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논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도 이론은 논리 체계의 본질에 대한 가정을 최소화하여 모형, 문장, 만족 관계를 정의하는 수학적 구조이다. 이 이론은 서명, 문장, 모형, 만족 관계를 포함하며, 서명 사상을 통해 서명을 확장하고 변환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도 이론은 불 제도, 콤팩트 제도와 같은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1차 논리와 같은 다양한 논리 체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1970년대 조지프 고겐과 로드니 버스톨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론 컴퓨터 과학 -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을 위한 명확하고 순서화된 유한 개의 규칙 집합으로, 알콰리즈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수학 문제 해결 절차로 사용되다가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효율성 분석을 통해 평가된다. - 이론 컴퓨터 과학 - 자동화된 추론
자동화된 추론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논리적 추론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분야로, 수리 논리학의 발전과 초기 연구를 통해 자동 정리 증명 분야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AI 겨울을 겪었지만 소프트웨어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Coq, HOL Light 등의 증명 보조기가 개발되어 난제들의 형식적 증명에 기여했다. - 수리논리학 - NAND 게이트
N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이 1일 때 0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1을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로서, 다양한 기호로 표현되며, AND 연산의 결과를 부정하는 연산을 수행하고,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완전하여 디지털 회로 설계에 필수적이다. - 수리논리학 - 셈
셈은 대상의 개수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행위로, 수학에서는 집합의 원소 개수를 파악하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셈의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셈을 배우는 과정은 아동의 교육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도 (논리학) | |
---|---|
Institution (computer science) | |
분야 | 컴퓨터 과학, 수학, 논리학 |
유형 | 추상화 |
개발자 | 조셉 고겡 로드 버스톨 |
제도 (논리학) | |
분야 | 추상 모형 이론, 대수적 사양 |
개발자 | 조셉 고겡 로드 버스톨 |
핵심 아이디어 | 모형 이론적 의미론을 따르는 논리적 체계의 추상화 |
관련 개념 | 다중 논리 일반 논리 보편 대수학 |
2. 정의
제도는 논리 체계를 추상적으로 다루는 한 방법으로, 특정 논리의 구체적인 문법이나 의미론에 얽매이지 않고 모형과 문장 사이의 만족 관계를 중심으로 정의된다. 제도 이론은 논리 체계의 본질에 대해 최소한의 가정만을 하며, 모형과 문장은 임의의 객체가 될 수 있고, 유일한 핵심 가정은 문장이 모형에서 성립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만족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만족 관계의 개념은 타르스키의 진리 정의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실제로는 임의의 이항 관계일 수 있다.
제도의 중요한 특징은 모형, 문장, 그리고 만족 관계가 항상 특정 어휘 또는 맥락, 즉 '''서명'''(signature영어) 안에서 정의된다는 점이다. 서명은 문장에서 사용되고 모형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비논리적 기호들(상수, 함수, 관계 등)을 정의한다. 또한, '''서명 사상'''(signature morphism영어)은 서명을 확장하거나 표기법을 변경하는 등 서명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서명 사상은 만족 관계가 보존되는 방식으로 문장과 모형의 변환을 유도해야 한다. 문장은 서명 사상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되지만(예: 기호 대체), 모형은 서명 사상과 반대 방향으로 변환(축소)된다. 예를 들어, 서명 확장 시 더 큰 서명의 모형은 일부 정보를 '잊어버림'으로써 더 작은 서명의 모형으로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진리값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제도의 핵심 요구사항인 '''만족 조건'''(satisfaction condition영어)이다. 즉, 표기법이나 문맥이 변하더라도 논리적 진리는 불변해야 한다.
2. 1. 기본 개념
제도 이론은 다양한 논리 체계들을 추상적이고 일반적으로 다루기 위한 수학적 틀이다. 이 이론은 특정 논리 체계의 구체적인 문법이나 의미론에 얽매이지 않고, 논리 시스템들의 공통적인 구조적 특징에 집중한다. 제도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는 논리 체계의 본질이 '모형'과 '문장'이라는 두 요소와, 이 둘 사이의 '만족 관계'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모형과 문장은 매우 일반적인 개념으로, 특정 형태를 가정하지 않는다. 유일한 핵심 가정은 어떤 문장이 특정 모형에서 참인지 거짓인지를 결정하는 만족 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만족 관계의 개념은 타르스키의 진리 정의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실제로는 임의의 이항 관계가 될 수 있다.제도 이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모형, 문장, 그리고 만족 관계가 항상 특정 '서명'(signature영어)이라는 맥락 안에서 정의된다는 점이다. 서명은 문장에서 사용될 수 있고 모형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비논리적 기호들(예: 상수, 함수, 관계)의 어휘집과 같다.
제도는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 '''서명'''들의 범주 : 논리적 어휘의 맥락을 정의하는 서명들과 이들 간의 변환(사상)을 모아놓은 구조이다.
- '''문장 함자''' : 각 서명 에 대해, 그 서명 아래에서 구성될 수 있는 '''문장'''들의 집합 을 대응시키는 규칙이다. 또한, 서명들 사이의 변환(서명 사상) 에 대해, 문장들을 변환하는 함수 (종종 로 표기)를 대응시킨다. 이는 서명이 바뀌면 문장의 표현도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모형 함자''' : 각 서명 에 대해, 그 서명의 문장들의 의미를 해석하는 '''모형'''들의 범주 를 대응시키는 규칙이다. 여기서 는 작은 범주들의 반대 범주를 의미하며, 모형 함자가 방향을 뒤집는 방식으로 작동함을 나타낸다. 즉, 서명 사상 에 대해, 의 모형을 의 모형으로 변환하는 '축약 함자' (종종 로 표기)를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서명이 확장될 때(), 더 큰 서명 의 모형은 일부 정보를 '잊어버림'으로써 더 작은 서명 의 모형으로 축소될 수 있다.
- '''만족 관계''' : 각 서명 마다 정의되는 이항 관계로, 모형 이 문장 을 만족시키면 라고 표기한다. 이는 모형 에서 문장 가 '참'임을 의미한다.
이 구성 요소들은 '''만족 조건'''(satisfaction condition영어)이라는 중요한 규칙을 만족해야 한다. 모든 서명 사상 과 모든 모형 , 그리고 모든 문장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해야 한다:
이 조건은 진리값이 서명의 변경(예: 표기법 변경, 어휘 확장 등)에 따라 일관되게 보존됨을 보장한다. 즉, 문장의 표현()과 모형의 해석()이 서명 사상 에 따라 변환되더라도, 문장의 참/거짓 여부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명 사상'''(signature morphism영어)은 서명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서명을 확장하거나, 기호의 이름을 바꾸는 등의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서명 사상은 문장과 모형의 변환을 유도하며, 이때 만족 조건이 유지되어야 한다. 문장은 서명 사상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변환되지만 (기호가 대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모형은 반대 방향으로 변환(축소)된다.
2. 2. 형식적 정의
제도 이론은 다양한 논리 체계를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한 수학적 틀이다. 이는 모형, 문장, 그리고 문장이 모형에서 성립하는지를 나타내는 만족 관계라는 세 가지 기본 요소에 기반한다. 이 요소들은 특정 어휘나 기호 체계, 즉 '''서명'''(signature영어)이라는 맥락 안에서 정의된다. 서명은 논리식에 사용될 수 있는 기호들을 규정하며, 서명 간의 변환을 나타내는 '''서명 사상'''(signature morphism영어)을 통해 서명을 확장하거나 표기법을 변경할 수 있다.제도는 형식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요소 | 기호 | 설명 |
---|---|---|
서명의 범주 | 논리 기호들의 집합인 서명들과, 서명 간의 변환을 나타내는 서명 사상들로 이루어진 범주. | |
문장 함자 | 각 서명 에 대해 문장들의 집합 을 대응시키고, 각 서명 사상 에 대해 문장을 변환하는 함수 (종종 로 표기)를 대응시키는 함자. 이는 서명 변경에 따른 문장의 표기법 변화를 나타낸다. 은 집합의 범주를 의미한다. | |
모형 함자 | 각 서명 에 대해 모형들의 범주 를 대응시키고, 각 서명 사상 에 대해 모형을 축소하는 함자 ) \to \mathbf{Mod}(\Sigma) (종종 로 표기)를 대응시키는 함자. 여기서 는 작은 범주들의 반대 범주이다. 모형 축소는 예를 들어 서명 확장 시, 더 큰 서명의 모형에서 일부 정보를 잊어버리고' 더 작은 서명의 모형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 |
만족 관계 | {\models_{\Sigma}} \subseteq>\mathbf{Mod}(\Sigma)| \times \mathit{Sen}(\Sigma) | 각 서명 에 대해, 해당 서명의 모형 과 문장 사이의 이항 관계. 는 모형 이 문장 를 만족시킨다는 의미이다. |
제도는 만족 관계의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논리 체계가 제도의 예시로 연구된다.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 구성 요소들은 다음의 '''만족 조건'''(satisfaction condition영어)을 만족해야 한다. 모든 서명 사상 , 모든 모형 , 그리고 모든 문장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이 조건은 진리(truth영어)는 표기법의 변화(서명 사상을 통한 문장 변환)나 해석의 축소(모형 축약)에 대해 불변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어떤 문장이 특정 모형에서 참이라면, 서명을 바꾸고 그에 맞게 문장과 모형을 변환해도 참/거짓 여부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타르스키의 진리 정의 개념과 유사하게, 논리적 진리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요구사항이다.
3. 종류
3. 1. 불 제도
제도 가 다음 두 가지 성질을 만족하면, 이를 '''불 제도'''(Boolean institution영어)라고 부른다.
이 두 조건이 충족되면, 불 제도에서는 부정과 논리곱을 바탕으로 고전 명제 논리의 다른 모든 연산들, 예를 들어 논리합 (OR), 함의 (implication), 동치 (equivalence) 등을 정의할 수 있다.
3. 2. 콤팩트성
기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제도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콤팩트 제도'''(compact institution영어)라고 한다. 이는 콤팩트성 정리가 성립하는 제도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위 조건은 "어떤 문장들의 집합 전체를 만족시키는 모형 이 존재한다"는 것과, "크기가 미만인 의 모든 부분 집합 각각에 대해, 그 를 만족시키는 모형 이 존재한다"는 것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임을 나타낸다.
4. 예시
1차 논리와 그 표준적 모형은 제도를 이룬다. 이 밖에도 제도는 다양한 종류의 논리 체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에서 다룬다.
4. 1. 구체적인 예시
일차 논리와 그 표준적 모형은 제도를 이룬다. 이 밖에도, 다른 많은 논리 체계들을 제도로 나타낼 수 있다.5. 역사
제도의 개념은 1970년대에 조지프 애머디 고겐Joseph Amadee Goguen영어(1941~2006)과 로드니 마티노 버스톨Rodney Martineau Burstall영어(1934~)이 도입하였다.[4][5]
참조
[1]
논문
Institutions: Abstract model theory for specification and programming
1992
[2]
서적
Universal Logic: An Anthology
Springer
2012
[3]
서적
Logica Universalis: Towards a General Theory of Logic
Birkhäuser, Basel
2007
[4]
서적
Logics of programs: workshop, Carnegie Mellon University, Pittsburgh, PA, June 6–8, 1983
Springer-Verlag
1984
[5]
간행물
Institutions: abstract model theory for specification and programming
199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