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캔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캔틀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외과의이자 열대의학 연구자였다. 그는 애버딘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런던의 체링 크로스 병원에서 임상 훈련을 받았으며, 홍콩에서 중국인을 위한 홍콩 의과대학을 공동 설립하여 홍콩 대학교의 기반을 다졌다. 캔틀리는 쑨원의 석방을 돕고, 열대의학 저널을 창간했으며,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 설립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왕립 열대의료 위생학회를 창립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급차 서비스에 헌신했다. 
캔틀리는 스코틀랜드 밴프셔에서 태어나 애버딘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런던의 체링 크로스 병원에서 임상 훈련을 받았다. 1877년 에든버러 왕립 외과대학 펠로우가 되었고, 체어링 크로스 병원의 외과의사 보조가 되었다. 1883년에는 이집트에서 봉사하기 위해 자원하기도 했다. 1886년에는 체어링 크로스 병원의 외과의사가 되었으며, 1888년 홍콩으로 건너가 중국인을 위한 홍콩 의과대학(훗날 홍콩 대학교)을 공동 설립했다. 
제임스 캔틀리는 열대의학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특히 나병과 페스트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1] 그는 홍콩중국인의과대학(훗날 홍콩 대학교)을 설립하여 아시아 지역의 현대 의학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쑨원을 비롯한 많은 인재를 양성했다. 
[1] 
웹사이트
 
Gray's Inn Place, Sun Yat-sen And A London Kidnapping
 
https://alondoninher[...] 
2023-01-28
 
 
                        
2. 생애
1896년 런던으로 귀국한 캔틀리는 쑨원을 청나라의 납치에서 구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후 열대의학 연구와 구호 활동에 힘썼으며, 1898년 열대의료저널을 창간하고 1899년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을 세웠다. 1907년에는 열대 의학 및 위생 왕립 학회를 창립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구급차 서비스 제공과 훈련에 헌신했다.
사망 후에는 하트포드셔주 코터드의 세인트 존 침례교회에 안장되었다. 아들로는 케네스 캔틀리 중령과 닐 캔틀리 경이 있었고, 증손자 존 캔틀리는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캔틀리는 스코틀랜드 밴프셔(Banffshire)에서 태어나 애버딘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런던의 체링 크로스 병원에서 임상 훈련을 받았다.[4] 1877년, 캔틀리는 에든버러 왕립 외과대학의 회원(Fellow)이 되었고, 체링 크로스 병원의 부외과 의사가 되었다.[4]
2. 2. 이집트 파견 및 결혼
1883년, 캔틀리는 다른 11명의 민간 의사, 6명의 육군 정규병과 함께 이집트에서 봉사하기 위해 자원했다. 이집트로 가기 전, 캔틀리는 메이벨 바클레이 브라운(1921년 사망)과 약혼했는데, 브라운의 아버지도 런던 스코티시에 자원했다. 캔틀리와 브라운은 1884년에 결혼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4]
2. 3. 홍콩에서의 활동 (1888-1896)
1886년, 캔틀리는 체어링 크로스 병원의 외과 의사가 되었다. 1888년, 홍콩에서 중국인을 위한 홍콩 의과대학(훗날 홍콩 대학교로 발전)을 공동 설립했다.[1] 이 대학의 첫 번째 제자 중 한 명은 훗날 중화민국의 총통이 되는 쑨원이었다. 캔틀리는 쑨원의 스승이자 멘토로서 그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캔틀리는 홍콩에서 나병과 다양한 열대병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으며, 1894년에는 페스트 발병을 겪었다.[1]
2. 4. 런던 귀환 및 쑨원 구출 (1896)
1896년, 캔틀리는 연구와 진료 활동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런던으로 돌아왔다. 같은 해, 쑨원이 런던을 방문했다가 청나라 측에 의해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
쑨원은 청나라 공사관에 감금되어 중국으로 송환, 처형될 위기에 처했으나, 캔틀리가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을 알리고 캠페인을 벌인 덕분에 석방되었다.[2] 이 사건으로 쑨원은 영국에서 영웅으로 칭송받게 되었다.[2]
2. 5. 열대의학 연구 및 구호 활동
캔틀리는 1898년 열대의료저널(Journal of Tropical Medicine)을 창간하고, 1899년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1] 1907년에는 열대 의학 및 위생 왕립 학회를 창립했다.[1] 20세기 초,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캔틀리는 구급차 서비스 제공과 훈련에 헌신했다.[1]
2. 6. 사망 및 유산
캔틀리는 사망 후 하트포드셔주 코터드(Cottered)에 있는 세인트 존 침례교회에 안장되었다.[2] 그의 아들 중에는 케네스 캔틀리 중령,[3] 닐 캔틀리 경이 있었으며,[4] 증손자 존 캔틀리는 언론인으로 활동했다.[2]
3. 평가
1896년, 캔틀리는 청나라에 의해 납치된 쑨원을 구출하기 위해 언론 캠페인을 벌였다. 쑨원은 청나라 공사관에 감금되어 처형당할 위기에 처했으나, 캔틀리의 도움으로 석방되었고 영국에서 영웅이 되었다.[2] 이는 캔틀리의 인도주의적 면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참조
[2] 
뉴스
 
Kidnapped British journalist's link to China's founding father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ining Post
 
2014-11-02
 
[3] 
간행물
 
Obituary: Lieutenant colonel Kenneth Cantlie C.ENG. F.I.MECH.E
 
1986
 
[4] 
ODNB
 
Cantlie, Sir James (1851–1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