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슈트라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U6 노선의 지하철역이다. 1923년 개통 당시에는 남북 도시철도의 북쪽 종착역이었으며, 1928년부터 1966년까지 C선의 종착역으로 기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으며, 이후 재건축을 거쳐 현재는 두 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2023년까지 개보수 공사가 예정되어 있으며, 인근에는 노면전차 및 버스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은 베를린 중심부에 위치한 주요 철도역으로, S반, U반,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환승역이자 냉전 시대 동서 베를린을 잇는 국경 통과역이었으며 현재는 역사적인 의미를 간직한 명소이다.
  •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알트테겔역
    알트테겔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역으로, 1958년에 완공되었으며, 브루노 그리메크가 설계하고 밝은 파란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된 승강장 외벽이 특징이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베벨 광장
    베를린에 있는 베벨 광장은 과거 오페라하우스 광장으로 불렸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창립 멤버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나치의 책 사르기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복구된 건물들과 함께 광장 활용 방안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장소이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제슈트라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슈트라세역 승강장
승강장 (2015년)
역명제슈트라세
역명 (독일어)Seestraße
소재지베를린 미테구
운영 정보
승강장2면 3선
노선 정보
노선베를린 지하철 6호선
영업 거리100.6 km
이전 역레베르게
이전 역 거리1.1 km
다음 역레오폴트플라츠
다음 역 거리0.6 km
기타
제슈트라세역
제슈트라세역
제슈트라세역 입구
입구
제슈트라세역 선로도
제슈트라세역 선로도

2. 역사

1923년 3월 8일, 당시 슈테티너역 (현재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에서 새로 건설된 노선의 북쪽 종착역으로 개통되었다.[1] 초기 역사는 하인리히 예넨(Heinrich Jennen)이 설계를 시작했으며, 그가 사망한 후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와 알프레트 페제(Alfred Fehse)가 완성했다.[2] 건설 당시에는 역 북쪽에 위치한 차량기지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쌍섬식 승강장(2면 4선) 형태로 지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사용되지 않던 승강장이 방공호로 활용되기도 했으나, 전쟁 기간 동안 역 시설과 인근 차량 기지는 폭격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1944년에는 차량 기지 작업장이 파괴되고 다수의 지하철 차량이 소실되는 큰 피해를 겪었다.

전후 복구 과정과 테겔 방면 노선 연장 계획에 따라 역 구조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55년에는 B. 그림멕(B. Grimmek)의 설계로 대대적인 재건축이 이루어졌으며, 승강장 구조와 길이 등이 조정되었다.

과거 제슈트라세역은 동물원역 방면으로 향하는 신규 도시 철도 노선과의 환승역으로 계획된 바 있다. 이를 위해 베딩 구청(Rathaus Wedding) 인근 부지가 확보되기도 했으나, 서베를린베를린 노면전차 노선 폐지 계획과 맞물려 최종적으로는 레오폴트플라츠역이 환승역으로 건설되면서 해당 계획은 무산되었다. 확보되었던 부지에는 이후 베딩 구청과 베를린 보이트 기술대학교의 확장 건물이 들어섰다.

현재는 U6 노선이 운행 중이며, 2018년부터 역 시설 개보수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3]

2. 1. 초기 역사 (1902년 ~ 1923년)

1902년 남북 도시철도(Nord-Süd-Bahn) 계획 당시 프리드리히슈트라세와 쇼세슈트라세를 따라가는 노선이 구상되었으며, 북쪽 종착역으로 뮐러슈트라세/제슈트라세의 교차로가 지정되었다. 남부 종착역은 할레 문(Hallesches Tor)을 거쳐 벨알리앙스슈트라세(현재의 메링담)/그나이제나우슈트라세의 교차로상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1912년 12월 착공하여 전 구간을 1917년/1918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서 무산되었다. 전쟁 이전에 제슈트라세역을 포함한 일부 역사와 터널은 완공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지어지지 않았다. 1921년에 공사가 재개되어 1923년 3월 8일 슈테티너역 (현재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에서 새로 건설된 노선의 종착역으로 개통했다.[1] 건설 당시에는 쌍섬식 승강장(2면 4선)이 설치되었다.

역사의 원 설계자는 1920년에 사망한 하인리히 예넨(Heinrich Jennen)이었으며, 그의 작업을 이어받아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와 알프레트 페제(Alfred Fehse)가 나머지 부분을 완성했다.[2]

2. 2. 노선 연장 및 재건축 (1928년 ~ 1966년)

1928년부터 1966년까지 제슈트라세역은 C선의 북쪽 종착역으로 기능했다. 1929년부터 노선의 북쪽 연장을 위한 선시공이 시작되었으나, 예산 부족 문제로 인해 곧 중단되었다.

테겔 방면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준비 과정에서, 역 북쪽에 위치한 제슈트라세역 차량기지로 들어가는 인입선과의 평면 교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승강장의 위치를 조정했다. 이로 인해 두 승강장은 약 50m 정도 떨어지게 되었다. 이설 당시 승강장은 지하 4.4m 깊이에 위치했으며, 길이는 81m, 폭은 7m였다.[2] 이설 후에는 동쪽에 있는 II번 승강장과 연결된 1번과 2번 선로만 영업 운행에 사용되었다.[3] 이 두 선로는 각각 차량기지로 들어가는 진입선(1번선)과 나오는 진출선(2번선)으로 활용되었고, 그 사이에는 열차 회차를 위한 인상선 2개가 설치되었다.[4] 서쪽에 있는 3번과 4번 선로는 전철화되지 않았으며, 도심 방면에서 수동식 분기기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다. 이 선로와 연결된 I번 승강장은 벽으로 막혀 일반 승객의 접근이 차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사용되지 않던 3번과 4번 선로가 철거되었고, I번 승강장은 방공호로 사용되었다. 이를 위해 임시 출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2] 1943년 11월 3일과 4일 사이 밤에는 폭격으로 인해 당시 사용되지 않던 북쪽 승강장(I번 승강장 추정) 천장이 파괴되었으며, 이 구역은 공습 대피소로 개조되었음에도 피해를 입었다. 1944년 3월 22일에는 인근 차량 기지 작업장이 큰 피해를 입었으며, 화재로 완전히 파괴되고 터널 입구와 선로 구역도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1944년 5월 19일에는 선로 구역과 이미 파괴된 차량 기지 잔해에 세 차례의 직격탄이 떨어져 지하철 차량 44량이 전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1953년에 이르러서야 테겔 방면 북부 연장 공사가 다시 시작되었고, 이 과정에서 1955년 B. 그림멕(B. Grimmek)의 설계로 역사가 완전히 재건축되었다. 초기 연장 운행 계획은 테겔에서 오는 열차가 제슈트라세역까지만 운행하고, 승객들이 이곳에서 내려 다른 승강장으로 이동하여 도심으로 가는 장편성 열차로 환승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이미 페어벨리너 플라츠역에서 시도되었던 방식이었으나, 해당 역의 승강장이 1면밖에 없어 셔틀 운행에 어려움이 있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2]

1955년 10월, 재건축 과정에서 두 승강장을 분리하던 벽이 철거되었고, 지상에서 I번 승강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이 새로 설치되었다. 기존 쌍섬식 승강장의 외선(바깥쪽 선로)은 철거되었고, 영업 운행은 두 개의 내선(안쪽 선로)으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과거 동쪽 승강장(II번)에 연결되었던 1번 선로의 노반은 다시 메워졌고, II번 승강장에도 벽이 설치되었다.[3] 1959년에는 서쪽 끝의 4번 선로가 다시 설치되어 레오폴트플라츠역 방면 운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늘어난 승객 수용과 장편성 열차 정차를 위해 승강장 길이도 연장되었다. I번 승강장은 남쪽으로 연장되어 총 길이 110m, II번 승강장은 북쪽으로 연장되어 총 길이 107m가 되었다.[2] 역사 외벽은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피해 및 복구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역의 3번과 4번 선로가 철거되었고, I번 승강장은 방공호로 사용되었다. 이를 위해 임시 출구가 개설되기도 했다.[2]

전쟁이 심화되면서 역 시설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1943년 11월 3일과 4일 밤 사이에는 폭격으로 당시 사용되지 않던 북쪽 승강장 위 천장이 파괴되었다. 이 승강장은 공습 대피소로 개조되었음에도 피해를 피하지 못했다. 1944년 3월 22일에는 역에 부속된 작업장이 가장 큰 피해를 보았는데, 화재로 인해 작업장 구역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터널 입구와 선로 구역도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이로 인해 작업장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어 1944년 5월 19일에는 선로 구역과 이미 상당 부분 파괴된 차량 기지 잔해에 세 차례의 직격탄이 떨어졌으며, 이로 인해 베를린 지하철 차량 44량이 화염에 휩싸여 완전히 파괴되었다.

2. 4. 현대 (1967년 ~ 현재)

서베를린에서 베를린 노면전차 노선이 단계적으로 폐지됨에 따라, 제슈트라세역을 경유하던 마지막 노면 전차는 1967년 10월 2일에 운행을 종료했다. 그러나 통일 이후 제슈트라세를 따라 운행하던 노선은 다시 건설되어 1997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으며, 비르코우-클리니쿰까지 연장되었다. 현재 이 역에는 두 개의 노면 전차 노선(그 중 하나는 24시간 운행), 낮 시간대에 두 개의 버스 노선, 그리고 심야 버스 세 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2023년까지 역사 개보수 공사와 함께 엘리베이터 설치가 예정되어 있다. 북쪽 방향(테겔 방면) 열차가 이용하는 II번 승강장의 남쪽 끝에 두 번째 출구가 건설될 예정이다. 두 승강장의 보수 공사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공사 기간 중 원활한 열차 운행을 위해 2018년 5월 7일부터 모든 열차를 I번 승강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역 북쪽에 임시 연결선이 설치되었다.[3]

3. 역 구조

건설 당시에는 쌍섬식 승강장(2면 4선) 구조였으나, 테겔 방면 노선 연장 준비 과정에서 제슈트라세 기지 인입선의 평면 교차를 피하기 위해 두 승강장이 약 50m 간격을 두도록 이설되었다. 이설 당시 각 승강장은 지하 4.4m 깊이에 위치했으며, 길이는 81m, 폭은 7m였다.[2] 이설 이후 영업 운행에는 주로 동쪽에 있는 II번 승강장과 연결된 1번과 2번 선로만 사용되었다.[3] 이 선로들은 차량기지 진입선(1번선)과 진출선(2번선)으로 사용되었고, 그 사이에 인상선 2선이 설치되었다.[4] 서쪽에 있는 I번 승강장과 연결된 3번과 4번 선로는 전철화되지 않았으며, 벽으로 막혀 영업 운행과 분리되었다.

1955년에는 테겔 방면 북부 연장 공사와 함께 역이 완전히 재건축되었다. 이 과정에서 두 승강장을 가로막던 벽이 철거되었고, 지상에서 I번 승강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이 새로 설치되었다. 기존 쌍섬식 승강장의 외선(바깥쪽 선로)이 철거되면서 영업 운행은 두 개의 내선(안쪽 선로)으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과거 동쪽 승강장에 연결되었던 1번 선로의 노반은 다시 메워졌고, II번 승강장에도 벽이 설치되었다.[3] 1959년에는 서쪽 끝의 4번 선로가 다시 설치되어 레오폴트플라츠역 방면 운행을 처리하게 되었다. 장편성 열차 정차를 위해 승강장 길이도 연장되었는데, I번 승강장은 남쪽으로 연장되어 총 110m, II번 승강장은 북쪽으로 연장되어 총 107m가 되었다.[2] 역사 외벽은 세라믹 타일로 마감되었다.

현재 영업 운행에는 주로 동쪽에 있는 II번 승강장과 연결된 1번과 2번 선로가 사용된다.[3] 중앙 선로는 역 북쪽에 위치한 차량기지로 접근하거나 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 운행에 사용된다. 서쪽에 있는 I번 승강장과 연결된 3번과 4번 선로는 여전히 전철화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다소 특이한 역 구조는 개통 당시 이 역이 노선의 종착역이었기 때문에 형성되었다.

역사의 원 설계는 1920년에 사망한 하인리히 예넨(Heinrich Jennen)이 시작했으며, 이후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와 알프레트 페제(Alfred Fehse)가 이어받아 완성했다.[2] 초기 역사 외벽은 흰색과 노란색으로 칠해졌고, 승강장 기둥도 노란색이었다. 처음에는 II번 승강장의 양쪽 끝에만 계단이 있었고, I번 승강장으로는 직접적인 진입로가 없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3번과 4번 선로가 철거되고 I번 승강장은 방공호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임시 출구가 개설되기도 했다.[2]

2023년까지 개보수 공사와 함께 엘리베이터 설치가 예정되어 있다. 북쪽 방면 열차가 사용하는 II번 승강장 남쪽에는 두 번째 출구가 설치될 예정이다. 두 승강장의 보수 공사는 시차를 두고 진행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2018년 5월 7일부터 모든 열차를 I번 승강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역 북쪽에 추가 연결선이 설치되었다.[3]

4. 환승

이 U-Bahn 역은 과거 여러 노면 전차와 버스 노선으로 환승이 가능했다. 서베를린에서 노면 전차 노선이 철거되면서 마지막 노면 전차는 1967년 10월 2일에 운행을 중단했다. 그러나 제슈트라세를 따라 운행하던 노선은 다시 건설되어 1997년 10월 25일에 운행을 재개했으며, 비르코우-클리니쿰까지 연장되었다. 현재 이 역에서는 노면 전차 2개 노선(그중 하나는 계속 운행), 주간 버스 2개 노선, 심야 버스 3개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5. 인접 역

알트테겔 방면←제슈트라세→레오폴트플라츠
알트마리엔도르프 방면


참조

[1]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2] 서적 U6. Die „Nordsüdbahn“ durch Mitte Robert Schwandl
[3] 서적 Grundinstandsetzung U-Bahnhof Seestraße 2018-06
[4] 웹사이트 Stellwerksbezirk Betriebswerkstatt Seestraße http://www.berliner-[...] 2018-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