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요시다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 발족하여 1947년 5월 24일 총사퇴한 일본의 내각이다. 전후 첫 총선거에서 자유당이 승리한 후, 공직 추방된 하토야마 이치로 대신 요시다 시게루가 총리가 되어 자유당과 진보당의 연립 내각을 구성했다. 주요 정책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심각한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1947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승리하면서 내각은 총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데하라 기주로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 시데하라 기주로 - 이와사키 야타로
    이와사키 야타로는 메이지 시대의 실업가이자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 출신으로, 해운업을 중심으로 미쓰비시를 일본 최대 기업으로 성장시키고 정경유착 및 독점 비판을 받았으며, 현재 미쓰비시 그룹의 기반을 구축한 창업자이다.
  • 1947년 일본 - 황실전범
    황실전범은 일본 헌법에 따라 황위 계승을 남계 남성 후손으로 제한하고 황실 운영을 규정하는 법률로, 제정 당시 여성 천황 승계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황위 계승, 섭정, 황실 구성원 등을 규정하며 2017년 천황 퇴위 특례법이 제정되었다.
  • 1947년 일본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 1946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6년 일본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46년 일본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이 인정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요시다 시게루가 총리가 되었고 39명의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
내각 대수45
수상요시다 시게루
수상 전직외무대신, 귀족원 의원
성립일1946년 5월 22일
종료일1947년 5월 24일
여당일본자유당
(일본진보당 →) 민주당
선거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해산1947년 3월 31일 (신헌법 해산)
명단내각 명단
요시다 시게루 내각
기본 정보
내각 번호45대
정부 수반요시다 시게루
정부 수반 직책총리
부총리기주로 시데하라 (1947년 5월 3일부터)
국가 수반히로히토
국가 수반 직책천황
관할 국가일본
국기[[File:Flag of Japan.svg|일본 국기]]
출범일1946년 5월 22일
해산일1947년 5월 24일
선거
이전 선거1946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1947년 일본 총선거
임기제90대 ~ 92대 제국의회
제1대 국회
야당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
일본협동당
의회 상태다수 (연립)
정당(연합군 점령)
자유당
일본진보당 (1947년 3월 31일까지)
민주당 (1947년 3월 31일부터)
이전 및 다음 내각
이전 내각시데하라 내각
다음 내각가타야마 내각

2. 성립 배경

1946년 4월 10일에 실시된 전후 첫 총선거에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38] 시데하라 내각은 총사퇴하고, 일본자유당 총재 하토야마 이치로가 후임 총리로 지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하토야마는 GHQ에 의해 공직에서 추방되면서 총리직을 맡을 수 없게 되었다.

하토야마는 요시다 시게루에게 자유당 총재직을 넘겼고, 요시다는 시데하라의 추천을 받아 쇼와 천황으로부터 내각 조성의 대명을 받았다. 5월 22일, 일본진보당과의 연립을 통해 제1차 요시다 내각이 발족했다.

2. 1. 하토야마 이치로 공직 추방 사건

연합군 최고사령부로부터 하토야마 이치로를 공직에서 추방하라는 지령이 내려오면서, 하토야마는 총리직을 맡을 수 없게 되었다.[38] 하토야마는 후임 총재로 후루시마 카즈오에게 부탁했으나 거절당했고, 마쓰다이라 쓰네오에게도 설득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하토야마는 요시다 시게루에게 총재직을 제안했다. 요시다는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마쓰노 츠루헤이의 설득과 GHQ의 압박을 고려하여 세 가지 조건을 걸고 총재직을 수락했다. 요시다는 하토야마의 추방이 해제되면 즉시 총재직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돈을 만들지 않는다.

# 각료 선정에 일절 간섭하지 않는다.

# 그만두고 싶으면 언제든지 그만둔다.

3. 내각 구성

복원위원회 위원장 (1946년 6월 15일부터)시데하라 기주로 남작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
행정조사회 위원장 (1946년 10월 28일부터)사이토 다카오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6년 7월 1일국무대신우에하라 에쓰지로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1월 31일국무대신가나모리 도쿠지로무소속1946년 6월 19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
경제안정위원회 위원장 (1946년 8월 12일부터)
가격위원회 위원장 (1946년 8월 12일부터)젠 게이노스케무소속1946년 7월 23일1947년 1월 31일내각관방장관하야시 조지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내각법제국장이리에 도시오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내각관방부장관기우치 시로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6년 6월 14일스토 히데오무소속1946년 6월 14일1947년 5월 24일출처:[1]



국회 부대신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 부대신마스타니 슈지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내무 부대신오노 반보쿠자유당1946년 6월 4일1946년 6월 22일
세코 고이치자유당1946년 6월 22일1947년 3월 4일
재무 부대신우에쓰카 쓰카사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법무 부대신후루시마 요시히데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문부 부대신나가노 나가히로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농림 부대신오이시 린지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상공 부대신고바야시 가나에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운수 부대신마쓰다 마사카즈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후생 부대신핫토리 이와키치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체신 부대신나카가와 시게하루민주당1946년 7월 1일1947년 5월 24일



국회 차관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 차관시오쓰키 마나부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내무 차관가쓰라 사쿠조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재무 차관시바타 효이치로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법무 차관나카무라 마타이치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문부 차관하나무라 시로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농림 차관스즈키 교헤이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상공 차관오코노기 우타지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운수 차관쓰지 간이치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후생 차관사토 히사오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체신 차관야마무라 신지로자유당1946년 7월 1일1947년 3월 4일



1946년 5월 22일에 발족한 제1차 요시다 내각은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외무대신과 제1, 2복원대신을 겸임하고, 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 형태로 구성되었다. 각료 명단, 국회 부대신, 국회 차관은 위 표와 같다.

이후 1947년 1월 31일 내각 개조를 통해 일부 각료가 교체되었고,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에 따라 내각관방이 설치되고 내각서기관장은 폐지되었다. 내각관방장관에는 하야시 조지가 임명되었다.

3. 1. 내각 발족 (1946년 5월 22일)

구 헌법 아래에서 천황으로부터 내각 조성의 대명을 받아 발족한 마지막 내각이다. 1946년 4월 10일에 열린 전후 첫 총선거에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면서 시데하라 내각은 총사직하였다.[38] 시데하라 기주로는 4월 30일에 자유당 총재인 하토야마 이치로를 후계 총리로 추천했고, 하토야마는 즉시 내각 조성에 들어갔다. 그러나 5월 4일,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로부터 하토야마를 공직 추방한다는 지령이 내려졌다.[38]

하토야마는 고지마 가즈오에게 후계 총재직을 설득했으나 고지마는 고령을 이유로 거절했다. 이후 마쓰다이라 쓰네오에게 총재직을 제안했으나, 마쓰다이라와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하토야마는 요시다 시게루에게 총재직을 제안했고, 마쓰노 쓰루헤이의 설득 끝에 요시다는 세 가지 조건(각료 선정에 간섭하지 않는 등)을 걸고 총재직을 수락했다.

5월 16일, 요시다는 쇼와 천황으로부터 내각 조성의 대명을 받았다. 요시다는 자유당 간부들과 상의 없이 독자적으로 각료를 선정하였고, 5월 22일 일본진보당과의 연립을 통해 제1차 요시다 내각을 발족시켰다.[38]

3. 1. 1. 국무대신

복원위원회 위원장 (1946년 6월 15일부터)시데하라 기주로 남작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
행정조사회 위원장 (1946년 10월 28일부터)사이토 다카오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6년 7월 1일국무대신우에하라 에쓰지로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1월 31일국무대신가나모리 도쿠지로무소속1946년 6월 19일1947년 5월 24일국무대신
경제안정위원회 위원장 (1946년 8월 12일부터)
가격위원회 위원장 (1946년 8월 12일부터)젠 게이노스케무소속1946년 7월 23일1947년 1월 31일내각관방장관하야시 조지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내각입법국장이리에 도시오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내각관방부장관기우치 시로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6년 6월 14일스토 히데오무소속1946년 6월 14일1947년 5월 24일출처:[1]


3. 1. 2. 내각서기관장, 법제국 장관 등

하야시 조지 (중의원, 일본자유당)가 내각서기관장을 맡았고, 이리에 도시오 (귀족원, 동화회)가 법제국 장관을 맡았다.[1]

직책성명출신 등비고
내각서기관장하야시 조지중의원
일본자유당
법제국 장관이리에 도시오귀족원[4],
무소속
(동화회)
유임
내각관방부장관키우치 시로대장성사무 인계
1946년 6월 14일 면직
스토 히데오농림성1946년 6월 14일 임명[21]


3. 1. 3. 정무차관, 참여관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 정무 차관이누카이 다케루자유당1945년 10월 31일1946년 6월 4일
외무 정무 차관마스타니 슈지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외무 정무 차관혼다 에이사쿠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내무 정무 차관가와사키 스에고로자유당1945년 10월 31일1946년 6월 4일
내무 정무 차관오노 반보쿠자유당1946년 6월 4일1946년 6월 22일
내무 정무 차관세코 고이치자유당1946년 6월 22일1947년 3월 4일
내무 정무 차관하야시 렌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대장 정무 차관유타니 요시하루자유당1945년 10월 31일1946년 6월 4일
대장 정무 차관우에쓰카 쓰카사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대장 정무 차관기타무라 도쿠타로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사법 정무 차관후루시마 요시히데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사법 정무 차관기타우라 게이타로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문부 정무 차관나가노 나가히로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문부 정무 차관아오키 다카요시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농림 정무 차관오이시 린지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농림 정무 차관모리 고타로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상공 정무 차관고바야시 가나에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상공 정무 차관호리 시게루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4월 28일
운수 정무 차관마쓰다 쇼이치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운수 정무 차관아이자와 간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후생 정무 차관핫토리 이와키치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후생 정무 차관오가사와라 야소미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체신 정무 차관나카가와 시게하루민주당1946년 7월 1일1947년 5월 24일
외무참여관시오쓰키 마나부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외무참여관하라 겐자부로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내무참여관가쓰라 사쿠조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내무참여관미즈타 미키오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대장참여관시바타 효이치로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대장참여관다카하시 에이키치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사법참여관나카무라 마타이치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사법참여관요시다 안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문부참여관하나무라 시로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문부참여관가와사키 히데지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농림참여관스즈키 교헤이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농림참여관혼마 슌이치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상공참여관스즈키 센파치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운수참여관쓰지 간이치자유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후생참여관사토 히사오진보당1946년 6월 4일1947년 3월 4일
후생참여관데라시마 류타로진보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4일
체신참여관야마무라 신지로자유당1946년 7월 1일1947년 3월 4일
체신참여관쓰보카와 신조자유당1947년 3월 4일1947년 5월 23일


3. 2. 내각 개조 (1947년 1월 31일)

1947년 1월 31일, 내각 개조가 단행되어 일부 각료가 교체되었다.[1]

1947년 1월 31일 개조 내각 각료 명단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총리요시다 시게루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외무대신요시다 시게루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내무대신우에하라 에쓰지로자유당1947년 1월 31일1947년 5월 24일
재무대신 겸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물가청 장관이시바시 단잔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법무대신기무라 도쿠타로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문부대신다카하시 세이이치로무소속1947년 1월 31일1947년 5월 24일
후생대신가와이 요시나리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2일
농림대신요시다 시게루 (겸임)자유당1947년 1월 31일1947년 2월 15일
농림대신기무라 고자에몬민주당1947년 2월 15일1947년 5월 24일
상공대신이시이 미쓰지로자유당1947년 1월 31일1947년 5월 24일
운수대신마스다 가네시치자유당1947년 1월 31일1947년 5월 24일
체신대신히토쓰마쓰 사다요시민주당1946년 7월 1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 겸 복원청 총재시데하라 기주로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 겸 행정조사부 총재사이토 다카오민주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 (헌법 담당)가나모리 도쿠지로무소속1946년 6월 19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이시바시 단잔무소속1947년 1월 31일1947년 3월 20일
국무대신호시지마 니로자유당1947년 1월 31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다나카 만이쓰민주당1947년 2월 28일1947년 5월 24일
국무대신 겸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물가청 장관다카세 소타로무소속1947년 3월 20일1947년 5월 24일
내각서기관장하야시 조지자유당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3일
법제국 장관이리에 도시오무소속1946년 5월 22일1947년 5월 24일
내각 부서기관장스토 히데오무소속1946년 6월 14일1947년 4월 30일



개조 이전과 비교하여 다카하시 세이이치로가 문부대신, 기무라 고자에몬이 농림대신, 이시이 미쓰지로가 상공대신, 마스다 가네시치가 운수대신, 다카세 소타로가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겸 물가청 장관으로 새로 임명되었다. 또한, 이시바시 단잔은 재무대신직을 유지하면서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과 물가청 장관을 겸임하다가 3월 20일 다카세 소타로에게 이관하였다.

3. 3. 헌법 개정 후 (1947년 5월 3일)

日本国憲法일본어 시행에 따라 내각관방이 설치되었고, 내각서기관장은 폐지되었다. 내각관방장관에는 하야시 조지(중의원, 일본자유당)가 임명되었다.[32]

4. 주요 정책 및 활동

일본국 헌법 시행과 제2차 농지개혁 등 중요한 과제를 수행했다. 그러나 식량 상황 악화와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정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38] 1947년 4월, 새 헌법 아래 처음으로 치러진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및 제1회 참의원의원 통상선거에서 여당은 선전했지만,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면서 내각은 총사직했다.[38]

1947년 3월 4일에 임명된 참여관은 다음과 같다.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 참여관하라 겐자부로중의원/(일본진보당→)민주당
내무 참여관미즈타니 산키오중의원/일본자유당
대장 참여관다카하시 에이키치중의원/일본자유당
사법 참여관요시다 야스시중의원/(일본진보당→)민주당
문부 참여관가와사키 히데지중의원/(일본진보당→)민주당
농림 참여관혼마 슌이치중의원/(일본진보당→)민주당
상공 참여관스즈키 센파치중의원/일본자유당
운수 참여관(결원)
후생 참여관데라시마 류타로중의원/(무소속→일본진보당→)일본진보당
체신 참여관쓰보카와 신조중의원/(무소속→일본진보당→)민주당


4. 1. 식량 위기

전후 일본은 심각한 식량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제1차 요시다 내각은 식량 확보를 위해 노력했지만, 식량난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1946년에는 식량 배급 지연과 식량난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인 식량 메이데이 사건이 발생했다. 요시다 시게루는 시위대를 "불령선인"이라고 비난하며 강경하게 대응했다.[38]

4. 2. 2.1 총파업 시도와 좌절

1947년 2월 1일, 전일본관공직노동조합(전관)을 중심으로 한 총파업이 계획되었으나,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의 중지 명령으로 실행되지 못했다.[38] 이는 전후 노동 운동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5. 평가

제1차 요시다 내각은 전후 일본의 혼란을 수습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 개혁 등 굵직한 개혁 과제를 수행하며 전후 일본의 기틀을 다졌다.[37]

그러나 2.1 총파업 중지 명령[38] 등 노동 운동 탄압과 식량 위기 대응 실패와 같은 비판점도 존재한다.

5. 1. 진보적 관점에서의 비판

요시다 시게루는 보수적인 정치인으로, 민주화 개혁에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2.1 총파업 중지 명령 등 노동 운동에 대한 강경 대응은 노동자의 권익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8] 일본국 헌법 시행과 제2차 농지 개혁 등의 과제를 수행했지만, 식량 문제 해결에 실패하여 국민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6. 종말

일본국 헌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1947년 4월 20일에 치러진 제23회 중의원의원 총선거와 4월 25일의 제1회 참의원의원 통상선거에서 여당은 선전했지만,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었다.[38] 따라서 여당은 연립을 재구성하여 정권에 계속 머무르는 것보다 물러나는 길을 선택했고, 이에 따라 내각은 총사퇴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irst Yoshida Cabinet http://www.kantei.go[...]
[2] 웹사이트 衆参選挙、国会回次、歴代内閣対応表 https://www.sangiin.[...]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46-05-22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일반
[10] 일반
[11] 간행물 『官報』第5844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7-09
[12] 일반
[13] 일반
[14] 일반
[15] 간행물 『官報』第5830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6-22
[16] 일반
[17] 간행물 『官報』第5832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6-25
[18] 일반
[19] 간행물 『官報』第5862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7-30
[20]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46-05-22
[21] 간행물 『官報』第5830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6-22
[22] 간행물 『官報』第5823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6-14
[23] 간행물 『官報』第5837号「叙任及辞令」 NDLDC 1946-07-01
[24]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47-01-31
[25] 일반
[26] 일반
[27] 일반
[28] 간행물 『官報』第6033号「叙任及辞令」 NDLDC 1947-02-25
[29] 간행물 『官報』第6057号「叙任及辞令」 NDLDC 1947-03-26
[30] 일반
[31] 간행물 『官報』第6038号「叙任及辞令」 NDLDC 1947-03-03
[32] 일반
[33] 일반
[34] 간행물 『官報』第6105号「彙報」 NDLDC 1947-05-24
[35] 일반
[36] text
[37]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46-05-22
[38] 뉴스 農相に那須晧博士、組閣やつと完了 http://showa.mainich[...] 1946-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