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 (1975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우는 1975년, 1983년, 2010년에 걸쳐 제작된 대한민국 전쟁 드라마 시리즈이다. 1975년 오리지널 드라마, 1983년 리메이크작, 2010년 한국 전쟁 60주년 기념 드라마가 KBS에서 방영되었다. 2010년 리메이크작은 반전과 평화를 주제로 다루었으며, 2014년에는 동명의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 드라마 - 전우 (1983년 드라마)
1983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전우는 김재순 극본, 강민호, 김시원 출연으로 총 56회 방영되었으며, 강민호는 1984년 KBS 우수프로그램 평가상 및 보도상 특별부문 연기상을 수상했다. - 군사 드라마 - 머나먼 쏭바강
《머나먼 쏭바강》은 1993년 SBS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로, 한국군 병사들의 베트남 전쟁 참전을 배경으로 한국군과 베트남 현지인 등 다양한 인물들의 삶과 전쟁의 고통, 복잡한 양상을 그린 작품이다. - 군사 드라마 - 머나먼 정글
《머나먼 정글》은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브라보 중대 2소대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애와 고뇌, 그리고 다양한 인물들의 갈등을 심도 있게 다루며 롤링 스톤즈의 "페인트 잇 블랙"을 오프닝 테마곡으로 사용했다. - 한국방송공사 주간단막극 - 포도대장
《포도대장》은 1981년부터 1983년까지 방영된 한국 드라마로, 다양한 사건을 다룬 여러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기정수, 김성원, 백윤식, 백일섭 등이 출연했다. - 한국방송공사 주간단막극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는 KBS에서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방영된 청소년 드라마로, 성장기 청소년들의 세계를 어른들과 함께 고민하고 가정 교육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기획되었으며, 1997년 한국방송대상 어린이청소년부문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전우 (1975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장르 | 전쟁 드라마 |
작가 | 이 상현 김 동현 |
감독 | 장 형일 주 대성 |
출연 | 라 시찬 장 항선 허 영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촬영 장소 |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50분 (매주 토요일, 일요일 KST) |
방송사 | 한국방송공사 |
첫 방송 | 1975년 6월 28일 |
마지막 방송 | 1978년 4월 8일 |
관련 작품 | 전우 (1983년 드라마) |
원제 | |
한글 | 전우 |
한자 | 戰友 |
로마자 표기 | Jeon-wu |
제작진 | |
기획 | 이동희 |
연출 | 이동희 이종하 강욱 |
극본 | 황길용 김정환 |
2. 오리지널 (1975년)
2. 1. 등장인물
라시찬은 김 소위 역을 맡았다. 주현, 강민호, 장항선, 이원종, 안대용, 윤덕용, 조재훈, 맹호림, 송석호, 서상익, 박해상, 유병한, 김해권, 김경하, 허영, 박정웅, 장학수, 임병기, 임영식, 이한승, 김태환, 김상훈, 오중훈, 황길용, 이강수, 천정우, 이현두, 안광진, 조명남, 장미자, 이종만, 이한수, 김동수, 한주영, 이명원, 송재호 등이 출연하였다.3. 1983년 리메이크
1983년 9월 1일부터 1984년 10월 23일까지 매주 목요일 20:00에 KBS에서 방송되었다. 소대장 역을 연기한 강민호는 같은 해 KBS 우수 프로그램 평가상에서 특별 연기상을 수상했다.[5] 연출은 김재순, 한정희, 정영철이 맡았고, 극본은 류종오가 집필했다. 강민호, 김시원, 김윤경, 조재훈 등이 출연했다.
3. 1. 개요
3. 2. 등장인물
- 강 상사(소대장) - 강민호
- 김시원
- 장칠군
- 김윤형
- 김천만
3. 3. 제작진
1983년 리메이크작의 감독은 정영철이다.4. 2010년 리메이크
2010년 KBS에서 한국 전쟁 6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한 KBS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이다.[6] 1975년, 1983년 작품과는 달리 반전과 평화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6] KBS 대하 드라마가 잠시 중단된 후 2010년에 해당 방송 시간에 편성되었다. 책임 프로듀서 김현일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1983년 제작된 전작 이후 약 30년 만에 제작되는 전쟁 드라마였지만, 타 방송사에서 동시간대에 방송된 『김수로』 등에 밀려 시청률은 10%대에 머물렀다.[7]
4. 1. 개요
4. 2. 등장인물
- 최수종: 본편의 주인공으로,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며 제1분대 분대장 이현준 역을 맡았다. 경험 많은 고참병으로, M1A1 기관단총을 사용하며 부하들에게 존경받는다. 일제강점기에 연인이었던 수경을 폭행하려던 일본군을 사살하고, OSS 경험을 가진 인물이다.
- 이태란: 이수경 역을 맡았다. 사회주의 운동에 공감하여 북한으로 넘어가 북한군 장교가 된다. 저격수 교육을 받고 저격총을 사용하며, 현준에 대한 마음과 임무 사이에서 갈등한다.
- 이덕화: 대한민국 육군 준장 박은 역을 맡았다. 광복군 출신으로 일본군 및 중공군과 싸웠으며, 적에게도 명장으로 평가받는다.
- 정태우: 대한민국 육군 이등병이었으나 도주 후 북한군 병사가 되는 정성일 역을 맡았다.
- 김뢰하: 대한민국 육군 하사로, 제2분대 분대장 박일권 역을 맡았다. M2 카빈을 소지하며, 전투 중 부하를 모두 잃은 후 엄격해졌다.
- 임원희: 대한민국 육군 병장 김준범 역을 맡았다. 만담가를 꿈꾸는 쾌활한 성격이다.
- 남성진: 대한민국 육군 일등병 염하진 역을 맡았다. 글을 읽고 쓸 수 없어 징병된 인물로, 결혼 3일 만에 입대했다.
- 홍경인: 대한민국 육군 일등병 양상길 역을 맡았다. 바람둥이였지만, 홀어머니를 생각하는 효자이다.
- 류상욱: 대한민국 육군 일등병 박주영 역을 맡았다. 위생병으로, 적과 아군 모두를 돕는다.
- 이승효: 대한민국 육군 일등병 정택수 역을 맡았다. 인민군에게 부모를 잃고 적개심을 가진다.
- 박상욱: 대한민국 육군 병장 백승진 역을 맡았다. 트럼펫을 소중히 여기는 트럼펫 연주자이다.
- 안용준: 대한민국 육군 이등병 김범우 역을 맡았다. 구두닦이 출신 소년병으로, 장군이 되고 싶어한다.
- 이인혜: 반북 게릴라 "부산 유격대"의 일원 정화 역을 맡았다.
- 김명수: 북한군 상사 정요택 역을 맡았다. PPS 기관단총을 소지하며, 수경을 보좌한다.
- 정희태: 북한군 중사 원철 역을 맡았다. 동생들의 전사로 복수심을 키우고 있다.
4. 3. 줄거리
1950년 10월 1일, 연합국의 지원으로 대한민국 국군은 38도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한다. 주인공인 이현준 육군 일등 상사는 평양 시가에서의 격전을 뚫고 마침내 압록강에 도달한다. 이대로 전쟁이 종결될 것으로 여겨졌지만, 압도적인 병력을 자랑하는 중공군의 참전으로 한반도는 다시 참극의 전장으로 변한다. 중공군, 북한군과의 전투 중에 신병 정성일 이등병이 적전 도주하여 북한군으로 전향하고, 대한민국 국군 장군 박은 준장을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박 장군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현준은 북한에 헤어져 살던 연인 이수경을 발견한다.개마고원의 혹한 속에서 흥남에서 한반도 남부로 철수하기 위해 국군, 연합군 장병들은 적의 포위를 뚫고 강행 돌파한다. 이듬해 봄, 해병대가 적의 보급 기지를 폭파하는 작전에서 현준 일행의 양상길 일등병이 무단이탈하여 어머니를 만나러 가지만, 어머니는 이미 사망한 후였다. 이 일로 현준 일행은 항명죄로 처형될 뻔했으나, 박 장군의 개입으로 구출되고, 해병대 대신 적지로 향하게 된다.
4. 4. 시청률
이 표는 2010년에 방영된 리메이크 버전의 시청률 정보를 나타낸다. '''파란색 숫자'''는 가장 낮은 시청률, '''빨간색 숫자'''는 가장 높은 시청률을 의미한다.회차 | Original broadcast date | TNmS 시청률 | AGB 시청률 | ||
---|---|---|---|---|---|
전국 | 서울 | ||||
1 | 2010년 6월 19일 | 16.7% | 16.4% | 16.1% | 16.1% |
2 | 2010년 6월 20일 | 16.9% | 16.1% | 15.6% | 15.0% |
3 | 2010년 6월 26일 | 17.0% | 15.8% | 17.4% | 16.9% |
4 | 2010년 6월 27일 | 15.1% | 14.0% | 14.8% | 14.2% |
5 | 2010년 7월 3일 | 12.7% | 12.1% | 12.9% | 12.1% |
6 | 2010년 7월 4일 | 14.4% | 14.0% | 13.4% | 12.9% |
7 | 2010년 7월 10일 | 13.2% | 13.1% | 12.0% | 10.5% |
8 | 2010년 7월 11일 | 15.0% | 14.3% | 14.2% | 12.8% |
9 | 2010년 7월 17일 | 13.9% | 13.6% | 13.1% | 11.5% |
10 | 2010년 7월 18일 | 15.4% | 15.6% | 13.6% | 12.7% |
11 | 2010년 7월 24일 | 14.3% | 13.2% | 13.8% | 12.7% |
12 | 2010년 7월 25일 | 15.1% | 13.8% | 14.2% | 13.3% |
13 | 2010년 7월 31일 | 13.2% | 12.6% | 12.1% | 12.0% |
14 | 2010년 8월 1일 | 14.3% | 13.9% | 14.0% | 13.7% |
15 | 2010년 8월 7일 | 14.5% | 14.2% | 13.9% | 13.4% |
16 | 2010년 8월 8일 | 16.1% | 15.1% | 16.2% | 15.6% |
17 | 2010년 8월 14일 | 15.6% | 14.7% | 14.0% | 13.2% |
18 | 2010년 8월 15일 | 17.9% | 17.2% | 16.8% | 15.5% |
19 | 2010년 8월 21일 | 14.3% | 14.0% | 12.4% | 11.0% |
20 | 2010년 8월 22일 | 16.2% | 16.0% | 14.4% | 13.4% |
평균 | 15.1% | 14.5% | 14.3% | 13.4% |
5. 2014년 뮤지컬
2014년 10월 29일, 가평군 가평문화예술회관에서 뮤지컬 《전우》가 초연되었다.[8] 이 뮤지컬은 한국 전쟁 경험자인 배우 박경두가 극본을 썼으며, 서인선이 총괄 프로듀서, 김용민이 연출을 맡았다. 박경두는 인터뷰에서 한국 전쟁 참전 16개국 중 5개국의 전적비가 가평군 내에 있어 초연 장소로 가평을 선택했다고 밝혔다.[9] 1975년판 및 1983년판에 출연한 배우들이 여러 명 출연하였다.
5. 1. 개요
5. 2. 등장인물
[10]참조
[1]
웹사이트
전우, 그리고 나시찬의 추억
https://archive.toda[...]
2008-05-05
[2]
웹사이트
KBS "제2의 라시찬 찾아 '전우' 부활"
http://www.yonhapnew[...]
2009-12-02
[3]
뉴스
[스타 그때 이런 일이]‘전우’강민호, 갑자기 쓰러져 의식불명 6일만에 세상 떠나
http://sports.donga.[...]
東亜日報|スポーツ東亜
2015-08-17
[4]
뉴스
안용준 “‘전우’, ‘반공’ 아닌 반전 드라마”
http://www.nocutnews[...]
www.nocutnews.co.kr
2010-06-21
[5]
뉴스
姜民浩특별연기상 KBS「전우」에서
http://newslibrary.n[...]
京郷新聞
1983-03-08
[6]
뉴스
<35년전 전쟁드라마 '전우' 돌아온다>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0-06-09
[7]
뉴스
KBS `전우` 16.2%로 종영…절반의 성공
http://www.dt.co.kr/[...]
経済新聞デジタルタイムズ
2010-08-23
[8]
뉴스
탤런트예술단, 가요뮤지컬 가평공연
http://www.kyeongin.[...]
京仁日報
2014-10-30
[9]
뉴스
무대 위에 울려 퍼지는 전선야곡(戰線夜曲)
http://www.sisaon.co[...]
www.sisaon.co.kr
2014-11-14
[10]
뉴스
가요뮤지컬'전우'...올드팬도 젊은 층도 열광,느슨해진 안보불감증
http://www.ejanews.c[...]
www.ejanews.co.kr
2014-11-07
[11]
뉴스
KBS TV 16일부터 「어린이프로」대폭개편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5-06-01
[12]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표 29일자 참조.
https://news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