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T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 TV는 1969년 8월 8일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뉴스, 스포츠, 어린이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MBC 뉴스데스크, PD수첩 등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 및 해외 지국을 운영하며, 디지털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과거 방송 사고 및 논란, 2020년 딥페이크 기술 사용 논란, 2021년 올림픽 중계 부적절 묘사 논란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MBC 게임
MBC 게임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게임 전문 방송 채널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와 예능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MBC 뮤직으로 전환되었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MBC M
MBC M은 2020년 2월 18일 재개국한 대한민국의 음악 채널로서, 음악 프로그램, 예능 프로그램, 그리고 MBC TV와 공동으로 방송하는 쇼! 음악중심 등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편성한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데스크는 1970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앵커 시스템 도입 등 새로운 형식을 제시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시청률 하락과 공정성 논란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 평일 저녁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55분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은 1987년 일요토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방송 시간 변경을 거쳐 199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대담한 주제 선정과 토론을 지향하는 MBC의 토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오카야마 방송
오카야마 방송은 1969년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민영 방송국으로, 1979년부터 오카야마·가가와 광역권 방송을 시작했으며 약칭은 OHK, 마스코트 캐릭터는 'OH!군'이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MBC TV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MBC TV |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언어 | 한국어 |
방송 지역 | 대한민국 전역 |
방송국 | MBC |
방송국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
소유 | 문화방송 |
개국일 | 1969년 8월 8일 |
전신 | HLAC-TV (1969–1972) |
이전명 | HLAC-TV (1969–1972) |
웹사이트 | imbc.com |
기술 정보 | |
화면 형식 | 2160p UHDTV (다운스케일되어 1080i 및 480i로 HDTV 및 SDTV 피드 제공) |
방송 서비스 | |
지상파 서비스 |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
지상파 채널 | 11.1 |
온라인 서비스 | iMBC |
온라인 채널 | 실시간 시청 |
디지털 채널 | KT 지니 TV SK B tv LG U+ TV 11 |
위성 채널 | KT 스카이라이프 11 |
추가 정보 | |
DTV | 본사 14 가상 11-1 |
UHD | 본사 55 가상 11-1 |
2. 연혁
1961년 2월 21일, 서울민영방송이 설립되었다. 1966년 6월 22일, 정부로부터 방송 허가를 받았고, 1969년 8월 8일 개국식을 거행하며 지상파 방송을 시작했다. 동양방송과는 달리 MBC는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에 개국하여 정부의 입장과 방송 편성을 일치시키는 등 더 많은 제약을 받았다.[2] MBC는 서울 VHF 11채널에서 영상 2kW, 음성 500W 출력으로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HLAC-TV''' 호출 부호를 사용하여 방송을 송출했다.[3]
1970년 10월 5일, MBC 뉴스데스크가 시작되었다.[7] 1980년 12월 22일, MBC는 서울 방송국에서 KBS 2TV와 함께 컬러 방송을 시작했고,[8] 1981년 1월 1일 전국으로 컬러 방송을 확대했다.[9]
2005년 12월 1일, KBS, SBS와 함께 MBC TV는 주간 방송을 시작했다. 2013년 1월 1일부터 24시간 방송을 시작했지만, 2017년 12월 30일 중단했다.[12] 2014년 8월 4일부터 상암동의 새 방송국에서 뉴스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했고, 9월 1일부터 모든 프로그램을 새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기 시작했다.[12]
2. 1. 1960년대
1969년 8월 8일 오전 10시 '''MBC TV'''가 개국(호출부호 HLAC-TV, 출력 2kW)하면서, 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1][3] 개국 당시 한국에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20만 대 등록되어 있었다.[1]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에 개국하여 동양방송에 비해 정부의 입장과 방송 편성을 일치시키는 등 더 많은 제약을 받았다.[2]개국 다음 날인 8월 9일에는 《주말의 명화》가 방영을 시작했다.[1][4] 이는 2010년 10월 29일까지 이어졌으며, 마지막 몇 년 동안에는 주로 심야 시간대에 한국 영화를 방영했다.[4]
1969년 8월 10일부터 방송 시간은 평일 오후 6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 50분까지, 일요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로 조정되었다.
2. 2. 1970년대
1971년 5월 24일 마이크로웨이브 구축이 완료되면서 타 지역 민방 제휴국과 동시 방송을 실시하였다.[1] 1971년 9월 19일에는 출력을 2kW에서 10kW로 증강하였다.[1] 1972년 4월 15일에는 호출부호를 '''HLKV-TV'''로 변경하고, 송신소를 남산종합송신탑으로 이전하였다.[1] 1973년 12월 3일에는 제1차 에너지 파동으로 인해 평일·토요일 아침 방송이 중단되었다 (일요일 제외).[1]1970년 8월 1일, 남양방송이 개국하여 MBC가 제주로 확장되었고,[6] 10월 5일에는 MBC의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가 시작되었다.[7] MBC는 같은 해 전국으로 방송 범위를 확장했다.[7] 1년 후인 1971년 1월 10일, 모든 지역 방송국의 이름이 MBC 브랜드로 통합되었다.[8]

2. 3. 1980년대
1980년 12월 22일 컬러방송을 시작하여 보다 화려하고 선명한 TV 방송을 개시하였다.[8] 1981년 3월 7일에는 KBS 1TV와 KBS 2TV 채널과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작하였다.[9] 1982년에는 MBC 청룡 야구팀을 운영하면서 프로야구 중계방송을 시작했다.[54]1988년 8월 4일에는 MBC 뉴스데스크 방송 중 "내 귀에 도청장치" 난입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앵커는 강성구였는데, 서울 지하철 연장 공사로 인한 요금 인상 보도 중, 소창영이라는 젊은 남성이 녹화 스튜디오에 무단 침입하여 앵커의 마이크를 훔치려 했고, 이 사건은 MBC를 통해 전국에 방송되었다.[17] 경찰 조사에 따르면, 그는 "오른쪽 귀에 도청 장치가 있었고, 진동 소음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았다"고 주장했다.[20] 이 사건은 밴드 '내 귀에 도청장치'의 밴드명의 유래가 되었고,[22]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묘사되기도 했다.[23]
2. 4. 1990년대
1991년 12월 9일, SBS TV가 개국하면서 KBS 1TV, KBS 2TV와 함께 MBC TV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1] 1994년 10월 1일, KBS 1TV가 수신료 징수 제도 개선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함에 따라, KBS 2TV, SBS TV, 그리고 MBC TV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시간 및 편성이 확대되었다.[1]1999년에는 만민중앙교회 신도들이 MBC PD수첩 방송에 불만을 품고 방송국에 난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방송국 통제실 전원을 차단하여 방송을 중단시켰고, 수천 명의 신도들이 인근 도로를 봉쇄하며 시위를 벌였다.[24][25][26] 이 사건으로 교회 지도자 3명과 신도 8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8]
2. 5. 2000년대
2000년 9월 3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험방송을 개시하였다.[7]2005년 7월 30일, 《생방송 음악캠프》에서 럭스의 공연 도중 발생한 알몸 노출 사고는 큰 논란을 일으켰다.[29] 당시 펑크 록 팬 두 명이 옷을 벗고 무대에서 뛰어다니는 장면이 4~5초간 전국에 방송되었다.[29] 이들은 풍속 위반 및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연행되었으나, 마약 검사 결과는 음성이었다.[29] 이 사건으로 인해 《생방송 음악캠프》는 폐지되었고, 한국방송위원회는 강력한 징계 조치를 검토했다.[31] 당시 서울시장이었던 이명박은 홍대 공연에 대한 규제를 제안했으나, 유인촌의 설득으로 생각을 바꾸었다.[32][33][34]
2005년 12월 1일에는 평일 낮 방송을 시작하고, MBC 정오뉴스를 MBC 뉴스현장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PD수첩》은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2008년 4월 27일 방영된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에서 정말 안전한가?" 편은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왜곡 및 과장 보도라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으나, 법원은 제작진에게 무죄를 선고했다.[37][38] 2010년 4월 20일에는 "검사와 스폰서" 편을 통해 검사들의 뇌물 수수 의혹을 제기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10년 8월 24일에는 4대강 사업을 다룬 "4대강 6m 비밀" 편이 방영되었는데, 국토해양부의 방영금지 가처분 신청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39][40][41]
2. 6. 2010년대
- 2010년 7월 21일: 《나누면 행복》방송 시작.
- 2010년 10월 29일: 《섹션TV연예통신》 금요일 마지막 방송, 일요일로 이동. 《주말의 명화》종영.[4]
- 2010년 11월 7일: 《섹션TV연예통신》 일요일 오후 16시 10분 방송.
- 2011년 1월 5일: 《MBC 뉴스와 경제》가 《MBC 12시 뉴스》로 변경.
- 2011년 10월 12일: 《황금어장》종영.
- 2012년 10월 8일: 방송을 새벽 5시부터 익일 새벽 3시 30분까지 확대, 《MBC 뉴스 (500)》, 《MBC 5시 뉴스》 신설, 《MBC 930 뉴스》가 《MBC 생활뉴스》로, 《MBC 12시 뉴스》가 《MBC 정오뉴스》로 환원, 《MBC 4시 뉴스》가 《MBC 2시 뉴스》, 《MBC 3시 경제뉴스》로 개편.
- 2012년 10월 9일: 《MBC 뉴스 (1800)》가 《MBC 이브닝뉴스》로 환원 및 확대 개편.
- 2012년 11월 2일: 《MBC 5시 뉴스》 종영.
- 2012년 11월 5일: 《MBC 이브닝뉴스》 방송 시간을 평일 저녁 6시에서 평일 오후 5시로, 평일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간을 평일 저녁 8시 55분에서 평일 저녁 7시 55분으로 변경.
- 2012년 12월 24일:《공감토크쇼 놀러와》 종영.
- 2012년 12월 30일: 《섹션TV연예통신》일요일 마지막방송, 금요일로 이동.
- 2012년 12월 31일: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송출 종료
- 2013년 1월 1일: 24시간 종일방송 개시[55]
- 2013년 1월 4일: 《섹션TV연예통신》 금요일 밤 20시 55분 방송.
- 2013년 3월 13일: 《MBC 2시 뉴스》 종영.
- 2013년 3월 15일: 《섹션TV연예통신》 금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변경.
- 2013년 3월 18일: 《MBC 3시 경제뉴스》가 《MBC 3시 뉴스》로 변경.
- 2013년 3월 22일: 《나혼자산다》 신설.
- 2013년 3월 24일: 《섹션TV연예통신》 일요일 오후 15시 45분 방송.
- 2013년 8월 19일: 《MBC 3시 뉴스》가 《MBC 3시 경제뉴스》로 환원.
- 2013년 10월 16일: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채널 재배치.
- 2014년 5월 11일: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일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2014년 5월 15일: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목요일 저녁 18시 20분 방송.
- 2014년 6월: 백령도 진촌 중계소 전파 송출 개시.[56]
- 2014년 8월 3일: 신사옥 이전으로 심야 방송 1시간 축소
- 2014년 8월 4일: 여의도 시대 마감 및 신사옥 이전 완료, 상암동 시대 개막,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에서 MBC 뉴스 (500), MBC 뉴스투데이, MBC 생활뉴스, MBC 정오뉴스, MBC 3시 경제뉴스, MBC 이브닝뉴스,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 24 방송 전파 송출, 신사옥 이전으로 방송 시작 시간을 임시로 오전 6시로 변경.
- 2014년 8월 5일: 방송 시작 시간을 새벽 5시로 환원.
- 2014년 11월 11일: 《TV특종 놀라운세상》종영.
- 2014년 11월 13일: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목요일 마지막방송, 월요일로 이동.
- 2014년 11월 17일: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월요일 오전 11시 방송 및《생방송 오늘저녁》방송 개시. 《MBC 3시 경제뉴스》가 《MBC 뉴스 (1500)》로 변경.
- 2015년 4월 30일:《경찰청 사람들 2015》방송 시작.
- 2015년 10월 29일: 《경찰청 사람들 2015》 종영.
- 2015년 11월 6일: 《세바퀴》 종영.
- 2016년 3월 28일: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 종영.
- 2016년 4월 2일: 《찾아라! 맛있는 TV》 종영.
- 2016년 4월 3일: 《해피타임》 종영.
- 2017년 4월 2일: 《일요일 일요일밤에》 종영.
- 2017년 4월 10일: 《MBC 뉴스 (1500)》가 《MBC 뉴스 M》으로 확대 개편
- 2017년 5월 31일: MBC UHD 방송개국, FM 4U와 같이 송출. UHD 소유권 KBS MBC EBS SBS OBS 공동 소유.
- 2017년 8월 10일: 《MBC 뉴스 M》, 《MBC 뉴스 24》 종영.
- 2017년 8월 13일: 《시사매거진 2580》 재개.
- 2017년 8월 14일: 《MBC 뉴스 (500)》종영.
- 2017년 9월 4일: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평일 방송 1시간 축소
- 2017년 9월 16일: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토요일 24시간 종일 방송 중단
- 2017년 9월 17일 ~ 2017년 11월 19일: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일요일 방송 1시간 축소
- 2017년 11월 25일: 24시간 종일 방송 재개
- 2017년 11월 26일: 일요일 주말 방송 시작을 아침 6시에서 오전 5시로 환원
- 2017년 11월 27일: 평일 방송 시작을 아침 6시에서 오전 5시로 환원
- 2017년 12월 8일 ~ 2017년 12월 25일: 뉴스 재정비에 따라 《MBC 뉴스투데이》, 《MBC 정오뉴스》, 《MBC 이브닝뉴스》, 《MBC 뉴스데스크》가 《MBC 뉴스》로 방송.
- 2017년 12월 26일: 《MBC 생활뉴스》가 《930 MBC 뉴스》로, 《MBC 정오뉴스》가 《12 MBC 뉴스》로, 《MBC 이브닝뉴스》가 《5 MBC 뉴스》로 변경.
- 2017년 12월 30일: 24시간 종일 방송 폐지.[12]
- 2018년 2월 4일: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신설.
- 2018년 3월 12일: 《5 MBC 뉴스》가 《뉴스콘서트》로 확대 개편
- 2018년 3월 18일: 《섹션TV연예통신》 일요일 마지막방송, 월요일로 이동.
- 2018년 3월 26일: 《섹션TV연예통신》 월요일 밤 20시 55분 방송.
- 2018년 3월 31일: 《무한도전》 폐지.
- 2018년 7월 6일: 《뉴스콘서트》가 《5 MBC 뉴스》로 환원.
- 2018년 9월 10일: 《MBC 뉴스 M》이 《2시 뉴스외전》으로 재신설.
- 2018년 9월 12일: 《실화탐사대》방송 개시.
- 2018년 10월 21일 : 《궁민남편》방송 시작.
- 2018년 12월 8일: 《생방송 브라보 나눔로또》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로 변경 및 주관방송사를 SBS에서 MBC로 변경(836회부터 방송시작) 및 관할 경찰서를 서울양천경찰서에서 서울마포경찰서로 변경.[57]
- 2019년 3월 18일 ~ 2019년 7월 12일: 《MBC 뉴스데스크》 개편에 따라 《5 MBC 뉴스》 방송 일시 중단.
- 2019년 3월 24일: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일요일 마지막방송, 월요일로 변경.
- 2019년 3월 25일: 《섹션TV연예통신》 월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변경.
- 2019년 4월 15일: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월요일 밤 20시 55분 방송.
- 2019년 4월 18일: 《섹션TV연예통신》 목요일 밤 23시 10분 방송.
- 2019년 5월 12일: 《궁민남편》종영.
- 2019년 7월 27일: 《놀면 뭐하니?》 방송 개시.
- 2019년 11월 1일: 《공부가 머니?》 방영 시작.
2. 7. 2020년대
2020년 4월 20일, MBC 뉴스는 딥페이크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보도를 하면서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부적절한 내용과 방탄소년단, 아이유 등 유명인들의 이미지를 예시로 사용해 한국 네티즌들의 비판을 받았다. 시청자들은 ''#MBC_합성_사과해'' 해시태그를 통해 사과를 요구했지만, MBC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43]2021년 7월 1일부터 지상파 방송사에도 중간광고가 허용되어, 누적 방송 시간이 45분 이상인 프로그램에는 60초 분량의 중간광고를 넣을 수 있게 되었다.
2021년에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중계 방송에서 MBC는 여러 국가를 소개하면서 부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해 논란이 되었다. 특히 우크라이나를 체르노빌 참사 이미지로, 아이티를 폭동 이미지로 묘사하여 해당 국가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45] 7월 27일, MBC 박성제 사장은 피해 국가와 국민들에게 공식 사과하고,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송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46] 클로드 조셉 아이티 외교부 장관은 사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비판했다.[48] 이 사건은 한국 내에서도 큰 논란이 되어 MBC의 무신경함을 비난하는 여론이 일었다.[49]
2024년, MBC는 《PD수첩》의 "신천지의 수상한 비밀" 편의 저작권을 해제했다. 2007년 5월 8일에 방송된 이 프로그램은 신천지와 이만희 교주에 대한 내용을 처음으로 상세히 다룬 방송이었다. 이로써 신천지에 반대하는 유튜브 영상 제작자들이 저작권 침해 걱정 없이 해당 프로그램 영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50]
3. 프로그램
MBC는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어린이 및 애니메이션, 스포츠, 뉴스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대장금을 비롯하여 주몽, 커피프린스 1호점, 해를 품은 달, 이산, 선덕여왕, 동이 등 여러 인기 드라마를 통해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100여 개국에 수출되며 한류 열풍을 이끌었다.[29] 특히, 대장금은 중국, 대만, 홍콩 등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일본을 포함한 91개국에서 꾸준한 인기를 얻었다.
3. 1. 드라마
MBC 일일 드라마는 평일 저녁 7시 5분과 저녁 7시 10분에 친절한 선주씨가 방송된다. MBC 수목 드라마는 수요일과 목요일 밤 10시에 방송되며, 별이 빛나는 우리가 2025년에 방영될 예정이다. MBC 금토 드라마는 금요일과 토요일 밤 9시 50분에 방송되며, 지금 거신 전화는이 방송 중이다. 매년 12월 30일에는 MBC 연기대상이 생방송으로 진행된다.방송 시간 | 프로그램 | 비고 |
---|---|---|
(평일) 19:05, (평일) 목 19:10 | 일일 드라마 (친절한 선주씨) | |
(평일) 수, 목 22:00 | 수목 드라마 (별이 빛나는 우리) | 2025년 방영예정 |
(평일) 금, (주말) 토 21:50 | 금토 드라마 (지금 거신 전화는) | |
매년 12월 30일 | MBC 연기대상 | Live |
MBC 드라마는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100개국에 수출되었다. 대장금은 중국, 대만, 홍콩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고, 일본을 포함한 91개국에서 인기가 지속되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다른 드라마로는 주몽, 커피프린스 1호점, 해를 품은 달, 이산, 선덕여왕, 동이 등이 있다.
3. 2. 예능
주요 예능 프로그램한국어: 푹 쉬면 다행이야, 선을 넘는 클래스, 라디오스타, 구해줘! 홈즈, 나 혼자 산다, 쇼! 음악중심, 놀면 뭐하니?, 전지적 참견 시점, 신비한TV 서프라이즈, 출발! 비디오 여행,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등이 있다.매년 12월 29일에는 MBC 방송연예대상이, 12월 31일에는 MBC 가요대제전이 생방송으로 진행된다.
방송 시간 | 제목 | 등급 |
---|---|---|
(평일) 월 21:00 | 푹 쉬면 다행이야 | -- |
(평일) 화 21:00 | 선을 넘는 클래스 | -- |
(평일) 수 22:30 | 라디오스타 | -- |
(평일) 목 22:00 | 구해줘! 홈즈 | |
(평일) 금 23:10 | 나 혼자 산다 | -- |
(주말) 토 15:15 | 쇼! 음악중심 | -- |
(주말) 토 18:30 | 놀면 뭐하니? | -- |
(주말) 토 23:10 | 전지적 참견 시점 | -- |
(휴일) 일 10:40 | 신비한TV 서프라이즈 | -- |
(휴일) 일 12:05 | 출발! 비디오 여행 | -- |
(휴일) 일 18:10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 |
매년 12월 29일 | MBC 방송연예대상 | -- |
매년 12월 31일 | MBC 가요대제전 | -- |
2005년 7월 30일 토요일, 럭스는 MBC의 음악 프로그램 라이브 뮤직 캠프의 "이 노래 괜찮아?" 코너에 출연했다. 공연이 끝날 무렵, 두 명의 펑크족이 옷을 벗고 무대에서 뛰어다녔는데, 이 장면이 4~5초간 전국에 방송되었다.[29] 이들은 풍속 위반 및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연행되었으나 구류는 되지 않았고, 마약 검사 결과는 음성이었다.[29] 이 사건으로 인해 MBC는 '뮤직 캠프'를 폐지했고, 한국방송위원회는 강력한 징계 조치를 검토했다.[31]
3. 3. 시사교양
MBC의 주요 시사교양 프로그램으로는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우리말 나들이, 오늘N, 오은영 리포트 - 결혼지옥, PD수첩, MBC 100분 토론, 생방송 연금복권 720+, 실화탐사대, 다큐플렉스,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등이 있다.1990년에 첫 방송된 PD수첩은 탐사보도로 명성을 얻었다. 황우석의 과학적 부정 행위를 다룬 내용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주장을 담은 내용 등이 방송되었다.[13] "미국산 쇠고기는 정말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한가?"라는 방송분은 서울에서 3개월간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를 야기했다. 그 이후로 해당 방송분의 정확성과 프로그램의 정보 획득 방식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4][15][16]
MBC 시사 및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뉴욕 및 반프 TV 페스티벌, 아시안 TV 어워즈, ABU상, 어스 비전, 일본 야생동물 페스티벌에서 수상하였다.
3. 4. 어린이 및 애니메이션
뽀뽀뽀 좋아좋아한글용사 아이야
방송 시간 | 제목 |
---|---|
(휴일) 토 08:10 | 설박사의 세계사 대모험 2 |
(휴일) 일 07:10 | 퐁당패밀리 |
(휴일) 일 07:25 | 뚝딱구조대 3 |
3. 5. 스포츠
MBC는 주요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매거진을 편성하고 있다. 또한, KBO 리그를 중계한다.
류현진이 투구하고 추신수와 강정호가 타석에 설 때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텍사스 레인저스 경기를 방송하여 한국 야구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1]
3. 6. 뉴스
(주말) 토 07:00>MBC 뉴스투데이 | 자, 다, 수 | Live1부 25분
2부 85분
중간광고 30초 포함
(주말) 토 20:25
일 20:30>MBC 스포츠뉴스 | 자, 수 |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