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국민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국민회는 1915년 장일환, 강석봉, 서광조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된 항일 무장 기독교 비밀단체이다. 하와이 국민회 활동가들과 숭실학교 재학생, 졸업생, 만주 및 중국 지역 운동세력이 연계되어 평양에서 결성되었으며, 간도에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계획했다. 1917년 3월 23일 조직을 완성하고 장일환을 회장으로, 배민수를 서기 겸 통신부장으로 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1918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해산되었으며, 장일환은 고문으로 사망했다.

2. 결성 배경

1910년대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공개적으로 전개하기 어려웠다. 이에 조선국민회는 비밀결사 형태로 조직된 항일무장기독교 단체였다.[1][2]

2. 1. 국외 독립운동과의 연계

1914년 하와이국민회에서 활동하다가 귀국한 장일환, 강석봉, 서광조 등과 김형직, 배민수 등 숭실학교(崇實學校) 재학생 및 졸업생, 그리고 만주, 중국 지역 운동 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 등이 주축이 되어 1915년에 조직되었다.[1][2]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한 박용만의 지도로 평양에서 조직하였다. 박용만은 이승만, 안창호와 달리 일본의 무력 침공과 국권 찬탈에 대해 무력을 길러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4년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박용만의 지도를 받은 뒤 귀국하여, 강석봉, 서광조 등과 평양 숭실학교를 기반으로 김형직, 배민수 등, 그리고 만주, 중국의 운동 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노백린의 아들)과 함께 조선국민회를 평양에서 비밀리에 조직하고 간도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할 계획 등을 추진하였다.[1]

2. 2. 국내 상황

1914년 하와이국민회에서 활동하다가 귀국한 장일환, 강석봉, 서광조 등과 김형직, 배민수 등 숭실학교(崇實學校) 재학생, 졸업생 그리고 만주, 중국지역 운동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 등이 주축이 되어 1915년에 조직한 항일무장기독교 비밀단체이다.[1][2]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한 박용만의 지도로 평양에서 조선국민회를 조직하였다. 박용만은 이승만, 안창호와 달리 일본의 무력 침공과 국권 찬탈에 대해 무력을 길러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4년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박용만의 지도를 받은 뒤 귀국하여 강석봉, 서광조 등과 평양 숭실학교를 기반으로 김형직, 배민수 등 그리고 만주, 중국의 운동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노백린의 아들)과 함께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를 비밀리에 조직, 간도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할 계획 등을 추진하였다. 1917년 3월 23일 조선국민회 조직을 완성하고 회장에는 장일환, 서기 겸 통신부장에는 배민수, 백세빈은 외국통신원, 전라도 구역장에는 강석봉, 경상도 구역장에는 여병섭이 맡았다. 백세빈, 이보식 등 25명이 참가하였다. 숭실학교를 중퇴하고 서당교사였던 김일성 주석의 아버지 김형직도 참가하였다. 권총을 '돼지다리'라고 하는 등 철저하게 비밀을 지키던 비밀결사기독교단체였다.[1][2] 북한 김일성 주석도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아버지(김형직)가 조국광복회에 참가했다."고 말했다.[3]

3. 조직 및 주요 활동

조선국민회는 1915년 평양에서 조직된 항일무장기독교 비밀단체이다.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한 박용만의 지도를 받은 장일환이 주도했다. 박용만은 이승만, 안창호와 달리 무력을 통해 일본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일환은 1914년 하와이에서 박용만의 지도를 받고 귀국하여 강석봉, 서광조 등과 함께 숭실학교를 기반으로 조선국민회를 조직하고, 간도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추진하였다.[1][2]

조선국민회는 권총을 '돼지다리'라고 부르는 등 철저하게 비밀을 유지했다.[1][2] 북한 김일성 주석도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아버지(김형직)가 조국광복회에 참가했다."고 언급했다.[3]

3. 1. 조직 구성

1914년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한 박용만의 지도로, 평양에서 조직되었다. 장일환, 강석봉, 서광조 등 하와이국민회 활동을 하다가 귀국한 이들과 김형직, 배민수 등 숭실학교(崇實學校) 재학생 및 졸업생, 그리고 만주, 중국 지역 운동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노백린의 아들) 등이 주축이 되어 1915년에 조직한 항일무장기독교 비밀단체이다.[1][2]

1917년 3월 23일 조선국민회 조직을 완성하고, 회장에는 장일환, 서기 겸 통신부장에는 배민수, 백세빈은 외국통신원, 전라도 구역장에는 강석봉, 경상도 구역장에는 여병섭이 맡았다. 백세빈, 이보식 등 25명이 참가하였다. 숭실학교를 중퇴하고 서당교사였던 김일성 주석의 아버지 김형직도 참가하였다.[1][2]

당시 참여하였던 25명의 회원들을 일제의 보고서(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를 통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본적주소당시 나이비고
회장장일환(張日煥)평남 평양부 黃金町평양부 櫻町32세
외국통신계백세빈(白世彬)평북 의주군 枇峴面院洞중국 안동현 大和橋通25세
서기 겸 통신부장배민수(裵敏洙)충북 청주군 사주내면 금천리22세숭실중학교 학생
김형직(金亨稷)평남 대동군 고평면 남리평남 강동군 고읍면 동삼리34세서당교사
서광조(徐光朝)전남 목포22세
김병두(金炳斗)평남 강서군 甑山面 龍德里평양부 新陽里21세숭실중학교 학생
이보식(李輔植)평남 평양부 신양리30세숭실중학교 학생
조옥초(趙玉肖)전남 보성군 별교면 武萬里평양부 수옥리19세군산영명중학교 학생
김인준(金仁俊)평북 철산군 站面 月安洞평양부 신양리33세
노덕순(盧德淳)평남 대동군 秩乙美面 梨木里23세서당교사
최지화(崔志化)평남 평양부 신양리30세교회助事
전라도 구역장강석봉(姜錫奉)전남 목포부 죽동28세
김석헌(金錫憲)평남 강동군 古邑面 東三里평양부 신양리22세숭실중학교 학생
최달형(崔達亨)함남 원산부 龍洞평양부 신양리22세숭실대학교 학생
김지수(金智洙)평남 대동군 (이하 불상)24세경성 예수 연희전문학교 학생
양경수(楊敬洙)전남 보성군 벌교면 武萬里18세
경상도 구역장여병섭(呂柄燮)경남 고성군 鐵城面 城內洞29세평양신학교 출신
이병균(李秉均)평남 강동군 古邑面 麥田23세숭실중학교 출신
박인관(朴仁寬)평남 대동군 龍山面 龍岳里황해도 殷栗郡邑內25세숭실대학교 출신, 장로파 부속학교 교사
황해도 구역장노선경(盧善敬)황해도 載寧 (이하 불상)중국 통화현 三源浦21세
직책이름본적주소당시 나이비고
준회원설명화(薛命和)평남 평원군 蘇面 松井里27세전 숭실대학교 학생
준회원안세환(安世桓)평남 평원군 順安面 訓上里31세전 숭실학교 교감
준회원이수현(李守鉉)전북 옥구군 聖山面 居尺里23세전 숭실대학교 학생
준회원김사현(金思鉉)전남 보성군 별교면 무만리중국 상해19세
준회원김영준(金永俊)전남 보성군 별교면 무만리중국 상해19세

[4]

3. 2. 주요 활동

1914년 하와이국민회에서 활동하다가 귀국한 장일환, 강석봉, 서광조 등과 김형직, 배민수 등 숭실학교(崇實學校) 재학생, 졸업생 그리고 만주, 중국지역 운동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 등이 주축이 되어 1915년에 조직한 항일무장기독교 비밀단체이다.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한 박용만의 지도로 평양에서 조선국민회를 조직하였다. 박용만은 이승만, 안창호와 달리 일본의 무력 침공과 국권 찬탈에 대해 무력을 길러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4년 장일환은 하와이에서 박용만의 지도를 받은 뒤 귀국, 강석봉, 서광조(徐光朝) 등과 평양 숭실학교를 기반으로 김형직, 배민수 등 그리고 만주, 중국의 운동세력과 연계된 백세빈, 노선경(노백린의 아들)과 함께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를 비밀리에 조직하여 간도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할 계획 등을 추진하였다.[1][2]

1917년 3월 23일 조선국민회 조직을 완성하고, 회장에는 장일환, 서기 겸 통신부장에는 배민수, 백세빈은 외국통신원, 전라도 구역장에는 강석봉, 경상도 구역장에는 여병섭이 맡았다. 백세빈, 이보식 등 25명이 참가하였다. 숭실학교를 중퇴하고 서당교사였던 김일성 주석의 아버지 김형직도 참가하였다. 권총을 '돼지다리'라고 하는 등 철저하게 비밀을 지키던 비밀결사기독교단체였다.[1][2] 북한 김일성 주석도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서 "아버지(김형직)가 조국광복회에 참가했다."고 말했다.[3]

4. 참여 인물

조선국민회는 1917년 3월 23일 평양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독립운동단체였다. 일제의 보고서인 '불령단관계잡건 조선인'(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에 따르면, 회장 장일환을 비롯하여 25명의 회원이 참여하였다.[4] 주요 인물로는 외국통신계 백세빈, 배민수, 김형직, 서광조, 김병두, 이보식, 조옥초, 김인준, 노덕순, 최지화, 전라도 구역장 강석봉, 김석헌, 최달형, 김지수, 양경수, 경상도 구역장 여병섭, 이병균, 박인관, 황해도 구역장 노선경 등이 있다. 이들 중에는 김형직과 같이 서당 교사나, 배민수 등 숭실중학교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다.[4]

4. 1. 전체 명단 (25명)

조선국민회 전체 회원 명단 (25명)
구분성명본적주소당시 연령비고
회장장일환평남 평양부 황금정[4]평양부 앵정[4]32세
외국통신계백세빈평북 의주군 비현면 원동[4]중국 안동현 대화교통[4]25세
정회원배민수충북 청주군 사주내면 금천리[4]-22세예수 숭실중 학생[4]
김형직평남 대동 고평면 남리, 평남 강동군 고읍면 동삼리[4]-34세서당교사[4]
서광조전남 목포[4]-22세
김병두평남 강서군 증산면 용덕리[4]평양부 신양리[4]21세예수 숭실중학생[4]
이보식평남 평양부 신양리[4]-30세예수 숭실중학생[4]
조옥초전남 보성군 별교면 무만리[4]평양부 수옥리[4]19세군산영명중학생[4]
김인준평북 철산군 챤면 월안동[4]평양부 신양리[4]33세
노덕순평남 대동군 질을미면 이목리[4]-23세서당교사[4]
최지화평남 평양부 신양리[4]-30세교회조사[4]
강석봉전남 목포부 죽동[4]-28세전라도 구역장[4]
김석헌평남 강동군 고읍면 동삼리[4]평양부 신양리[4]22세숭실중학생[4]
최달형함남 원산부 용동[4]평양부 신양리[4]22세숭실대학생[4]
김지수평남 대동군 이하 불상[4]-24세경성 예수 연희전문학교 학생[4]
양경수전남 보성군 벌교면 무만리[4]-18세
여병섭경남 고성군 철성면 성내동[4]-29세평양신학교 출신, 경상도 구역장[4]
이병균평남 강동군 고읍면 맥전[4]-23세예수 숭실중학교 출신[4]
박인관평남 대동군 용산면 용악리[4]황해도 은률군 읍내[4]25세숭실대학 출신 장로파 부속학교 교사[4]
노선경황해도 재령 이하 불상[4]중국 통화현 삼원포[4]21세황해도 구역장[4]
준회원설명화평남 평원군 소면 송정리[4]-27세전 숭실대학생[4]
안세환평남 평원군 순안면 훈상리[4]-31세전 숭실학교 교감[4]
이수현전북 옥구군 성산면 거척리[4]-23세전 숭실대학생[4]
김사현전남 보성군 별교면 무만리[4]중국 상해[4]19세
김영준전남 보성군 별교면 무만리[4]중국 상해[4]19세


5. 일제의 탄압과 와해

조선국민회는 1918년 간도(間島)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려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해산되었다. 조선국민회는 비밀결사단체였으나, 일본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조선인 형사 김태석에게 미행당하고 있었다. 장일환 등이 중국 식당에서 국내외 지하운동을 상의하다가 현장을 미행 중이던 형사 나까무라와 김태석에게 모두 체포되면서, 결국 조선국민회는 와해되었다.[5]

5. 1. 체포 및 재판

1918년 2월 간도(間島)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려던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해산되었다. 비밀결사단체인 조선국민회 조직은 일본의 앞잡이가 된 조선인 형사 김태석에게 미행당하고 있었는데, 장일환 등이 중국식당에서 국내외 지하운동을 상의하다가 현장 미행 중이던 두 형사 나까무라와 김태석에게 현장에서 모두 체포되었다.

1주일 이상 배민수 등을 고문하였는데, 만주에서 온 백세빈은 고문에 굴복하여 조직에 대해 실토하여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던 회원을 비롯해서 회원들의 지인들까지 모두 체포되어 재판 당시는 30명 정도가 되었다. 회장 장일환을 비롯해서 배민수, 김형직, 강석봉 등은 평양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장일환은 배민수에게 유언을 남기고 고문으로 사망하였다.[5]

검찰은 보안법 위반 등의 이유를 들어 배민수에게 1년, 김형직과 구형필, 서광조, 평석은 10개월, 노덕순, 김평두, 조옥초, 최달형, 강석봉에게는 8개월, 최지화, 이보식, 김인준, 이경균 등은 6개월의 형을 구형받고 재판에서도 그대로 선고되었다. 회원들은 항소하지 않고 그대로 모두 형을 살았는데, 배민수는 1919년 이전이라 비교적 형이 적었다고 회고하였다. 재판과정에서 배민수는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우리들을 법으로 처벌하는 것은 부당하고, 일본제국의 국왕이라도 우리와 같은 처지라면 같은 생각을 할 것이다'고 진술하기도 하였다.[6]

5. 2. 판결

1918년 2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해산되었다. 비밀결사단체인 조선국민회 조직은 일본의 앞잡이인 조선인 형사 김태석에게 미행당하고 있었는데, 장일환 등이 중국 식당에서 국내외 지하운동을 상의하다가 현장 미행 중이던 두 형사 나까무라와 김태석에게 모두 현장에서 체포되었다.[5] 배민수 등은 1주일 이상 고문을 받았는데, 만주에서 온 백세빈은 고문에 굴복하여 조직에 대해 실토하였다. 이로 인해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던 회원을 비롯해서 회원들의 지인들까지 모두 체포되어 재판 당시에는 30명 정도가 되었다. 회장 장일환을 비롯해 배민수, 김형직, 강석봉 등은 평양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독립을 염원하였던 장일환은 배민수에게 유언을 남기고 고문으로 사망하였다.[5]

검찰은 보안법 위반 등의 이유로 배민수에게 1년, 김형직, 구형필, 서광조, 평석에게는 10개월, 노덕순, 김평두, 조옥초, 최달형, 강석봉에게는 8개월, 최지화, 이보식, 김인준, 이경균 등에게는 6개월 형을 구형했고, 재판에서도 그대로 선고되었다. 회원들은 항소하지 않고 모두 형을 살았는데, 배민수는 1919년 이전이라 비교적 형이 적었다고 회고하였다. 재판 과정에서 배민수는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우리들을 법으로 처벌하는 것은 부당하고, 일본 제국의 국왕이라도 우리와 같은 처지라면 같은 생각을 할 것이다'라고 진술하기도 하였다.[6]

6. 역사적 의의와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뉴스 김형직 독립운동 사료 독립기념관에 소장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5-03-23
[2] 뉴스 金日成의 父 金亨稷 조선국민회활동 사실로 확인돼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1998-03-25
[3] 서적 세기와 더불어 제1편 항일혁명편
[4] 일반
[5] 서적 배민수자서전
[6] 서적 배민수자서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