 높은 나무 제단과 다니엘레 루소가 그린 "아시시의 넒은 용서"(1618년)가 있다.
- '''호엔슈타우펜 성 (Castello Svevo)''': 원래 1000년경 사라센인들이 건설한 고대 로카 브루티아의 폐허 위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1239년에 복원한 성이다. 하인리히 7세가 갇혀 살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폴리의 루이 3세와 사보이의 마가렛이 결혼한 곳이기도 하다.
- '''스피리토 산토 (Spirito Santo)''': 1507년에 아우구스티노회가 건축한 성당으로, ''산탄고스티노''라고도 불린다. 18세기의 그림들이 있으며, 반데라 형제가 총살형을 받은 ''발로네 디 로비토''로 이어진다.
- '''산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San Francesco di Paola)''': 1510년에 건립된 교회와 수도원으로, 피에트로 네그로니의 작품과 16세기 3폭 제단화가 있다.
- '''산 살바토레 (San Salvatore)''': 비잔틴-알바니아 신앙을 따르는 교구를 위한 교회로, 훌륭한 이코노스타시스가 있다.
- '''야외 박물관 (Open Air Museum)''': 코르소 마찌니에서 빌로티 광장까지 이어지는 보행자 전용 거리에 있는 야외 박물관으로, 살바도르 달리, 조르조 데 키리코, 자코모 만추 등 다양한 현대 미술가들의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4. 1. 산 도메니코 교회

1448년에 설립된 산 도메니코 교회는 중세 및 르네상스 건축 양식을 결합하고 있다.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16개의 작은 응회암 기둥으로 이루어진 장미 창이다. 나무 현관(1614)은 꽃 무늬, 성인상, 문장으로 상감되어 있다.
교회 내부에는 산 필리 출신 화가 안토니오 그라나타의 작품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오늘날 교회 제의실로 사용되는 고대 성가대석에 보존된 성 도미니크와 아녜제 다 몬테풀치아노 성인 사이의 묵주 성모를 묘사한 캔버스(18세기 후반)이다. 높은 제단은 다색 대리석(1767)으로 만들어졌다. 익랑에는 ''강하''와 ''성 빈첸초 페레리''(18세기 후반, 익명)가 있다. 제의실은 늑골 아치, 좁은 아치가 있는 이중 란셋 창, 1635년에 설치된 나무 성가대석으로 유명하다.
4. 2. 코센차 대성당
코센차의 두오모(산타 마리아 아순타 대성당)는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11세기 전반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1184년 6월 9일 지진으로 대성당이 파괴되었고, 1222년에 재건이 완료되어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헌당되었다. 18세기 전반 어느 시점에 교회는 바로크 양식의 상부 구조물로 덮여 원래 구조와 예술 작품이 파괴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정면이 신고딕 양식으로 바뀌어 특징이 완전히 바뀌었다. 19세기 말, 카밀로 소르젠테 대주교는 피산티에게 복원 작업을 맡겼고, 그는 원래의 오래된 아치와 교회의 고대 구조를 복구했다. 1940년대에 작업이 최종 완료되었다.아라곤의 이사벨라, 프랑스의 필리프 3세의 부인의 묘는 익랑에 있다. 긴 통로가 두오모를 대주교의 궁전인 팔라초 아르치베스코빌레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루카 조르다노의 ''이마콜라타''가 소장되어 있다. 또한 희귀하고 귀중한 ''스타우로테카''를 볼 수 있다. 스타우로테카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나무 조각을 담은 유물이다. 일반적으로 유물을 지키기 위해 사용되는 십자형 조리법이 있는 직사각형 및 평평한 직사각형 십자가 또는 직사각형 티를 가지고 있다. 이는 헌당 당시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두오모에 기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아랍, 비잔틴, 서양 문화 요소를 혼합한 문화 환경에서 "티라즈"로 더 잘 알려진 왕실 금세공인의 작업장에서 제작되었다.
4. 3. 수녀원 (Monastero delle Vergini)
"수녀원"은 가에타노 아르젠토 거리에 있다. 정문 바깥 부분은 장식된 응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안쪽 부분은 나무로 조각되어 있다. 수녀원에는 16세기 그림인 수태고지가 있다. 그 앞에는 13세기 작품으로, 조반니 다 타란토의 작품으로 알려진 ''필레리오의 성모''가 있으며, 벽에는 다음 4점의 16세기 익명 화가의 그림이 더 있다. 마리아의 방문, 할례, 목자들의 경배, 동방 박사들의 경배. 앱스에는 제단화 ''성모 승천''(1570)이 있다. 코니스에는 ''성모 대관''을 묘사한 그림이 있으며, 두 기둥의 기저부에는 "몬테칼바리오의 거장" 미켈레 쿠리아의 작품으로 알려진 두 명의 신원 미상 성인 그림이 있다. 나무 합창대는 17세기 작품이다.4. 4. 조스트라 베키아 (Giostra Vecchia)
15세기에 코센차의 팔라초 팔보(Palazzo Falvo)에서 "조스트라 베키아(Giostra Vecchia)"를 통해 르네상스가 도입되었다. 이곳에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교회와 수도원이 있다. 라틴 십자가 형태의 평면으로 중앙 신도석과 두 개의 측랑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 신도석에는 1700년에 제작된 인상적인 높은 나무 제단이 있고, 그 위에는 다니엘레 루소(Daniele Russo)가 그린 "아시시의 넒은 용서"(Perdono d’Assisi)를 묘사한 그림(1618년)이 있다. 왼쪽 측랑에는 17세기 나무 십자가, "열병의 성모"(Madonna della Febbre) 제단, 그리고 16세기에 제작된 대리석 조각상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Madonna with Child)가 있다. 사제관에는 나무로 칠해진 천장, 예수 수난 장면을 묘사한 나무 "아르마디오"(armadio, 옷장), 성인과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의 그림이 있다. 돌 아치에는 파올라의 성 프란치스코의 그림이 있으며, 벽에는 15세기 초의 프레스코화가 있다.4. 5. 호엔슈타우펜 성 (Castello Svevo)

'''카스텔로 스베보'''(Castello Svevo, "슈바벤" 또는 호엔슈타우펜 성)는 원래 1000년경 고대 로카 브루티아의 폐허 위에 사라센인들이 건설했다. 123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기존 구조에 팔각형 탑이 추가되었다. 전통에 따르면 그의 아들 하인리히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이 성에 갇혀 살았다.[1] 나폴리의 루이 3세와 사보이의 마가렛은 이 성에서 결혼했고, 1432년에 그곳에 정착했다.[1]
고대 사라센 구조의 흔적은 이제 모두 사라졌다.[1] 내부 회랑에서는 부르봉 왕가가 감옥으로 개조하기 위해 가한 공사 흔적도 볼 수 있다.[1] 입구 홀은 조각된 브래킷이 있는 아치형 아치로 덮여 있다.[1] 넓은 복도에는 앙주 가문 문장의 일부 백합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호엔슈타우펜의 갈비뼈 모양 아치에 새겨져 있다.[1]
4. 6. 스피리토 산토 (Spirito Santo)
1507년에 아우구스티노회가 건축한 ''산탄고스티노'' 성당은 ''스피리토 산토''라고도 불린다. 원래의 입구에는 고딕 문자로 된 여러 비문이 있다. 내부에는 18세기의 일련의 그림들이 있다. 더 나아가 좁은 거리는 소위 "반데라 형제 구역"인 ''발로네 디 로비토''로 이어진다. 이곳에서 1844년의 반란 애국자들이 총살형을 받았다.4. 7. 산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San Francesco di Paola)
아레넬라에는 파올라의 성 프란체스코의 교회와 수도원(1510년)이 있다. 단일 본당으로 된 내부에는 오타비오 체사레 가에타의 무덤이 있다. 오른쪽 벽에는 18세기 그림 두 점(''성가족'', ''성 프란체스코와 성 아우구스티노가 있는 성모'')이 걸려 있다. 제단에는 파올라의 성 프란체스코의 나무 조각상이 있으며, 본당 왼쪽의 다른 제단에는 성 미카엘 대천사의 나무 조각상이 있다. 피에트로 네그로니가 그린 ''영광 속에 있는 아기 예수와 성 바오로, 성 루카가 있는 성모''(1551년)가 있다. 앱스에는 크리스토포로 파페오가 제작한 16세기 3폭 제단화(''성녀 카타리나와 성 세바스티아노가 있는 영광 속의 아기 예수와 성모''를 묘사)가 있다. 제단 뒤에는 1679년 M. 도메니코 코스탄초 다 로글리아노가 제작한 나무 성가대석이 있다. 성물 보관실 벽에는 1550~1600년에 제작된 프레스코화의 잔해가 있다. 아치에는 파올라의 성인의 생애를 묘사한 파스텔화가 있다.4. 8. 산 살바토레 (San Salvatore)
산 살바토레 교회는 비잔틴-알바니아 신앙을 따르는 교구를 섬기고 있다. 교회 내부에는 나무 천장, 사도, 살바토레, 마돈나의 프레스코화와 더불어 훌륭한 이코노스타시스가 있다.4. 9. 야외 박물관 (Open Air Museum)
코센차의 현대적인 지역으로, 보행자 전용 거리인 코르소 마찌니에서 빌로티 광장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는 야외 "MAB 박물관"(Museo all'aperto Bilotti, 빌로티 야외 박물관)이 있다. 이 박물관에는 주민과 관광객을 위해 거리에 설치된 다양한 현대 미술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이 조각품들은 이탈리아계 미국인 기업가이자 미술 수집가인 카를로 빌로티가 코센차시에 기증한 것이다. 대표적인 조각품으로는 살바도르 달리의 《성 게오르기우스와 용》, 조르조 데 키리코의 《헥토르와 안드로마케》, 사샤 소스노의 "청동 조각상", 에밀리오 그레코의 《목욕하는 여인》, 자코모 만추의 《추기경》, 피에트로 콘사그라의 다양한 대리석 조각품 등이 있다.5. 문화
- 국립 미술관
- 시립 고고학 박물관
- 추모 박물관
- 빌로티 야외 박물관
- 렌다노 극장
- 모렐리 극장
- 아쿠아리오 극장
- 코센차 아카데미
- 칼라브리아 대학교
- 음악원
- 주립 기록 보관소 도서관
- 시립 도서관
- 국립 도서관
- 구립 도서관
- 어린이 도서관
- 안토니오 과라스치 재단 도서관
- 칼라브리아 재즈 센터 음반 보관소
- 신학 도서관 (세미나리오 코센티노)
- 문화 및 민족 인류학 유산 보관소
6. 스포츠
세리에 B 축구팀인 코센차 칼초가 있다. 2006년, FINA 수구 월드 리그가 개최되었다.
7. 행사
월 | 행사 |
---|---|
3월 | 산 조세페 박람회 |
7월 | 인바지오니 축제 |
10월 | 초콜릿 축제 |
10월 | 돈니치 와인 축제 |
8. 저명한 인물
- 요아키노 다 피오레 (1135년경~1202년), 첼리코 출신의 신학자
- 아울로 지아노 파라시오 (1470–1521), 인문주의자[1]
-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 (1509–1588), 철학자[2]
- 피에트로 네그로니 (1505–1565), 화가[3]
- 안토니오 세라 (1500년대 후반), 경제학자[4]
- 세르토리오 콰트로마니 (1541–1607), 철학자[5]
- 니콜로 파스콸리 (1717/18–1757), 음악가[6]
- 프란시스 파스콸리 (1743–1795), 음악가[7]
-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살피 (1759–1832), 작가[8]
- 조반니 안토니오 팔라초 (17세기), 작가[9]
- 니콜라 미사시 (1850–1923), 작가[10]
- 알폰소 렌다노 (1853–1931), 피아니스트[11]
- 알레산드로 롱고 (1864–1945), 아만테아 출신의 작곡가[12]
- 피에트로 만치니 (1876–1968), 말리토 출신의 정치인
- 파우 스토굴로 (1887–1974), 카탄차로 출신의 정치인
- 자코모 만치니 (1916-2002), 정치인
- 스테파노 로도타 (1933-2017), 정치인
- 토니 파리시 (1941-2000), 프로레슬러
- 산드라 사발리오 (1967년 출생), 천체 물리학자
- 마르코 율리아노 (1973년 출생), 축구 선수
- 마리아 페로타 (1974년 출생), 피아니스트
- 스테파노 피오레 (1975년 출생), 축구 선수
- 시모네 페로타 (1977년 출생), 잉글랜드 출신의 축구 선수
- 제나로 가투소 (1978년 출생), 코리글리아노 칼라브로 출신의 축구 선수
- 브루노리 사스 (1977년 출생), 가수
- 마리아 페루시 (1991년 출생), 모델
- 도메니코 베라르디 (1994년 출생), 카리아티 출신의 축구 선수
- 조반니 토치 (1994년 출생), 다이빙 선수
- 안토니오 푸오코 (1996년 출생), 카리아티 출신의 레이싱 드라이버
9. 자매 도시
코센차는 다음의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서적
Annuario statistico italiano 2008
[2]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6.1.5
https://www.perseus.[...]
[3]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551"
[4]
웹사이트
Valori climatici normali di temperatura e precipitazione in Italia
https://www.isprambi[...]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2024-11-26
[5]
웹사이트
Clima - Cosenza (Calabria)
https://www.climievi[...]
Climi e viaggi
2024-11-26
[6]
웹사이트
Sister Cities - City of Kenosha
http://www.kenosha.o[...]
2018-04-02
[7]
웹사이트
"Living Here | Sister Cities | City of Lansing, Michigan"
http://www.lansingmi[...]
Lansingmi.gov
2013-03-26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ityssm.o[...]
2010-08-11
[9]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Cosenz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1-11
[10]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Cosenz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1-11
[11]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8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9-06-13
[12]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5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