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곡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곡층은 백악기에 퇴적된 지층으로,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 알비절에 해당한다. 안동시와 청송군 일대에서는 쥐라기 안동 화강암과 청송 화강암에서 기원한 사암이 주로 나타나며, 청송군 만안자암 단애에서는 중립~조립질 사암으로 구성된 절벽을 볼 수 있다. 의성군과 군위군 지역에서는 후평동층을 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암회색 셰일과 사암이 주로 분포하며, 신녕 단층에 의해 절단된다. 점곡층에서는 수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군의 지리 - 금성산 (경북)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금성산은 약 7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칼데라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생대 화산암층으로 구성되어 일각에서는 일본 신화의 고천원과 관련 있다는 주장이 있다. - 의성군의 지리 - 사곡층
사곡층은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 지층으로, 사암과 니질암으로 구성되어 자색을 띠며, 의성군 사곡면에서 유래되었고, 공룡 발자국 화석과 다양한 광맥이 발견된다. - 사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사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셰일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셰일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점곡층 | |
---|---|
지리 정보 | |
위치 | 경상 분지 |
개요 | |
종류 | 지질 형성 |
시대 | 백악기 알비절 (~) |
상위 단위 | 하양층군 |
하위 단위 | 후평동층 |
상위 층 | 사곡층 |
명명 유래 | 의성군 점곡면 |
분포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남서부 길안면 북서부 의성군 점곡면 단촌면 동부 옥산면 의성읍 동부 금성면 청송군 안덕면 영천시 신령면 서부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서부 산성면 동부 |
두께 | 최대 950 m (의성군 점곡면) 350 m (의성읍) 700 m (의성읍 오로리) 260 m (금성면) |
암석학 | |
주 암석 구성 | 사암 셰일 |
기타 암석 구성 | 응회암 |
이미지 | |
![]() |
2. 지질시대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 점곡층의 최대 퇴적 시기는 1억 5백만 년 전(105 Ma)으로 이는 함안층의 최대 퇴적 시기인 1억 6백만 년(106 Ma)과 유사하다. 단, 퇴적층의 최대 퇴적 시기는 그 퇴적층이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가장 오래된 시기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결과 자체가 두 층이 같은 시기에 퇴적되었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6] 청송지질공원 만안자암 단애의 점곡층 사암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을 상대로 U-Pb 연령을 측정한 결과 103.2±0.3 Ma의 가중평균연령이 구해져 점곡층의 퇴적 시기는 백악기 알비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7]
점곡층은 분포 지역에 따라 암상과 발견되는 화석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각 지역별 점곡층의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지역별 암상과 화석
3. 1. 안동시와 청송군
점곡층의 사암은 쥐라기 안동 화강암과 청송 화강암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8] 청송군 만안자암 단애 점곡층의 백악기 저어콘에서 103.2±0.3 Ma의 가장 젊은 가중평균 연령이 산출되었다.[9]
천지 지질도폭(1978)에 따르면, 점곡층은 하부의 후평동층 구계동층원(Khgg)을 정합으로 덮으며, 상부의 사곡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두께는 약 950m이다. 주로 사암과 셰일로 구성되며 세력암과 응회암을 협재하며, 암상에 의해 상·중·하로 세분된다.[10]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 648 (N 36°21'25.43", E 128°58'35.28")에 위치한 백석탄은 길안천 계곡을 따라 발달하며, 이 지역에는 점곡층이 북서 37°의 주향과 북동 35°의 경사로 분포한다. 하부에는 2~20cm 크기의 역암층이 존재하고 상부로 갈수록 입자가 가늘어지는 상향 세립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중부로 갈수록 중립~조립질 모래가 우세하며, 사층리와 생물 교란 구조 등이 나타난다. 또한 하천 바닥에는 오랜 시간 풍화 침식되어 암반에 깊은 구멍이 파인 포트홀이 발달되어 있다.[11]
점곡층에서는 수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보고되었다.[3][4]
3. 2.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만안자암 단애
청송군 안덕면 지소리 649-1에 위치한 만안자암 단애(Manan Ja-am Cliff|만안 자암 클리프eng)는 길안천을 따라 펼쳐진 자색 절벽[赭巖]으로, 점곡층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절벽을 구성하는 암석은 입자 크기가 중간이거나 굵은 사암이며, 내부에는 퇴적 구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곳의 특징적인 지질 구조로는 암석이 쌓인 흔적인 층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수많은 절리(암석의 틈)가 발달해 있다는 점이다. 단애 앞 하천변에는 폭 30cm 정도의 단층핵(단층 활동으로 파쇄된 물질)과 폭 10m 이상의 단층 손상대가 있는 중규모 이상의 주향 이동 단층대가 발달해 있다. 이러한 절리나 단층대와 같은 단열대(암석이 깨지거나 금이 간 부분)를 따라 단애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5] 실제로 주변에는 서북서 방향의 황학산 단층과 동-서 방향의 단층이 지나간다.[12]
이 지질명소는 지방도 제930호선이 지나는 만안삼거리 남쪽 새마을교 바로 옆에 있으며, 안덕면 백석탄로 566번지로 이어지는 좁은 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3. 3. 의성군과 군위군
의성 지질도폭(1976)에 따르면, 점곡층은 하위의 후평동층을 정합적으로 덮고 있으며, 주로 암회색 내지 흑색의 실트스톤과 셰일로 구성된다. 도폭의 북부 지역인 단촌면과 점곡면 일대에서는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 실트스톤, 알코스질 회색 사암이 주를 이루며, 중상부에는 두께 8m에서 10m 정도의 역질사암과 녹회색 셰일이 끼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역암이 불규칙한 렌즈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은 층리가 잘 발달하며, 그 두께는 약 3m에서 4m 정도이다. 의성읍 부근에서 점곡층의 가장 아랫부분은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위로는 녹색 내지 녹회색 사암과 녹회색 내지 회색 셰일 또는 실트스톤이 번갈아 나타나는 호층 구조를 보인다. 이 사이에는 자색 실트스톤이 협재되어 있다. 녹회색 사암은 입자가 가늘거나 중간 정도이며, 간혹 녹니석을 포함하는 부분도 있다. 회색 내지 녹회색 셰일과 실트스톤은 부분적으로 혼펠스화 되어 있기도 하다. 의성읍 부근에서는 지층이 북동 14~24°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남동쪽으로 10° 정도 경사져 있다. 점곡층의 전체 두께는 약 350m로 추정된다.[13]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 산 42에 위치한 의성지질공원 치선리 베틀바위는 점곡층에 속하는 청회색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바위는 퇴적암이 형성된 후 절리(암석의 틈)가 발달하고, 오랜 시간 풍화와 침식을 거치면서 남은 부분이 마치 베틀과 유사한 모양을 하게 되어 '베틀바위'라는 이름이 붙었다.[14]
군위 지질도폭(1980)에 따르면, 점곡층은 후평동층 구계동층원과 사곡층 사이에 놓이며, 주로 회색 사암과 암회색 내지 녹회색의 셰일로 구성되어 암회색 계열의 색을 띤다. 지층의 중간 부분에는 자색을 띠는 역암(의흥함력암층)이 끼어 있으며, 점곡층의 하부와 상부에도 약간의 자색 지층이 협재된다. 드물게 엷은 석회암층이나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 점곡층 상부의 아래쪽에 협재된 의흥함력암층은 두께가 1.5m에서 5m 정도 되는 응회암질 사력질암으로,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어두운 자색을 띤다. 군위도폭 북동부에 해당하는 의성읍 오로리 부근에서는 점곡층의 두께가 약 700m에 달하지만,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져 금성면 탑리리 부근에서는 약 260m로 줄어든다. 그러나 그보다 더 남쪽 지역에서는 다시 약 400m의 두께를 유지한다.[15]
대율 지질도폭(1980)에 의하면 군위군 의흥면 원산리 서측에는 2~3매의 진한 자주색 실트스톤이 협재되며 조림산(637.4 m) 서측과 신녕면 치산리에는 적색 실트스톤이 역시 2~3매가 비교적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들 약간의 적색 혹은 자주색 실트스톤 외에는 대체로 회색 또는 담녹색 이암 및 실트스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부에는 암회색 셰일과 이회암이 2~3매 1m~2.5m 두께로 협재되기도 한다. 산성면 화전리-신녕면 화서리 동부 지역에서 노고산 환상단층에 의해 상부층인 함안층, 반야월층 및 응회암층과 직접 접하고 있으나 신녕면 화서리-치산리에서는 함안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힌다. 본 층에서는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의흥면 원산리 북쪽에서 ''Estheria'' sp. 화석이 발견되었다. 지층의 두께는 대략 400m 내외이다.[16]
'''의성군의 점곡층 노두'''
'''군위군의 점곡층 노두'''
3. 4. 신녕 단층
신녕 단층은 경상 누층군 점곡층을 절단하는 단층으로, 여러 노두에서 관찰된다.
영천시 신녕면 부산리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1 노두로 보고되었다. 이 노두는 부산보건진료소(도로명주소: 영천시 신녕면 치산효령로 578-14) 남쪽의 신녕천 하상에 드러나 있다. 단층은 주향 북서 70°, 높은 각도의 경사를 보이며 점곡층의 사암과 미사암이 번갈아 나타나는 지층을 자르고 있다. 약 1.5m 폭의 단층핵은 담청색의 단층비지와 단단하지 않은 단층각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의 단층손상대 안에서는 수 센티미터의 수평 이동량을 보이는 북동 75° 방향의 작은 부차 단층과 방해석맥으로 채워진 작은 단열들이 관찰된다. 단층의 운동 방향은 북동-남서 방향의 최대수평응력을 나타낸다.[17]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2 노두로 보고되었다. 이 노두는 산성면 백학리의 지방도 제919호선(치산효령로) 도로변, 매점휴게소(도로명주소: 치산효령로 881)와 SK주유소(도로명주소: 치산효령로 824) 사이의 하천 바닥에 드러나 있다. 이 단층은 점곡층의 사암을 절단하며, 주 단층면의 주향은 북서 87°, 경사는 남서 72°이다. 주 단층면의 단층핵은 두께 1m 이내이며, 2~3 cm 두께의 단층비지대와 단층각력대로 구성된다. 주 단층에서 남쪽으로 약 1m 떨어진 곳에는 주향 북서 38°, 경사 남서 88°의 작은 단층이 있는데, 이 단층은 모든 지층을 자르지 못하고 퇴적암의 층리(주향 북동 73°, 경사 북서 27°)를 따라 합쳐지는 모습을 보인다. 단층 주변의 점곡층 지층은 단층 북쪽에서는 주향 북동 50°, 경사 북동 10°로 일정하지만, 남쪽에서는 단층면에서 멀어질수록 경사가 남서에서 북동으로 변하며 수 미터 폭의 완만한 습곡 구조를 형성한다. 주 단층면의 운동 방향은 SN-1 노두와 같이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 응력을 나타낸다.[17]
3. 5. 의성지질공원 점곡퇴적층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산 52에 위치한 '''의성지질공원 점곡퇴적층'''은 미천 하천변을 따라 드러난 점곡층의 하식절벽 노두이며 주로 암회색의 셰일 내지 실트스톤으로 구성된다.[18]
4. 화석
점곡층에서는 수각류 화석 발자국이 보고되었다.[3][4]
참조
[1]
Paleobiology Database
Jeomgog Formation
https://paleobiodb.o[...]
[2]
문서
Lee & Lee, 2000
[3]
문서
Lee et al., 2001
[4]
문서
Weishampel et al., 2004, pp.517-607
[5]
저널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경상누층군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에 대한 퇴적환경 해석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Iljik, Hupyeongdong, Jeomgok Formations, Gyeongsang Basin in 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5-10
[6]
저널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 측정을 이용한 백악기 의성소분지 사암의 퇴적시기와 기원지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sandstones in the Cretaceous Euiseong subbasin inferred by detrital zircon U-Pb age dating)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9-10
[7]
저널
청송 세계지질공원 내 백악기 일직층, 점곡층, 사곡층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 퇴적시기와 기원지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Iljik, Jeomgok, and Sagok formations in the Cheongsong Global Geopark, Korea: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https://scienceon.ki[...]
2021
[8]
저널
경상분지 북동부 선백악기 기반암류와 백악기 하양층군 사암의 저어콘 결정 형태학 및 사암의 기원암 (Zircon morphology of the Pre-Cretaceous basement rocks and Cretaceous Hayang Group sandsto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and its implication to provenance of the sandstones)
https://scienceon.ki[...]
2000
[9]
저널
청송 세계지질공원 내 백악기 일직층, 점곡층, 사곡층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 퇴적시기와 기원지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Iljik, Jeomgok, and Sagok formations in the Cheongsong Global Geopark, Korea: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https://scienceon.ki[...]
2021
[10]
웹인용
泉旨 地質圖幅說明書 (천지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
[11]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12]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3]
웹인용
義城 地質圖幅說明書 (의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6
[14]
웹인용
의성지질공원 지질명소, 치선리 베틀바위
https://www.usc.go.k[...]
의성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2023-10-09
[15]
웹인용
軍威 地質圖幅說明書 (군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16]
웹인용
大栗 地質圖幅說明書 (대율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17]
웹인용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Focused on the Jinju, Daegu, and Uiseong Blocks)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18]
웹인용
의성지질공원 지질명소, 점곡퇴적층
https://www.usc.go.k[...]
의성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2023-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