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니케아 공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787년 동로마 제국 니케아에서 열린 기독교 공의회로, 성상 숭배 논쟁을 종식하고 성상 숭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8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성상 파괴주의가 대두되면서 황제 레오 3세는 성상 숭배를 금지했으나, 황후 이레네가 섭정하면서 성상 숭배 복원을 추진했다. 공의회는 약 350명의 주교와 대표가 참석하여 성상에 대한 존경과 흠숭을 구분하고, 성상 숭배를 허용하며 성상 파괴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서방 교회와 개신교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한국 개신교는 이 공의회를 인정하지 않지만, 천주교와 한국 정교회는 이 공의회의 결정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2차 니케아 공의회
공의회 정보
제2차 니케아 공의회, 타라시오스 총대주교(십자가 왼쪽), 콘스탄티누스 6세(십자가 오른쪽), 착석한 주교들과 정죄된 성상 파괴자(아래).
제2차 니케아 공의회, 타라시오스 총대주교(십자가 왼쪽), 콘스탄티누스 6세(십자가 오른쪽), 착석한 주교들과 정죄된 성상 파괴자(아래).
공의회 명칭제2차 니케아 공의회
공의회 개최일787년
인정 교단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부분적으로)
성공회
구 가톨릭교회
루터교회
이전 공의회 (가톨릭)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전 공의회 (정교회)퀴니섹스트 공의회
다음 공의회 (가톨릭)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가톨릭 교회)
다음 공의회 (정교회)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동방 정교회)
소집 주체콘스탄티누스 6세와 황후 이리니(섭정)
의장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타라시오스, 교황 하드리아누스 1세의 특사
참석 인원주교 308명, 총 350명 (교황 특사 2명 포함)
주제비잔티움 성상 파괴주의
결의 사항성화 공경 승인

2. 역사적 배경

비잔틴 성상 파괴주의는 8세기 비잔티움 제국을 뒤흔든 주요 신학적, 정치적 갈등이었다. 730년, 비잔티움 황제 레오 3세는 성상 숭배 금지령을 내렸는데, 이는 황제의 권위를 강화하고 교회 내 성상 숭배 세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치적 의도와 맞물려 있었다.[2] 레오 3세와 그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5세는 성상 파괴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으며, 이에 반대하는 성상 숭배자들과 수도사들을 박해했다.

754년 히에리아 공의회는 성상 파괴를 지지했지만, 5대 총대주교(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의 대표 없이 열렸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2] 콘스탄티누스 5세 사후, 황후 이레네는 아들 콘스탄티누스 6세를 대신해 섭정을 하면서 성상 숭배 복원을 추진했다. 784년, 이레네는 성상 숭배자였던 타라시우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하고, 새로운 공의회 소집을 준비했다.

3. 공의회 진행 과정

786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 사도 교회에서 첫 번째 공의회가 열렸으나, 성상 파괴를 지지하는 군인들이 교회에 난입하여 회의가 무산되었다.[3] 아테네의 이레네는 소아시아에서 일어난 아랍의 공격에 대응한다는 구실로 성상 파괴주의자 경호대를 수도에서 내보낸 후 무장 해제하고 해산시켰다.

787년, 이레네는 장소를 니케아로 옮겨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다. 공의회는 9월 24일 하기아 소피아에서 소집되었으며, 약 350명의 주교와 대표들이 참석했다.[3] 교황 하드리아노 1세는 교황 사절을 파견하여 성상 숭배를 지지하는 입장을 전달했다.

공의회는 총 7회기(일부 자료에서는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3]

회기날짜주요 내용
제1회기787년 9월 24일성상 파괴주의를 받아들인 주교들의 직위 유지 문제 논의
제2회기787년 9월 26일교황 하드리아노 1세의 서신 낭독 (성상 숭배 지지, 교황 권리에 대한 비잔틴의 침해 비판)
제3회기787년 9월 28일동방 총대주교 대표들의 신임장 문제 제기 (실제 임명 여부 불확실)
제4회기787년 10월 1일탈출기, 민수기, 히브리서 등 성경 구절과 교부들의 저술을 통해 성상 숭배의 합법성 증거 제시[1]
제5회기787년 10월 4일성상 파괴주의가 이교도, 유대인, 무슬림 등에서 기원했다는 "증명" 자료 낭독
제6회기787년 10월 7일히에리아 공의회(754)의 정의와 반박 낭독
제7회기787년 10월 13일성상 숭배에 관한 신앙 선언 발표



공의회는 성상과 성화 숭배가 우상 숭배가 아니며, 이를 통해 표현되는 신적인 존재를 향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또한, 모든 제단에는 성유물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규정을 제정했다.(교회법 VII)[4]

4. 공의회 결정

니케아의 아야 소피아, 공의회가 열린 곳; 이즈니크, 터키.


아야 소피아, 이즈니크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성상 숭배를 허용하고, 성상 파괴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2] 공의회는 성상에 대한 '존경'(''티메티케 프로스퀴네시스'')과 하느님께만 드리는 '흠숭'(''알레티네 라트레이아'')을 구분하여, 성상 숭배가 우상 숭배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성상에 대한 존경은 성상에 묘사된 인물에게로 향하는 것이며, 성상 자체를 신격화하는 것이 아니라고 정의했다.[1]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티메티케 프로스퀴네시스|timētikē proskynēsisgrc는 "명예의 숭배"를 의미하고, 알레티네 라트레이아|alēthinē latreiagrc는 "진정한 경배"를 의미한다. 전자는 십자가와 복음서와 같은 다른 거룩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이미지에 허용되는 반면, 후자인 "라트레이아"는 오직 하느님만을 위해 보존된다. 이미지에 지불된 존경이 그 원형으로 넘어간다는 것은 두 가지 다른 정도의 숭배가 아니라 우상 숭배가 아닌 단일한 숭배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숭배는 기도하는 사람이 이미지를 통해 묘사된 천상의 인물을 인식하고 숭배하는 문이나 창으로 이미지를 취급하기 때문이다.

공의회는 또한 모든 제단에는 성유물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규정했으며,[4] 성직자 규율, 특히 여성과의 관계를 맺는 수도승에 대한 많은 법령을 제정했다.

5. 공의회 이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비잔티움 제국 내에서 성상 숭배를 다시 허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그러나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와 그의 신학자들은 ''카롤린 도서''를 통해 성상 숭배를 비판하며 이 결정에 반대했다.

동방 정교회는 매년 대사순절 첫 번째 주일을 '정교 승리의 주일'로 지키며 성상 숭배가 다시 허용된 것을 기념한다.

개신교는 성상 숭배를 우상 숭배로 보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인정하지 않는다.[12][13][14] 장 칼뱅은 ''기독교 강요''에서 이 공의회의 결정을 비판했다.[5]

가톨릭 교회는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제7차 세계 공의회로 인정한다.

6. 한국 교회와 제2차 니케아 공의회

개신교에서는 공의회도 성서의 권위에 종속된다고 본다.[12][13] 장 칼뱅은 『기독교 강요』에서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우상 숭배를 인정한 회의라고 비판하며, 개혁교회 이후의 개신교와 침례교에서는 이 회의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4]

정교회에서는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제7차 전지공회로 간주하며, 이 공의회의 결정으로 이콘 숭배가 인정된 것을 기념하여 사순절의 첫 번째 주일을 "정교 승리의 주일"로 기념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Gibbon
[2] 웹사이트 Council of Hieria, Canon 19 http://www.fordham.e[...]
[3] 서적 Gibbon
[4] 웹사이트 NPNF2-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5]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6] 서적 The Sarnian diocese (Sarniensis Ecclesia) https://www.anubih.b[...]
[7] 서적 New evidenc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Adriatic dioceses in the late eighth century Oxford: Routledge
[8] 웹사이트 http://www.knigafund[...] 2016-10-26
[9] 간행물 Atti del Concilio Niceno Secondo Ecumenico Settimo, Tomi I–III, introduzione e traduzione di Pier Giorgio Di Domenico, saggio encomiastico di Crispino Valenziano Gregorianum
[10] 서적 Atti del Concilio Niceno Secondo Ecumenico Settimo Libreria Editrice Vaticana
[11] 서적 Акты Второго Никейского (Седьмого Вселенского) собора (787 г.)
[12]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いのちのことば社
[13] 서적 宗教改革の思想 教文館
[14] 서적 キリスト教綱要 改革派教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