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그리그스 톰프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그리그스 톰프슨은 미국의 수학자이다. 1959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톰프슨은 유한 단순군의 분류 발전에 기여했으며, 페이트-톰프슨 정리를 증명하고 N-군을 연구했다. 톰프슨 군 Th를 발견하고 역 갈루아 문제에 기여했다. 그는 콜 상, 필즈상, 울프 수학상, 아벨상, 국가 과학 메달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리다 대학교 - 마빈 해리스
마빈 해리스는 미국의 인류학자로서, 문화 유물론을 주창하며 사회 구조와 문화를 물질적, 행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저서를 통해 문화 현상을 설명했다. - 플로리다 대학교 - 그랑 텔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그랑 텔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광학-적외선 망원경 중 하나로, 다양한 관측 장비를 갖추고 한국 천문학계와의 협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플로리다 대학교 교수 - R. M. 헤어
R. M. 헤어는 20세기 후반 영국의 도덕 철학자로, '보편적 규범주의' 윤리 이론을 체계화하고 도덕적 판단의 보편타당성과 규범성을 강조했으며, 정치철학과 응용윤리학에도 기여했다. - 플로리다 대학교 교수 - 제임스 밴 플리트
제임스 밴 플리트는 제1, 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및 미8군 사령관으로서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설립 지원 등 한국군 전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현리 전투 후 작전 지휘권 이양으로 논란이 된 미국의 군인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페루 출신의 소설가이자 정치인, 에세이스트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영웅의 시대』, 『녹색 저택』, 『대성당에서의 대화』 등의 작품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문학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페루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자유주의적 견해를 피력하며 201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마이클 영 (사회학자)
마이클 영은 영국의 사회학자, 사회 운동가로서, 능력주의 사회를 비판하고, 커뮤니티 연구소, 소비자 협회, 오픈 유니버시티 등 다양한 기관 설립에 참여하여 영국 사회 개혁에 기여했다.
존 그리그스 톰프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John Griggs Thompson |
출생일 | 1932년 10월 13일 |
출생지 | 미국 캔자스주 오타와 |
국적 | 미국 |
분야 | 군론 |
근무 기관 | 하버드 대학교 (1961–62) 시카고 대학교 (1962–68) 케임브리지 대학교 (1968–93) 플로리다 대학교 (1993–) |
모교 | 예일 대학교 (BA) 시카고 대학교 (PhD) |
박사 지도 교수 | 손더스 매클레인 |
박사 학위 제자 | R. L. Griess Richard Lyons Charles Sims Nick Patterson |
학위 논문 제목 | A Proof that a Finite Group with a Fixed-Point-Free Automorphism of Prime Order is Nilpotent |
학위 논문 URL | 학위 논문 링크 |
학위 취득 년도 | 1959년 |
수상 | |
수상 내역 | 콜 상 (1965년) 필즈상 (1970년) 왕립 학회 회원 (1979년) Senior Berwick Prize (1982년) 실베스터 메달 (1985년) 울프 수학상 (1992년) Médaille Poincaré (1992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 (2000년) 아벨상 (2008년) 드 모르간 메달 (2013년) |
2. 생애
톰프슨은 캔자스주오타와에서 태어났다. 1968년부터 1993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자크 티츠와 함께 아벨상을 수상했다.[3] 후지와라 마사히코의 증언에 따르면, 독서가였던 톰프슨이 그에게 처음 던진 질문은 미시마 유키오의 할복과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에 등장하는 '선생'의 자살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고 한다.
2. 1. 학력 및 경력
톰프슨은 1955년 예일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1959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사운더스 맥레인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3] 1961년부터 하버드 대학교,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3] 이후 시카고 대학교에서 잠시 수학 교수로 재직한 후, 197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옮겨 로스 볼 수학 석좌 교수를 역임했으며, 플로리다 대학교 수학과 대학원 연구 교수로 활동했다.[3] 1979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현재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플로리다 대학교 수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3] 후지와라 마사히코와 동료였다.3. 주요 업적
톰프슨의 박사 학위 논문은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으며 약 60년 동안 해결되지 않았던 유한군론 문제, 즉 프로베니우스 핵의 멱영성에 대한 해답을 포함했다. 당시 이 업적은 ''뉴욕 타임스''에 보도되었다.[4]
톰프슨은 유한 단순군의 분류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인물이 되었으며, 역 갈루아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3. 1. 페이트-톰프슨 정리 증명
1963년, 톰프슨은 월터 페이트와 함께 모든 비가환 유한 단순군이 짝수 차수를 갖는다는 페이트-톰프슨 정리(홀수 차수 논문)를 증명했다. 이 논문은 태평양 수학 저널의 한 통권을 채웠다. 이 연구는 미국 수학회의 콜 상 대수학 부문 수상으로 이어졌다.[4]3. 2. N-군 연구
월터 페이트와 톰프슨은 1963년에 모든 비가환 유한 단순군이 짝수 차수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했다.(''홀수 차수 논문'', 태평양 수학 저널의 한 통권을 채움)[4] 이 연구는 1965년 미국 수학회의 콜 상 대수학 부문을 수상했다. 톰프슨의 N-군 논문은 모든 비항등 가해 부분군의 정규화 부분군이 가해군인 모든 유한 단순군을 분류했다. 이는 부수적으로 모든 최소 유한 단순군(모든 진부분군이 가해군인 단순군)의 분류를 포함했다. 이 연구는 유한 단순군 분류의 후기 발전에 약간의 영향을 미쳤으며, 1970년 톰프슨의 필즈상 수상에 대한 리처드 브라우어의 인용문에서 언급되었다 (국제 수학자 회의 회보, 니스, 프랑스, 1970).[5]3. 3. 톰프슨 군 발견
톰프슨 군 ''Th''는 26개의 산재 유한 단순군 중 하나이다.[5]3. 4. 역 갈루아 문제 연구
톰프슨은 역 갈루아 문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몬스터 단순군이 갈루아 군임을 의미하는 유한군이 갈루아 군이 되기 위한 기준을 발견했다.[5]4. 수상 경력
5. 기타
톰프슨은 독서광이었으며, 미시마 유키오의 할복과 나쓰메 소세키의 こころ|마음일본어 속 '선생'의 자살 간의 관련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ompson, John Griggs
http://serge.mehl.fr[...]
[2]
간행물
Liste des 122 fondations
https://web.archive.[...]
2014-10-06
[3]
웹사이트
2008: John Griggs Thompson and Jacques Tits
https://abelprize.no[...]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4]
뉴스
New York Times article, April 26, 1959
http://www.cecm.sfu.[...]
[5]
논문
Some finite groups which appear as Gal L/K, where K ⊆ Q(μn)
1984
[6]
웹사이트
John Griggs Thompson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6-10-24
[7]
웹사이트
Royal Society Sylvester Medalists
http://royalsociety.[...]
2014-03-02
[8]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