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녕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녕 단층은 가음 단층계의 주요 단층 중 하나로,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백악기 전기와 플라이오세에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을 겪었으며, 신생대 에오세까지는 우수향으로 활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녕 단층은 낙동강 충적평야 아래를 지나 인지가 어려우나, 부산리, 백학리, 명산리, 장군리, 묵어리, 괴곡리 등 여러 지역에서 노두가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위군의 지리 - 한티재
한티재는 경상북도 안동시, 영양군, 포항시, 대구광역시 군위군/경상북도 칠곡군 등 여러 지역에 위치하며, 중앙고속도로, 국도, 터널 등이 지나는 고개들을 지칭한다. - 군위군의 지리 - 사곡층
사곡층은 경상 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 지층으로, 사암과 니질암으로 구성되어 자색을 띠며, 의성군 사곡면에서 유래되었고, 공룡 발자국 화석과 다양한 광맥이 발견된다. - 주향이동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주향이동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신녕 단층 | |
---|---|
단층 정보 | |
이름 | 신녕 단층 |
다른 이름 | Sinnyeong Fault |
![]() | |
지역 | 영남 육괴 |
광역시/도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
시/군 | 영천시, 군위군, 구미시 |
주향 | 서북서-동남동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
상태 | 알 수 없음 |
지진 | 알 수 없음 |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운동 | 좌수향, 우수향 |
암석 단위 | 경상 누층군 |
![]() |
2. 가음 단층계의 구성
가음 단층이 위치한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 일대에는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이 다수 분포하는데 이 일대에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을 묶어 '''가음 단층계'''(佳音 斷層系, Gaeum Fault System, GFS) 또는 '''가음 단층대'''라 부른다. 뚜렷한 선상구조로 나타나는 서북서 주향의 단층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황학산 단층, 의성 단층, 금천 단층, 자락 단층, 가음(수기령) 단층, 군위 단층, 우보 단층, 신녕(백학동) 단층, 팔공산 단층으로 명명되어 있다.[2][1][3]
가음 단층이 위치한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 일대에는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이 다수 분포하는데 이 일대에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을 묶어 '''가음 단층계'''(佳音 斷層系, Gaeum Fault System, GFS) 또는 '''가음 단층대'''라 부른다. 뚜렷한 선상구조로 나타나는 서북서 주향의 단층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황학산 단층, 의성 단층, 금천 단층, 자락 단층, 가음(수기령) 단층, 군위 단층, 우보 단층, 신녕(백학동) 단층, 팔공산 단층으로 명명되어 있다.[2][1][3] 신녕 단층의 명칭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유래되었다.
3. 형성 역사 및 진화
신녕 지질도폭(1980)에서는 가음 단층계의 방향성이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 방향과 유사하다며 단층의 약대(弱帶)를 따라 화강암이 관입되었고 관입 이후에도 단층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4]
3. 1. 신생대 재활성화
최범영 외(2004)는 변형된 지층의 연령과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가음 단층과 자락 단층이 백악기 전기 바렘절에 동-서 압축력에 의해 첫 번째 좌수향운동을 했으며 플라이오세에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두 번째 좌수향 이동을 겪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에서 확인된 신녕 단층의 기하와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신녕 단층은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서 신생대 에오세까지 우수향으로 운동하였고, 플라이오세에 좌수향으로 재활동한 것으로 분석했다.[5] 황병훈 외(2008)는 양산 단층과 가음 단층대가 동-서 내지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환경 하에서 각각 우수향과 좌수향 주향이동 감각으로 운동하였으며, 지속적인 압축환경 하에서 양산 단층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반면 가음 단층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가음 단층계가 절단하고 있는 신동층군 퇴적암의 변위(2.7 km)가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변위(1.0 km)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보고하며, 이는 가음 단층의 운동 중에도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지시한다고 설명했다.[6]
3. 2. 화산 활동과의 관계
황병훈 외(2008)는 양산 단층과 가음 단층대가 동-서 내지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환경 하에서 각각 우수향과 좌수향 주향이동 감각으로 운동하였으며, 지속적인 압축환경 하에서 양산 단층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반면 가음 단층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가음 단층계가 절단하고 있는 신동층군 퇴적암의 변위(2.7 km)가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변위(1.0 km)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보고하며, 이는 가음 단층의 운동 중에도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지시한다고 설명했다.[6]
4. 신녕 단층
'''신녕 단층'''은 가음 단층계의 주요 단층 중 하나이며,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선산 지질도폭(1989)에서는 신녕 단층이 대부분 낙동강의 충적평야 아래를 지나 인지가 어려우며 지표에서는 구미시 산동읍 적림리에서 확인되었다고 설명한다.[1] 대율 지질도폭(1980)에서는 백학동 단층으로 명명되었으며 북측 지괴가 남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
신녕 단층은 여러 지역에서 노두(암석이 지표면에 드러난 부분)가 확인되며, 각 노두는 단층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
지점명 | 위치 | 지질 |
---|---|---|
부산리 지점 (SN-1) | 영천시 신녕면 부산리 | 경상 누층군 점곡층 |
백학리 지점 (SN-2) |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 | 경상 누층군 점곡층의 사암 |
명산리 지점 (SN-3) | 군위군 부계면 명산리 | 경상 누층군 일직층의 사암과 미사암 |
장군리 지점 (SN-4) | 군위군 효령면 장군리 |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사암 |
묵어리 지점 (SN-5) |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 |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담회색 사암과 석탄층 |
괴곡리 지점 (SN-6) |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 |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과 편암 |
4. 1. 지질도폭에서의 기록
선산 지질도폭(1989)에서는 신녕 단층이 대부분 낙동강의 충적평야 아래를 지나 인지가 어려우며 지표에서는 구미시 산동읍 적림리에서 확인되었다고 설명한다.[1] 대율 지질도폭(1980)에서는 백학동 단층으로 명명되었으며 북측 지괴가 남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4. 2. 지역별 노두
신녕 단층은 여러 지역에서 노두(암석이 지표면에 드러난 부분)가 확인되며, 각 노두는 단층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지점명 | 위치 | 지질 |
---|---|---|
부산리 지점 (SN-1) | 영천시 신녕면 부산리 | 경상 누층군 점곡층 |
백학리 지점 (SN-2) |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 | 경상 누층군 점곡층의 사암 |
명산리 지점 (SN-3) | 군위군 부계면 명산리 | 경상 누층군 일직층의 사암과 미사암 |
장군리 지점 (SN-4) | 군위군 효령면 장군리 |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사암 |
묵어리 지점 (SN-5) |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 |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담회색 사암과 석탄층 |
괴곡리 지점 (SN-6) |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 |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과 편암 |
4. 2. 1. 부산리 지점 (SN-1)

영천시 신녕면 부산리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1 노두로 명명되었다. 단층의 노두는 부산보건진료소(도로명주소: 영천시 신녕면 치산효령로 578-14) 남쪽의 신녕천 하상에 드러나 있다. 이 단층은 주향 북서 70°에 고각의 경사를 보이며 경상 누층군 점곡층의 교호하는 사암과 미사암을 절단한다. 약 1.5m 폭의 단층핵은 담청색의 단층비지 및 응집력 없는 단층각력들로 구성된다. 남쪽의 단층손상대 내에는 수 센티미터의 수평 변위량을 가지는 북동 75° 방향의 소규모 부차 단층과 방해석맥으로 충전된 소규모 단열들이 관찰된다. 운동 감각은 북동-남서 방향의 최대수평응력을 지시한다.[1]
4. 2. 2. 백학리 지점 (SN-2)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2 노두로 명명되었다. 산성면 백학리의 지방도 제919호선(치산효령로)에는 매점휴게소(도로명주소: 치산효령로 881)와 SK주유소(도로명주소: 치산효령로 824) 사이에 직선 구간이 있고 그 중간 도로변에 회색 컨테이너가 있으며 그 앞으로 이름 없는 하천이 도로 밑으로 지나는데 이곳에 SN-2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 단층은 경상 누층군 점곡층의 사암을 절단하며 주 단층면의 주향은 북서 87°, 경사는 남서 72°이다. 주 단층면의 단층핵은 두께 1 m 이내고 2~3 cm 두께의 단층비지대와 단층각력대로 구성된다. 주 단층에서 남쪽으로 약 1 m 떨어진 지점에는 주향 북서 38°, 경사 남서 88°의 소규모 단층이 있는데 이 단층은 모든 지층을 절단하지 못하고 퇴적암의 층리(주향 북동 73°, 경사 북서 27°)를 따라 수렴하는 모습을 보인다. 단층에 인접한 점곡층 지층은 단층 북쪽 지괴에서 주향 북동 50°, 경사 북동 10°의 일정한 자세를 보이나 남쪽 지괴에서는 단층면에서 멀어질수록 경사가 남서→북동으로 변하며 수 미터 진폭의 완만한 습곡을 형성한다. 주 단층면의 운동 감각은 SN-1 노두와 동일한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 응력을 지시한다.[1]
4. 2. 3. 명산리 지점 (SN-3)
군위군 부계면 명산리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3 노두로 명명되었다. 이 지점은 경상 누층군 일직층의 사암과 미사암을 절단한다. 노출이 불량하여 단층의 북쪽 손상대(Damage Zone)와 단층비지대를 확인하기 어려우나, 단층핵으로 추정되는 부분에서 열수에 의해 담청색으로 변질된 파쇄암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1]4. 2. 4. 장군리 지점 (SN-4)
군위군 효령면 장군리에 위치한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4 노두로 명명되었다. 이 단층은 북서 79°의 주향과 고각의 경사를 보이며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단층경면의 섬유상 결정은 좌수향 횡압축성 주향이동을 지시한다. 단층 주변 하산동층은 단층에 인접할수록 단층의 주향과 거의 평행해진다.[1]4. 2. 5. 묵어리 지점 (SN-5)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에 위치한 지점은 천영범(2018)에 의해 SN-5 노두로 명명되었다. 이 단층은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의 담회색 사암과 석탄층을 경계 짓는다. 주 단층면은 북서 66°의 주향과 북동 72°의 경사를 가지나 인접한 부차 단층은 북서 56°의 주향과 주 단층과 반대방향인 남서 54°의 경사를 가진다. 단층 남쪽의 지층은 단층에 가까워질수록 단층의 주향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습곡이 발달하나 북쪽의 지층에서는 지층의 경동(傾動)이나 습곡이 인지되지 않는다.[1]4. 2. 6. 괴곡리 지점 (SN-6)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 지점의 단층은 경상 분지의 기반암에 해당하는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과 편암을 절단한다. 단층경면에서는 좌수향 횡압축성 감각이 우세하며 이들이 먼저 형성된 정이동성 감각을 지우는 양상이 확인된다.[1]참조
[1]
웹인용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Focused on the Jinju, Daegu, and Uiseong Blocks)
https://www.riss.kr/[...]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2]
저널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https://www.dbpia.co[...]
2017-04
[3]
웹인용
'가음단층계'의 분포와 운동 특성에 대하여
https://www.dbpia.co[...]
한국자원연구소
[4]
웹인용
新寧 地質圖幅說明書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
[5]
논문
Movement history of the GFS. In: Lee, Y.S., Kihm Y.H., Choi, P.Y., Reedman, A., Kim, S.-Y., Kim, I.-J., Lee, S., Shin, H.-J. and Shin, D. (ed.), Cenozoic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Korea. The 3rd and 4th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2
한국지질자원연구원|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4
[6]
저널
Geometric model of conjugate faulting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 Korea
https://agupubs.onli[...]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