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은 1848년부터 1849년까지 이탈리아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사르데냐 왕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전쟁이다. 1848년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혁명의 불길은 이탈리아 전역으로 번져 자유주의 헌법 제정과 외세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봉기로 이어졌다. 사르데냐 왕국은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하며 전쟁에 참여했지만, 교황령과 나폴리 왕국의 지원 철회,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으로 인해 사르데냐는 패배하고 휴전 협정을 맺었다. 이후 로마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등에서 저항이 이어졌으나, 오스트리아의 무력 진압으로 실패하며 이탈리아 독립의 꿈은 좌절되었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이후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 제국, 부르봉 왕가, 교황령 등 여러 세력에 의해 분할 통치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이탈리아인들 사이에 민족주의 의식을 고취시켰고, 통일 국가 수립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2. 역사적 배경
2. 1. 1848년 혁명의 발발
1848년 1월, 시칠리아에서 부르봉 왕가의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나면서 혁명의 불길이 타올랐다. 양시칠리아 왕국의 페르디난도 2세는 헌법을 승인해야 했으며,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드 2세, 사르데냐 왕국의 카를로 알베르토(알베르티노 법), 교황 비오 9세도 헌법을 승인했다. 파르마 공국의 카를로 2세는 축출되었고, 시칠리아는 메시나를 제외하고 양시칠리아 왕국의 부르봉 왕가에 반란을 일으켰다.[6]
1848년 프랑스 혁명이 루이 필리프에 대항하여 발발한 2월 23일 이후, 3월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으로도 혁명이 확산되어 밀라노(밀라노의 5일)와 베네치아(산 마르코 공화국)가 합스부르크 왕가에 반기를 들었다.[6]
전투는 특히 밀라노에서 격렬하게 벌어졌는데, 롬바르디아-베네치아 군대의 사령관인 요제프 라데츠키 원수는 도시를 포기해야 했다. 이로 인해 코모와 같은 다른 반란이 롬바르디아-베네치아에서 발발했다. 빈 봉기로 오스트리아 제국은 흔들렸다.[6]
3월 23일, 밀라노의 5일이 끝난 다음 날, 사르데냐의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는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했다. 그는 아마도 자유주의 군주국이었던 자국에서 혁명을 피하고 롬바르디아-베네치아의 반란을 자신의 왕국을 확장할 기회로 삼고자 하는 열망에 의해 자극을 받았을 것이다.[6][7] 이로써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2. 2. 오스트리아 제국과의 전쟁
1848년 3월 1일 밀라노에서 반란이 시작되면서 사르데냐 왕국군이 동원되었으며, 약 65,000명의 병력으로 4/5의 전력을 갖추었다.[9]
피에몬테군은 전쟁 장관 안토니오 프란치니 장군과[10] Eusebio Bava 장군이 지휘했다. Bava 장군은 제1군단을 직접 지휘했는데, 이는 페데리코 밀레 다르빌라르스 장군과 비토리오 가레티 디 페레레 장군 휘하의 두 개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에토레 데 소나즈가 지휘한 제2군단은 조반니 바티스타 페데리치와 마리오 브롤리아가 지휘하는 두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예비대로 구성된 제5사단은 사보이 공작 사보이 공작 빅토르 에마누엘이 지휘했다.[11] 포병 지휘는 사보이 공작 페르디난도에게 맡겨졌다.[12]
사르데냐 왕국과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사이의 국경을 표시하는 티치노강을 건너기 전에, 카를로 알베르토는 전쟁 깃발을 사보이 문장이 중앙에 있는 이탈리아 삼색기로 결정했다.[13]
3.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1848년 3월 – 1849년 8월)
1848년 3월, 사르데냐 왕국을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 연합군은 오스트리아군에 맞서 전쟁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밀라노와 베네치아에서의 봉기로 오스트리아군이 사변형 요새로 후퇴하는 등 이탈리아 연합군이 유리했다.[8] 고이토 다리 전투에서 베르살리에리 연대와 사르데냐 왕립 해군이 활약하며 승리하기도 했다.[25]
그러나 이탈리아 연합군은 각국의 여론에 밀려 참전했기에 통일된 목표 없이 분열되어 있었다. 사르데냐 왕국과의 통일을 추구하는 세력부터 이탈리아 공화국을 원하는 세력까지 다양한 정치적 이상이 존재했다.
요제프 라데츠키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효율적인 군사 훈련과 지형 숙지를 바탕으로 반격을 준비했다.[21] 산타 루치아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이 승리하며 전세가 역전되었고,[37] 쿠스토차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88] 사르데냐 왕국은 휴전을 요청했다.
1849년, 전쟁이 재개되었지만 노바라 전투에서 사르데냐 왕국군이 다시 패배하면서,[132] 카를로 알베르토는 퇴위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32] 결국 밀라노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은 오스트리아의 승리로 끝났다.[135]
3. 1. 초기 전투 및 전략 상황
1848년 3월 23일, 사르데냐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밀라노와 베네치아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인해 오스트리아군은 사변형 요새(페스키에라, 베로나, 만토바, 레냐고)로 후퇴해야 했다.[8] 이 요새들은 롬바르디아-베네치아에서 합스부르크 군대의 방어 핵심이었다. 콰드릴라테로의 동쪽, 서쪽, 남쪽에는 이탈리아 국가에서 온 의용군이 모여들어 오스트리아군에 맞서 싸웠다. 오스트리아군은 북쪽으로 가르다 호수 동쪽 해안의 아디제 계곡을 통해 본국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었다.[8]
사르데냐 왕국군은 1848년 3월 1일 밀라노에서 반란이 시작되면서 동원되었으며, 약 65,000명의 병력을 갖추었다.[9] 피에몬테군은 전쟁 장관 안토니오 프란치니 장군과[10] Eusebio Bava 장군이 지휘했다. 사르데냐 왕국과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사이의 국경을 표시하는 티치노강을 건너기 전에, 카를로 알베르토는 전쟁 깃발을 사보이 문장이 중앙에 있는 이탈리아 삼색기로 결정했다.[13]
각국 국민들의 여론에 의해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에 참전하게 된 다른 군주국들도 군대를 롬바르디아-베네치아로 보냈지만, 진심으로 참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반 오스트리아 연합은 다른 세력에도 의존할 수 있었다. 롬바르디아 지원병(4,500명), 나폴리 지원병(1,600명), 산 마르코 공화국 출신의 베네치아 지원병이 있었다. 이들은 서로 전혀 협조하지 않았고, 사르데냐 왕국과의 통일을 추구하는 세력부터 이탈리아 공화국을 원하는 세력까지 매우 다양한 정치적 이상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의 다민족 오스트리아군은 81세의 요제프 라데츠키 장군이 지휘했는데, 그는 과거의 경험으로 빈 관료주의로부터 뛰어난 자율성을 얻었다. 밀라노와 베네치아에서 봉기가 일어나기 전, 라데츠키는 두 군대에 7만 명의 병력을 배치했는데, 1군은 롬바르디아에, 2군은 베네치아에 배치되었으며, 총 61개 보병대대로 구성되었다. 반란 이후 사상자, 항복, 탈영으로 인해 이는 유효 대대 41개로 줄어들었다. 또한 35개 기병대대와 100문의 포가 있었다. 오스트리아 대대의 평균 병력이 약 1,000명임을 감안할 때, 라데츠키는 전쟁 시작 시점에 총 5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22]
1848년 3월 23일, 사르데냐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3월 25일과 26일, 두 개의 선봉대가 티치노강을 건너 적의 영토로 진입했다. 3월 29일, 주력이 강을 건넜다.[9] 같은 날, 처음 세 개의 사단이 파비아에 진입했고, 그곳에서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다.
카를로 알베르토는 이들을 무시하고 포강을 따라 크레모나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거기에서 그들은 마르카리아로 진격하여 4월 7일 만토바에서 약 20km 떨어진 올리오강을 건넜는데, 만토바는 콰드릴라테로(Quadrilateral, 사변형 요새)의 최남단 요새였다.[23]
같은 날, 라데츠키는 페스키에라로 후퇴했고, 이틀 뒤에는 베로나로 후퇴했다. 4월 8일, 그의 부대(제1군)의 대부분은 빌라프란카의 콰드릴라테로에 주둔했다. 반면에 피에몬테군은 민치오강 서쪽 강둑을 따라 배치되었다.[23][24]
민치오 강에 있는 모든 다리가 아직 오스트리아 후위대에 의해 점령되어 있었기 때문에, 4월 8일, 바바 장군은 다르빌라르 장군의 사단에 고이토의 다리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격렬한 충돌 끝에, 오스트리아 공병이 다리를 부분적으로 파괴했지만, 베르살리에리 연대와 사르데냐 왕립 해군은 강 건너편으로 돌파했다. 이 전투는 고이토 다리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다. 오후 4시쯤 피에몬테 공병의 작업으로 3개 연대가 더 통과할 수 있었고, 오스트리아군은 빌라프란카로 철수했다. 전쟁의 첫 번째 충돌에서, 베르살리에리의 창시자인 알레산드로 라 마르모라 대령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5]
4월 9일, 피에몬테군은 북쪽의 몬잠바노 다리를 장악했다. 4월 11일, 오스트리아군은 마침내 민치오 강의 동쪽 강둑을 포기하고 베로나로 철수했다. 피에몬테군은 발레조를 점령했다.[26]
더 동쪽으로, 4월 17일, 누젠트가 이끄는 새로운 오스트리아군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이손초 강을 건넜다. 라데츠키를 지원하고 베네토를 재점령하는 것이었다. 4월 23일, 누젠트는 우디네에 진입했다. 한편, 4월 26일, 피에몬테군 절반이 민치오 강을 건넜다. 이틀 후, 다른 두 사단이 건너갔고, 전체 군대는 페스키에라를 봉쇄하기 위해 아치 형태로 배치되었으며,[27] 피에몬테군은 4월 27일에 페스키에라를 포위하기 시작했고, 동시에 베로나를 위협했다.[28]
피에몬테의 위협에 직면한 라데츠키는 아디제강 서쪽 강둑의 파스렌고에 전진 기지를 점령했다. 4월 30일, 데 소나즈 휘하의 제2군이 적의 교두보를 제거하기 위해 진격했다(피에몬테군 14,000명 대 오스트리아군 8,000명).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세 시간 동안 진격은 더디고 어려웠다. 카를로 알베르토 국왕은 초조해하며 "쿠네오" 여단과 "피에몬테" 여단 사이에서 기병 카라비니에리 3개 기병대를 앞세워 진격했다. 그 순간 피에몬테군의 진격이 재개되었고 일부 카라비니에리는 오스트리아군의 사격을 받았다. 잠시 혼란스러운 상황 이후, Alessandro Negri di Sanfront|Alessandro Negri di Sanfrontit 소령은 국왕과 그의 경호원을 포함하여 적을 향해 카라비니에리 3개 기병대를 자극했다. 오스트리아군은 방어선이 무너졌고, 피에몬테 보병은 적을 퇴각시켰다.[29]
아디제강에 도달한 피에몬테군은 라데츠키에 의해 저지되었는데, 라데츠키는 피에몬테군 전열의 중앙에 대한 공격으로 적의 진격에 대응했다. 이 공격은 쉽게 격퇴되었지만 카를로 알베르토가 아디제강을 건너려는 시도를 막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파스렌고 전투는 사보이아 군의 사기를 높인 피에몬테의 승리로 끝났지만, 오스트리아 교두보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아디제강 동쪽 강둑이 라데츠키의 통제하에 굳건히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30]
6월 8일 오스트리아군의 비첸차 공격 소식을 접한 카를로 알베르토는 군사 회의를 열었다. 페르디난도 프란치니는 이 상황을 이용하여 베로나를 즉시 공격하려 했지만, 회의에서는 대신 페스키에라 델 가르다를 북동쪽에서 공격하고 리볼리 베로네세를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산타 루치아 전투의 기억이 아직 생생했기 때문이다.[69]
따라서 6월 10일, 오스트리아군의 주력이 비첸차에 집중되어 있는 동안, 피에몬테 제2군단은 나폴레옹이 1797년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리볼리 전투에서 승리했던 리볼리 평원으로 진격했다. 라데츠키의 부대는 후퇴했고, 피에몬테군은 목표 지점에 도달할 수 있었다. 리볼리 점령은 피에몬테군의 좌익을 강화했지만, 전체적인 전쟁 노력에는 좋지 않은 수였다. 왜냐하면 그들을 지나치게 확장시켰기 때문이다.[70]
리볼리 이후, 주도권을 되찾으려는 여러 차례의 실패한 시도가 있었고, 그 후 피에몬테 측에서는 한 달간의 활동 중단이 이어졌으며, 그동안 만토바 봉쇄가 시작되었다. 한편, 카를로 알베르토는 아디제 강을 건너 공격하는 것을 고려하고 발레조 술 민초에서 로베르벨라로 이동했다. 7월 4일, 그는 주세페 가리발디를 만났는데, 그는 Invasione della Savoia del 3 febbraio 1834|1834년 봉기it에 가담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후 남미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상태였다. 국왕은 그를 냉담하게 맞이하며, 프란치니에게 그와 같은 사람에게 장군 계급을 주는 것은 불명예스러운 일이라고 적었다.[71]
한편, 전선에서는 페라라 주둔군을 증원하고 보급하려는 시도 후, 오스트리아 여단이 7월 16일 고베르놀로(만토바 남동쪽, 민초 강과 포 강이 합류하는 지점)를 점령하고 5개 중대를 주둔시킨 후 사변형 요새로 철수했다. 오스트리아의 추가 기습을 막기 위해 여단을 맡았던 에우세비오 바바는 고베르놀로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7월 18일, 그는 민초 강에서 소총수와 포병의 격렬한 사격을 시작했고, 베르살리에리 중대가 강을 거슬러 올라가 오스트리아군을 좌안에서 공격하여 도개교를 내리는 데 성공했다. 피에몬테 기병대가 즉시 건너갔고, 포병대가 뒤따랐으며, 오스트리아군은 후퇴했는데, 400명이 포로로 잡혔다.[72]
고베르놀로 전투는 사보이군에게 빛나는 승리였지만, 그들은 이제 리볼리에서 고베르놀로까지 70 km에 걸쳐 펼쳐져 있었다. 이 전선은 저항선으로서 매우 취약했고, 모든 지점에서 약했다.[73]
주세페 다보르미다 육군 장관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그는 피에몬테군 사령관으로 프랑스인을 임명하려 했지만,[109] 카를로 알베르토는 경험이 적은 폴란드 장군인 보이치에흐 흐르자노프스키를 임명하기로 결정했다. 동시에 제1차 전쟁의 여러 지휘관들이 해임되었다. 휴전 기간 동안 여러 다른 인물들이 육군 장관을 역임했는데, 군대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시도를 했다. 1849년 3월 1일, 사르데냐 왕국 하원 의회는 전쟁 재개를 찬성 94표, 반대 24표로 가결했다. 카를로 알베르토는 3월 20일에 적대 행위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110]
적대 행위 재개를 앞두고 군단을 그룹으로 묶는 것을 포기한 피에몬테군은 5개의 기존 사단과 3개의 새로운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서류상으로는 카를로 알베르토의 군대는 15만 명이었지만, 아프거나 휴가를 간 병사들을 제외하면 그 수는 11만 5천 명으로 줄어들었고, 이 중 전선 부대는 6만 2천 명에 불과했다. 군대의 지리적 배치는 다음과 같았다. 5개의 기존 사단은 노바라 주변에 배치되었으며, 북쪽의 마조레 호수 근처에 여단이, 남쪽의 알레산드리아와 보게라 사이에 제5 사단이 배치되었다. 더 멀리 떨어진 곳에는 피아첸차 (오스트리아군이 점령한 파르마 공국) 맞은편에 여단이 있었고, 제6 사단은 사르차나와 파르마에 있었다.[112]
한편, 살라스코 휴전 협정에 따라 적대 행위 재개 8일 전에 경고를 받은 오스트리아군은 1849년 3월 20일까지 파비아와 그 주변에 모두 집결했다.[113] 라데츠키의 군대는 7만 3천 명에 달했으며, 베니스에 묶여 있던 율리우스 야코프 폰 하이노가 지휘하는 2만 5천 명과 주둔군은 포함되지 않았다.
3. 2. 주요 전투
다음은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주요 전투들이다.3. 3. 전쟁의 결과
요제프 라데츠키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제국군은 1848년 밀라노와 베네치아 봉기 이전 7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봉기 이후 사상자, 항복, 탈영 등으로 인해 5만 명으로 감소했다.[22] 반면, 사르데냐 왕국군은 6만 5천 명의 병력을 동원했다.[9]
1848년 3월 23일, 사르데냐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티치노강을 건너 오스트리아 영토로 진입했다.[9] 카를로 알베르토 국왕은 포강을 따라 진격하여 만토바 근처 올리오강을 건넜고, 라데츠키는 베로나로 후퇴했다.[23] 4월 8일, 고이토 다리 전투에서 사르데냐 왕국군이 승리했지만, 알레산드로 라 마르모라 대령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5]
1848년 7월 27일, 카를로 알베르토는 휴전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오스트리아는 아다강까지 군대 철수 및 점령지 반환 등의 조건을 제시했다.[92] 카를로 알베르토는 이를 거부하고 오글리오강으로 철수했다.[93] 8월 4일, 메레냐노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피에몬테군은 밀라노 성벽 안으로 후퇴했다.[98] 8월 5일, 밀라노는 오스트리아에 양도되었고, 카를로 알베르토의 군대는 피에몬테로 후퇴했다.[99] 8월 9일, 살라스코 휴전이 체결되어 카를로 알베르토 군대는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서 철수했다.[101]
1849년 3월 23일, 노바라 전투에서 사르데냐 왕국군은 오스트리아군에게 패배했다. 피에몬테 측은 578명이 사망하고 1,405명이 부상, 409명이 도주 또는 포로로 잡혔다.[132] 카를로 알베르토는 퇴위하고, 그의 아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32] 3월 24일, 비냐레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라데츠키와 휴전에 합의했다.[134] 1849년 8월 6일, 밀라노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피에몬테-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에 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135]
사르데냐 왕국의 패배 이후, 제노바에서는 1849년 4월 1일에 반란이 일어났지만, 알폰소 라 마르모라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136]
4. 인민 전쟁 (1848년 8월 – 1849년 8월)
1848년 8월 살라스코 휴전으로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실패로 끝났지만, 이탈리아 각지에서는 민중 봉기와 저항이 계속되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에서 유일하게 반란군의 손에 남아 있던 베네치아에서는 1848년 7월 의회가 사르데냐 왕국과의 합병을 결정했다. 그러나 살라스코 휴전 이후 다니엘레 마닌이 도시를 장악하고 삼두정부를 수립했으며, 굴리엘모 페페 장군은 오스트리아군을 메스트레에서 몰아냈다. 프리울리의 오소포에서는 1848년 10월, 약 350명의 애국자들이 오스트리아군에 항복해야 했다.[107]
같은 달 롬바르디아에서는 주세페 마치니가 티치노주에서 자원병 그룹과 함께 코모호를 장악하려 했다. 그러나 10월 28일 발 다인텔비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마치니는 침공을 강행했으나, 원정대 지휘관들과의 갈등 등으로 실패했고, 10월 말과 11월 중순 사이에 오스트리아군이 이 지역을 다시 장악했다.[108]
4. 1. 시칠리아 왕국
1848년 초, 시칠리아는 부르봉 왕가에 반란을 일으켜 페르디난도 2세의 군대를 격파했다. 새로운 헌법이 승인되었고, 7월 10일 시칠리아 의회는 사보이아의 페르디난도를 새 국왕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사보이아의 어려운 군사 상황 때문에 이 제안을 거절했다.제노바 공작의 거절은 시칠리아 정부를 약화시켰고, 1848년 8월 30일 카를로 필란지에리가 이끄는 군대가 나폴리에서 출발하여 1849년 시칠리아 재정복에 나섰다. 1849년 3월, 시칠리아에서 전투가 재개되었다. 필란지에리 장군은 휴전을 깨고 부르봉군을 이끌고 시칠리아 민병대에 맞서 진격했다. 루드비크 미에로스와프스키 휘하의 시칠리아군은 약 6,000명으로, 13,500명의 병력을 지휘하는 필란지에리에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 4월 7일, 치열한 전투 끝에 부르봉군은 카타니아를 점령했다.[47] 4월 14일, 팔레르모의 시칠리아 의회는 페르디난도 2세 국왕의 제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지만, 전쟁은 계속되었다. 5월 5일, 나폴리군은 바게리아에 도착했고, 5월 8일부터 10일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국왕의 사면령 소식이 전해졌고, 1849년 5월 15일 부르봉군은 팔레르모에 입성했다. 43명의 시칠리아 지도자들은 몰타로 망명했고, 필란지에리 장군은 시칠리아 총독이 되었다.[50]
4. 2. 로마 공화국
1848년 11월 15일 로마에서 내무부 장관 펠레그리노 로시가 암살되고, 11월 24일 저녁 교황 비오 9세는 도시를 탈출하여 가에타의 나폴리 요새로 도망쳤다.[138] 1849년 2월 9일에는 주세페 마치니가 통치하고, 주세페 가리발디가 격렬하게 싸운 로마 공화국이 선포되었다.[139] 마르케, 로마냐, 에밀리아의 교황령 도시 다수가 로마 공화국에 가담했다. 여기에는 공화국 선포 11일 후인 2월 16일에 가담한 안코나와, 1848년 8월 8일 오스트리아군이 점령했다가 이미 축출한 볼로냐가 포함되었다.[139]로마 공화국은 교회의 세속적 권력이 폐지되었음을 선언했다. 그러자 교황 비오 9세는 가에타의 망명지에서 오스트리아의 교황령 무력 개입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138]
아우렐리오 사피, 카를로 아르멜리니, 주세페 마치니의 삼두정치 체제 하의 로마는 여전히 저항했다. 오스트리아는 헝가리 혁명에 여전히 얽매여 있었기에, 로마를 점령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루이 나폴레옹이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내 영향력 확대를 두려워했고, 프랑스 가톨릭교도들의 충성을 얻고 싶어 했기에 교황 비오 9세를 교황 자리에 복위시키기 위한 원정대를 조직했다.[156]
1849년 4월 24일, 샤를 오디노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군대가 치비타베키아에 상륙했다. 오디노는 4월 30일에 로마를 점령하려 했으나, 가리발디에게 참패했다. 3만 명의 증원군이 도착한 후에야 오디노는 6월 3일에 다시 적대 행위를 시작하여, 빌라 팜필리에서 로마인들에게 기습 공격을 가했다. 프랑스군은 빌라 팜필리를 점령한 후 포병을 배치하고 로마를 포격하기 시작했다. 전투는 7월 1일까지 계속되었고, 그 다음 날 로마 공화국은 항복했다. 비오 9세는 1850년 4월 12일에 로마로 돌아와 1849년 3월에 그가 부여했던 헌법을 폐지했다.

4. 3. 베네치아 공화국
산 마르코 공화국 정부는 각 지역 위원회를 조정하고 군대를 조직할 지휘관으로 알베르토 라 마르모라 피에몬테 장군을 임명했다.[38]1849년 4월, 브레시아에서 10일간의 봉기를 진압한 율리우스 야코프 폰 하이나우 장군은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베네치아로 진격했다. 베네치아에서 구리에모 페페는 다니엘레 마닌의 동의를 얻어 산 마르코 공화국의 미미한 군대를 모아 끝까지 저항할 준비를 했다.[157]
하이나우 장군은 마르게라에 집중했는데, 그곳에는 나폴리 출신 지롤라모 칼라 울로아 대령이 지휘하는 약 2,000명의 강력한 베네치아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4월 28일, 마르게라 요새를 포위했고 5월 4일 포격이 시작되었다. 마르게라는 22일 동안 저항했고, 5월 26일 수비군은 베네치아로 후퇴했다.[158]
마르게라가 함락되자 본토에 있던 다른 베네치아 요새들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고 모두 철수했다. 6월, 폰 하이나우는 헝가리로 가서 그곳의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떠났고, 마르게라와 베네치아 주변에서는 수많은 공격과 반격이 있었는데, 페르디난도 2세의 철수 명령을 거부했던 나폴리 장교 중 한 명인 체사레 로사롤 대령이 사망했다.[159]
7월 12일, 오스트리아군은 베네치아 석호에 있는 프리깃함에서 폭탄이 부착된 열기구를 발사했지만, 바람이 불어 도시를 하나도 맞추지 못했다.[160] 7월 28일에 베네치아에 대한 포격이 시작되었다. 수비군은 식량이 부족했고 8월 1일, 롬바르디아 출신 주세페 시르토리 소령은 밀가루와 가축을 얻기 위해 본토로 습격을 감행했지만, 며칠 후 감행된 또 다른 습격은 성공 없이 포기해야 했다. 한편, 이탈리아 다른 지역의 소식은 수비군의 사기를 떨어뜨렸고, 콜레라가 발생하여 수비군은 고통받고 있었다. 8월 22일까지, 도시는 극심한 상황에 놓여 2,788명의 베네치아인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따라서 마닌은 항복에 동의해야 했다. 이틀 후, 오스트리아군은 베네치아에 입성했다. 베네치아 포위전이 끝나면서 이탈리아 대의 명분은 마지막 거점을 잃었다.[159][161]
5. 주요 인물
- '''카를로 알베르토''':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으로, 1848년 3월 23일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을 주도했다.[9] 그러나 노바라 전투에서 패배한 후 1849년 3월 23일 퇴위했다.[132]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카를로 알베르토의 아들로, 노바라 전투 패배 이후 사르데냐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132] 이후 이탈리아 통일을 이끌었다.
- '''주세페 마치니''': 이탈리아의 혁명가이자 공화주의자로, 로마 공화국 수립을 주도했다.[156]
- '''주세페 가리발디''': 이탈리아의 군사 지도자로, 로마 공화국 방어전에서 활약했다.[156]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동안 리소르지멘토 대의에 처음으로 기여했다.[103]
- '''요제프 라데츠키''': 오스트리아 제국의 장군으로,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오스트리아군 사령관을 맡았다.[21]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지휘하여 승리했다.
- '''굴리엘모 페페''': 나폴리 출신의 장군으로, 산 마르코 공화국 군대를 모아 베네치아 포위전에서 베네치아 방어전을 이끌었다.[157]
- '''다니엘레 마닌''': 베네치아의 정치 지도자로, 산 마르코 공화국 수립을 주도하고 베네치아 포위전에서 도시를 장악했다.[157]
6. 1848년 혁명의 유산
1848년 이탈리아 혁명과 독립 전쟁은 비록 실패했지만, 이탈리아인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통일 운동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이 사건은 이후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교훈을 주었으며, 이탈리아인들의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열망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1848년 혁명이 보여준 민중의 힘과 민족주의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이를 통해 이탈리아가 통일 국가를 세울 수 있었다고 본다.
참조
[1]
웹사이트
Siege of Rome | Summa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서적
The Roman Republic of 1849: With Accounts of the Inquisition, and the Siege of Rome, And Biographical Sketches
[3]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500–2000
[4]
서적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1832–1852
https://archive.org/[...]
New York, Harper & Row
[5]
서적
Revolutions of 1848: a social history
https://archive.org/[...]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harvnb
[7]
웹사이트
The First Italian War of Independence (1848–49) – A Military History
http://www.victorian[...]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서적
Il Risorgimento
Bari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harvnb
[45]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4]
harvnb
[65]
harvnb
[66]
harvnb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Dizionario della musica e dei musicisti. I titoli e i personaggi
Utet, Torino
1999
[105]
서적
[106]
harvnb
[107]
harvnb
[108]
harvnb
[109]
문서
[110]
harvnb
[111]
harvnb
[112]
harvnb
[113]
harvnb
[114]
harvnb
[115]
harvnb
[116]
문서
[117]
harvnb
[118]
harvnb
[119]
harvnb
[120]
harvnb
[121]
harvnb
[122]
harvnb
[123]
harvnb
[124]
harvnb
[125]
harvnb
[126]
harvnb
[127]
harvnb
[128]
harvnb
[129]
harvnb
[130]
harvnb
[131]
harvnb
[132]
harvnb
[133]
harvnb
[134]
harvnb
[135]
서적
The Italian Risorgimento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6]
harvnb
[137]
harvnb
[138]
문서
[139]
문서
[140]
harvnb
[141]
서적
Bologna dall'8 Agosto 1848 all'8 Agosto 1849
L. Cappelli
1921
[142]
서적
Per la difesa d'Ancona nel cinquantenario (1849–1899): discorsi
A.G. Morelli
1899
[143]
간행물
Le cento città
2011
[144]
서적
Epistolario
Istituto per la storia del risorgimento italiano
2008
[145]
서적
Italian Workers of the World: Labor Migration and the Formation of Multiethnic Stat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1
[146]
서적
Note autobiografiche e storiche di un Garibaldino
Zanichelli
1898
[147]
서적
Ancona attraverso i secoli: Dal periodo napoleonico al nostri glorni
Unione arti grafiche
1960
[148]
서적
Storia di Crema, Volume 2
[149]
웹사이트
Ludwik Mieroslawski
http://www.treccani.[...]
[150]
서적
Il generale Carlo Filangieri, principe di Satriano e duca di Taormina
Treves, Milano
1902
[151]
간행물
Ultimi casi della rivoluzione siciliana esposti con documenti da un testimone oculare
Unione cooperative editrice
1890
[152]
웹사이트
Ferdinando II di Borbone
http://www.treccani.[...]
[153]
웹사이트
Gli ultimi Borboni di Napoli (1825–1861)
https://books.google[...]
Giunti
1997
[154]
웹사이트
www.150anni.it
http://www.150anni.i[...]
[155]
웹사이트
Giuseppe La Masa
http://www.treccani.[...]
[156]
간행물
[157]
간행물
[158]
간행물
[159]
간행물
[160]
간행물
[161]
간행물
[162]
서적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1832-1852
1969
[163]
서적
Revolutions of 1848: a social history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