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크 제국은 19세기 초 란지트 싱이 펀자브 지역의 시크교도들을 통합하여 세운 왕국이다. 1818년 제3차 마라타 전쟁 이후 영국에 대항하는 강력한 세력이었으나, 란지트 싱 사후 분열과 혼란을 겪었다. 1845년과 1848년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1849년 영국령 인도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시크교를 중심으로 힌두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를 포용했으며, 펀자브를 중심으로 카슈미르, 페샤와르 등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크교 - 구르무키 문자
구르무키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펀자브어 표기 문자 체계로, 시크교 구루들에 의해 채택되어 시크교 문학의 주요 문자로 사용되었으며, 펀자브어 통합에 기여하여 인도 펀자브 주의 공식 문자로 지정되었다. - 시크교 - 시크 연맹
시크 연맹은 18세기 펀자브 지역에서 무굴 제국의 쇠퇴 이후 시크교도들이 형성한 자치적인 미슬들의 연합체로, 무굴 통치자들의 박해에 맞서 군대를 조직한 시크교 구루들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으며, 1748년 달 칼사라는 통일된 군대를 결성하여 필요에 따라 연합했으나, 1799년 란지트 싱에 의해 시크 제국으로 통합되었다. - 펀자브의 역사 - 바라타족
바라타족은 고대 인도 아대륙의 사라스바티 강과 드르샤드바티 강 유역에 거주하며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부족으로, 십왕 전쟁 승리 후 푸루족과 연합하여 쿠루족을 형성하고 갠지스 강 상류 지역을 장악했으며, 인도 공화국 공식 명칭인 "바라타"의 어원이 되었다. - 펀자브의 역사 - 시크 연맹
시크 연맹은 18세기 펀자브 지역에서 무굴 제국의 쇠퇴 이후 시크교도들이 형성한 자치적인 미슬들의 연합체로, 무굴 통치자들의 박해에 맞서 군대를 조직한 시크교 구루들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으며, 1748년 달 칼사라는 통일된 군대를 결성하여 필요에 따라 연합했으나, 1799년 란지트 싱에 의해 시크 제국으로 통합되었다. - 파키스탄의 역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파키스탄의 역사 - 파로파미사다이
파로파미사다이는 힌두쿠시 산맥 너머를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산맥에 걸쳐 카불 지방 등을 포함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등 여러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시크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시크 제국, 펀자브 제국 |
고유 명칭 | 사르카르-이-칼사 칼사 라지 |
표어 | 아칼 사하이 (신의 은총으로) |
국가 | 데그 테그 파테 (자선과 무기에 승리를) |
존속 기간 | 1799년 7월 7일 ~ 1849년 3월 29일 |
수도 | 구지란왈라 (1799–1802) 라호르 (1802–1849) |
종교 | 시크교 (9~10%) (국교) 이슬람교 (80%) 힌두교 (10%) 불교, 기독교, 유대교, 기타 (1%) |
통화 | 나낙 샤히 시케 |
언어 | 펀자브어 페르시아어 (법정, 행정) 캉그리어 도그리어 파슈토어 카슈미르어 구즈리어 쿤달 샤히어 발티어 시나어 와키어 부루샤스키어 코와르어 도마리어 라다크어 푸르기어 바다르와히어 바테리어 인더스 코히스타니어 칼라샤어 |
인구 | 1800년대에 12,000,000명 |
면적 | 1839년에 518,000 제곱킬로미터 |
현재 국가 | 인도 파키스탄 |
정치 | |
정부 형태 | 연방 군주제 |
군주 | 마하라자 |
초대 군주 | 란지트 싱 (1801–1839) |
마지막 군주 | 둘리프 싱 (1843–1849) |
섭정 | 찬드 카우르 (1840–1841) 진드 카우르 (1843–1846) |
재상 | 쿠샬 싱 자마다르 (1799–1818) 굴랍 싱 (1846) |
역사 | |
주요 사건 | 란지트 싱의 라호르 점령 (1799년) 제2차 영-시크 전쟁 종결 (1849년) |
이전 국가 | |
다음 국가 |
2. 역사
19세기 초 란지트 싱이 펀자브 지방에 할거하던 시크교도들을 규합하여 시크 제국을 세웠다. 1818년 제3차 마라타 전쟁 이후에도 영국에게 굽히지 않는 유일하고 강력한 왕국으로 이름을 떨쳤다.[18]
1838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영국군에게 아프가니스탄으로 가는 길을 비켜주지 않아 양국 관계가 긴장되기 시작했다. 1839년 란지트 싱이 죽자 시크 제국은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어, 이후 6년 동안 궁중 반란과 암살로 혼란에 빠졌다.
1845년 12월 영국군의 공격을 방지한다는 구실로 영국령 인도를 침범했다가 영국과의 제1차 시크 전쟁이 발발해 크게 패배했다. 이후 1848년 4월 물탄의 지방장관 물라지의 반란으로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나 다시 영국과의 제2차 시크 전쟁이 발발했고 치열한 전투 끝에 시크교도들은 패배하고 1849년 3월 12일 펀자브 지방이 영국령 인도에게 병합당하면서 시크 왕국은 붕괴했다.
시크 제국의 기반은 1707년 오랑제브의 죽음과 무굴 제국의 몰락이 시작된 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무굴 제국이 크게 약화되면서, 구루 고빈드 싱이 창설한 칼사의 재편성인 달 칼사로 알려진 시크 군대는 서쪽의 무굴 제국과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이는 군대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서로 다른 연합체 또는 반독립적인 '미슬'들로 분열되었다. 이러한 각 부대는 서로 다른 지역과 도시들을 통제했다.
시크교는 바부르가 세운 무굴 제국이 북인도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그의 손자인 아크바르는 종교의 자유를 지지했고, 구루 아마르 다스의 랑가르를 방문한 후 시크교에 호의적인 인상을 받았다. 그 결과, 그는 랑가르에 토지를 기증했고, 무굴 제국은 1605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시크교 구루들과 어떤 갈등도 겪지 않았다.[18]
1799년, 란짓 싱은 수도를 구즈란왈라에서 라호르로 옮겼다.[34] 란짓 싱은 1807년 장을 침략한 후 지역 무슬림 지배 세력인 시알 주를 병합했다.[35]
하리 싱 날와는 1825년부터 1837년까지 시크 칼사 군의 참모총장이었다.[36] 그는 카수르, 시알코트, 멀탄, 카슈미르, 아톡 및 페샤와르 정복에서의 역할로 유명하다. 날와는 시크 군대를 이끌고 카슈미르에서 샤 슈자를 구출하고 마하라자 란짓 싱을 위해 코히누르 다이아몬드를 확보했다.
라다크의 낭얄 왕조는 1819년부터 1834년까지 시크 제국에 정기적인 연례 조공을 바쳤다.[37] 낭얄 왕국은 나중에 조라와르 싱의 지휘 아래 도그라에 의해 정복당했다.[38]
1841년 청-시크 전쟁 동안 제국의 군대는 당시 청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티베트 고원을 침략했다.[39] 그러나 이 지배는 단명했고 제국의 군대는 중국과 티베트의 반격으로 인해 라다크로 후퇴해야 했다.[39]
시크 제국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사건 |
---|---|
1699년 | 구루 고빈드 싱이 칼사(Khalsa)를 형성 |
1710년 ~ 1716년 | 반다 싱 바하두르가 무굴 제국을 패배시키고 칼사의 지배를 선포 |
1716년 ~ 1738년 | 혼란의 시대, 실질적인 지배자가 없음 |
1733년 ~ 1735년 | 칼사는 무굴 제국이 부여한 연방 지위를 받아들였다가 거부 |
1748년 ~ 1757년 | 아프가니스탄의 아흐마드 샤 두라니 침략 |
1761년 ~ 1767년 | 파니파트 3차 전투에서 아프가니스탄이 펀자브 지역을 재탈환 |
1763년 ~ 1774년 | 차라트 싱 수케르차키아가 구즈란왈라에 자리를 잡음 |
1764년 ~ 1783년 | 바바 바겔 싱이 무굴 제국에 세금을 부과 |
1783년 | 시크교도들이 무굴 제국으로부터 델리와 붉은 요새를 함락시킴 (1783년 델리 전투 참조) |
1773년 |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죽고 그의 아들 티무르 샤 두라니가 펀자브를 여러 차례 침략 |
1774년 ~ 1790년 | 마하 싱이 수케르차키아 미슬의 미슬다르(Misldar)가 됨 |
1790년 ~ 1801년 | 란지트 싱이 수케르차키아 미슬의 미슬다르가 됨 |
1799년 | 시크 칼사 군 편성 |
1801년 4월 12일 ~ 1839년 6월 27일 | 란지트 싱의 통치 |
1809년 3월 ~ 1809년 8월 | 네팔-시크 전쟁 |
1810년 2월 20일 | 물탄 공성전 |
1813년 6월 1일 | 란지트 싱이 코히누르 다이아몬드를 받음 |
1813년 7월 13일 | 아톡 전투, 시크 제국이 두라니 제국을 상대로 거둔 첫 번째 중요한 승리 |
1818년 3월 ~ 6월 2일 | 물탄 전투, 아프가니스탄-시크 전쟁의 두 번째 전투 |
1819년 7월 3일 | 쇼피안 전투 |
1823년 3월 14일 | 노우셰라 전투 |
1837년 4월 30일 | 자무르드 전투 |
1839년 6월 27일 ~ 1840년 11월 5일 | 카라크 싱의 통치 |
1840년 11월 5일 ~ 1841년 1월 18일 | 찬드 카우르가 잠시 섭정을 맡음 |
1841년 1월 18일 ~ 1843년 9월 15일 | 셰르 싱의 통치 |
1841년 5월 ~ 1842년 8월 | 청-시크 전쟁 |
1843년 9월 15일 ~ 1849년 3월 31일 | 둘립 싱의 통치 |
1845년 ~ 1846년 | 제1차 시크 전쟁 |
1848년 ~ 1849년 | 제2차 시크 전쟁 |
2. 1. 배경
ਸਿੱਖ ਸਾਮਰਾਜpa는 16세기 초 무굴 제국의 지배를 받던 북인도에서 창시된 시크교를 기반으로 한다. 시크교는 나낙을 창시자로 하며, 본래 평화적인 종교였다. 그러나 이슬람 세력인 무굴 제국의 정치적 압력과 인도인의 용맹한 성격 등 여러 요인이 겹쳐 점차 정치 조직 및 군사 조직으로 변화해 갔다.[18]제4대 구루인 람 다스는 암리트사르에 황금 사원을 건립하고, 사제 상속 제도였던 구루직을 세습 제도로 전환시켰다. 1581년 람 다스가 사망하자 아들 아르준이 뒤를 이었고, 암리트사르를 근거지로 세제를 정비하는 등 시크교는 종교 단체에서 정치 결사로 변모했다. 이 과정에서 당시 북인도의 대세력이었던 무굴 제국과의 대립은 필연적이었다.
무굴 제국 제3대 황제 아크바르 시대에는 종교적 화합이 유지되었고, 아르준은 아크바르의 보호를 받았다. 그러나 1605년 아크바르 사후, 자한기르는 성전 개혁을 둘러싸고 아르준과 대립했다. 1606년 아르준은 자한기르의 아들 후스로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살해되었고, 이는 시크교에 순교 정신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제6대 구루 하르고빈드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호위병 제도를 도입하는 등 교단 개혁에 착수하여, 시크교는 군대를 갖추게 되었다. 제9대 구루 테그 바하두르는 인도 전역과 해외에 시크교를 전파하려 했으나, 이교도 억압 정책을 펼친 무굴 황제 아우랑제브와 대립하여 1675년 델리에서 처형되었다.
그 뒤를 이은 아들, 제10대 구루 고빈드 싱은 복수를 외치며 무굴 제국과 본격적으로 군사 충돌을 벌였다. 그는 영아 살해와 순례 참배 등을 폐지하고, 금주·금연 제도를 정하는 등 조직 강화를 도모했다. 1707년 고빈드 싱은 무굴 황제 바하두르 샤 1세에게 귀순했으나, 데칸 원정 중 아프가니스탄인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그의 유언에 따라 성전이 구루로 여겨지게 되었다.
1707년 아우랑제브 사후, 무굴 제국은 급속히 쇠퇴했다. 시크교도들은 반다 싱 바하두르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켰지만, 1716년 6월 19일 제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1740년 이후, 두라니 왕조의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북인도를 침략하여 펀자브 일대가 혼란에 빠졌다.[100] 이 과정에서 시크교도 군단은 12개의 미슬로 나뉘어 각지에 성채를 쌓고 펀자브를 지배했다.
18세기 말, 미슬 간 대립이 발생했고, 1798년 11월 아프가니스탄 세력이 펀자브를 침입하여 라호르 등을 점령하고 암리차르까지 접근했다.[101][102]
2. 2. 시크 제국의 성립과 발전
18세기 말, 수케르차키아 미슬의 지도자 란지트 싱이 등장하여 다른 미슬들을 통합하고 시크 제국을 세웠다. 1799년 7월 란짓 싱은 아프간 세력으로부터 라호르를 되찾았고, 1801년 4월에는 라호르에서 왕위를 선포하였다.[102][101]란짓 싱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술을 바탕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809년 4월 25일에는 영국과 암리차르 조약을 체결하여 사틀레지 강을 경계로 삼았다.[101] 이후, 1818년 물탄 점령, 1819년 카슈미르 정복, 1834년 페샤와르 정복 등 펀자브 지방을 통일했다.
란짓 싱은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정책을 펼쳐, 시크교도뿐만 아니라 힌두교도, 무슬림도 고위 관직에 등용했다. 그의 궁정에는 무슬림 재상 파키르 아지즈-우드-딘(Fakir Azizuddin), 힌두교도 재무대신 디완 디나 나트(Diwan Dina Nath)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인재들이 있었다.[103][104]
2. 3. 시크 제국의 쇠퇴와 멸망
1839년 란지트 싱이 사망한 후, 시크 제국은 권력 투쟁과 내분으로 인해 급격히 쇠퇴했다. 란지트 싱 사후 6년 동안 궁중 반란과 암살이 계속되며 혼란에 빠졌다. 이러한 상황은 영국 동인도 회사에게 기회를 제공했다.1845년 12월, 영국군의 공격을 방지한다는 구실로 시크 군대가 영국령 인도를 침범하면서 제1차 시크 전쟁이 발발했다. 페로제샤 전투에서 시크교도들은 영국 포병보다 우세한 화력을 보였으나, 시크 군대 고위 지휘부의 배신으로 인해 결국 패배했다. 1846년 3월 8일, 시크 제국은 라호르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 일부를 할양하고 영국군의 주둔을 허용해야 했다.
1848년 4월, 물탄의 지방장관 물라지의 반란으로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나 제2차 시크 전쟁이 발발했다. 그러나 시크 제국은 치열한 전투 끝에 패배했고, 1849년 3월 12일 펀자브 지방이 영국령 인도에 병합되면서 멸망했다.[110] 결국, 영국 왕실의 직접 대표인 라호르에 부총독직이 설치되었다.
3. 정치
시크 제국의 공식적인 시작은 1801년 미슬들의 통합으로 통일된 정치 국가가 형성되면서 시작되었다. 군대와 연관된 모든 미슬 지도자들은 시크족 역사에서 오래되고 명망 있는 가문 출신의 귀족들이었다.[4]
제국의 주요 지리적 영역은 서쪽의 펀자브 지역에서 카이버 고개까지, 북쪽의 카슈미르, 남쪽의 신드, 그리고 동쪽의 티베트에 이르렀다.[33]
1799년, 란짓 싱은 수도를 구즈란왈라에서 라호르로 옮겼다.[34] 1807년 장을 침략한 후 지역 무슬림 지배 세력인 시알 주를 병합했다.[35]
하리 싱 날와는 1825년부터 1837년까지 시크 칼사 군의 참모총장이었다.[36] 그는 카수르, 시알코트, 멀탄, 카슈미르, 아톡 및 페샤와르 정복에 큰 역할을 했다.
라다크의 낭얄 왕조는 1819년부터 1834년까지 시크 제국에 정기적인 연례 조공을 바쳤다.[37] 마크폰 왕국은 1839~1840년에 정복되었다.[38][57][58][59]
1841년 청-시크 전쟁 동안 제국의 군대는 티베트 고원을 침략했으나, 곧 후퇴해야 했다.[39]
3. 1. 통치 구조
라호르를 중심으로 한 제국의 통치 궁정은 '라호르 다르바르' 또는 '칼사 다르바르'라고 불렸다.[17][16] 파키르 카나 박물관의 파키르 사이푸딘은 란짓 싱의 궁정에서 무슬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칼사 다르바르"보다는 "펀자브 다르바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49] 통치 궁정은 다양했으며, 궁극적으로 "칼사의 북"이었던 통치 마하라자의 지휘를 받았다.[17] 이론적으로 시크교 궁정은 구루 고빈드 싱이 제창한 칼사의 이상에 기반을 두었지만, 실제로는 세속적이었다.[17] 이러한 세속주의의 한 예로, 궁정의 구성원들은 시크교도, 힌두교도, 무슬림, 기독교도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17] 또한, 구성원들은 도그라, 라즈푸트, 브라만, 자트, 유럽인 등 다양한 민족, 지역, 카스트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17] 란짓 싱 자신은 수수하게 입는 것을 선호했지만, 시크교 궁정은 화려하게 차려입고 장식한 구성원들로 가득 차 있었다.[17]다르바르 내에서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세 명뿐이었는데, 그들은 바로 왕세자 카라크 싱, 칸와르 셰르 싱, 라자 히라 싱이었다.[17] 다르바르 홀의 세 면은 황금 기둥으로 덮여 있었고, 금실과 은실로 수놓아지고 보석을 박은 숄 카펫이 바닥을 장식하고 있었다.[17] 마하라자는 황금 왕좌에 앉았는데, 란짓 싱은 그 위에 다리를 꼬고 앉는 것을 선호했다.[17] 마하라자 뒤에 앉을 수 있는 궁정 구성원은 라자 디안 싱이었다.[17] 나머지 궁정 구성원들은 그들의 계급과 지위에 따라 앉았다.[17] 시크교 궁정의 색깔은 노란색과 녹색이었다.[17] 따라서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카슈미르 실크나 모직으로 만든 노란색 의복을 입었다.[17] 그러나 라호르 다르바르 구성원들의 계급을 엄격하게 분류하는 체계는 없었으므로, 그들의 계급은 마하라자의 신뢰 수준에 따라 결정되었다.[17] 궁정은 구성원들에게 상을 수여했는데, 대부분은 명예직인 칭호였지만, 어떤 구성원들에게는 자기르(토지 부여)가 주어지기도 했다.[17] 궁정에서는 게으름을 매우 싫어했으며, 통치 마하라자는 종종 궁정 구성원들을 군사 또는 외교 임무에 파견했다.[17]
통치 정부의 업무는 라호르, 특히 라호르 요새 내에 있는 무삼만 부르지에서 수행되었다.[17] 오전부터 정오까지 ''디완-이-암''("접견실")에서 공개 법정이 열렸는데, 왕자, 장관, 귀족, 민정 및 군 장교 등 중요한 궁정 구성원들이 참석했다.[17] 궁정에서 논의된 사항에는 고위급 민정 및 군 임명, 주 총독과 카르다르의 보고가 포함된다.[17] 궁정의 사안이 읽히면, 구두로 내려진 왕실 포고령은 최종 승인을 위해 문서로 작성되었다.[17] 궁정에서는 공물과 나자라나도 교환되거나 수여되었다.[17] 궁정에 청원한 사람들은 킬라트(의복)나 금전 선물로 돌려보내졌다.[17] 마하라자가 여행할 때는 궁정이 고정되지 않고, 통치자의 수행원이 정하는 어떤 장소에서든, 종종 나무 아래나 말을 타고 이동하는 중에도 열렸다.[17] 통치자는 군대를 사열하거나 전투 중에도 주지사들에게 명령을 내렸다.[17]
왕실 가족 친척을 포함한 궁정의 귀족 구성원들은 웅장한 하벨리 건물에 거주했고, 값비싼 의류와 액세서리(보석 등)를 착용했다.[17] 시크교 왕자들과 라자 디안 싱은 자신의 소규모 다르바르(궁정)를 열 수 있었다.[17]
3. 2. 외교 관계
시크 제국은 주변국들과 다양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특히 영국 동인도 회사와는 복잡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란지트 싱은 영국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노력했다. 1809년에는 암리트사르 조약을 체결하여 상호 불가침을 약속하기도 했다.[43] 그러나 란지트 싱 사후, 영국은 시크 제국을 침략하여 제1차 영시크 전쟁과 제2차 영시크 전쟁을 일으켰고, 결국 1849년 시크 제국은 멸망했다.[47]시크 왕실은 외국 사절들을 존중하고 환대했으며, 이들의 방문 기록에는 좋은 대우를 받았다는 내용이 많이 남아있다.[17] 외국 방문객이 도착하면 의전 담당관이 맞이하여 임시 거처를 마련해 주고, 왕실에서 접대 비용을 부담했다.[17] 또한 과일, 과자, 와인, 돈과 같은 선물을 제공하기도 했다.[17]
시크 왕실은 제국의 각 주(Subas)에 있는 와카나위스(Waqa'nawis, 뉴스 기자)로부터 보고서를 받아 주변 지역 상황을 파악했고,[17] 외국의 바킬(Vakils, 대리인)들과도 교류했다.[17] 아프가니스탄, 시술레이주, 영국 동인도 회사 통치 지역, 라자스탄(Rajputana), 마라타, 네팔 등에 사절단을 파견하기도 했다.[17]
시크 왕실에는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이탈리아인, 스페인인, 미국인, 러시아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서구/유럽인 관리들이 고위직에 임명되기도 했다.[17] 그러나 왕실은 이들을 경계하여 엄격하게 감시했으며, 현지 여성과 결혼하고, 제국에 정착하며, 수염을 기르거나 터번을 쓰는 등 현지 문화 관습을 따르도록 권유했다.[17] 또한 왕실의 서구인들은 공개적으로 소고기를 먹거나 흡연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7]
시크 제국은 초청받지 않은 외국인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는 국경 정책을 시행하여 잠재적인 외국 스파이들의 입국을 막고자 했다.[50]
4. 지리
시크 제국은 펀자브 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카이버 고개, 북쪽으로는 카슈미르, 남쪽으로는 신드, 동쪽으로는 티베트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차지했다.[33] 1839년에는 그 면적이 약 518.00km2가 넘었으며,[51][52][53] 보다 보수적인 추정치는 100,436 평방마일(260124km2)이다.[68]
역사적으로 시크 제국의 영토는 다음과 같은 현대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펀자브 지역, 남쪽의 미탄코트까지
- * 파키스탄 펀자브, 바하왈푸르 주 제외
- * 인도 펀자브, 수틀레지 강 이남 지역 제외[54]
- * 인도 히마찰프라데시, 수틀레지 강 북서쪽 영토만 해당.
- * 잠무 카슈미르 잠무 지구, 인도와 파키스탄 (1808년–1846년)
- 카슈미르, 1819년 7월 5일부터 1846년 3월 15일까지, 인도/파키스탄[55][56]
- * 카슈미르 계곡, 인도 (1819년–1846년)
- * 발티스탄, 1840년 이후[57][58][59]
- * 길기트-발티스탄 길기트, 파키스탄, 1842년–1846년
- * 라다크, 인도 (1834년–1846년)[60][61][38]
- 파키스탄 카이버 푸크툰크와 주의 하부 지역.[62]
- * 페샤와르[63] (1818년 점령, 1834년 재탈환)
- * 와지리스탄 제외, 란짓 싱은 와지리스탄 정복을 시도하지 않았다.[64][65]
잠루드 지구(카이버 기관, 파키스탄)는 시크 제국의 서쪽 끝이었다.
시크 제국은 여러 주(수바(Subas)로 알려짐)[68]으로 나뉘었는데, 주요 주는 다음과 같다.
번호 | 이름 | 추정 인구 (1838년) | 주요 도시 |
---|---|---|---|
1. | 라호르 수바 | 1,900,000 | 라호르 |
2. | 멀탄 수바 | 750,000 | 멀탄 |
3. | 페샤와르 수바 | 550,000 | 페샤와르 |
4. | 데라자트 수바 | 600,000 | 데라가지칸, 데라이스마일칸 |
5. | 잠무와 산악 주 수바 | 1,100,000 | 스리나가르 |
5. 종교
시크 제국은 시크교, 힌두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던 지역이었다. 1800년대 칼사 제국 내 종교 비율은 이슬람교 69%, 힌두교 24%, 시크교 6%, 기타 종교 1% 순이었다.[1][84] 란짓 싱 통치 시기 시크 제국의 인구는 약 1,200만 명으로 추산되었는데, 무슬림 840만 명, 힌두교도 288만 명, 시크교도 72만 2천 명이었다.[1][84]
다른 자료에서는 시크교도 10~12%,[85][86] 무슬림 80%,[85] 힌두교도 10% 미만으로[85] 추정하기도 하고, 1881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무슬림 51%, 힌두교도 40%, 시크교도 약 8%, 나머지 1%는 유럽인이라는 수치도 제시되었다.[87] 1838년 제국 전체 인구는 약 535만 명으로 추산되기도 한다.[68]
당시 시크교 인구의 약 90%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상류 바리 도압, 자란다르 도압, 상류 라크나 도압에 집중되었다. 1830년대 이 지역들은 전체 인구의 약 1/3을 차지했으며, 핵심 지역 시크교 인구의 절반은 후대 라호르와 암리차르 지역에 해당한다.[86]
1839년, 카자르 페르시아 마슈하드에서 현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알라다드"라는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다.[89] 페르시아에서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 난민들은 시크 제국에 정착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라왈핀디와 페샤와르에 정착했으며,[90][91][92][93][89]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인도로 이주했다.[94][89]
5. 1. 종교 정책
시크 제국은 다양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시크교도뿐만 아니라 힌두교도, 무슬림도 고위 관직에 등용될 수 있었다.[69]파키르 아지즈우딘(Fakir Azizuddin)은 제국의 외무장관이자 마하라자의 통역관으로, 영국과의 협상 등 중요한 사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도스트 무함마드 칸(Dost Muhammad Khan)과의 협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파키르 형제들은 란짓 싱의 신뢰받는 개인 고문, 조력자이자 측근이었다.
샤스트라(Shastras)와 코란(Quran)에 따라 모든 신앙 집단, 직업, 사회 계층의 사람들을 그들의 신앙 교리에 따라 평등하게 대우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무슬림을 위한 특별 법원이 설치되어 무슬림 법에 따라 판결을 내렸고, 일반 법원은 지방과 사회-민족 집단의 관습법에 따라 정의를 집행했다.
하리 싱 날와(Hari Singh Nalwa), 미르 디완 찬드(Misr Diwan Chand), 일라히 벡쉬(Ilahi Bakhsh) 등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장군들이 군대에서 활약했다. 주요 직책 임명은 능력과 충성심에 기반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종교 및 출신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고위직을 맡았다.
하지만, 제국 내에서는 힌두교도의 감정과 관련된 소 도축 금지령이 시행되었다.[71][72] 시크교도들은 무슬림들의 편견을 사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무슬림 인구를 소외시키는 정책이 시행되기도 했다.[75] 치트랄렉하 주시(Chitralekha Zutshi)와 윌리엄 R. 폴크(William R. Polk)에 따르면, 시크교 주지사들은 소 도축 금지, 아잔(Adhan)(이슬람 기도 호출) 금지, 모스크 몰수 등의 정책을 펼쳤다.[77][78]
5. 2. 종교 분포
1800년대 칼사 제국 내 종교 비율은 이슬람교가 69%로 가장 많았고, 힌두교 24%, 시크교 6%, 기타 종교 1% 순이었다.[1][84] 란짓 싱 통치 시기 시크 제국의 인구는 약 1,20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무슬림 840만 명, 힌두교도 288만 명, 시크교도 72만 2천 명이었다.[1][84]다른 자료에서는 시크교도 10~12%,[85][86] 무슬림 80%,[85] 힌두교도 10% 미만으로[85] 추정하기도 한다. 수르짓 한스는 1881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무슬림 51%, 힌두교도 40%, 시크교도 약 8%, 나머지 1%는 유럽인이라는 다른 수치를 제시했다.[87] 아마린더 싱의 저서에 따르면 1831년 인구는 350만 명이었다.[88] 한스 헤를리는 1838년 제국 전체 인구를 약 535만 명으로 추산했다.[68]
당시 시크교 인구의 약 90%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상류 바리 도압, 자란다르 도압, 상류 라크나 도압에 집중되었다. 1830년대 이 지역들은 전체 인구의 약 1/3을 차지했으며, 핵심 지역 시크교 인구의 절반은 후대 라호르와 암리차르 지역에 해당한다.[86]
1839년, 카자르 페르시아 마슈하드에서 현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한 "알라다드"라는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다.[89] 페르시아에서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 난민들은 시크 제국에 정착했다.[89] 이들은 대부분 라왈핀디와 페샤와르에 정착했으며,[90][91][92][93][89]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인도로 이주했다.[94][89]
6. 경제
시크 제국은 토지세를 주요 수입원으로 하였으며, 이 외에도 관세, 소비세, 독점 사업 등 다양한 수입원을 통해 경제를 유지했다.[96]
6. 1. 수입

시크 제국의 주요 수입원은 토지세였으며, 국가 수입의 약 70%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관세, 소비세, 독점 사업 등이 있었다.[96]
순서 | 내역 | 수입(루피) | |
---|---|---|---|
1 | 토지세 | ||
1.a | 조공국가 | 565000INR | |
1.b | 농장 | 17985000INR | |
1.c | 자선 부동산 | 2000000INR | |
1.d | 자치령(자기르) | 9525000INR | |
2 | 관세 | 2400000INR | |
합계 | 32475000INR |
7. 군사
19세기 초, 란지트 싱은 펀자브 지역의 시크교도들을 통합하여 강력한 시크 제국을 건설하였다. 하리 싱 날와는 1825년부터 1837년까지 시크 칼사 군의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카수르, 시알코트, 멀탄, 카슈미르, 아톡, 페샤와르 정복에 큰 공을 세웠다.[36] 그는 시크 군대를 이끌고 카슈미르에서 샤 슈자를 구출하고 코히누르 다이아몬드를 확보하기도 했다. 또한 카슈미르와 하자라의 주지사로서 조폐국을 설립하여 세수 징수를 원활하게 하였다.[36] 그의 국경 정책은 훗날 영국 라지가 카이버 고개를 장악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시크 제국의 국경을 인더스 강까지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36]
1841년, 시크 제국군은 청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티베트 고원을 침략하기도 하였으나,[39] 중국과 티베트의 반격으로 인해 라다크로 후퇴해야 했다.[39]
8. 역대 군주
번호 | 이름 | 초상화 | 출생 및 사망 | 재위 기간 | 비고 | ||||
---|---|---|---|---|---|---|---|---|---|
1 | 란짓 싱 | ![]() | 1780년 11월 13일 (구자란왈라) | 1839년 6월 27일 (라호르) | 1801년 4월 12일 | 1839년 6월 27일 | 최초의 시크교 지도자 | 뇌졸중 | |
2 | 카락 싱 | ![]() | 1801년 2월 22일 (라호르) | 1840년 11월 5일 (라호르) | 1839년 6월 27일 | 1839년 10월 8일 | 란짓 싱의 아들 | 독살 | |
3 | 나우 니할 싱 | ![]() | 1820년 2월 11일 (라호르) | 1840년 11월 6일 (라호르) | 1839년 10월 8일 | 1840년 11월 6일 | 카락 싱의 아들 | 암살 | |
찬드 카우르 | ![]() | 1802년 (파테흐가르 추리안) | 1842년 6월 11일 (라호르) | 1840년 11월 6일 | 1841년 1월 18일 | 카락 싱의 아내 | 퇴위 | ||
4 | 셰르 싱 | ![]() | 1807년 12월 4일 (바탈라) | 1843년 9월 15일 (라호르) | 1841년 1월 18일 | 1843년 9월 15일 | 란짓 싱의 아들 | 암살 | |
5 | 둘립 싱 | ![]() | 1838년 9월 6일 (라호르) | 1893년 10월 22일 (파리) | 1843년 9월 15일 | 1849년 3월 29일 | 란짓 싱의 아들 | 망명 | |
진드 카우르 | ![]() | 1817년 (구자란왈라) | 1863년 8월 1일 (켄싱턴) | 1843년 9월 15일 | 1849년 3월 29일 | 란짓 싱의 아내 | 망명 |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2021-06-15
[2]
서적
The First Anglo-Sikh War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21-12-12
[3]
서적
Ranjit Singh: A Secular Sikh Sovereign
http://www.exoticind[...]
Exoticindiaart.com
2009-08-09
[4]
백과사전
[5]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Chapter 6: The Sikh empire (1799–18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0-25
[6]
서적
The Sikh Zafar-namah of Guru Gobind Singh: A Discursive Blade in the Heart of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20-07-02
[7]
서적
Ranjit Singh: A Secular Sikh Sovereign
http://www.exoticind[...]
Exoticindiaart.com
2009-08-09
[8]
백과사전
[9]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Chapter 6: The Sikh empire (1799–18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0-25
[10]
서적
History of the Sikhs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2023-03-16
[11]
서적
History of the Sikh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The Last Sunset: The Rise and Fall of the Lahore Durbar
[13]
웹사이트
The Encyclopaedia of Sikhism
https://web.archive.[...]
2014-05-08
[14]
서적
The Construction of Religious Boundaries: Culture, Identity, and Diversity in the Sikh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서적
Catalogue of the Historical Maps of the Survey of India, 1700–1900
National Archives of India
[16]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South Asian Religions
Routledge
[17]
서적
The Encyclopedia of Sikhism
Punjabi University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Faiths Across Time: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1-03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웹사이트
Gobind Singh Guru (1666–1708)
https://web.archive.[...]
Punjabi University Patiala
2014-05-08
[25]
웹사이트
Banda Singh Bahadur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5-15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Sri Gur Panth Prakash: Episodes 1 to 81
Institute of Sikh Studies
[29]
웹사이트
Sikh Period – National Fund for Cultural Heritage
https://web.archive.[...]
Heritage.gov.pk
2009-08-09
[30]
서적
The History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3-04-03
[31]
서적
The Sikhs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ing Group
2020-11-07
[32]
웹사이트
Sikhs' Relation with Hill States
https://www.thesikhe[...]
2019-04-13
[33]
서적
History of the Sikhs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2023-03-16
[34]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iddle East,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20-11-07
[35]
서적
State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on-Muslim Hegemony: Post-Mughal 19th-century Punjab
Sage Publications India
[36]
서적
War, Culture and Society in Early Modern South Asia, 1740–1849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12-10
[37]
서적
The Kingdom of Ladakh, c. 950–1842 A.D.
In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38]
학술지
Gulab Singh and the Creation of the Dogra State of Jammu, Kashmir, and Ladakh.
https://web.archive.[...]
1961
[39]
서적
China's Regional Development and Tibet
Springer
2015
[40]
서적
Aspects of India's International Relations, 1700 to 2000: South Asia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20-11-07
[41]
서적
Aspects of India's International Relations, 1700 to 2000: South Asia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20-11-07
[42]
서적
History of Pepsu: Patiala and East Punjab States Union, 1948–1956
Konark Publishers
[43]
웹사이트
Sikh Wars
http://www.sikh-heri[...]
2019-04-13
[44]
서적
Aspects of India's International Relations, 1700 to 2000: South Asia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20-11-07
[45]
문서
Sangat Singh, the Sikhs in History.
[46]
서적
Aspects of India's International Relations, 1700 to 2000: South Asia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20-11-07
[47]
문서
Ranjit Singh: administration and British policy, (Prakash, pp. 31–33)
[48]
문서
Maharaja Ranjit Singh, the last to lay arms, (Duggal, pp. 136–137)
[49]
웹사이트
Fieldwork in Punjab, Pakistan, March 2018
https://lawforms.hyp[...]
2024-08-18
[50]
웹사이트
The Maharaja, the Spy & the Temple of Gold
http://goldentemple1[...]
2024-08-11
[51]
서적
Bayonet to Barrage Weaponry on the Victorian Battlefield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Limited
2023-03-19
[52]
서적
Heroic Failure and the British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3-03-19
[53]
서적
British power in the Punjab, 1839–1858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House
2023-03-19
[54]
서적
Punjab Current Affairs Yearbook 2020
https://books.google[...]
2024-01-19
[55]
문서
The Masters Revealed, (Johnson, p. 128)
[56]
문서
Britain and Tibet 1765–1947, (Marshall, p. 116)
[57]
학술지
The Nurbakhshis of Baltistan: Crisis and Revival of a Five Centuries Old Community
http://www.jstor.org[...]
2023-06-30
[58]
서적
Trekking in the Karakoram & Hindukush
Lonely Planet Publications
[59]
서적
In the Wonderland of Asia, Gilgit & Baltistan
Sang-e-Meel Publications
[60]
서적
India's Major Military and Rescue Operations
https://books.google[...]
Horizon Books
2020-11-07
[61]
웹사이트
Frontier: The Making of the Northern and Eastern Border in Ladakh From 1834 to the Present
https://digitalcolle[...]
SIT Digital Collections Independent Study Project (ISP) Collection. 920
2019-04-15
[62]
서적
Frontier Facets: Pakistan's North-West Frontier Province
https://books.google[...]
National Book Foundation ; Lahore
2024-01-04
[63]
문서
The Khyber Pass: A History of Empire and Invasion, (Docherty, pp. 185–187)
[64]
서적
History of the Sikhs: The Sikh Lion of Lahore, Maharaja Ranjit Singh, 1799–1839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1978
[65]
서적
Imperial Frontier: Tribe and State in Wazirist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1-19
[66]
서적
Marriage Among Muslims: Preference and Choice in Northern Pakistan
https://books.google[...]
Brill
[67]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 Ranjit Singh
http://www.britannic[...]
2015-01-31
[68]
서적
The Coins of the Sikhs
[69]
서적
Maharaja Ranjit Singh: The Last to Lay Arms
Abhinav Publications
[70]
서적
The Last Sunset: The Rise and Fall of the Lahore Durbar
Roli Books
[71]
서적
Sacred Cows, Sacred Pla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2]
서적
A Personal Narrative of a Visit to Ghuzni, Kabul, and Afghanistan, and a Residence at the Court of Dost Mohammed
Whittaker and Co.
[73]
서적
The Sacred City of the Hindus: An Account of Benares in Ancient and Modern Times
https://archive.org/[...]
Trübner & co.
[74]
서적
Resurrecting Banaras: Urban Space, Architecture and Religious Boundaries
https://books.google[...]
[75]
서적
Travels in Kashmir and the Panjab, containing a Particular Account of the Government and Character of the Sikhs
Low Price Publications
[76]
서적
Narrative of Various Journeys in Balochistan, Afghanistan and the Panjab
Richard Bentley
[77]
서적
Kashmi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19
[78]
서적
Crusade and Jihad: The Thousand-year War Between the Muslim World and the Global North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9]
서적
Modern Ladakh: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Continuity and Change
https://books.google[...]
Brill
2023-03-19
[80]
학술지
The History of Muslims in Central Ladakh
https://www.jstor.or[...]
[81]
서적
Hidden Caliphate: Sufi Saints Beyond the Oxus and Indu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03-11
[82]
서적
The Friday Mosque in the City: Liminality, Ritual,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Intellect Books
2022-03-11
[83]
서적
The Sikh struggle : origin, evolution, and present phase
https://www.worldcat[...]
Chanakya Publications
2023-03-05
[84]
학술지
Scheduled Castes in Sikh Community: A Historical Perspective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85]
서적
Maharaja Ranjit Singh, the last to lay arms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19-04-15
[86]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5-16
[87]
학술지
Why are we sentimental about Ranjit Singh?
[88]
서적
The Last Sunset: The Rise and Fall of the Lahore Durbar
Roli Books
[89]
웹사이트
When Jews Found Refuge in the Sikh Empire
https://aish.com/whe[...]
2023-09-03
[90]
웹사이트
The lost Jewish history of Rawalpindi, Pakistan
http://blogs.timesof[...]
2016-03-03
[91]
서적
Islam, race, and pluralism in the Pakistani diaspora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3-02-27
[92]
웹사이트
Pakistani Jews and PTI
https://dailytimes.c[...]
2018-05-12
[93]
웹사이트
Rawalpindi – Rawalpindi Development Authority
https://rda.gop.pk/r[...]
[94]
서적
Violent belongings : partition, gender, and national culture in postcolonial India
https://www.worldcat[...]
Temple University Press
2023-03-07
[95]
서적
A History of the Sikhs, from the Origin of the Nation to the Battles of the Sutlej
https://books.google[...]
J. Murray
2022-01-18
[9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rajastha[...]
2023-08-03
[97]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4-15
[98]
학술지
Raja Gulab Singh's Role in the First Anglo-Sikh War
[99]
문서
Miniature painting from the photo album of princely families in the Sikh and Rajput territories
[100]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01]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02]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年表
[103]
서적
近代インドの歴史
[104]
서적
Travels in Kashmir and the Panjab, containing a Particular Account of the Government and Character of the Sikhs
Low Price Publications
[105]
서적
近代インドの歴史
[106]
서적
세계역사대계 남아시아사2―중세·근세―
[107]
서적
인도사
[108]
웹사이트
Lahore 4
http://www.royalark.[...]
[109]
서적
세계역사대계 남아시아사2―중세·근세―
[110]
서적
인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