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 고성군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 고성군의회는 고성군 4개의 지역구와 비례대표 1명 선출을 위한 선거였다. 지역구는 고성읍, 삼산면 등 4개 선거구로 나뉘어 각 2~3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지역구 7석과 비례대표 1석을 얻어 총 8석을 차지했고, 무소속 후보가 2석을 얻었다.
고성군의회는 4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구성되며, 각 선거구별 관할 지역과 선출 의원 수는 다음과 같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고성군의회 각 지역구별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고성군 가선거구 고성읍 2 고성군 나선거구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2 고성군 다선거구 대가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마암면 2 고성군 라선거구 구만면, 회화면, 동해면, 거류면 3
3. 지역구 선거 결과
선거구 당선자 정당 가선거구 어경효, 김홍식 한나라당, 무소속 나선거구 최을석, 박태훈 한나라당 다선거구 송정현, 제준호 한나라당 라선거구 하학열, 공점식, 황대열 한나라당, 무소속
대부분 지역구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일부 지역구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고성군 가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성군 가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어경효 후보와 무소속 김홍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어경효 한나라당 2,301 19.37 김홍식 무소속 1,708 14.37 최금용 한나라당 1,504 12.66 정도범 무소속 1,438 12.10 김수일 무소속 1,023 8.61 최재봉 무소속 985 8.29 김상진 열린우리당 881 7.41 안태완 민주노동당 782 6.58 정풍대 무소속 648 5.45 강부관 무소속 608 5.11 합계 11,878 100
3. 2. 고성군 나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성군 나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최을석, 박태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을석 | 한나라당 | 1,354 | 21.72% |
박태훈 | 한나라당 | 1,118 | 17.93% |
박태공 | 무소속 | 1,008 | 16.17% |
박은열 | 무소속 | 703 | 11.28% |
문점문 | 열린우리당 | 690 | 11.07% |
이찬열 | 무소속 | 587 | 9.41% |
김위수 | 무소속 | 431 | 6.91% |
배원효 | 무소속 | 233 | 3.73% |
양기옥 | 무소속 | 108 | 1.73% |
합계 | 6,232 |
3. 3. 고성군 다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성군 다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송정현 후보와 제준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송정현 후보는 1,608표(28.00%)를 얻어 1위를 차지했고, 제준호 후보는 1,033표(17.99%)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열린우리당 임민규 후보는 727표(12.66%)로 3위를 차지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송정현 | 한나라당 | 1,608 | 28.00 |
제준호 | 한나라당 | 1,033 | 17.99 |
임민규 | 열린우리당 | 727 | 12.66 |
정임식 | 무소속 | 513 | 8.93 |
이태수 | 민주노동당 | 459 | 7.99 |
채구수 | 무소속 | 456 | 7.94 |
이건수 | 무소속 | 408 | 7.10 |
최규창 | 무소속 | 389 | 6.77 |
김명수 | 무소속 | 149 | 2.59 |
합계 | 5,742 | 100 |
3. 4. 고성군 라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성군 라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하학열, 공점식 후보와 무소속 황대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세한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하학열 | 한나라당 | 1,402 | 16.26 |
공점식 | 한나라당 | 1,144 | 13.27 |
황대열 | 무소속 | 1,013 | 11.75 |
허준 | 무소속 | 728 | 8.44 |
최정훈 | 무소속 | 715 | 8.29 |
정호용 | 무소속 | 693 | 8.03 |
최윤호 | 열린우리당 | 633 | 7.34 |
강진수 | 무소속 | 556 | 6.45 |
김창린 | 무소속 | 489 | 5.67 |
이민식 | 무소속 | 432 | 5.01 |
이효열 | 무소속 | 417 | 4.83 |
최병호 | 무소속 | 398 | 4.61 |
합계 | 8,620 | 100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69.42%의 득표율로 비례대표 의원 1명을 배출하였다. 민주노동당은 30.57%를 득표했으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4. 1. 정당 투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한나라당 | 22,314 | 69.42% | 1 |
민주노동당 | 9,827 | 30.57% | 0 |
4. 2. 비례대표 당선자
한나라당 김관둘 후보가 당선되었다.5. 전체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7 | 1 | 8 |
무소속 | 2 | 0 | 2 |
6. 분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나타난 고성군의회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이는 당시 경상남도 지역의 보수적인 정치 성향과 한나라당의 강력한 조직력이 결합된 결과로 해석된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은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지역구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특히, 열린우리당은 모든 지역구에서 후보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는 참패를 겪었다. 이는 당시 노무현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과 지역 기반 취약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무소속 후보의 선전은 지역 정치에서 인물 중심의 선거 경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정당 중심의 선거 구도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보수 정당인 한나라당의 압승은 당시 한국 정치 지형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7 | 1 | 8 |
무소속 | 2 | - | 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