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P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PD는 대한민국의 래퍼, 음악 프로듀서, 사업가이다. 1976년 부산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유학하며 힙합 음악을 접했다. 1998년 PC통신을 통해 발표한 곡으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1999년 정규 1집 앨범 ''In Stardom''으로 데뷔하여 5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이후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활동했고, Ra.D, DNS 등의 음반을 제작하며 프로듀서로서의 면모도 보였다. 2004년 군 복무 후 2007년 활동을 재개했으나,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대표로서 블락비와의 전속 계약 분쟁, 탑독 관련 논란 등 여러 이슈에 휘말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가네트워크 - 브라운 아이드 걸스
브라운 아이드 걸스는 제아, 미료, 나르샤, 가인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4인조 걸 그룹으로, R&B와 힙합을 접목한 음악으로 데뷔하여 일렉트로니카 장르로 변화를 시도하며 대중적인 성공과 음악적 성취를 거두었고, 멤버들은 그룹 활동 외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내가네트워크 - 메이다니
메이다니는 2001년 SBS에서 발굴되어 데뷔 전부터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JYP와 YG에서 연습생 시절을 거쳐 2009년 데뷔 후 싱글 앨범 발매, OST 참여, 영화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진보 성향 팬덤으로부터 지지를 받는다. - 부산광역시 출신 래퍼 - 엑시
엑시는 추소정이라는 본명을 가진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 그룹 우주소녀와 유닛 우주소녀 더 블랙의 리더이자 래퍼이며, 2015년 《언프리티 랩스타 2》 참가 후 2016년 우주소녀로 데뷔하여 솔로 음반, OST, 드라마, 작사 및 작곡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출신 래퍼 - 김재덕 (가수)
김재덕은 1997년 젝스키스 멤버로 데뷔하여 메인 댄서와 안무가로 활동했으며, 젝스키스 해체 후 J-Walk를 결성했고, 무한도전 '토토가' 프로젝트를 통해 젝스키스가 재결합하면서 그룹 활동을 재개,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영화 출연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이다. -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 - 박효신
박효신은 1999년 데뷔하여 〈야생화〉 등 다수의 히트곡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 소몰이 창법의 대표 가수로 꼽히며, 뮤지컬 배우로도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 - 싸이
1977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음반 제작자인 싸이는 2001년 데뷔 후 독특한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을 겪었고, 2012년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후 "젠틀맨", "행오버"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2019년 기획사 P NATION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조PD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중훈 |
출생일 | 1976년 1월 27일 (48세)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직업 | 레코드 프로듀서 래퍼 |
활동 시기 | 1998–2010; 2011–현재 |
소속사 | 초코 엔터테인먼트 |
배우자 | 박주현 |
가족 | 2남 |
웹사이트 | 조PD 트위터 |
음악 스타일 | |
장르 | 힙합 |
관련 정보 |
2. 생애
조PD(조중훈)는 1976년 1월 27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24] 15세 때 미국으로 건너가 파슨스 디자인 스쿨과 버클리 음악대학을 다녔다. 1998년 10월, 대학교 1학년 때 PC통신 나우누리에 올린 MP3 음악 파일이 인기를 끌면서 음악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26]
1999년 1월, 앨범 ''In Stardom''으로 정식 데뷔했다. 이 앨범은 "청소년 유해 매체물" 판정을 받고도 50만 장 이상 팔렸다.[27] 1999년 8월, 2집을 발표하여 1집에 이어 판매 1위에 오르며 싸이, 이정현 등을 배출하였다.
2001년 Future Flow 사옥을 준공하고 4집을 발표한 후 처음으로 TV 라이브 무대에 나섰다.[28] 이후 제작자로 '''Ra.D''', DNS 등의 음반을 제작하며 경영에 전념하다 대표직을 사임하였다. 인순이와 함께 작업한 〈친구여〉는 공중파 가요 프로그램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2004년 8월, 산업기능요원으로 입대하여 2007년 10월 소집 해제되었다. 2007년 10월, 정규 6집 《Money Talks》로 3년 만에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9년 9월, Rhymer와 Brand New Stardom을 설립하였다. 2011년에는 Verbal Jint와 듀엣 앨범을 발표하고, Brown Eyed Girls와 싱글 《랄라랜드》를 발표하였다.[30]
2012년 Brand New Stardom은 스타덤 엔터테인먼트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Block B와의 법정 분쟁이 있었으나, Block B의 전속권이 새로운 소속사로 이양되면서 마무리되었다.[32] 2013년 8월, 9년 만의 스튜디오 앨범이자 2년 만의 신작인 미니 앨범을 발표하였다.[33] 앨범 활동 후 Topp Dogg을 출범시켰다. 2015년에는 스타덤이 후너스에 인수 합병되었다.
2. 1. 초창기 (1976~1998)
조PD(조중훈)는 1976년 1월 27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패션 디자이너인 어머니 정영혜와 기업인인 아버지 사이에서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24] 15세 때 한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가 파슨스 디자인 스쿨과 버클리 음악대학을 다녔다. 중학교 시절 친구와 락 밴드를 할 정도로 음악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고등학교 시절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친구의 영향으로 Naughty by Nature를 접하면서 힙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25] 대학교 1학년이었던 1998년 10월, PC통신 나우누리 신인가수방에 친구의 권유로 올린 MP3 음악 파일이 인기를 끌면서 음악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26] 그 중〈Break Free〉라는 곡은 남성 성기를 상징하는 욕설이 들어있는 충격적인 가사로 "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선정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그는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그러던 중 수많은 기획사의 섭외를 물리치고 자신의 레이블 '''Stardom'''을 설립, 제작자를 겸업하였다.2. 2. 정식 데뷔와 전성기 (1999~2007)
그의 정식 데뷔는 1999년 1월 앨범 ''In Stardom''으로 이루어졌다. 이 앨범은 최초로 "청소년 유해 매체물" 판정을 받고도 50만 장 이상 팔리는 인기를 얻었으며,[27] 이러한 특징으로 공중파 9시 뉴스에 연일 보도되기도 하였다. 1999년 8월에 발표한 2집은 1집에 이어 판매 1위에 등극, 신드롬을 이어가며 싸이, 이정현 등의 스타를 배출하였다. 또한 "얼굴 없는 가수"로 불리던 조PD가 자신의 얼굴을 공개한 시기이기도 하다.2001년 그는 새로운 회사명인 Future Flow 사옥을 준공하고 작업실과 스튜디오, 숙소를 겸한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자신의 4집을 발표하고 처음으로 TV 라이브 무대에 나가기도 하였다.[28] 이외에도 제작자로서 '''Ra.D''', DNS 등의 음반을 제작하며 경영에 전념하였으나, 돌연 대표직을 사임하였다. 이후 조PD는 대주주로서의 지분과 경영권은 유지하였으나 운영은 정원관에게 맡긴 후 스튜디오로 돌아갔다. 이러한 결과로 발표된 타이틀곡 〈친구여〉는 인순이와 함께 작업한 곡으로, 공중파 가요 프로그램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큰 인기를 얻으며 선후배 간의 공동 작업 신드롬을 낳기도 하였다. 2005년 그는 클럽 Brooklyn을 잠시 운영하였으며,[29] Brown Eyed Girls의 디지털 싱글 '''Hold The Line''' 참여 이후 노출을 자제하면서 사실상 은퇴 행보를 보였다.
2. 3. 군 복무와 컴백 (2004~2011)
2004년 8월, 산업기능요원으로 입대, 2006년 6월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고 2007년 10월까지 방위산업체에서 근무 후 소집 해제되었다. 2005년 1월, 초등학교 동창 박주현과 결혼, 2006년 1월 첫째 아들을, 2010년 4월 둘째 아들을 득남하였다. 2007년 10월, 정규 6집 《Money Talks》로 3년 만에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9년 9월 Brand New Production을 운영하던 Rhymer와 Brand New Stardom을 설립, 처음에는 Rhymer에게 경영을 맡겼으나 곧 해임하고 직접 경영하였다. 2011년 2월 싱글 <보란듯이>로 컴백, 3월 EP 앨범을 발표하였다. 4월, Verbal Jint와 듀엣 앨범을 발표하고 기념 콘서트를 개최, 7월에는 Brown Eyed Girls와 싱글 《랄라랜드》를 발표하였다.[30]2. 4. 스타덤 엔터테인먼트와 논란 (2012~2015)
2012년 Brand New Stardom은 스타덤 엔터테인먼트로 상호명을 변경하면서 과거 조PD의 레이블 Stardom을 직접 계승하는 레이블로 거듭났다. 2013년 들어 Block B가 활동에 대한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해 전속 계약 무효를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8개월 간의 법정 분쟁이 이어졌다. 이 분쟁은 2013년 8월 말 Block B의 전속권이 새로운 소속사 세븐시즌스로 이양되고 스타덤 역시 Block B의 향후 활동을 적극 지지, 지원하기로 하면서 마무리되었다.[32]한편 조PD는 오랫동안 후배 가수 프로듀싱에 전념하여 자신의 음악 활동은 잠잠하였으나, 2013년 8월 새 앨범 발표를 앞두고 있음을 밝혔다. 앨범은 미니 앨범으로 그에게는 2년 만의 신작이자 9년 만의 스튜디오 앨범이었다.[33] 앨범 활동 마무리 후에는 다시 후배 양성에 힘을 쏟아, 스타덤 엔터테인먼트의 새 얼굴인 13인조 그룹 Topp Dogg을 출범시켰다. 2015년에는 스타덤이 후너스에 인수 합병되었다.
3. 음악 활동
조PD는 1999년 데뷔 앨범 ''In Stardom''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 스타덤 엔터테인먼트와 Future Flow를 통해 여러 정규 앨범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브랜뉴 스타덤에서 ''State of the Art''와 ''Art of Business'' 두 파트로 구성된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비정규 앨범으로는 2010년 ''Victory'', 버벌진트와 함께한 ''The Hard Way'', 2013년 ''In Stardom V3.0'', 2015년 ''The Goose That Lays Golden Eggs Part 1'' 등이 있다.
김장훈, 브라운 아이드 걸스, 최정철, 윤일상, 포스티노, 박미경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 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3. 1. 정규 앨범
앨범명 | 발매일 | 레이블 | 형태 | 수록곡 |
---|---|---|---|---|
In Stardom | 1999년 1월 15일 |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 CD, 카세트테이프 | |
In Stardom Version 2.0 | 1999년 8월 24일 |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 CD, 카세트테이프 | |
ChoPD.Net / Best In East | 2000년 12월 27일 |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 CD, 카세트테이프 | |
Stardom In Future Flow | 2001년 12월 12일 | Future Flow | CD, 카세트테이프 | |
Great Expectation | 2004년 3월 23일 | Future Flow | CD, 카세트테이프 | |
Money Talks | 2007년 10월 22일 | Future Flow | CD | |
Part 1: State of the Art | 2011년 10월 12일 | 브랜뉴 스타덤 | CD, 디지털 다운로드 | |
Part 2: Art of Business | 2011년 10월 12일 | 브랜뉴 스타덤 | CD, 디지털 다운로드 |
3. 2. 비정규 앨범
제목 | 앨범 정보 | 최고 순위 대한민국 | 판매량 |
---|---|---|---|
Victory | 20 | ||
The Hard Way The Hard Way|더 하드 웨이영어 with 버벌진트 | 10 | ||
In Stardom V3.0 | 25 | ||
The Goose That Lays Golden Eggs Part 1 (황금알을 낳는 Part 1) | 23 |
3. 3. 프로젝트 앨범
- 2004년 싱글 앨범 〈二色英雄新聞〉 with 김장훈
- 2006년 디지털 싱글 ''Hold The Line'' with 브라운 아이드 걸스
- 2007년 프로젝트 앨범 《The Return of Prodigal Son - 돌아온 탕아》 with 최정철
- 2008년 프로젝트 앨범 ''PDIS'' with 윤일상
- 2008년 프로젝트 앨범 ''Soulmate Remix Project'' with 포스티노
- 2008년 프로젝트 앨범 ''JoPD+Park Mi Kyung'' with 박미경
- 2010년 프로젝트 앨범 ''2 The Hard Way'' with 버벌 진트
- 2010년 디지털 싱글 〈랄라랜드〉 with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나르샤)
3. 4. 합동 앨범 작업
조PD는 여러 음악가들과 합동 앨범 작업을 진행했다. 2007년 최정철과 디지털 싱글을 발표했고[1], 2008년에는 프로듀서 Postino와 일렉트로니카 성향의 앨범을 발표했다.[1]3. 4. 1. 최정철과의 작업
2007년 9월 조PD와 최정철은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 돌아온 탕아'''라는 디지털 싱글을 합동 작업으로 발표하였다. 이 앨범에는 〈초심으로〉를 비롯한 세 트랙이 담겨있다.[1]3. 4. 2. Postino와의 작업
2008년 4월 조PD는 PDIS를 결성함에 이어 신승훈, 윤종신 등의 앨범에 참여한 바 있는 프로듀서 Postino와 손을 잡고 앨범 '''Soulmate Remix Project'''를 발표하였다. 일렉트로니카 성향을 띠는 이 앨범에서, 조PD는 랩 외에도 자신의 보컬 비중을 늘였다. 대표곡은 ''시간이 약이 된다고 (J'gruv Mix)''이다. 앨범 제작 당시 Postino는 영국에서 유학 중이어서 온라인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1]4. 논란 및 이슈
조PD는 여러 힙합 음악가들과 논란 및 이슈를 겪었다.
4WD와 Verbal Jint는 2000년 조PD와 DJ Uzi를 디스하는 곡인 '노자'를 발표했다.[1] 이 곡은 이현도의 "흑열가", DJ Uzi의 "Uzi's Mind" 등의 가사를 패러디하며 조PD와 DJ Uzi를 비판했다.[1] 조PD는 직접 반격하지 않았으나, DJ Uzi가 '불이병강천하'라는 반격곡을 발표했다.[2] 2010년, Verbal Jint는 조PD와 합동 앨범 '''2 The Hard Way'''를 작업하며 관계를 회복했다.[3]
DNS 해체 당시 Digital Masta와 조PD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는 소문이 돌았다.[4] 주석 2집 ''The Answer''에 함께 참여한 조PD의 가사가 Digital Masta와의 갈등 상황과 유사하여 논란이 되었고, 조PD 5집 〈비밀일기〉의 가사 중 일부도 DM을 비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5]
4. 1. 4WD & Verbal Jint와의 디스전
4WD와 Verbal Jint는 2000년 조PD와 DJ Uzi를 향한 디스곡 '''노자'''를 발표, 이현도의 "흑열가", DJ Uzi의 "Uzi's Mind" 등의 가사를 패러디하면서 노골적으로 조PD와 DJ Uzi를 디스하였다. 이 곡에는 Lucy가 보컬을 담당하였으며, 그 당시 생소했던 다음절 라임을 선보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Verbal Jint가 속해있던 3인조 그룹 '''Dien Michel'''의 ''Movin' It''이라는 곡에도 "get out Uzi!"라는 가사가 들어있다.조PD는 직접 반격하지 않았으나, DJ Uzi가 반격곡으로 '''不以兵强天下'''라는 곡을 발표하였다. "'''졸개로는 천하를 강하게 만들 수 없다'''"라는 뜻의 제목을 가진 이 곡은, DJ Uzi 외에 Deze, '''현상''' 등이 참여하였다. 셋이 모두 Soul Train 출신인 관계로, 이 디스전은 SNP와 Soul Train의 싸움으로 비춰지기도 하였다.
2010년에 들어서 Verbal Jint는 조PD와 합동 앨범 제작을 제안 받아 EP '''2 The Hard Way'''를 작업, 상호 관계를 디스 상대에서 파트너로 전이시켰으며, 합동 콘서트를 여는 것은 물론, 조PD의 레이블 Brand New Stardom의 멤버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한편, 조PD는 2013년 한 인터뷰에서 디스전 당시 3집 준비 등의 일로 바빠서 디스곡을 못 들어봤으며, 아직도 제대로 들어보지 못 했다고 밝혀 팬들을 놀라게 하기도 하였다.
4. 2. Digital Masta와의 갈등 의혹
DNS가 해체될 무렵 힙합 팬들 사이에서는 Digital Masta와 조PD 사이에 갈등이 컸다는 소문이 돌았다. 팀 활동 및 실적 부진에 대해 Digital Masta는 회사 측에, 조PD는 Digital Masta에게 책임을 물었다는 것이었다. 이 소문을 근거로 많은 팬들은 Future Flow에서 Digital Masta가 먼저 탈퇴하고, 조PD가 책임을 지고 나가면서 Future Flow가 와해된 것으로 보았다. 이후 주석 2집 ''The Answer''라는 곡에 둘이 함께 참여했는데, 이 곡의 조PD 가사가 과거 Digital Masta와의 갈등 상황과 묘하게 맞아 떨어져 조PD가 DM을 디스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풀리지 않은 의문으로 남아있다. 이 외에도 2004년 발표한 조PD 5집 〈비밀일기〉라는 곡의 가사 중 "''나 얼마 지나 마련한 미국 개 한마리, 집 나가더니 어느날 뒤돌아 보니 주인인 나를 무네''"도 DM을 향한 비난이라는 의견이 많았다.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99년 | |
2002년 | |
2004년 | |
2005년 | |
2006년 | |
2007년 | |
2010년 | |
2011년 |
연도 | 부문 | 작품 | 결과 |
---|---|---|---|
2002 | 뮤직비디오상 (대상) | "My Style"[17][18] | 수상 |
최우수 힙합상 | 후보 | ||
특별상 | 후보 | ||
2003 | 최우수 힙합상 | "Secret Diary" (비밀일기)[19][20] | 후보 |
특별상 | 수상 | ||
2004 | 최우수 힙합 비디오 | "Friend" (feat. 인순이)[21] | 수상 |
2005 | 심사위원 특별상 | "My Old Story" (나의 옛날 이야기)[22] | 수상 |
2004년 SBS 《인기가요》와 MBC 《음악캠프》에서 '친구여'로 1위를 수상했다.[21]
5. 1. 가요 프로그램 1위
연도 | 수상 내역 (총 5회) |
---|---|
2004년 (총 5회) |
참조
[1]
웹사이트
조pd(ZoPD) 소개
http://www.mnet.com/[...]
2016-06-29
[2]
뉴스
Cho PD takes his new release to Twitter
http://joongangdaily[...]
2016-06-29
[3]
웹사이트
Album Review: Cho PD - Art & Business, Parts 1 & 2
http://www.hellokpop[...]
2016-06-29
[4]
웹사이트
조피디, 그룹 '탑독' 투자금 부풀려 소속사 양도…사기혐의 1심 집행유예
https://www.sedaily.[...]
2018-11-26
[5]
웹사이트
ChoCo Entertainment Plans Debut For Upcoming Rookie K-Pop Group 'ChoCo'
https://kpopconcerts[...]
2023-06-19
[6]
웹사이트
Who Are The Members Of ChoCo? Meet The Super Talented Members Of The K-Pop Group ChoCo
https://www.kpopmap.[...]
2023-06-19
[7]
웹사이트
초코1&2, 6월1일 '엠카'서 '프루티 룹스' 무대 최초 공개
https://www.news1.kr[...]
2023-06-19
[8]
웹사이트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9]
웹사이트
May 1999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0]
웹사이트
October 1999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1]
웹사이트
January 2001 K-Pop Album Sales Volume
http://riak.or.kr/c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2]
웹사이트
February 2002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3]
웹사이트
June 2004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4]
웹사이트
October 2007 K-Pop Album Sales Volume
http://www.miak.or.k[...]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2018-05-11
[15]
웹사이트
Gaon Album Chart
http://www.gaonchart[...]
Gaon Chart
2018-05-11
[16]
웹사이트
September 2013 Album Chart
http://www.gaonchart[...]
Gaon Chart
2018-05-11
[17]
웹사이트
2002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18]
웹사이트
2002 MMF part 1
http://mwave.interes[...]
2014-08-17
[19]
웹사이트
2003 MMF part 1
http://mwave.interes[...]
2014-08-20
[20]
웹사이트
2003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1]
웹사이트
2004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2]
웹사이트
2005 M.net Korean Music Festival Winners list
http://mama.interest[...]
2014-06-12
[23]
웹사이트
네이버 인물 - 조PD
http://people.search[...]
[24]
문서
여담이지만 친여동생이 故 [[김영애]]의 며느리다.
[25]
웹사이트
"Music Salon - 조PD"
http://hiphople.com/[...]
HIPHOPLE Music Salon
2013-09-11
[26]
웹인용
힙합플레이야 조PD 프로필. 원 출처 MOVIEWEEK
http://www.hiphoppla[...]
2010-12-27
[27]
뉴스
"조PD 음반 `청소년 유해판정' 둘러싸고 논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3-17
[28]
뉴스
"조PD 첫 방송출연…m·net ‘쇼킹 m’서 얼굴공개"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02-01
[29]
뉴스
"래퍼 조PD, 힙합클럽 사장된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5-10
[30]
웹사이트
"조PD, 7번째 정규앨범 베일을 벗다"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2011-07-26
[31]
웹사이트
"조PD, 고속도로 교통 사고…걸 그룹 ‘이블 데뷔 ‘비상’?!"
http://www.nspna.com[...]
NSP통신
2012-07-09
[32]
웹사이트
"블락비 데뷔후 정산내역 보니, 수입 33만원vs지출 8천만원"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3-03-05
[33]
웹인용
"‘힙합대부’ 조PD, 새 앨범 ‘In Stardom V3.0’로 2년 만에 컴백"
http://www.eto.co.kr[...]
경제투데이
2013-09-01
[34]
웹사이트
멜론 설명글
http://www.melon.co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선희의 서울음반이 아이유의 카카오M이 되기까지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