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협주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협주단은 1947년 김일성의 명령으로 창단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 예술 단체이다. 창단 이후 조선인민군, 조선로동당, 국가 관련 행사에 출연하며 체제 선전과 주체사상 고취에 기여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군 장병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고, 김정일 시대에는 '선군' 이데올로기 강화에 활용되었다. 김정은 시대에는 악기 현대화와 팝 스타일 음악 도입 등 변화를 겪었으며, 해외 공연도 재개했다. 현재 약 300명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등을 공연하고, 4·25문화회관을 주요 공연 극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악대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은 1947년 창단된 북한의 군대 예술 단체로, 남성 합창, 독창, 관현악단 등으로 구성되어 선군정치를 옹호하는 공연을 해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악대 - 조선인민군군악단
조선인민군군악단은 1946년 평양 군사학교 군악대에서 시작되어 총정치국 직속 부대로 개편된 조선인민군의 최고 군악대로, 군 및 부대 군악대와 노농적위대를 관할하며 열병식, 국가적인 의식, 국빈 방문 기념 연주회 등 주요 공연에 참여한다. - 1947년 설립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47년 설립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조선인민군협주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장르 | 군가 군대 찬가 한국 전통 음악 |
활동 기간 | 1947년-현재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명칭 | |
한국어 (조선어)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
한자 | 朝鮮人民軍功勳國家合唱團 |
로마자 표기 | Joseon inmingun gonghun gukga hapchangda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sŏn inmin'gun konghun kukka hapch'angdan |
관련 정보 | |
관련 단체 | 조선인민군 협주단 |
2. 역사
협주단은 1947년 2월 25일, 건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수상이자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인 김일성의 명령에 의해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문화부 산하로 설립되었으며, 그날 첫 공개 공연을 가졌고, 이후 매년 기념일로 지정되었다.[2]
조선인민군협주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 예술 단체 중 경험이 풍부한 단체 중 하나로, 조선인민군, 조선로동당(WPK) 및 국가와 관련된 많은 행사에 출연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합창단 소속 음악가와 가수들이 조선인민군 장병들 앞에서 최전선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전쟁 노고에 대한 공로로 많은 사람들이 국가 훈장과 표창을 받았다.[2] 전쟁 후, 협주단은 성장하는 국가의 주요 음악 단체 중 하나가 되었으며, 지도자의 칭송과 국가의 개인숭배, ''주체사상''의 중요성, 경제 발전, 미국과 동맹국에 대한 국가 방위, 사회주의 미래 건설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공연에 집중했다. 협주단은 창단 이후 70년 동안 국가를 방문한 많은 외국의 국가 원수와 정부 수반 앞에서 공연을 할 수 있는 특권을 누렸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11년 김정일 사망까지 김정일은 최고사령관으로서 협주단의 많은 휴일 및 특별 콘서트에 참석했으며, 협주단을 조선인민군(KPA)의 ''선군''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북한 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대사로 만들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모범적인 음악 단체로 만들었다. 그의 콘서트 참석은 협주단의 음악가와 가수들에게 당과 조선인민군이 국가를 강하고 번영하며 독립적인 국가로 묘사하는 혁명적인 스타일의 노래를 인민에게 제공하고, 최고지도자의 지도 아래 조선로동당이 국가 이념을 추구하며 인민군 장병들이 최후까지 옹호하는 국가를 만들라는 과제를 더 열심히 수행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또한, 협주단은 조선중앙텔레비전을 통해 매일 최고의 곡들을 뮤직비디오로 방영했으며, 2000년대 중반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친북 채널이 등장하면서, 협주단의 남성 멤버들과 교향악단의 뮤직비디오가 국외 시청자들에게 공개되었다(대한민국에서는 해당 영상이 금지됨). 2000년대 후반에는 현재 해체된 은하수관현악단, 삼지연악단, 삼지연관현악단 및 국립교향악단과의 협연 콘서트를 시작하여 음악적 선택을 쇄신했으며, 2013년에는 모란봉악단과 청봉악단 그리고 가끔 국무위원회 교향악단과 함께 협연 콘서트를 계속했다.
김정은 시대에는 시대에 발맞춰 협주단과 악기 현대화가 이루어졌고, 2014년부터 여성 독주자 및 기악 연주자를 정식으로 포함하여 역동적인 음악 단체이자 조선인민군의 대표 단체로 전환되었으며, 콘서트 일정에서 기존의 클래식, 이념, 애국적인 음악 외에 팝 스타일의 음악을 도입했으며, 이 중 일부는 공화국 최고지도자이자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자격으로 직접 참석했다. 2015년 조선로동당 창당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협주단은 "추억이 넘치는 노래" 콘서트 시리즈(2월~3월)의 일환으로 보천보전자악단과 왕재산경음악단의 음악가들과 함께 공연을 했다.[3] 2019년에는 평양의 주요 콘서트홀에서 수년간 공연을 한 후, 새로운 흰색 정복(2018년 데뷔)을 사용하며, 2015년부터 콘서트 공연에 사용된 새로운 스타일의 카키색 정복과 함께 때때로 사용되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별관 건물에 영구적인 거처를 마련했다.[4]
2015년 9월, 태평양 전승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공연을 한 것을 시작으로 수년 만에 처음으로 해외 공연을 시작했으며, 2019년 1월에는 중국 베이징 국가대극원에서 인상적인 공연을 펼쳤다.
2019년 6월 21일, 협주단과 교향악단은 평양 5.1경기장에서 김정은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인 시진핑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9년 아리랑 축전 "인민의 나라"의 공식 개막 공연을 했다.[5]
조선인민군협주단은 1947년 2월 22일에 창단되었다. 1948년 2월에 규모가 확대되었다. 1972년에 조선인민군연극단을 통합하여 본격적인 종합적인 음악 예술단이 되었다. 현재 약 300명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인민군협주단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밝은 해 아래서」 등이 있다. 평양의 4·25문화회관을 주요 공연 극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 1. 창단과 초기 활동 (1947-1953)
조선인민군협주단은 1947년 2월 25일 김일성의 명령에 의해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문화부 산하로 설립되었으며, 같은 날 첫 공개 공연을 가졌다. 이후 이 날은 매년 협주단의 창단 기념일로 지정되었다.[2] 협주단은 조선인민군, 조선로동당, 국가와 관련된 주요 행사에서 공연하며, 체제 선전과 주체사상 고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한국 전쟁 중에는 협주단 소속 음악가와 가수들이 최전선에서 조선인민군 장병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으며, 이들의 노고는 국가 훈장과 표창으로 인정받았다.[2]
2. 2. 전후 복구와 발전 (1953-1990년대)
조선인민군협주단은 1947년 2월 22일에 창단되었으며, 1948년 2월에 규모가 확대되었다. 1972년에는 조선인민군연극단을 통합하여 종합적인 음악 예술단으로 성장했다. 현재 약 300명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밝은 해 아래서」 등을 공연했다. 평양의 4·25문화회관을 주요 공연 극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음악 단체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김일성, 김정일 등 최고지도자 찬양, 주체사상, 경제 발전, 미국 및 동맹국에 대한 국가 방위, 사회주의 미래 건설 등을 주제로 한 공연을 했다.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 방북 시 공연을 통해 외교적 역할도 수행했다.
2. 3. 김정일 시대 (1990년대 중반-2011)
김정일은 협주단을 '선군' 이데올로기 강화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음악 홍보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했다. 김정일은 협주단의 주요 공연에 직접 참석하여 단원들을 격려하고, 혁명적 예술 창작을 독려했다. 조선중앙텔레비전, 유튜브 등을 통해 협주단의 공연 영상이 국내외에 널리 알려졌다. 대한민국에서는 해당 영상 시청이 금지되어 있다. 은하수관현악단, 삼지연악단 등 다른 예술 단체들과 협연을 통해 음악적 다양성을 추구했다.2. 4. 김정은 시대 (2011-현재)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 협주단은 악기를 현대화하고 여성 단원을 영입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클래식, 이념, 애국적인 음악 외에 팝 스타일의 음악을 도입하여 대중성을 강화했다. 모란봉악단, 청봉악단, 국무위원회 교향악단 등과의 협연을 지속하고 있다.2015년, 러시아 태평양 전승 70주년 기념 공연, 2019년 중국 베이징 국가대극원 공연 등 해외 공연을 재개했다. 2019년, 평양 5.1경기장에서 열린 아리랑 축전 '인민의 나라' 개막 공연에 참여했다.
3. 구성 및 주요 단원
조선인민군협주단은 남성과 여성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성
- 인민배우: 최창은(테너, 일제강점기부터 활동, 2006년 사망), 최창림(바리톤), 리근택(테너,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맹호 역), 임덕수(바리톤,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노당원 식물학자 역, 2011년 사망), 리동섭(테너,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기창 역), 석지민(베이스,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춘삼 역, 2005년 사망), 홍경훈(테너) 등이 있다.
- 공훈배우: 장재천(서도민요), 김경완, 모영일(바리톤), 김철호(테너), 리동수(테너), 박금종(바리톤), 박태혁(바리톤), 전창민(테너) 등이 있다.
- 이외에도 명만식(바리톤), 리진(테너), 홍영철(테너), 김성철(테너), 오연수, 김정룡, 류경일(테너), 리광남(바리톤), 리영남, 김익(테너), 리철훈(테너), 박응삼(테너), 허광일(테너), 김경운(테너), 최철준(바리톤), 박용건(바리톤), 신해성(베이스), 김덕철(테너), 서금혁(테너) 등이 활동했다.
여성
- 인민배우: 김옥선(소프라노), 김명득(소프라노, 가야금 독병창), 림창실(소프라노) 등이 있다.
- 공훈배우: 김옥봉(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강연옥 역), 차영애(소프라노, 가야금 병창,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어머니 역), 리정순(소프라노), 윤춘실(소프라노), 승영희(알토), 고정숙(소프라노), 손연실(소프라노), 송정실(소프라노, 가야금 독병창,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봉철 역) 등이 있다.
- 이외에도 박정숙(소프라노), 서혜란(소프라노), 김광녀(소프라노), 맹련희(소프라노), 류복실(소프라노, 가야금 독병창), 최광숙(소프라노), 문경란(소프라노), 서청희(소프라노), 허광희(소프라노), 리진희(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강연옥 역), 김세련(소프라노), 김숙희(소프라노, 가야금 독병창), 김옥경(소프라노), 김옥실(소프라노), 김은경(소프라노), 정현옥(소프라노), 주명화(메조소프라노), 문정숙(메조소프라노), 라미향(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주역), 장미향(소프라노), 허경희(소프라노), 량창실, 리향미(소프라노), 김명실(메조소프라노), 림순희(소프라노), 한현순, 김수향(메조소프라노), 리설송(메조소프라노), 리은심(소프라노), 리은월(소프라노, 가야금 독병창), 림향(소프라노), 김옥성(소프라노), 리원금(소프라노), 박미영(소프라노), 최수영(소프라노) 등이 활동했다.
그 외 인민예술가 설명순(2012년 사망), 계훈경(2014년 사망), 엄하진, 도영섭, 리광오 등과 공훈예술가 리봉룡, 송민화, 박왈빈, 리경, 리용호, 량영철, 김경수, 김동철, 김광훈, 강숭웅 등이 있다.
3. 1. 구성
3. 2. 역대 주요 단원
'''남성 성악가'''- 최창은(崔昌銀): 인민배우, 테너(서양 성악). 일제강점기부터 서울에서 성악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후 월북했다. 인민군협주단 단장, 인민군 배우 양성소 소장, 인민군 예술학원 원장, 인민군협주단 고문을 역임했다. 2006년 사망.
- 최창림(崔昌林): 인민배우, 바리톤(서양 성악).
- 리근택: 인민배우, 테너.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의 맹호 역을 맡았다. 이후 주로 합창단원으로 공훈국가합창단을 거쳐 조선인민군 예술학원 성악 교원을 지냈다. 아들은 공훈국가합창단 전속 가수를 지낸 인민배우 리성철이다.
- 임덕수(任德洙): 인민배우, 바리톤(서양 성악).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의 노당원 식물학자, 혁명가극 '밝은 태양 아래서' 주역을 맡았다. 이후 인민군협주단 부장, 공훈국가합창단 과장을 지냈다. 2011년12월 30일 사망.
- 리동섭(리동섭): 인민배우, 테너.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에서 기창(초대) 역을 맡았다. 이후 공훈국가합창단 단장을 지냈다.
- 석지민(石志民): 인민배우, 베이스(서양 성악).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에서 춘삼 역을 맡았다. 이후 공훈국가합창단으로 이적했다. 2005년 사망.
- 홍경훈(洪景勳): 인민배우, 테너(서양 성악). 이후 공훈국가합창단에 재직했고, 현재 다시 조선인민군협주단 소속이다.
- 장재천(張在天): 공훈배우, 서도민요. 일제강점기부터 서도민요 분야에서 활약했다. 해방 후, 조선인민군협주단 전속이 되었으며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이후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민족성악 강좌 고문을 지냈다.
- 김경완: 공훈배우. 이후 주로 합창단원으로 공훈국가합창단에 재직했다.
- 모영일: 공훈배우, 바리톤.
- 김철호: 공훈배우, 테너. 주로 혼성 2중창으로 활약했다.
- 리동수(리동수): 공훈배우, 테너(서양 성악). 이후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을 거쳐 현재는 피바다 가극단에 소속되어 있다.
- 박금종: 공훈배우, 바리톤. 기타 4중창조로 활동했고, 일시적으로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에 재직했다.
- 박태혁: 공훈배우, 바리톤. 기타 4중창조로 활동했고, 일시적으로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에 재직했다.
- 전창민(全昌民): 공훈배우, 테너. 기타 4중창조로 활동했고, 일시적으로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에 재직했다.
- 명만식: 바리톤. 이후 주로 합창단원으로 공훈국가합창단에 재직했다.
- 리진(리진): 테너. 주로 혼성 2중창으로 활약했다.
- 홍영철(洪英哲): 테너.
- 김성철(金成哲): 테너.
- 오연수: 기타 4중창조로 활동했고, 일시적으로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에 재직했다.
- 김정룡(金正龍)
- 류경일(柳京一): 테너(서양 성악).
- 리광남(리光男): 바리톤.
- 리영남(리英男)
- 김익(金益): 테너(서양 성악).
- 리철훈(리哲勳): 테너(서양 성악).
- 박응삼(朴應三): 테너(서양 성악). 이후 주로 합창단원으로 공훈국가합창단 소속.
- 허광일(許光日): 테너(서양 성악). 현재 공훈국가합창단 소속.
- 김경운(金京運): 테너(서양 성악).
- 최철준(崔哲俊): 바리톤(서양 성악).
- 박용건(朴用健): 바리톤(서양 성악).
- 신해성(申海星): 베이스(서양 성악). 대학교 시절 피바다 가극단 중국 공연에 참가, 가극 '량산백과 축영대'에서 축공원 역을 연기했다. 현재 공훈국가합창단 소속.
- 김덕철(金德哲): 테너.
- 서금혁(徐金赫): 테너.
'''여성 성악가'''
- 김옥선(金玉先): 인민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평양예술단, 만수대예술단을 거쳐 조선인민군협주단에서 활약했다.
- 김명득(金明得): 인민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주로 가야금 독병창, 차영애와 함께 여성 2중창으로 활약했다. 평양예술단을 거쳐 입단했다.
- 림창실(林昌實): 인민배우, 소프라노.
- 김옥봉(金玉峰): 공훈배우, 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주역 강연옥(초대) 역을 맡았다. 이후 성악 지도원.
- 차영애(車英愛): 공훈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국립민족예술단을 거쳐 입단했다. 주로 가야금 병창, 김명득과 함께 여성 2중창으로 활약했다.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에서 어머니 역을 연기했다.
- 리정순(李正順): 공훈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 윤춘실(尹春實): 공훈배우, 소프라노. 주로 혼성 2중창으로 활약했다.
- 승영희(承英姬): 공훈배우, 알토(서양 성악).
- 고정숙(高貞淑): 공훈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 손연실(孫延實): 공훈배우, 소프라노(서양 성악).
- 송정실(宋貞實): 공훈배우, 소프라노(민족 성악). 주로 가야금 독병창으로 활약했고,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에서 봉철 역을 맡았다.
- 박정숙(朴貞淑): 소프라노.
- 서혜란(徐惠蘭): 소프라노(민족 성악). 현재 조선인민군 예술학원 성악 강좌장. 동생은 만수대예술단 가수 서란이다. 조카는 피아니스트 마시나이다.
- 김광녀(金光女): 소프라노(민족 성악).
- 맹련희(孟蓮姬): 소프라노(민족 성악).
- 류복실(柳福實): 소프라노(민족 성악). 가야금 독병창으로도 활약.
- 최광숙(崔光淑): 소프라노(민족 성악).
- 문경란(文京蘭): 소프라노(민족 성악).
- 서청희(徐淸姬): 소프라노(서양 성악).
- 허광희(許光姬): 소프라노(서양 성악).
- 리진희(리진희): 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주역 강연옥 역을 맡았다. 현재 공로자명 배우 예술선동대 소속.
- 김세련(金世蓮): 소프라노.
- 김숙희(金淑姬): 소프라노(민족 성악). 가야금 독병창으로도 활약.
- 김옥경(金玉景): 소프라노(민족 성악).
- 김옥실(金玉實): 소프라노.
- 김은경(金恩京): 소프라노(민족 성악).
- 정현옥(鄭賢玉): 소프라노(민족 성악).
- 주명화(朱明花): 메조소프라노.
- 문정숙(文貞淑): 메조소프라노(서양 성악).
- 라미향(羅美香): 소프라노.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주역을 연기했다.
- 장미향(張美香): 소프라노(민족 성악).
- 허경희(許京姬): 소프라노.
- 량창실(梁昌實)
- 리향미(리香美): 소프라노(민족 성악).
- 김명실(金明實): 메조소프라노(대중가요). 주로 전자악단에서 활약했고, 현재, 조선인민군 공군협주단 재직.
- 림순희(林順姬): 소프라노.
- 한현순(韓賢順)
- 김수향(金秀香): 메조소프라노(대중가요).
- 리설송(리雪松): 메조소프라노(서양 성악).
- 리은심(리恩心): 소프라노(서양 성악).
- 리은월(리恩月): 소프라노(민족 성악). 가야금 독병창으로도 활약.
- 림향(林香): 소프라노(민족 성악).
- 김옥성(金玉星): 소프라노(민족 성악). ※인민배우 김옥선(金玉先)과는 다른 인물.
- 리원금(리元金): 소프라노(서양 성악). 공훈국가합창단을 거쳐 조선인민군협주단으로.
- 박미영(朴美英): 소프라노(대중가요).
- 최수영(崔秀英): 소프라노(민족 성악). 공훈국가합창단을 거쳐 조선인민군협주단으로.
'''작곡가'''
- 설명순(ソル・ミョンスン): 인민예술가. 2012년 7월 사망.
- 계훈경(ケ・フンギョン): 인민예술가. 2014년 10월 사망.
- 엄하진(オム・ハジン): 인민예술가.
- 도영섭(ト・ヨンソプ): 인민예술가.
- 리광오(リ・グァンオ): 인민예술가.
- 리봉룡(リ・ボンリョン): 공훈예술가.
- 송민화(ソン・ミンファ): 공훈예술가.
- 박왈빈(パク・ワルビン): 공훈예술가.
- 리경(リ・ギョン): 공훈예술가.
- 리용호(リ・ヨンホ): 공훈예술家.
- 량영철(リャン・ヨンチョル): 공훈예술가.
- 김경수(キム・ギョンス): 공훈예술가.
- 김동철(キム・ドンチョル): 공훈예술가.
- 김광훈(キム・グァンフン): 공훈예술가.
- 강숭웅(カン・スンウン): 공훈예술가.
4. 주요 작품
5. 공연 장소
6. 대한민국과의 관계
7. 평가 및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Pyongyang theatre guide, North Korea
https://www.koreakon[...]
2024-11-12
[2]
웹사이트
北, 당 중앙위원 128명, 후보위원 106명 발표
https://m.nocutnews.[...]
2024-11-12
[3]
웹사이트
Grand Art Performance Goes on with Great Success
http://www.kcna.co.j[...]
2015-10-14
[4]
뉴스
North Korea says it will send a 140-member orchestra to perform in South Korea
https://www.washingt[...]
[5]
웹사이트
Kim Jong Un recebe Xi Jinping que realiza visita de Estado à RPDC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