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덕화는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2년 TBC 탤런트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영화 《진짜 진짜 잊지마》로 청춘 스타 반열에 올랐으며, 《살아남은 자의 슬픔》으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드라마 《사랑과 야망》, 《한명회》, 《제5공화국》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예능 프로그램 진행자로도 활약했다. 1996년에는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동신초등학교 동문 - 전영록
1971년 데뷔한 전영록은 1980년대에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가수로서 큰 인기를 얻었고, 영화 《돌아이》 시리즈를 통해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배우 황해와 가수 백설희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딸들 또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동신초등학교 동문 - 황원준
황원준은 1976년 입단하여 최고위전, 국수전 등 주요 기전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2003년에 9단으로 승단하고 2012년 지지옥션배에서 3연승을 기록했다.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 - 이범관 (1943년)
이범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주요 요직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제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이천오층석탑 환수 문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 - 이건희
이건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아들로, 삼성 회장으로서 혁신을 주도하여 삼성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으나, 비자금 사건과 상속세 문제 등 논란 또한 남겼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제이홉
1994년 광주에서 태어난 제이홉은 방탄소년단의 멤버이자 솔로 앨범 발매 및 롤라팔루자 헤드라이너로서 성공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가수, 래퍼, 댄서, 음악 프로듀서이다.
이덕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덕화 |
출생일 | 1952년 5월 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72년 ~ 현재 |
배우자 | 김보옥(1978년~) |
자녀 | 딸 이지현, 아들 이태희 |
학력 |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
종교 | 불교 |
직업 | |
직업 | 배우 |
활동 정보 | |
장르 |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
소속사 | 디에이와이 엔터테인먼트 |
주요 작품 | 올인 운명의 사랑 제5공화국 자이언트 |
수상 | |
수상 내역 | 대종상 남우주연상 모스크바 영화제 남우주연상 |
가족 | |
아버지 | 이예춘 |
딸 | 이지현 |
2. 학력
- 서울동신국민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졸업)
- 경희고등학교 (졸업)
-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1970학번, 졸업)
3. 경력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하고 1972년 배우로 데뷔했으며,[1] 이듬해인 1973년 제13기 TBC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했다.[42] 아버지이자 역시 배우였던 이예춘과 함께 1975년 공포 영화 ''쌍두의 검''에 출연하기도 했다.[2]
1976년에는 배우 임예진과 함께 청소년들의 꿈과 사랑을 그린 영화 ''정말 꿈이 있을까''와 ''나는 정말 미안해''에 연달아 출연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3] 이 영화들은 흥행에 성공하며 당시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4][5] 이덕화는 이전에도 1975년 영화 ''푸른 신호등''에서 임예진과 호흡을 맞춘 바 있으며, 이후 ''푸른 교실''(1976), ''내일은 웃으리''(1976), ''화가 난 사과''(1977), ''우리는 지금부터''(1977), ''첫눈''(1977), ''젊은 날의 초상 77''(1979), ''사랑의 스케치''(1988) 등 여러 작품에서 임예진과 함께 연기했다. 1988년 영화 ''아스팔트 위의 동키호테''에서는 병으로 죽어가는 아내를 지켜보는 시인 도종환 역을 맡았다.
영화계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아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세 차례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수상작은 ''추억의 이름으로''(1989), 임권택 감독의 ''개벽''(1991), ''살어리랏다''(1993)이다. 특히 ''살어리랏다''로는 1993년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도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한국 배우 최초로 주요 국제 영화제에서 연기상을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6][7][8]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87년 현대극 ''사랑과 야망''과 1994년 사극 ''한명회''로 각각 방송사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특히 사극에서 다양한 실존 인물을 연기했는데, ''한명회''(1994)의 조선 재상 한명회, ''무인시대''(2003)의 고려 무신 이의민, ''대조영''(2006)의 당나라 장군 설인귀, ''천추태후''(2009)의 고려 명장 강감찬, ''제왕의 딸 수백향''(2013)의 고구려 동명성왕,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2013)의 인조 등이 대표적이다.
2005년에는 MBC에서 방영된 정치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역을 맡았다. 이 드라마는 전두환이 군사 쿠데타로 집권하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시기를 거쳐 퇴임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9] 드라마는 방영 당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일부 시청자들은 이덕화의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독재자 이미지를 미화할 수 있다고 비판했으며, 전두환 측근들은 드라마가 역사를 왜곡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0][11][12]
같은 해 말, 이덕화는 2004년 KBS에 출연한 모든 배우 및 연예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총 3.3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13]
2010년에는 1970~80년대 한국 경제 성장기를 배경으로 한 인기 드라마 ''자이언트''에 출연했으며,[14] 2012년에는 ''샐러리맨 초한지''에서 다시 한번 장영철 작가, 배우 이범수와 호흡을 맞췄다. 이 드라마는 제약 산업을 배경으로 산업 스파이 활동과 사내 정치를 중국 초한전에 빗대어 풍자적으로 그렸다.[15] 2013년에는 JTBC 사극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 인조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그는 제작발표회에서 "인조는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물로, 자신만의 철학이 없는 꼭두각시 왕이었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왕을 연기하는 것이 더 흥미롭다"고 밝히기도 했다.[16] 2006년에는 영화 ''라디오 스타''에 우정 출연하며 10여 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했다.
연기 활동 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진행자로도 활동했으며, 한국판 ''댄싱 위드 더 스타''의 MC를 맡기도 했다.
1995년 한국영화배우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제3대 협회 이사장을 지냈다.[17] 또한 2008년 제2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을, 2009년 제3회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았다.[18][19][20][21][22] 2009년 9월에는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정치에도 잠시 몸담았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 정당인 신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새정치국민회의 남궁진 후보에게 약 1,400표 차이로 낙선했다.[23][44] (신한국당은 현재 국민의힘의 전신 중 하나이다.) 1996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신한국당 광명시 갑 지구당위원장을 지냈다. 2007년 대선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유세 활동에 참여하고, 선거 캠프의 문화예술 정책 자문역을 맡았다.[23][24]
2009년에는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예술대학에서 조재현, 최수종, 설경구, 김혜수, 안성기, 박중훈 등 동료 배우들과 함께 연기 마스터 클래스를 열었다. 이들은 강의료를 받지 않고 전액을 젊은 영화학도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기부했다. 이덕화는 "한국 영화 산업의 미래를 위해 재능 있는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싶었다"며 기부 소감을 밝혔다.[25]
다양한 분야에서 홍보대사로도 활동했다. 2011년 9월에는 농림수산식품부의 낚시 홍보대사로, 2018년 1월에는 해양경찰청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기간 | 내용 |
---|---|
1995년 | 한국영화배우협회 회장 |
1996년 2월 ~ 1997년 5월 | 신한국당 경기도 광명시 갑 지구당위원장 |
2008년 | 제2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 |
2009년 1월 | 제3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
2009년 ~ 2010년 | 제3대 한국영화배우협회 이사장 |
2009년 9월 |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 |
2011년 9월 | 농림수산식품부 낚시 홍보대사 |
2018년 1월 | 해양경찰청 홍보대사 |
4. 생애
대한민국의 배우. 1952년 5월 8일 서울특별시에서 배우 이예춘의 아들로 태어났다.[43]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재학 중이던 1972년 TBC 동양방송 1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1][42]
1970년대에는 임예진과 함께 《진짜 진짜 잊지마》를 비롯한 다수의 청춘 영화에 출연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3][4][5] 1977년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큰 부상을 입고 부친상까지 겪는 시련을 맞았으며, 이때 자신을 간호한 무용가 김보옥과 결혼했다. 약 1년 4개월 만에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
1980년대에는 배우 활동과 더불어 MBC의 《쇼 2000》,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등 인기 쇼 프로그램 MC로도 10년간 활약했다. 1987년 드라마 《사랑과 야망》의 '태수' 역으로 MBC 연기대상 대상을 수상하며 배우로서 전성기를 맞았다.
1990년대에는 영화계에서 《추억의 이름으로》(1989), 《개벽》(1991), 《살어리랏다》(1993)로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세 차례 수상했다. 특히 《살어리랏다》로는 1993년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한국 배우 최초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6][7][8] 1994년에는 KBS 대하사극 《한명회》로 KBS 연기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1995년 한국방송연기자협회 회장을 지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소속으로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남궁진 후보에게 1,447표 차이로 낙선했다.[44] 앞서 1995년 'PD 비리 사건' 관련 진정서를 청와대에 제출한 일 등으로[49] 잠시 방송 활동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50] 1997년 드라마 《이웃집 여자》로 복귀했다.[51]
복귀 이후 《여인천하》(2001), 《무인시대》(2003), 《제5공화국》(2005), 《대조영》(2006), 《자이언트》(2010) 등 다수의 드라마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특히 《제5공화국》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 역을 맡아 큰 화제를 모았으며,[9] 이 역할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10][11][12] 2004년에는 KBS 출연 배우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총 3.39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13]
2008년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영화배우협회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영화계 활동에도 참여했다. 2015년 SBS 연기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70대가 넘은 현재까지도 드라마와 예능을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으며, 딸 이지현도 배우이다.
4. 1. 초기 생애 및 연예계 데뷔 (1952~1970년대)
1952년 5월 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배우 이예춘의 아들로 태어났다.[43]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재학 중이던 1972년 TBC 동양방송 1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1][42]1975년에는 아버지 이예춘과 함께 공포 영화 ''쌍두의 검''에 출연했으며,[2] 같은 해 영화 ''푸른 신호등''에서 배우 임예진과 처음 호흡을 맞추었다. 1976년 임예진과 함께 주연을 맡은 영화 《진짜 진짜 잊지마》와 "정말정말" 시리즈 영화 ''정말 꿈이 있을까'', ''나는 정말 미안해'' 등이 연이어 흥행에 성공하면서[3] 당대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청춘 스타로 떠올랐다.[4][5] 이후에도 ''푸른 교실'' (1976), ''내일은 웃으리'' (1976), ''화가 난 사과'' (1977), ''우리는 지금부터'' (1977), ''첫눈'' (1977), ''젊은 날의 초상 77'' (1979) 등 다수의 작품에서 임예진과 함께 출연했다.
1977년 4월 7일, 동료 배우 전영록에게서 빌린 오토바이를 타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1,500바늘 이상을 꿰매는 대수술을 받았고, 14일간 의식 불명 상태에 빠지는 등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설상가상으로 이 시기에 부친상을 당하기도 했다. 당시 자신을 간호해 준 무용가 김보옥과 이후 결혼하였다. 사고로 인한 부상에서 회복한 뒤 약 1년 4개월 만에 TBC 드라마 《그리워》를 통해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
4. 2. 배우 활동 및 전성기 (1980년대~1990년대)
1981년 브라운관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음반을 취입하고, 같은 해 3월에는 MBC 생방송 《쇼 2000》의 MC를 맡으며 예능 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 프로그램은 1985년 11월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로 개편되었고, 이덕화는 1991년까지 만 10년간 진행하며 생방송 쇼 프로그램 진행의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1991년에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이덕화 MC 10주년 특집 방송'을 끝으로 MBC에서의 MC 활동을 마무리했다. 같은 해 12월 SBS TV 개국과 함께 개국 프로그램인 《쇼! 서울 서울》의 초대 MC를 맡으며 SBS와 인연을 맺었다.배우로서의 전성기는 1987년 김수현 작가의 MBC 드라마 《사랑과 야망》에 출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작품에서 거칠지만 한 여자만을 사랑하는 '태수' 역을 인상 깊게 연기하여 그 해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배우로서 전성기를 맞았다.
영화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1988년에는 병으로 죽어가는 아내를 지켜보는 남편(원작 시인 도종환) 역할을 맡은 멜로 영화 《아스팔트 위의 동키호테》에 출연했다. 이후 대종상 영화제에서 《추억의 이름으로》(1989), 동학 농민 운동을 다룬 임권택 감독의 영화 《개벽》(1991, 주인공 '해월' 역), 그리고 《살어리랏다》(1993, 망나니 '만석' 역)로 총 세 차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6][7][8] 특히 《살어리랏다》로는 1993년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도 남우주연상을 받아, 한국 배우 최초로 주요 국제 영화제에서 연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6][7][8]
1994년에는 KBS 2TV 대하사극 《한명회》에서 주인공인 조선의 재상 한명회 역을 맡아 열연하며 그 해 K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이처럼 그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넘나들며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1995년에는 동료 배우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한국방송연기자협회 회장직을 맡기도 했다.
1995년에는 소위 'PD 비리 사건'과 관련하여 일부 방송 관계자들의 비리를 지적하는 진정서를 청와대에 제출하기도 했는데,[49] 이 일 등으로 한동안 TV 출연에 어려움을 겪었다.[50] 1996년에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새정치국민회의의 남궁진 후보와 개표 막판까지 접전을 벌였으나 1,447표 차이로 아쉽게 낙선했다.[44] 이후 우여곡절 끝에 1997년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통해 안방극장에 복귀했다.[51]
4. 3. 정치 활동 및 시련 (1996년)
1995년 한국방송연기자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같은 해 'PD 비리 사건' 당시 일부 프로듀서와 방송인들의 비리를 폭로하는 진정서를 청와대에 제출했던 일로 인해 한동안 방송 출연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49][50]1996년에는 정계에 진출하여 보수 정당인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23] 그는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 후보로 나섰는데, 초등학교 동창생인 김영삼 당시 대통령의 장녀와의 인연으로 친구의 아버지를 돕기 위해 출마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에서는 국민회의 남궁진 후보와 맞붙어 개표율 90%까지 당락을 알 수 없는 치열한 접전을 벌였으나, 결국 1,447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낙선했다.[44]
이후 방송 활동 재개에 어려움을 겪다가, 우여곡절 끝에 1997년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통해 안방극장에 복귀했다.[51]
4. 4. 배우 복귀 및 현재 (1997년~현재)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새정치국민회의 남궁진 후보에게 1,447표 차이로 낙선했다.[44] 이에 앞서 1995년에는 일부 프로듀서들의 비리를 폭로하는 진정서를 청와대에 제출했던 일[49] 등으로 인해 한동안 텔레비전 출연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50]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1997년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통해 안방극장에 복귀했다.[51]복귀 이후 꾸준히 활동하며 여러 작품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된 SBS 대하사극 《여인천하》에서는 야심가 윤원형 역을 맡아 극의 긴장감을 높였고, 2003년에는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에서 고려 무신 이의민을 연기했다. 2005년에는 MBC의 정치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제5공화국의 대통령 전두환 역을 맡아 화제를 모았다. 이 드라마는 군사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으로 퇴진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렸는데,[9] 이덕화의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독재자 이미지를 미화한다는 비판과 함께,[10][11] 전두환 측근들로부터는 역사를 왜곡했다는 비난을 받는 등[12]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같은 해 말, 2004년 KBS 출연 배우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총 3.3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13]
2006년에는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에서 당나라 장수 설인귀 역을 맡아 열연했으며, 영화 《라디오 스타》에 우정 출연하며 약 10년 만에 스크린에 모습을 비췄다. 2009년에는 KBS 대하드라마 《천추태후》에서 고려의 명장 강감찬 역을 연기했다. 2010년에는 1970~80년대 한국 경제 개발기를 배경으로 한 SBS 드라마 《자이언트》에 출연하여 《대조영》의 작가 장영철과 다시 호흡을 맞췄다.[14] 2012년에는 장영철 작가의 후속작인 《샐러리맨 초한지》에서 이범수와 함께 출연하여 초한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코믹 연기를 선보였다.[15]
2013년에는 jTBC 사극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 인조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그는 제작발표회에서 인조에 대해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물로, 자신만의 철학 없이 꼭두각시 왕이었던 인물"이라고 해석하며 연기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16]
연기 활동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영역을 넓혔다. 2008년 제2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제3회 영화제 집행위원장과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을 맡았다. 또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제3대 한국영화배우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예능 프로그램 댄싱 위드 더 스타의 MC를 맡기도 했으며, 2011년에는 농림수산식품부 낚시 홍보대사, 2018년에는 해양경찰청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연도 | 내용 |
---|---|
2008년 | 제2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 |
2009년 1월 | 제3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
2009년 9월 |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 |
2009년 ~ 2011년 | 제3대 한국영화배우협회 이사장 |
2011년 9월 | 농림수산식품부 낚시 홍보대사 |
2018년 1월 | 해양경찰청 홍보대사 |
2015년에는 오랜 연기 경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SBS 연기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2020년대 이후에도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넘나들며 70대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5. 출연작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을 전공하고 1972년 배우로 데뷔했다.[1] 데뷔 초에는 아버지인 배우 이예춘과 함께 영화 《쌍두의 검》(1975)에 출연하기도 했다.[2] 1976년에는 배우 임예진과 함께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다룬 '진짜 진짜' 시리즈 영화 《진짜 진짜 미안해》, 《진짜 진짜 잊지마》 등에 출연하며 당대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3][4][5] 이후에도 두 사람은 여러 영화에서 호흡을 맞췄다.
영화계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아 《추억의 이름으로》(1989), 《개벽》(1991), 《살어리랏다》(1993)로 대종상 영화제에서 세 차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특히 1993년에는 《살어리랏다》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한국 배우 최초로 주요 국제 영화제 연기상을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6][7][8]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현대극과 사극을 넘나드는 연기를 선보였다. 1987년 MBC 드라마 《사랑과 야망》의 박태수 역과 1994년 KBS 드라마 《한명회》의 한명회 역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대상을 수상했다. 특히 《한명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사극에서 실존 인물을 연기했는데, 《무인시대》(2003)의 고려 무신 이의민, 《대조영》(2006)의 당나라 장군 설인귀, 《천추태후》(2009)의 고려 명장 강감찬,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2013)의 인조, 《옷소매 붉은 끝동》(2021)의 영조 등이 대표적이다.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제5공화국 시기 대통령이었던 전두환 역을 맡았다. 이 드라마는 군사 쿠데타를 통한 집권 과정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현대사를 다루었으며,[9] 방영 당시 이덕화의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독재자 이미지를 미화한다는 비판과 함께 전두환 측근들의 역사 왜곡 주장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10][11][12] 같은 해, 이덕화는 KBS 출연 배우 및 연예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총 3.3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13]
이후에도 1970~80년대 경제 개발기를 배경으로 한 《자이언트》(2010), 제약 산업을 배경으로 초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코미디 드라마 《샐러리맨 초한지》(2012) 등 여러 히트작에 출연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14][15]
연기 활동 외에도 여러 예능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대표적으로 한국판 《댄싱 위드 더 스타》의 시즌 1부터 3까지 MC를 맡았다.
5. 1. 드라마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1976 | TBC | 결혼행진곡 | ||
1978 | TBC | 그리워 | ||
TBC | 파도여 말하라 | 8.15 특집 | ||
1979 | TBC | 고독한 관계 | ||
1980 | TBC | 잃어버린 겨울 | ||
TBC | 아롱이 다롱이 | |||
1981 | KBS | 옛날 나 어릴적에 | 특집극 | |
MBC | 포옹 | 백기태 | ||
MBC | 사랑합시다 | |||
1982 | MBC | 미련 | 선우태준 | |
MBC | 못 잊어 | |||
MBC | 여인열전 - 서궁마마 | 광해군 | ||
1983 | MBC | 당신의 초상 | ||
MBC | 3840 유격대 | 반공드라마 | ||
MBC | 인간의 문 | 6.25 특집극 | ||
MBC | 아버지와 아들 | 인근 | ||
1984 | MBC | 사랑과 진실 | 한상운 | |
1985 | MBC | 남자의 계절 | 김준태 | |
1987 | MBC | 사랑과 야망 | 박태수 | |
1988 | MBC | 조선왕조 오백년 인현왕후 | 장희재 | |
1989 | MBC | 철새 | 임삼락 | |
MBC | 행복한 여자 | 박재섭 | ||
1990 | MBC | 사랑의 종말 | 남현필 | |
1991 | SBS | 은하수를 아시나요 | 지운 | |
MBC | 춘사 나운규 | 나운규 | 창사특집극 | |
1992 | SBS | 모래위의 욕망 | 길준 | |
1993 | SBS | 테마 시리즈 - 사랑이라 부르는 것 | ||
1994 | KBS2 | 한명회 | 한명회 | |
1995 | SBS | LA 아리랑 | 둘째 아들 | 시트콤 |
1997 | SBS | 이웃집 여자 | 이호남 | |
SBS | 약속 | 특집극 | ||
1998 | SBS | 홍길동 | 임성중 | |
SBS | 사랑해 사랑해 | 박종환 | ||
1999 | SBS | 파도 | 박두성 | 영준의 삼촌 |
KBS2 | 마법의 성 | 왕대산 | ||
2000 | SBS | 경찰특공대 | 박태형 | 프로페셔널 킬러 |
SBS | 은사시나무 | 한경택 | 창사특집극 | |
KBS1 | 약속 | 태홍 (허태흥) | ||
SBS | 여자만세 | 다영 이모부 | ||
2001 | SBS | 여인천하 | 윤원형 | |
2002 | SBS | 화투 | 두호 | 설날특집극 |
SBS | 오남매 | 김인달 | ||
2003 | SBS | 올인 | 최도환 | 정원 부 |
KBS1 | 무인시대 | 이의민 | ||
2004 | SBS | 폭풍 속으로 | 김성철 | |
KBS1 | 금쪽같은 내새끼 | 송민섭 | ||
MBC | 황태자의 첫사랑 | 최은철 | 클럽 줄라이 리조트 회장 | |
2005 | MBC | 제5공화국 | 전두환 | 11~12대 대통령 |
KBS2 | 황금사과 | 박병삼 | ||
2006 | KBS2 | 웃는 얼굴로 돌아보라 | 이덕화 | 시트콤 |
KBS1 | 대조영 | 설인귀 | ||
2008 | SBS | 애자 언니 민자 | 한범만 | |
KBS2 | 강적들 | 강민국 | 대통령 | |
KBS2 | 전설의 고향 - 기방괴담 | 김 대감 | 납량특집 | |
2009 | KBS1 | 천추태후 | 강감찬 | |
2010 | SBS | 자이언트 | 황태섭 | 만보건설 회장 |
KBS1 | 전우 | 박웅 | 육군 제13보병사단장, 6.25 특집극 | |
KBS1 | 근초고왕 | 동명성왕 | ||
2011 | SBS | 마이더스 | 김태성 | 도현 부 |
KBS2 | 스파이 명월 | 주 회장 | ||
2012 | SBS | 샐러리맨 초한지 | 진시황 | |
tvN | 21세기 가족 | 이덕화 | 시트콤 | |
MBC | 메이퀸 | 장도현 | 만악의 근원, 최종 보스 | |
2013 | SBS | 야왕 | 백창학 | |
JTBC |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 | 인조 | ||
KBS2 | 비밀 | 조한일 | ||
KBS2 | 총리와 나 | 나윤희 아버지 | 특별출연[48] | |
2014 | SBS |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 이신재 | 설날특집극[47] |
MBC | 호텔킹 | 이중구 | 최종 보스 | |
2015 | SBS | 내마음 반짝반짝 | 이진삼 | |
MBC | 빛나거나 미치거나 | 왕식렴 | ||
SBS | 하이드 지킬, 나 | 구명한 | ||
KBS2 | 착하지 않은 여자들 | 한기영 | 특별출연 (21–22화) | |
KBS2 | 장사의 신 - 객주 2015 | 신석주 | ||
2016 | MBC | 몬스터 | 황재만 | |
OCN | 38사기동대 | 왕 회장 | 특별출연 | |
2017 | SBS | 피고인 | 2460 | 특별출연 |
SBS | 수상한 파트너 | 변영희 | ||
KBS2 | 최고의 한방 | 이순태 | ||
SBS | 이판사판 | 도진명 | ||
2018 | JTBC | 으라차차 와이키키 | 이덕화 | 특별출연 (준기 아버지, 4화) |
SBS | 착한마녀전 | 오평판 | [27] | |
2019 | MBC | 슬플 때 사랑한다 | 윤형철 | 마리 아버지 |
2021~2022 | MBC | 옷소매 붉은 끝동 | 영조 | [28] |
2022 | SBS | 사내 맞선 | 강다구 | 회장[29][30] |
SBS | 천원짜리 변호사 | 백현무 | [31][32] | |
2023 | tvN | 스틸러 : 일곱 개의 조선통보 | 김영수 | [33] |
SBS | 7인의 탈출 | 방칠성 | [34] | |
2024 | SBS | 7인의 부활 | 방칠성 | |
tvN | 정년이 | 공선의 아버지 | 특별출연[35] | |
ENA | 취하는 로맨스 | 도매협회장 | 특별출연 |
이덕화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현대극과 사극을 넘나들며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다. 특히 1987년 MBC 드라마 《사랑과 야망》의 박태수 역과 1994년 KBS 드라마 《한명회》의 한명회 역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한명회》를 시작으로 그는 다수의 사극에서 실존 인물을 연기했는데, 《무인시대》(2003)의 고려 무신 이의민, 《대조영》(2006)의 당나라 장군 설인귀, 《천추태후》(2009)의 고려 명장 강감찬, 《근초고왕》(2010)의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2013)의 인조, 《옷소매 붉은 끝동》(2021)의 영조 등이 대표적이다.[16]
2005년에는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제5공화국의 대통령 전두환 역을 맡았다. 이 드라마는 전두환이 군사 쿠데타를 통해 집권하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시기를 거쳐 퇴임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9] 방영 당시 이덕화의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독재자 이미지를 미화한다는 비판과 함께, 전두환 측근들의 역사 왜곡 주장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10][11][12] 같은 해, 이덕화는 KBS 출연 배우 및 연예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입(총 3.39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13]
이후에도 《자이언트》(2010), 《샐러리맨 초한지》(2012) 등 히트 드라마에 출연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14][15] 《자이언트》는 1970~80년대 경제 개발기를 배경으로 했으며, 《샐러리맨 초한지》는 제약 산업을 배경으로 초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코미디 드라마이다. 2013년 JTBC 사극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는 인조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5. 2. 영화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을 전공하고 1972년 배우로 데뷔한 이덕화는[1] 1975년 영화 《공포의 이중인간》으로 영화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같은 해 아버지인 배우 이예춘과 함께 영화 《쌍두의 검》에 출연하기도 했다.[2] 1976년에는 당시 최고의 하이틴 스타였던 배우 임예진과 함께 청소년들의 꿈과 사랑을 그린 '진짜 진짜' 시리즈 영화 《진짜 진짜 미안해》, 《진짜 진짜 잊지마》 등에 출연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3][4][5] 이후에도 《푸른 교실》(1976), 《성난 능금》(1977), 《이 다음에 우리는》(1977), 《첫눈이 내릴 때》(1977), 《맨발의 청춘 77》(1979), 《사랑의 낙서》(1988) 등 다수의 작품에서 임예진과 호흡을 맞췄다.탄탄한 연기력을 바탕으로 그는 《추억의 이름으로》(1989), 《개벽》(1991), 《살어리랏다》(1993)로 대종상 영화제에서 세 차례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1993년에는 영화 《살어리랏다》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한국 배우 최초로 주요 국제 영화제에서 연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6][7][8]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75 | 공포의 이중인간 | 영화 데뷔작 | |
여고 졸업반 | |||
빨간 구두 | |||
1976 | 성춘향전 | 이몽룡 | |
7인의 말괄량이 | |||
성난 능금 | |||
이런 마음 처음이야 | 강지 | ||
진짜 진짜 미안해 | 강태일 | ||
진짜 진짜 잊지마 | 영수 | ||
청춘을 이야기 합시다 | |||
파란 낙엽 | 강민 | ||
푸른 교실 | |||
1977 | 너는 달 나는 해 | 승일 | |
이 다음에 우리는 | 영수 | ||
첫눈이 내릴 때 | 기철 | ||
1979 | 맨발의 청춘 | 곽두식 | |
내일 또 내일 | 규화 | ||
밤이면 내리는 비 | 황사빈 | ||
우리는 밤차를 탔읍니다 | 철 | ||
1981 | 두 아들 | [26] | |
1982 | 대학 얄개 | ||
1984 | 동반자 | ||
1987 | 거리의 악사 | 정태 | |
1988 | 접시꽃 당신 | 종환 (도종환) | |
사랑의 낙서 | 달호 | ||
1989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 박길호 | |
불의 나라 | 백찬규 | ||
추억의 이름으로 | 장태호 | 대종상 남우주연상 수상 | |
1990 | 물 위를 걷는 여자 | 재민 | |
나는 날마다 일어선다 | 장백수 | ||
1991 | 개벽 | 최시형(해월) | 대종상 남우주연상 수상 |
1992 | 휴일을 찾는 사람들 | ||
1993 | 살어리랏다 | 만석 | 대종상 남우주연상 수상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
1994 |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 우정출연 |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특별출연 | ||
1995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후 사장 | 특별출연 |
1997 | 큐 | 민욱 | |
2002 | 레슨 | 욱기 | 단편 영화 |
2006 | 라디오 스타 | 음악 축제 사회자 | 카메오[46] |
2009 | 성난능금 | ||
꾼 | |||
2011 | 써니 | 과거사진 역 | 특별출연 |
2013 | 생생활활 | 철학자 | |
2024 | 춘천대첩 72시간 | 다큐 진행 |
5. 3. 텔레비전 프로그램
wikitext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1979년~1981년 | MBC | 《토요일 토요일 밤에》 | MC | |
1981년~1985년 | MBC | 《쇼 2000》 | MC | |
1983년 | MBC | 《신년 특집 83 MBC 대축제》 | MC | |
1983년~1985년 | MBC | 《MBC 대학가요제》 | MC | |
1984년~1990년 | MBC | 《MBC 가요대제전》 | MC | |
1985년~1991년 | MBC |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 MC | |
1991년 | SBS | 《SBS 개국 축하쇼 반갑습니다 여러분 2부 3부》 | MC | |
1991년~1992년 | SBS | 《쇼 서울 서울》 | MC | |
1993년 | KBS | 《93 신인 탤런트 쇼》 | MC | |
2008년 | MBC | 《무릎팍도사》 | 게스트 | |
2010년 | MBC | 《추석특집 스토리쇼 부탁해요》 | MC | [36] |
2011년 | MBC | 《설특집 아이돌스타 7080 가수왕》 | MC | |
2011년 |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1 | MC | |
2012년 | SBS | 《런닝맨》 | 게스트 | |
2012년 |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2 | MC | |
2013년 |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3 | MC | |
2014년 | KBS2 |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전설 (게스트) | |
2015년 | SBS | 《아빠를 부탁해》 | 고정 출연 | |
2017년~현재 | 채널A | 《도시어부》 | 고정 출연 | 시즌 1~ [37] |
2017년 | JTBC | 《한끼줍쇼》 | 게스트 | |
2018년 | SBS | 《집사부일체》 | 사부 (게스트) | |
2019년 | MBC |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 게스트 | |
2019년 | 채널A | 《덕화티비》 | 출연 | |
2019년 | KBS2 | 《옥탑방의 문제아들》 | 게스트 | |
2020년 | MBN | 《나는 트로트 가수다》 | MC | |
2021년 | MBN | 《헬로트로트》 | MC | 배성재와 공동 진행[38] |
2023년 | 채널A | 《도시횟집》 | 총괄 매니저 | [39] |
2023년 | TV조선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 게스트 | |
2023년 | JTBC | 《아는 형님》 | 게스트 |
5. 4. 기타
연도 | 방송사 | 프로그램명/역할 |
---|---|---|
1978년 ~ 1979년 | TBC | 《이덕화·임예진 쇼》 진행 |
1982년 ~ 1984년 | MBC | 《여성살롱》 진행 |
2014년 | EBS FM |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낭독 |
2018년 | MBC FM4U | 《정오의 희망곡》 게스트 |
연도 | 기업 | 제품명/내용 |
---|---|---|
1976년 ~ 1977년 | 오리온 | 범벅이 사탕, 땅콩 범벅이 호박엿 사탕, 오징어 땅콩, 오리온 샌드, 알롱달롱 드롭포스, 슈퍼민트껌 등 |
1982년 ~ 1986년 | 코카콜라 | 환타, 킨 사이다 |
1987년 ~ 1989년 | 동아오츠카 | 로얄디 |
1987년 | LG전자 | 오토보이3 카메라 |
1988년 ~ 1994년 | 쌍방울 | 트라이 |
1989년 | 롯데웰푸드 | 롯데껌 (MBC 탤런트들과 함께 출연) |
1992년 | 민주자유당 | 기호 1번 김영삼 후보 지지 광고 |
1993년 | 해태제과 | 해태 썬키스트껌 |
1994년 | LG전자 | 금성 카오스 세탁기 |
1994년 ~ 1996년 | GC녹십자 | 젠 |
1995년 | LG전자 | LG 싱싱 냉장고 "육각수" |
1995년 | OB맥주 | OB라거 |
1995년 | 보루네오가구 | 보루네오가구 |
1997년 | 동국제약 | 인사돌 |
1999년 ~ 현재 | 하이모 | 하이모 |
2001년 | 교원 | 빨간펜 |
2001년 | 제일약품 | 케펜텍 (정선경과 함께 출연) |
2008년 | 기아 | 모하비 홍보영상 |
2012년 | AIG손해보험 | AIG손해보험 |
2012년 | 신도바이오 | 조인스틱 |
2014년 | 부광약품 | 부광탁스 |
2016년 | 국민안전처 | 안전한국훈련 |
2020년 | 버거킹 | 버거킹 |
2020년 | 류마스탑 | |
2020년 | 유니클로 | 유니클로 |
2023년 | 광동제약 | 맑은365 |
6.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1983 | MBC 연기대상 | MC부문 특별상 | 수상 | |
1985 | 제21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사랑과 진실 | 수상 |
1987 | 제23회 백상예술대상 | 사랑과 야망 | 수상 | |
MBC 연기대상 | 대상 | 수상 | ||
1988 | 제2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접시꽃 당신 | 수상 |
1989 | 제27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추억의 이름으로 | 수상 |
1990 | MBC 연기대상 | MC부문 특별상 | 수상 | |
1991 | 제2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 | 남우주연상 | 개벽 | 수상 |
제12회 청룡영화상 | 후보 | |||
1992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인기상 | 수상 | |
제30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수상 | ||
1993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살어리랏다 | 후보 |
제31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수상 | ||
제18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수상 | |||
제4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 | 수상 | |||
제14회 청룡영화상 | 후보 | |||
문화관광부 | 화관문화훈장 | 수상 | ||
1994 | KBS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한명회 | 후보 |
대상 | 수상 | |||
1999 | SBS 연기대상 | 시트콤부문 남자 연기상 | LA 아리랑 | 후보 |
2001 | 남자 최우수연기상 | 여인천하 | 후보 | |
2004 | KBS 연기대상 | 금쪽같은 내새끼 | 후보 | |
2005 | MBC 연기대상 | 연기자부문 특별상 | 제5공화국 | 수상 |
2006 | KBS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황금사과, 대조영 | 후보 |
2007 | 대조영 | 수상 | ||
2010 | SBS 연기대상 | 특별기획부문 남자 조연상 | 자이언트 | 수상 |
2011 | 제48회 영화의 날 | 배우부문 자랑스러운 영화인상 | 수상 | |
2012 | MBC 연기대상 | 남자 황금연기상 | 메이퀸 | 수상 |
MBC 방송연예대상 | 쇼/버라이어티부문 인기상 | 댄싱 위드 더 스타 | 수상 | |
SBS 연기대상 | 특별기획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 샐러리맨 초한지 | 수상 | |
2013 | 야왕 | 후보 | ||
2014 | 단막특집극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 수상 | |
2015 | 제6회 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화훈장 | 수상 | |
SBS 연기대상 | 공로상 | 수상 | ||
2017 | 제6회 대한민국 톱스타상 시상식 | 특별공로상 | 수상 | |
2018 | 제24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 대상 | 수상 | |
2019 | 고객브랜드 충성대상 | 남자배우부문 | 수상 | |
2021 | MBC 연기대상 | 공로상 | 옷소매 붉은 끝동 | 수상 |
미니시리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후보 | |||
대상 | 후보 | |||
2022 | 제58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조연상 | 후보 |
7. 기타
1995년 한국영화배우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협회 이사장을 맡았다.[17] 또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충무로 국제 영화제(CHFFIS)의 집행위원장을 지냈다.[18][19][20][21][22]
1996년에는 보수 정당인 신한국당 소속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23] (신한국당은 자유한국당의 전신이다.)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이명박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유세 연설을 하고 선거 캠프의 문화예술 정책 자문역을 맡았다.[23][24]
2009년에는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예술대학에서 조재현, 최수종, 설경구, 김혜수, 안성기, 박중훈 등 동료 배우들과 함께 연기 마스터 클래스를 열었다. 이들은 모두 강의료를 받지 않고 전액을 젊은 배우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기부했다. 이덕화는 한국 영화 산업의 미래를 위해 재능 있는 영화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 싶었고, 자신의 강의료를 기부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25]
7. 1. 가족 관계
아버지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무대와 영화에서 활동한 배우 이예춘(1919–1977)이다. 아내는 무용가 김보옥이며,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딸은 배우 이지현이고 아들은 이태희다. 본관은 연안 이씨이다.[43]7. 2. 유행어
MBC의 가요 프로그램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진행 당시 사용한 "부탁해요"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었다. 또한, 이명박 전 대통령 선거 운동에 참여했으며, 그의 당선 후 그를 지칭하며 사용한 "가카"(각하)라는 표현이 당시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참조
[1]
웹사이트
Seoul Int'l Drama Awards End With Promise
https://www.koreatim[...]
2009-09-13
[2]
웹사이트
Stars' Families Stealing Spotlight
https://www.koreatim[...]
2009-09-28
[3]
웹사이트
Adult diapers are closer than you think
http://koreajoongang[...]
2013-01-12
[4]
웹사이트
2008.6.5 Event Calendar
http://koreajoongang[...]
2008-06-05
[5]
웹사이트
High notes and discord in the musical world
http://koreajoongang[...]
2008-12-20
[6]
웹사이트
18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93)
http://www.moscowfil[...]
1993
[7]
웹사이트
Korean Film Newsletter #18: Awards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ttp://www.koreanfil[...]
2003-10-31
[8]
웹사이트
Korean actresses cleaning up at filmfests
http://www.hancinema[...]
2007-05-28
[9]
웹사이트
TV Drama Takes on Korea's ''Fifth Republic''
http://english.chosu[...]
2005-04-12
[10]
웹사이트
Drama Deals With Politically Sensitive Era
http://www.hancinema[...]
2005-04-15
[11]
웹사이트
Political Drama Sparks Controversy
http://www.hancinema[...]
2005-05-24
[12]
웹사이트
Political TV: a story of censorship and taboo
http://koreajoongang[...]
2010-03-04
[13]
웹사이트
Actress Ko Top Money Earner at KBS
http://www.hancinema[...]
2005-10-03
[14]
웹사이트
PREVIEW: SBS TV series ''Giant''
http://www.tenasia.c[...]
2010-05-07
[15]
웹사이트
''History of Salaryman'', comic tribute to breadwinners
https://www.koreatim[...]
2011-12-25
[16]
웹사이트
In drama, concubines compete for royal love
http://koreajoongang[...]
2013-03-22
[17]
웹사이트
Actor Shin Young-kyun donates 50 billion won
https://www.koreatim[...]
2010-10-05
[18]
웹사이트
Chungmuro Film Festival Invites Top Stars
http://world.kbs.co.[...]
2008-09-01
[19]
웹사이트
Chungmuro aims to link past and present
http://www.hancinema[...]
2008-07-29
[20]
웹사이트
Lee Deok-hwa to Head Chungmuro Film Fest
http://english.chosu[...]
2009-06-15
[21]
웹사이트
Festival brings film back to Chungmuro
http://koreajoongang[...]
2009-07-17
[22]
웹사이트
Timeless tales of love and loss in classic Korean cinema
http://koreajoongang[...]
2008-08-20
[23]
웹사이트
Entertainers Supporting Lee
https://www.koreatim[...]
2007-08-21
[24]
웹사이트
Serious politicians or image-builders?
http://koreajoongang[...]
2008-04-24
[25]
웹사이트
Actors Donate Lecture Fees to Scholarships for Young Actors
http://english.kbs.c[...]
2009-05-29
[26]
웹사이트
A 3-hankie, sentimental journey
http://koreajoongang[...]
2002-02-01
[27]
뉴스
이덕화 '착한마녀전' 출연 확정 "항공사 CEO역"(공식)
http://www.newsen.co[...]
2017-12-12
[28]
뉴스
[공식] 이덕화, 3년 만에 드라마 복귀..'옷소매 붉은 끝동' 합류
https://entertain.na[...]
Naver
2021-05-14
[29]
웹사이트
[단독]이덕화, '사내맞선' 합류…안효섭 할아버지 된다
https://www.spotvnew[...]
2021-11-10
[30]
웹사이트
이덕화, 드라마 '사내맞선' 출격…'근엄+귀여움' 반전 매력 예고
https://entertain.na[...]
Korea Economy TV
2022-02-07
[31]
웹사이트
[단독]'사내맞선' 이덕화, 남궁민 만난다..'천원짜리 변호사' 출연
https://entertain.na[...]
Herald POP
2022-04-07
[32]
웹사이트
남궁민, '스토브리그' 신드롬 한 번 더…SBS '천원짜리 변호사' 출연 확정
https://entertain.na[...]
Seoul Broadcasting System
2022-05-12
[33]
웹사이트
스틸러' 주원→이덕화 온다…파이팅 넘치는 대본리딩 현장
https://entertain.na[...]
X-ports News
2023-03-02
[34]
웹사이트
[공식] 김순옥 신작 '7인의 탈출', 주인공은 엄기준·황정음…7인 완벽 라인업
https://entertain.na[...]
Ten Asia
2022-09-22
[35]
웹사이트
tvN '정년이', 대본리딩 현장 공개…'김태리·신예은→이덕화' 첫 낭만열정
https://www.etnews.c[...]
2024-08-23
[36]
웹사이트
Chuseok: prime time for couch potatoes
https://www.koreatim[...]
2013-07-03
[37]
웹사이트
이경규X이덕화, '도시어부' 또 간다...시즌4 출연 확정 [공식]
https://entertain.na[...]
OSEN
2022-05-17
[38]
웹사이트
헬로트로트' 이덕화 MC 출격, 배성재와 호흡 "11월 편성 확정"(공식)
https://entertain.na[...]
2021-09-27
[39]
웹사이트
'도시어부'들이 여는 '도시횟집', 23일 첫방 확정…메인포스터 공개
https://entertain.na[...]
News1
2023-03-13
[40]
웹사이트
58회 백상예술대상 후보 공개…영광의 주인공은?
https://entertain.na[...]
Sports Kyunghyang
2022-04-11
[41]
웹사이트
데뷔 51년차' 이덕화, 공로상…"옷소매 덕에 살맛 나, 짜릿하다
https://entertain.na[...]
Money Today
2021-12-30
[42]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7-27
[43]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소정방 장수, 신라여인과 사랑해 ‘명문가 뿌리’
https://skyedaily.co[...]
2022-11-14
[44]
웹사이트
Why? 연기 43년… "여러분의 덕화, 한우물 팔걸 그랬나요"
https://www.chosun.c[...]
2022-10-09
[45]
웹사이트
이덕화 소개/작품
http://movie.daum.ne[...]
2012-06-16
[46]
웹사이트
<시진핑과 중국 공산당은 인류의 적>
http://article.joins[...]
2006-09-13
[47]
웹사이트
SBS 설날특집드라마[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이덕화와 김해숙 첫 부부연기호흡, 감동 전한다
http://sbspr.sbs.co.[...]
2015-01-09
[48]
뉴스
이덕화 ‘총리와나’ 카메오 알고보니 노개런티 출연
http://www.newsen.co[...]
NEWSEN
2013-12-26
[49]
뉴스인용
이덕화 방송복귀 '뜨거운 감자'로...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2015-12-05
[50]
뉴스인용
봄이 오면 스타도 돌아온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5-12-05
[51]
뉴스인용
돌아오는 이덕화 다시한번 "부탁해요~"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5-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