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드와이트 대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James Dwight Dana)는 1813년 뉴욕에서 태어나 1895년 사망한 미국의 지질학자, 광물학자, 동물학자이다. 예일 대학교에서 벤자민 실리먼의 지도를 받았으며, 미국 탐험 원정대에 참여하여 태평양을 탐험하고 샤스타 산의 지질을 연구했다. 하와이 화산 활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화산 사슬을 이론화했으며, 《광물학 체계》, 《광물학 매뉴얼》, 《지질학 매뉴얼》등의 저서를 남겼다. 런던 지질학회, 왕립학회 등에서 메달을 받았으며, 미국 지질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동물학자 - 레이철 카슨
레이철 카슨은 해양 생물학자이자 작가, 환경 운동가로, 저서 《침묵의 봄》을 통해 살충제의 유해성을 알리고 환경 운동에 기여했으며, DDT 사용 금지 운동과 미국 환경 보호국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동물학자 - 알프레드 킨제이
알프레드 킨제이는 미국의 생물학자이자 성 연구가로, 킨제이 보고서로 알려진 『인간 남성의 성 행동』과 『인간 여성의 성 행동』을 통해 다양한 성적 행동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제시하고 성적 지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성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나, 연구 방법론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미국의 지질학자 - 허버트 후버
성공적인 광산 기술자이자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구호 활동과 식량 관리에서 뛰어난 행정 능력을 보였던 허버트 후버는 상무장관을 거쳐 제31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나, 세계 대공황 시기에 비판을 받으며 재선에 실패했고, 이후에도 정치 및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 미국의 지질학자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임스 드와이트 데이나 |
출생 | 1813년 2월 12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유티카 |
사망 | 1895년 4월 14일 (82세)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국적 | 미국 |
서명 | Appletons' Dana James Dwight signature.png |
학문 분야 | |
분야 | 지질학, 광물학, 동물학 |
근무 기관 | 예일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코플리 메달 (1877년) 월러스턴 메달 (1872년) 클라크 메달 (1882년) |
저술 활동 | |
동물학 약칭 | Dana |
2. 생애와 경력
뉴욕주 유티카에서 태어나 예일 대학교에서 벤자민 실리먼 밑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2년간 해군 선원의 수학 교사로 일하며 지중해를 항해했다. 1836년부터 1837년까지 예일 화학 연구소에서 실리먼의 조수로 일했으며, 이후 4년간 찰스 윌크스가 이끈 미국 탐험 원정대에 광물학자이자 지질학자로 참여하여 태평양을 탐험했다. 1842년 귀국 후 13년 동안 탐험 보고서를 정리했으며, 이 기록에는 샤스타 산과 캐슬 크래그스 등 미국 서부 지역에 대한 중요한 지질학적 관찰과 스케치가 포함되었다. 샤스타 산에 대한 그의 기록과 스케치는 1849년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에 게재되었다.
1844년 뉴욕으로 돌아와 실리먼의 딸과 결혼했으며, 1850년에는 스승의 뒤를 이어 예일 대학교의 자연사 및 지질학 교수로 임명되어 1892년까지 재직했다. 그는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의 편집 및 주요 집필자로도 활동했다. 그의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코플리 메달(1877), 월러스턴 메달(1872), 클라크 메달(1882) 등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다. 광물 데이나석(Danalite)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다나는 1813년 2월 12일 뉴욕주 유티카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상인 제임스 다나(1780–1860)였고, 어머니는 해리엇 드와이트(1792–1870)였다. 어머니를 통해 그는 선교사이자 교육자였던 드와이트 뉴잉글랜드 가문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 가문에는 삼촌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 드와이트와 사촌 헨리 오티스 드와이트 등이 포함된다.[3]그는 어릴 때부터 과학에 대한 관심을 보였는데, 이러한 관심은 유티카 고등학교 교사였던 페이 에저튼에 의해 길러졌다. 1830년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벤자민 실리먼의 지도를 받았다. 1833년에 졸업하였다.[4][2]
2. 2. 해군 복무와 탐험
1833년 예일 대학교를 졸업한 후[4][2] 다나는 2년 동안 미국 해군 사관 후보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쳤으며,[2] 이 기간 동안 지중해를 항해했다. 1836년부터 1837년까지는 예일 대학교 화학 실험실에서 실리먼 교수의 조교로 일했다.[4][2]이후 4년 동안(1838년~1842년) 찰스 윌키스가 지휘하는 미국 탐험대에 광물학자이자 지질학자로 참여하여 태평양을 탐험했다.[2][5] 1842년 미국으로 돌아온 다나는 탐험에서 얻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13년이라는 시간을 쏟았다. 이 4년간의 탐험 기록에는 미국 캐스케이드 산맥 남부의 화산인 샤스타 산과 캐슬 크래그스 풍경을 포함한 50개의 스케치, 지도, 도표 등이 담겨 있었다. 다나가 그린 샤스타 산 스케치는 1841년 지질학 노트를 바탕으로 작성된 긴 기사와 함께 1849년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에 게재되었다. 이 기사에서 그는 샤스타 지역의 암석, 광물, 지질을 과학적으로 상세히 설명했다. 다나의 샤스타 산 스케치는 출판된 것으로는 두 번째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2. 3. 학문적 경력
1833년 예일 대학교를 졸업한 후,[4][2] 2년 동안 미국 해군 사관 후보생에게 수학을 가르치며 지중해를 항해했다.[2] 1836년부터 1837년까지는 예일 대학교 화학 실험실에서 벤자민 실리먼 교수의 조교로 일했다.[4][2]이후 4년간 찰스 윌키스 선장이 지휘하는 미국 탐험대에 광물학자이자 지질학자로 참여하여 태평양을 탐험했다.[2][5] 1842년 미국으로 돌아와서는 13년 동안 탐험 보고서를 준비하는 데 전념했다. 이 4년간의 탐험 기록에는 샤스타 산과 캐슬 크래그스 풍경을 포함한 50개의 스케치, 지도, 도표가 담겨 있었다.
1844년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다시 정착하여 실리먼 교수의 딸인 헨리에타 프랜시스 실리먼과 결혼했다. 1846년부터는 실리먼 교수가 1818년에 창간한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의 공동 편집자를 맡았고, 말년에는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주로 지질학과 광물학에 관한 기사를 기고했다.

1849년, 그는 샤스타 산 지역의 암석, 광물, 지질을 과학적으로 설명한 논문을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1841년 탐험 중 작성한 지질학 노트를 바탕으로 했으며, 그가 그린 샤스타 산 스케치도 함께 실렸다. 이 스케치는 출판된 샤스타 산 그림 중 두 번째로 알려져 있다. 이 샤스타 산 지질학 연구 발표는 당시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열풍과 맞물려 주목받았다. 대너는 당대 미국의 뛰어난 지질학자 중 한 명이었고 북부 캘리포니아 지형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진 소수의 전문가였다. 그는 이전에 오리건의 엄프쿠아 강과 새크라멘토 계곡 사이 지역에서 금 발견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샤스타 지역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자 광부들에게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논문을 발표했을 것으로 보인다.
1850년, 스승 벤자민 실리먼의 뒤를 이어 예일 대학교의 자연사 및 지질학 실리먼 교수(Silliman Professor of Natural History and Geology)로 임명되어 1892년까지 재직했다. 1854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대너는 하와이 화산 활동 연구에도 크게 기여했다. 1880년과 1881년, 하와이 섬의 화산에 대한 최초의 지질 연구를 이끌었다. 그는 하와이 화산 사슬이 "로아(Loa)"와 "케아(Kea)"라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 케아 경향에는 킬라우에아, 마우나 케아, 코할라, 할레아칼라, 서마우이가 포함되며, 로아 경향에는 카마에후카날로아 해산, 마우나 로아, 후알랄라이, 카호올라웨, 라나이, 서몰로카이가 포함된다고 보았다. 1884년 동료 지질학자 C. E. 더튼의 탐험 이후 다시 하와이 섬을 방문했고, 1890년에는 당시 가장 상세한 연구 결과를 담은 원고를 출판하여 수십 년간 하와이 화산 연구의 기준이 되었다.
대너는 사랑받는 지질학 교사였다. 올리버 C. 패링턴에 따르면, ''다나 교수의 발치에 앉아 그의 지식의 넘쳐나는 샘에서 마시는 것은 한 번 누리면 결코 잊을 수 없는 특권이었다''.[7] 패링턴은 대너가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조사자의 자질 중 신중함을 가장 높이 평가했다고 전한다. 대너는 저자의 진술을 신뢰할지 여부를 판단할 때 그 저자가 신중한 사람인지에 따라 조언했으며, 성급하고 부주의한 결론이나 빈약한 관찰에서 만들어진 정교한 이론에는 인내심이 없었다. 그러나 사실에 대한 신중하고 철저한 연구에서 파생된 의견이라면 이전의 결론과 아무리 상반되더라도 최대한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한다. 대너는 "더 많은 것은 순응성보다 부적합성을 연구함으로써 배울 수 있다"고 말했으며, 이는 부적합한 의견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지층에도 적용된다고 믿었다. 패링턴은 또한 대너의 첫 스승이 자연을 열렬히 연구하는 사람이었고, 학생들과 함께 광물, 식물, 곤충을 수집하러 긴 산책을 자주 가며 지식 추구에 대한 열정을 심어주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한 예로, 스승은 외딴 곳에서 너무 많은 광물 표본을 모아 들고 갈 수 없게 되자, 바지 한 짝으로 즉석에서 가방을 만들어 표본을 안전하게 옮겼다고 한다.
그의 학문적 업적을 기려 1877년 영국 왕립학회로부터 코플리 메달을, 1872년 런던 지질 학회로부터 월러스턴 메달을, 1882년 뉴사우스웨일스 왕립학회로부터 클라크 메달을 수상했다. 광물 데이나석(Danalite, Fe4Be3(SiO4)3S)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2. 4. 교육자로서의 업적
다나는 사랑받는 지질학 교사였다. 올리버 C. 패링턴에 따르면, ''다나 교수의 발치에 앉아 그의 지식의 넘쳐나는 샘에서 마시는 것은 한 번 누리면 결코 잊을 수 없는 특권이었다''.[7] 그의 가르침 스타일에 대한 몇 가지 예는 올리버 C. 패링턴이 다음과 같이 전했다.[7]: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그가 가장 높이 평가하는 조사자의 자질은 신중함이었다. 다나 교수의 의견에 따라 저자의 진술을 신뢰하거나 의심하라는 조언을 얼마나 자주 받았는지, 그가 신중한 사람이었는지, 아니었는지에 달려 있었다. 성급하고 부주의한 결론이나 빈약한 관찰에서 만들어진 정교한 이론에 그는 인내심이 없었지만, 그가 믿기에 사실에 대한 신중하고 철저한 연구에서 파생된 의견에 그는 이전의 결론과 아무리 상반되더라도 언제나 최대한의 고려를 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더 많은 것은 순응성보다 부적합성을 연구함으로써 배울 수 있다"고 그는 말했고, 이는 부적합한 의견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지층에도 적용된다고 믿었다.
:다나 교수의 첫 번째 교사는 자연을 열렬히 연구하는 사람이었고, 그의 학생들과 함께 광물, 식물 및 곤충을 수집하기 위해 긴 산책을 자주 갔으며, 그들에게 지식 추구에 대한 열정을 많이 불러일으켰다. 그러므로 그의 뛰어난 제자의 명성의 일부가 그에게 기인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나 교수가 그의 스승의 열정을 수집가로 보여주기 위해 이야기했던 한 가지 사건은, 그의 작은 일행이 외딴 곳에서 손에 들고 갈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광물 표본을 모았을 때, 그 스승은 어떤 것도 남겨두는 것보다 바지 한 짝으로 가방을 즉석에서 만들었고, 이렇게 안전하게 목적지에 옮겼다.
2. 5. 사망
1895년 4월 14일에 사망했다.[2]2. 6. 가족
아버지는 상인 제임스 다나(1780–1860)이고, 어머니는 해리엇 드와이트(1792–1870)이다. 어머니를 통해 그는 뉴잉글랜드의 유명한 드와이트 가문과 인척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이 가문에는 선교사이자 교육자였던 삼촌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 드와이트와 사촌 헨리 오티스 드와이트 등이 있었다.[3]1844년,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스승 벤자민 실리먼 교수의 딸인 헨리에타 프랜시스 실리먼과 결혼했다.[8]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에드워드 샐즈베리 대너(1849–1935)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저명한 광물학자가 되었다.
3. 주요 업적 및 연구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는 19세기 미국의 저명한 과학자로서, 광물학, 지질학, 동물학 등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그는 광물의 체계적인 분류를 시도하고, 광범위한 지질 탐사를 통해 지구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해양 생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당대의 과학적 발견과 종교적 신념 사이의 조화를 모색하는 지성인의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대너의 연구는 광물학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1837년에 출간한 System of Mineralogy|광물학 체계영어는 화학적 조성에 기반한 새로운 광물 분류법을 제시하며 현대 광물학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9] 이 책은 그의 사후에도 후속 연구자들에 의해 개정되며 오랫동안 광물학 분야의 표준 참고서로 인정받았다.[14] 또한, 1848년에 출간된 Manual of Mineralogy|광물학 매뉴얼영어 역시[10]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치며 중요한 대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의 광물학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규산염 광물의 일종인 데이나석(Danalite)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지질학 분야에서 대너는 미국 탐험 원정대(1838-1842)에 광물학자 겸 지질학자로 참여하여 태평양 일대를 탐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중요한 연구 성과를 남겼다.[2][5] 그는 이 탐사를 통해 얻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특히 하와이 지역의 화산 활동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화산 지형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다.[7] 또한 북미 서부 지역의 지질 구조 연구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1872년 런던 지질 학회로부터 권위 있는 월러스턴 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예일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자연사 및 지질학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4][2]
동물학 분야에서도 대너는 탐험 원정대의 경험을 토대로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탐사 중 수집한 자포동물과 갑각류 표본을 연구하여 상세한 보고서를 출판했으며, 특히 갑각류에 대한 연구는 분류학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산호 연구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 1872년에는 Corals and Coral Islands|산호와 산호섬영어이라는 저서를 출간하기도 했다.[12]
이 외에도 대너는 19세기 중반 과학과 종교 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며, 과학적 발견과 성경의 내용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를 담은 저술들을 발표했다.[15] 이는 당시 지성계의 주요 논쟁 중 하나였던 과학과 신앙의 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을 보여준다.
3. 1. 광물학 연구
다나의 광물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1837년에 출판된 《광물학 체계》(System of Mineralogyeng)이다.[9] 이 책은 광물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그의 아들인 에드워드 샐즈베리 다나가 6판(1892)을 편집했고,[14] 7판은 1944년에, 8판은 R. V. 게인스 등이 편집하여 《다나의 새로운 광물학》(Dana's New Mineralogyeng)이라는 제목으로 1997년에 출판되었다.1848년에는 《광물학 매뉴얼》(Manual of Mineralogyeng)을 출판했다.[10] 이 책은 이후 《광물학 및 암석학 매뉴얼》(Manual of Mineralogy and Lithologyeng, 4판, 1887) 등으로 개정되며 표준적인 대학 교재로 자리 잡았다. W. E. 포드(13-14판, 1912–1929), 코르넬리우스 S. 헐버트(15-21판, 1941–1999), 그리고 코르넬리스 클라인(22판 이후) 등이 개정 작업을 이어갔다. 가장 최근 판인 23판은 코르넬리스 클라인과 바바라 듀트로우가 개정하여 《광물 과학 매뉴얼(광물학 매뉴얼)》(Manual of Mineral Science (Manual of Mineralogy)eng, 2007)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광물학 분야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철과 베릴륨을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인 데이나석(Danalite, Fe4Be3(SiO4)3S)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3. 2. 지질학 연구
1836년부터 1837년까지 예일 대학교 화학 연구소에서 실리먼 교수의 조교로 일한 후,[4][2] 4년 동안 찰스 윌키스가 이끈 미국 탐험 원정대에 광물학자이자 지질학자로 참여하여 태평양 지역을 탐사했다.[2][5] 1842년 미국으로 돌아온 후 13년 동안 이 탐험의 보고서를 준비하는 데 전념했다. 그의 탐험 기록에는 샤스타 산과 캐슬 크래그스의 풍경을 포함한 50개의 스케치, 지도, 도표가 포함되어 있었다. 다나가 그린 샤스타 산 스케치는 1841년 지질학 노트를 바탕으로 한 긴 기사와 함께 1849년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실리먼이 1818년에 창간)에 게재되었다. 이 기사에서 그는 샤스타 지역의 암석, 광물 및 지질을 과학적인 용어로 상세히 기술했다. 그의 샤스타 산 스케치는 출판된 것으로는 두 번째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1849년에 출판된 그의 샤스타 산 지질학 연구는 당시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와 관련하여 주목받았다. 다나는 당대 미국의 뛰어난 지질학자 중 한 명이었으며, 북부 캘리포니아 지형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진 소수의 훈련된 관찰자였다. 그는 이전에 오리건의 엄프쿠아 강과 새크라멘토 계곡 사이 경로에서 금 발견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에, 그의 전문 지식은 금을 찾는 광부들에게 중요했을 것이다.
1850년에는 스승 실리먼의 뒤를 이어 예일 대학교의 자연사 및 지질학 실리먼 교수로 임명되어 1892년까지 재직했다. 1846년부터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의 공동 편집자를 맡았고, 말년에는 편집장으로서 주로 지질학과 광물학 관련 기사를 기고했다.
다나는 하와이 화산 활동에 대한 초기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1880년과 1881년에는 하와이 섬의 화산에 대한 최초의 지질 연구를 이끌었다. 그는 화산 사슬이 "로아(Loa)"와 "케아(Kea)"라는 두 가지 주요 화산 경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이론화했다. 케아 경향에는 킬라우에아, 마우나 케아, 코할라, 할레아칼라, 서마우이가 포함되며, 로아 경향에는 카마에후카날로아 해산, 마우나 로아, 후알랄라이, 카호올라웨, 라나이, 서몰로카이가 포함된다고 보았다. 1884년 동료 지질학자 C. E. 더튼의 탐험 이후, 다나는 다시 하와이 섬으로 돌아와 1890년에 당시까지 가장 상세한 연구 결과를 담은 원고를 출판했으며, 이는 수십 년 동안 하와이 섬의 화산에 대한 결정적인 자료로 평가받았다.
그는 지질학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1872년 월러스턴 메달을 수상했다. 또한, 광물 데이나석(Danalite)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다나는 신중한 관찰과 사실에 기반한 연구를 중시하는 교육자로도 알려져 있다.[7]
3. 3. 동물학 연구

대너는 윌크스 탐험대(1838-1842)에 참여하여 얻은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동물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탐험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자포동물과 갑각류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이 보고서들은 1846년부터 출판되었다. 특히 갑각류에 대한 그의 연구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그는 산호 연구에도 집중하여 ''산호와 산호섬''(Corals and Coral Islands)이라는 저서를 1872년에 출판했고, 1890년에는 개정판을 내기도 했다.[12]
3. 4. 과학과 종교의 조화
1856년에서 1857년 사이에 다나는 과학적 발견과 성경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로 여러 저술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Science and the Bible: A Review of "The Six Days of Creation" of Prof. Tayler Lewis|과학과 성경: "테일러 루이스 교수의 '창조의 6일'" 검토eng(1856)[15]와 Creation, Or, The Biblical Cosmogony in the Light of Modern Science|창조, 또는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본 성경적 우주론eng(1885)이 있다.4.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내역 / 영예 | 수여 기관 / 단체 |
---|---|---|
1874년 | 월러스턴 메달 | 런던 지질학회 |
1877년 | 코플리 메달 | 로열 소사이어티 |
1882년 | 클라크 메달 | 뉴사우스웨일스 왕립 학회 |
1890년 | 회장 역임 | 미국 지질학회[16] |
광물 데이나석(Danalite, Fe4Be3(SiO4)3S)은 제임스 드와이트 대너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5. 그를 기리는 것들
- 데이나 공원(Dana Park): 미국 뉴욕주 올버니에 위치한 공원으로, 데이나를 기리는 분수와 기념비가 있다.
- 데이나 산(Mount Dana)과 인근의 데이나 메도우(Dana Meadows):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에라 네바다에 위치한다.
- 도르사 데이나(Dorsa Dana): 달의 습곡 능선이다.
- 데날라이트(Danalite): 광물의 한 종류이다.
- 데이나 해협(Dana Passage): 미국 퓨젓 사운드에 위치한다.[17]
- 데이나(Dana): 화성에 있는 충돌구이다.[18]
- 데이나 메달(Dana Medal): 미국 광물학회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데이나와 그의 아들 에드워드 샐즈버리 데이나(Edward Salisbury Dana)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광물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거둔 중견 과학자에게 주어진다.
- 제임스 드와이트 데이나 하우스(James Dwight Dana House):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위치하며, 1965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 화석 말굽게 ''Euproops danae'': 데이나의 이름이 학명에 사용되었다.
- 데이나 봉(Dana Peak): 알래스카에 위치한 봉우리이다.[19]
참조
[1]
웹사이트
Australian Faunal Directory: Grapsus longitarsis
https://biodiversity[...]
2022-01-25
[2]
뉴스
Prof. Dana Dead
https://www.newspape[...]
1895-04-15
[3]
서적
The history of the descendants of John Dwight, of Dedham, Mass
https://books.google[...]
J. F. Trow & son, printers and bookbinders
[4]
서적
King of the Dinosaur Hunters: The life of John Bell Hatcher and the Discoveries That Shaped Paleontology.
Pegasus Books
2018
[5]
서적
The Great United States Exploring Exp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19
[7]
간행물
James D. Dana as a Teacher of Geology
https://www.journals[...]
1895
[8]
서적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Part 1 (A–J)
https://web.archiv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9]
서적
A System of Mineralogy, Comprising the Most Recent Discoveries: With Numerous Wood Cuts and Four Copper Plates
https://hdl.handle.n[...]
Wiley and Putnam
[10]
서적
Dana's Manual of Mineralogy for the Student of Elementary Mineralogy, the Mining Engineer, the Geologist, the Prospector, the Collector, Etc.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
[11]
서적
Manual of geology: Treating of the Principles of the Scie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American geological history, for the use of colleges, academies, and schools of science
https://archive.org/[...]
Ivison, Blakeman, Taylor and Co.
[12]
서적
Corals and coral islands
https://archive.org/[...]
Sampson Low, Marston, Low and Searle
[13]
서적
Characteristics of volcanoes : with contributions of facts and principles from the Hawaiian Islands
https://archive.org/[...]
Dodd, Mead and Co.
[14]
서적
The system of mineralogy of James Dwight Dana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15]
서적
Science and the Bible: a review of "the six days of creation" of Prof. Taylor Lewis
http://www.farlang.c[...]
Warren F. Draper
[16]
문서
Eckel, Edwin, 1982, GSA Memoir 155,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 Life History of a Learned Society, {{ISBN|0-8137-1155-X}}.
[17]
웹사이트
Thurston County Place Names: A Heritage Guide
https://web.archive.[...]
Thurston County Historical Commission
1992
[18]
간행물
The new Martian nomenclature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975-09
[19]
웹사이트
2023-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