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영국-시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영국-시크 전쟁은 1845년부터 1846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와 시크 왕국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란지트 싱 사후 시크 왕국 내부의 혼란과 영국의 팽창 정책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전쟁은 무드키, 페로즈샤, 알리왈, 소브라온 등 여러 전투를 거쳤으며, 시크 군대의 지도부 배신과 내분으로 인해 시크 왕국은 패배했다.

전쟁 결과, 시크 왕국은 비아스 강과 수틀레지 강 사이의 지역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했다. 또한 카슈미르를 포함한 일부 영토를 잃었으며, 마하라자 달리프 싱은 통치자로 남았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영국에 넘어갔다. 이 전쟁은 시크 제국의 독립을 잃게 했으며, 3년 후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6년 분쟁 - 멕시코-미국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은 1846년부터 1848년까지 텍사스 합병과 영토 분쟁으로 인해 미국과 멕시코 간에 벌어진 전쟁이며, 미국이 승리하여 멕시코로부터 광대한 영토를 할양받는 결과를 가져왔다.
  • 1846년 분쟁 - 텍사스 요새 포위전
    1846년 미국-멕시코 전쟁 직전, 멕시코군이 리오그란데강 북쪽의 텍사스 요새를 포위하며 포격으로 요새 지휘관이 전사했으나, 미군의 승리로 멕시코군의 진격이 막히면서 텍사스 요새 포위전은 멕시코군의 승리로 끝났고 텍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제1차 영국-시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846년 초 [[소브라온]] 주변의 제1차 앵글로-시크 전쟁을 설명하기 위한 스케치 지도. Charles Herbert Payne의 '시크교도의 약사'(1915)에서 발췌.
1846년 초 소브라온 주변의 제1차 앵글로-시크 전쟁을 설명하기 위한 스케치 지도. Charles Herbert Payne의 '시크교도의 약사'(1915)에서 발췌.
시기1845년 12월 11일 – 1846년 3월 9일
장소펀자브 지방
결과영국의 승리
영토 변경잘란다르 도압과 라호르의 시스 수틀레지 영토가 동인도 회사에 합병됨. 잠무와 카슈미르는 굴랍 싱에게 판매됨.
교전 세력
교전 1'[[File:Flag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1801).svg|20px]] 동인도 회사'
지원 세력:
'[[File:Patiala flag.svg|20px]] 파티알라 번국'
'[[File: Jind State CoA.png|20px]] 진드 번국'
교전 2'[[File:Sikh Empire flag.svg|20px]] 시크 제국'
지원 세력:
라드와 번국
지휘관 및 지도자
동인도 회사'휴 고프 경'
'헨리 하딩 경'
'조지 브로드풋'
'월터 길버트 경'
'헨리 로렌스 경'
'로버트 헨리 딕'
'해리 스미스 경'
시크 제국'마하라니 진다 코르'
'테지 싱'
'라자 랄 싱'
'샴 싱 아타리와라'
'란조드 싱 마지티아'
라드와의 라자 아지트 싱

2. 배경

펀자브 지형도, "다섯 강이 흐르는 땅"


19세기 초, 마하라자 란지트 싱은 펀자브 지역에 강력한 시크 왕국을 건설했지만, 그의 사후 왕국은 극심한 권력 투쟁과 혼란에 휩싸였다. 란지트 싱은 인도 지도를 보면서 "저 붉은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3]라고 물었고, 지도 제작자는 "폐하, 붉은색은 영국 영토의 범위를 나타냅니다."[3]라고 대답했다. 펀자브를 제외한 거의 모든 힌두스탄이 붉게 칠해진 것을 본 그는 '언젠가 모두 붉어질 것이다'(Ek roz sab lal ho jaiga)라고 예언했다.[3]

영국 동인도 회사는 이 틈을 타 펀자브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1845년 가을, 영국이 봄베이에서 개방형 보트를 사틀레지 강 기슭의 피로즈푸르로 보냈다는 소문이 돌았고,[16] 보강 부대를 위한 병영이 전선 기지에 설치됨과 동시에 증강을 위한 연대가 펀자브에 파견되었다.[16]

이는 칼사라고 불리는, 애국심이 강하고 용감했지만 통제가 되지 않는 시크교 군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4][16] 호전적인 칼사들은 영국의 침략을 의도하고 대항책을 내놓았지만, 시크 영주들이 이미 배신하여 영국과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16]

2. 1. 란지트 싱 시대

마하라자 란지트 싱은 19세기 초, 펀자브 지역에서 시크 왕국을 확장하고 통합했다. 그는 영국과의 충돌을 피하면서도 군사력을 강화하는 신중한 외교 정책을 펼쳤다.[3] 란지트 싱은 수틀레지 강 남쪽 영토를 영국에 할양했지만, 동시에 아프가니스탄과의 전쟁을 대비하고 영국의 침략을 막기 위해 군대를 강화했다.[3]

시크 왕국의 포병대


그는 유럽과 미국 출신 용병들을 고용하여 군대에 유럽식 훈련을 도입했고, 힌두교 신자와 무슬림 등 다양한 종교와 출신의 병사들을 군대에 통합시켜 강력한 군대를 만들었다.[3]

1839년 6월 27일, 란지트 싱은 수도 라호르에서 사망했다. 그의 사후, 시크 왕국은 심각한 권력 투쟁과 정치적 불안에 휩싸였다.[13][14]

2. 2. 란지트 싱 사후

란지트 싱1839년에 사망한 후, 그의 왕국은 혼란에 빠졌다. 란지트 싱의 적자였던 카라크 싱은 몇 달 만에 권력에서 밀려났고, 이후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널리 퍼졌다.[4] 카라크 싱의 뒤를 이은 아들 나우 니할 싱 역시 아버지의 화장 후 라호르 요새에서 떨어진 아치에 맞아 부상을 입고 몇 달 만에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5]

당시 펀자브에서는 시크교 신도 세력과 힌두교 도그라 세력이 권력을 두고 다투고 있었다. 1841년 1월, 셰르 싱이 시크 제국의 마하라자로 즉위했고, 디안 싱 도그라가 그의 총리가 되었다.[4][5]

란지트 싱의 사망 이후 군대는 급격히 성장하여 1845년에는 8만 명이 넘는 규모가 되었다.[6] 군대는 스스로를 시크 민족의 화신이라고 선언하며, 군대 연대 판차야트는 왕국 내에서 대안적인 권력의 원천을 형성했다. 영국 관찰자들은 이를 "위험한 군사 민주주의"라고 비난했다.[6]

자와하르 싱의 죽음 – ''Illustrated London News'', 1845년 11월 29일


마하라자 셰르 싱은 군대의 급여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궁정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었다. 1843년 9월, 그는 사촌인 아지트 싱 신단왈리아에게 살해당했다. 도그라족은 복수했고, 란지트 싱의 막내 미망인 진드 카우르는 어린 아들 둘립 싱의 섭정이 되었다. 재상 히라 싱이 왕실 재물을 약탈하여 수도를 도망치려다 샴 싱 아타리왈라의 군대에 의해 살해된 후,[6] 진드 카우르의 형제 자와하르 싱이 1844년 12월 재상이 되었다. 1845년 자와하르 싱은 둘립 싱에게 위협이 되었던 파샤우라 싱을 암살했고, 이 일로 군대의 책임을 추궁받아 1845년 9월 처형되었다.[6]

진드 카우르는 공개적으로 복수를 맹세하고 섭정으로 남았다. 랄 싱이 재상이 되었고, 테지 싱이 군 사령관이 되었다. 시크 역사학자들은 이 두 사람이 모두 도그라 파벌 출신이며, 원래 펀자브 외부의 힌두교 신자였다가 1818년에 시크교로 개종했다고 강조했다.

1845년 가을, 영국이 봄베이에서 개방형 보트를 사틀레지 강 기슭의 피로즈푸르로 보냈다는 소문과 함께, 증강을 위한 연대가 펀자브에 파견되자, 칼사들은 영국의 침략을 의도하고 대항책을 준비했다.[16] 그러나 시크 영주들이 이미 영국과 내통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16]

3. 전쟁의 경과

라자 랄 싱, 제1차 영국-시크 전쟁 당시 영국에 맞서 시크 군대를 이끌었던 인물, 1846년


동인도 회사와 시크 다르바르 사이에 상호 요구와 비난이 오가면서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동인도 회사 군대는 이미 한 부대가 주둔하고 있던 페로즈푸르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소브라온 근처의 로다왈라 전초기지


이에 대응하여 시크 군대는 1845년 12월 11일에 술레지 강을 건너기 시작했다.[10] 시크족은 강 동쪽에 있는 시크 소유지(특히 소유권 분쟁 중인 모란 마을)로 이동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지만, 영국은 이를 명백한 적대 행위로 간주하고 전쟁을 선포했다.

소브라온 전투


1845년 12월, 인도 총독 헨리 하딩이 피로즈푸르로 진군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크 왕국은 공격을 결정했고, 같은 달 12월 13일 양측은 각각 선전 포고를 했다.[16] 시크 왕국은 국가적 위기에 시크교도, 무슬림, 힌두교도가 단결했지만, 지도자인 시크 영주 중 일부는 이미 영국에 붙은 자들도 있었다.[16]

시크 왕국군은 무드키 전투, 피로즈샤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했고, 1846년 1월 28일 알리왈 전투에서도 패배하여 전세가 영국 측에 유리하게 기울었다. 랄 싱과 테지 싱은 이 과정에서 영국과 내통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1846년 2월 10일, 시크 왕국군은 소브라온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대패하여 10,000명의 사상자를 내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전투 불능 상태가 되었다.[18]

2월 13일, 영국군이 왕국의 수도 라호르에서 48킬로미터 지점까지 접근하자, 시크 측은 협상을 시작하여, 같은 해 3월 9일 라호르 조약을 체결했다.[18]

3. 1. 주요 전투

무드키 전투는 1845년 12월 18일에 벌어졌다.[10] 테지 싱 휘하의 시크 군대는 술레지 강을 건너 페로즈푸르에 있는 영국 전초 기지를 향해 진격했지만 공격하지는 않았다. 랄 싱 휘하의 다른 부대는 무드키에서 영국군과 전투를 벌였는데, 영국군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승리했다.[16]

페로즈샤 전투는 1845년 12월 21일부터 22일에 걸쳐 벌어졌다.[10] 영국군은 격전 끝에 승리했지만, 이 전투에서 시크 군부 지도자인 랄 싱과 테지 싱이 영국과 내통했다는 의혹이 있다.[16]

바도왈 전투는 1846년 1월 21일에 벌어졌다.[10] 란조드 싱 마지티아가 이끄는 시크군은 영국군의 수송대를 공격했지만, 루디아나 점령에는 실패했다.

알리왈 전투는 1846년 1월 28일에 벌어졌다.[10] 해리 스미스 경이 이끄는 영국군은 시크군에게 큰 타격을 입히며 승리했다.

알리왈 전투


소브라온 전투는 1846년 2월 10일에 벌어졌다.[10] 영국군은 시크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시크군은 10,000명의 사상자를 내며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18]

캉그라 요새 공방전은 1846년 4월 중순부터 5월 28일까지 벌어졌다.[10] 캉라 요새를 두고 시크 군대와 영국군이 6주간 전투를 벌였으며, 영국군이 승리했다.[10]

소하나 전투에서는 아칼리 하누만 싱이 이끄는 시크군이 패배하고 하누만 싱이 전사했다.

4. 전쟁의 결과

1846년 3월 9일 라호르 조약이 체결되면서 시크 왕국은 비아스강과 수틀레지 강 사이의 줄룬두르 두아브 지역을 영국에 넘겨야 했다.[12] 또한 라호르 두르바르는 1,500만 루피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는데, 이 금액을 마련하기 어려워 카슈미르, 하자라 등 비아스 강과 인더스 강 사이의 영토를 동인도 회사에 1,000만 루피 상당으로 양도했다.[12] 이후 별도의 암리차르 조약을 통해 잠무의 라자 굴라브 싱은 동인도 회사에 750만 루피를 지불하고 카슈미르를 매입하여 잠무-카슈미르 번왕국을 세우고 잠무 및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칭호를 받았다.[12]

부도왈과 알리왈 전투에서 영국에 맞서 싸운 아지트 싱의 라드와 영지는 몰수되었다.[12] 영국은 아지트 싱을 구금하고 알라하바드 요새에 가두었으나, 그는 탈출하여 카슈미르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1차 영국-시크 전쟁 이후 조약에 따른 1846년 펀자브 정치 지도, 조셉 데이비 커닝햄 제작


마하라자 달리프 싱은 펀자브의 통치자로 남았고, 처음에는 그의 어머니 마하라니 진단 카우르가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이후 영국은 1846년 12월 16일 바르로벌 조약을 통해 마하라니에게 연금을 지급하고 라호르에 영국 거주자를 두어 섭정 위원회를 지원하게 함으로써, 사실상 동인도 회사가 정부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시크 제국은 당시 회사의 부상과 무굴 제국의 붕괴 이후 인도에 남아 있던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 시크 군대는 전쟁으로 약화되었지만, 정부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대한 분노는 3년 안에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5. 평가 및 영향

1846년 3월 9일 라호르 조약으로 시크교도들은 비아스강과 수틀레지 강 사이의 비옥한 지역 (줄룬두르 두아브)을 영국 동인도 회사에 넘겨야 했다. 라호르 두르바르는 또한 1500만 루피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는데, 이를 마련하기 어려워 카슈미르, 하자라 등 비아스 강과 인더스 강 사이의 모든 영토를 1000만 루피 상당으로 동인도 회사에 양도했다. 이후 별도의 암리차르 조약에서 잠무의 라자 굴라브 싱은 동인도 회사로부터 750만 루피를 지불하고 카슈미르를 매입하여 잠무 및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칭호를 받았다.[12]

부도왈과 알리왈에서 영국에 맞서 싸웠던 아지트 싱의 라드와 영지는 몰수되었다. 당시 총독의 파견문에는 "연간 10,000파운드 규모의 영지를 가진 라드와의 라자는 거의 공개적으로 반역을 자백했고, 얼마 후 모든 군대와 포병과 함께 적(영국령 라자)에게 넘어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지트 싱은 구금되어 알라하바드 요새의 죄수로 보내졌으나, 간수를 죽이고 탈출하여 오랫동안 방황하다 카슈미르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하라자 달리프 싱은 펀자브의 통치자로 남았고, 처음에는 그의 어머니인 마하라니 진단 카우르가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두르바르는 나중에 마하라자가 16세가 될 때까지 영국의 주둔을 요청했다. 영국은 1846년 12월 16일 바르로벌 조약을 통해 마하라니에게 15만 루피의 연금을 지급하고, 라호르의 영국 거주자를 통해 섭정 위원회를 지원하며, 다른 도시와 지역에 대리인을 두도록 했다. 이는 동인도 회사에 정부 통제권을 사실상 부여한 것이다.

시크교 역사가들은 랄 싱과 테지 싱이 권력을 유지하고 달리프 싱의 허수아비 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쟁을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랄 싱은 영국 정치 장교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전쟁 기간 동안 국가 및 군사 기밀을 누설했다는 것이다. 랄 싱과 테지 싱이 군대를 버리고 기회가 있을 때 공격을 거부한 것은 달리 설명하기 어렵다.

시크 제국은 당시 동인도 회사의 부상과 무굴 제국의 붕괴 이후 인도에 남아 있던 몇 안 되는 독립 국가 중 하나였다. 시크 군대는 전쟁으로 약화되었지만, 정부에 대한 영국의 간섭에 대한 분노는 3년 안에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라호르 조약으로 강화가 성립되면서 수도 라호르에는 영국의 주재관과 군대가 배치되었고, 왕국은 잠무, 카슈미르, 잘란다르 도아브 등 많은 영토를 할양해야 했다.[16] 또한 왕국의 군대도 보병 20,000명과 기병 12,000명으로 감축되었으며, 라호르에는 영국군이 배치되었다.[16]

이때 전쟁에서 영국 측에 협력한 잠무의 영주 굴라브 싱은 500만인도 루피 지불의 대가로 카슈미르를 할양받았다.[16] 이로 인해 잠무-카슈미르 번왕국이 성립되었다.

1848년 12월 16일에는 다른 조약이 체결되어 영국의 주재관은 왕국에서 모든 권한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6] 또한 영국은 자체 판단에 따라 왕국의 각지에 주둔지를 설치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9] 그러나 이러한 식민지 지배에 따른 각종 개혁이 왕국에 도입되면서 사람들의 불만이 높아졌고, 1848년 4월에 사람들의 불만이 폭발하여 반란이 일어났다(제2차 시크 전쟁).[19]

참조

[1] 웹사이트 Punjab polls 2012: Six clans that control the state https://www.indiatod[...] 2012-01-14
[2] 서적 Ranjit Singh: And the Sikh Barrier Between British Empire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Cosmo 2004-08-09
[3] 서적 A History Of The Sikhs Vol 2 By Khushwant Singh Oxford University Press New Delhi http://archive.org/d[...]
[4] 서적 Noblemen and Kinsmen: History of a Sikh Family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999
[5] 서적 A New Look at Modern Indian History (From 1707 to The Modern Times), 32e https://books.google[...] S. Chand Publishing 2018
[6] 웹사이트 allaboutsikhs.com http://www.allabouts[...] 2009-03-18
[7] 서적 The first Anglo-Sikh War 1845-46 : the betrayal of the Khalsa https://www.worldcat[...] 2019
[8] 서적 The First Anglo-Sikh War https://www.worldcat[...] 2014
[9] 서적 The first Anglo-Sikh War 1845-46 : the betrayal of the Khalsa https://www.worldcat[...] 2019
[10] 서적 The Second Anglo-Sikh War Amberley Publishing Limited
[11] 서적 The First Anglo-Sikh War Amberley Publishing 2014-09
[12] 웹사이트 Terms of the Treaty of Amritsar http://www.kashmir-i[...]
[13] 문서 小谷『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年表、p.283
[14] 문서 チョプラ『インド史』、p.171
[15] 웹사이트 Lahore 4 http://www.royalark.[...]
[16] 문서 チャンドラ『近代インドの歴史』、p.81
[17] 문서 チャンドラ『近代インドの歴史』、pp.80-81
[18] 문서 小谷『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p.285
[19] 문서 チャンドラ『近代インドの歴史』、p.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