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쓰메 소세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의 소설가, 평론가, 수필가로, 1867년에 태어나 1916년에 사망했다. 그는 도쿄 제국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영국 유학 후 도쿄 제국대학과 메이지 대학 등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1905년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발표하며 작가로 데뷔했으며, 《도련님》, 《마음》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일본 근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하여 직업 작가로 활동하며 《우미인초》, 《문》, 《명암》 등 많은 작품을 연재했다. 나쓰메 소세키는 1000엔 지폐의 인물로도 사용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 대학 교수 - 가노 지고로
    가노 지고로는 일본의 교육자이자 문부관료이며 유도의 창시자로서, 유도를 세계적으로 보급하고 국제 스포츠계 및 일본 교육계에 큰 공헌을 했다.
  • 구마모토 대학 교수 - 시바 요시노부
    시바 요시노부는 중국 경제사 연구에 기여한 일본의 동양학자로, 도쿄 대학 박사, 여러 대학 교수, 동양문고 이사장을 지냈으며, 《송대의 상업적 발전》 등의 저서와 서보중광장, 문화훈장, 탕상 한학상을 수상했다.
  • 니쇼가쿠샤 대학 동문 - 와타세 소이치로
    1978년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 소설가 와타세 소이치로는 니쇼가쿠샤 대학 재학 중 산문 서클을 창립하고, 2000년 《헤이안쿄 팔괘》로 데뷔하여 판타지, SF 등 다양한 장르 소설을 집필했으며, 2004년에는 모교에서 임시 강사로도 활동했다.
  • 니쇼가쿠샤 대학 동문 - 조 (배우)
    조는 일본의 성우이자 배우이며, 사이타마현 출신으로 프로덕션 바오밥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2009년 미우라 준 상, 2018년 제12회 성우 어워드에서 토미야마 케이 기념상을 수상했다.
나쓰메 소세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세키 1912년 사진
1912년 9월 13일 소세키 (메이지 천황 장례식 날)
본명나쓰메 긴노스케 (夏目 金之助)
출생일1867년 2월 9일
출생지무사시 국(武蔵国) 에도(江戸) 우시고메(牛込) 바바시타초(馬場下横町) (현재 도쿄도(東京都) 신주쿠구(新宿区) 바바시타초(馬場下町))
사망일1916년 12월 9일
사망지도쿄부(東京府) 도쿄시(東京市) 우시고메구(牛込区) 와세다미나미초(早稲田南町) (현재 도쿄도(東京都) 신주쿠구(新宿区) 와세다미나미초(早稲田南町))
묘소조시가야 묘원(雑司ヶ谷霊園)
직업작가, 교사, 평론가, 영문학자
국적일본 제국(日本帝国)
배우자나쓰메 교코(夏目鏡子) (1896년 결혼)
자녀2명
한자 표기
한자夏目 漱石
로마자 표기Natsume Sōseki
히라가나なつめ そうせき
가타카나ナツメ ソウセキ
학력
학위문학사(文学士) (1893년 제국대학(帝国大学) 졸업)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작품 활동
활동 시기1905년 - 1916년
장르소설, 시, 에세이, 평론
주제근대 지식인의 아집(我執), 개인주의(個人主義), 일본의 근대화(近代化)
문학 사조여유파(余裕派), 반자연주의 문학(反自然主義文学)
주요 작품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1905년)
도련님(坊つちやん) (1906년)
풀베개(草枕) (1906년)
산시로(三四郎) (1908년)
그 후(それから) (1910년)
문 (소설)(門) (1911년)
피안이 지날 때까지(彼岸過迄) (1912년)
행인(行人) (1914년)
마음 (소설)(こゝろ) (1914년)
길가(道草) (1915년)
명암(明暗) (1916년)
데뷔 작품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 (1905년)
가족
자녀나쓰메 준이치(夏目純一) (장남)
나쓰메 신로쿠(夏目伸六) (차남)
친척나쓰메 후사노스케(夏目房之介) (손자)
마쓰오카 요코 맥클레인(松岡陽子マックレイン) (손녀)
한도 스에리코(半藤末利子) (손녀)
나쓰메 타로(夏目太郎) (조카손자)
나쓰메 테츠로(夏目哲郎) (증손자)
나쓰메 히토(夏目一人) (증손자)
영향 관계
영향 받은 인물한적(漢籍)
소라이학파(徂徠派)
오필리아 (회화)(オフィーリア)
아서 왕 이야기(アーサー王物語)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ゲオルク・ヴィルヘルム・フリードリヒ・ヘーゲル)
노자(老子)
영향을 준 인물글렌 굴드(グレン・グールド)
모리 오가이(森鷗外)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요코미쓰 리이치(横光利一)
우치다 효켄(内田百閒)
가지이 모토지로(梶井基次郎)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에토 준(江藤淳)
카라타니 코진(柄谷行人)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하스미 시게히코(蓮實重彦)
루쉰(魯迅)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그 외 다수의 일본 작가

2. 생애

1867년(경응 3년) 1월 5일 - 에도 우시고메 바바시타 요코초(현・도쿄도 신주쿠구 키쿠이정)에서 아버지 나쓰메 코헤이 나오카쓰, 어머니 센에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나쓰메가는 대대로 명주였으나, 당시 가세가 기울어 생후 얼마 안 되어 요츠야의 헌 고물상에 맡겨졌으나, 곧 데려왔다.

1868년(메이지 원년) 11월 - 신주쿠의 명주 시오하라 마사노스케의 양자가 되어 시오하라 성을 사용했다.

1869년(메이지 2년) - 양부 마사노스케가 아사쿠사의 첨년기가 되어 아사쿠사 산겐초로 이사했다.

1870년(메이지 3년) - 종두로 인해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흉터가 남았다.[66] "히토츠 나쓰메노 오니가와라"라는 수세기 노래에 등장할 정도로 흉터가 눈에 띄었다.

1874년(메이지 7년) - 양부 마사노스케와 양모 야스가 불화하여, 한때 키쿠이정의 친가로 데려왔다. 아사쿠사 코토초 토다 학원 하등소학교 제8급(후에 다이토구립 세이카 소학교. 현・다이토구립 구라마에 소학교)에 입학했다.

11, 12세 무렵의 킨노스케


1876년(메이지 9년) - 양모가 시오하라가를 떠나 양모와 함께 친가로 이사했다. 이치가야 야나기초 이치가야 학원(현・신주쿠구립 아이히 소학교)으로 전학했다.

1878년(메이지 11년)

  • 2월 - 회람 잡지에 『정성론』을 썼다.
  • 10월 - 긴카 소학교(현・치요다구립 오차노미즈 소학교) 소학교 심상과 2급 후기 졸업.

1879년(메이지 12년) - 도쿄부 제1중학교 정칙과(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의 전신) 제7급에 입학했다.

1881년(메이지 14년) - 1월 - 친모 센에 사망. 도쿄부립 제1중학교를 중퇴하고 사립 니쇼가쿠샤(현・니쇼가쿠샤 대학)로 전학했다.

1883년(메이지 16년) - 9월 - 칸다 스루가다이 세이리쓰가쿠샤에 입학했다.

대학 예비문 시대의 킨노스케(1886년)


1884년(메이지 17년) - 고이시카와 고쿠라쿠스이의 신후쿠지 2층에 하시모토 사고로와 하숙했다. 자취 생활을 하면서 세이리쓰가쿠샤에 다녔다.

  • 9월 - 대학예비문(메이지 19년(1886년)에 제1고등중학교(후의 제1고등학교)로 개칭) 예과 입학. 동급생에 나카무라 제이코, 호가 야이치, 마사키 나오히코, 하시모토 사고로 등이 있었다.

1885년(메이지 18년) - 나카무라 제이코, 하시모토 사고로 등 약 10명과 사루가쿠초의 스에토미야에 하숙했다.

1886년(메이지 19년) 7월 - 복막염으로 낙제했다. 이 낙제가 전환점이 되어, 이후 졸업까지 수석을 유지했다. 나카무라 제이코와 혼조 고토 기숙학교의 교사가 되어 기숙사로 이사했다.

1887년(메이지 20년) - 3월에 장남 다이스케, 6월에 차남 에이노스케가 모두 폐병으로 사망했다. 급성 트라홈에 걸려 집으로 돌아왔다. 여름에 첫 후지산 등산을 했다.

1888년(메이지 21년)

  • 1월 - 시오하라가에서 복적하여 나쓰메 성으로 돌아왔다.
  • 7월 - 제1고등중학교 예과를 졸업했다.
  • 9월 - 영문학 전공을 결심하고 본과 1부에 입학했다.

1889년(메이지 22년)

  • 1월 - 마사오카 시키와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 5월 - 시키의 『칠초집』의 평론을 쓰고, 처음으로 “소세키”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 8월 - 친구들과 보소를 여행하고, 여행 후에 기행 한시문집 『목설록』을 남겼다.

1890년(메이지 23년)

  • 7월 - 제1고등중학교 본과를 졸업했다.
  • 9월 - 제국대학(후의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 문부성의 대부생이 되었다.

1891년의 킨노스케. 후지산 등산 기념으로 촬영


제국대학 시절의 소세키(1892년 6월)


1891년(메이지 24년)

  • 7월 - 특대생이 되었다. 두 번째 후지산 등산.
  • 12월 - 『방장기』를 영역했다.

1892년(메이지 25년)

  • 4월 - 분가. 홋카이도 후시국 이와나이군 후키아게정에 전적했다.[67] (징병을 면제받기 위해서라는 설이 있다.)
  • 5월 - 도쿄 전문학교(현재의 와세다 대학) 강사가 되었다.

1893년(메이지 26년)

  • 7월 - 제국대학 졸업, 대학원에 입학했다.
  • 10월 - 고등사범학교(후의 도쿄 고등사범학교)의 영어 교사가 되었다. 고등사범의 교장은 강도관 창설자로 유명한 가노 지고로라는 유도의 대가였다.

1894년(메이지 27년) 2월 - 결핵의 징후가 있어 기타사토 시바사부로의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감염 없음).

소세키의 마쓰야마 시대의 거처 「구다붓쓰안」


제5고등학교 교수 시절의 소세키


1895년(메이지 28년)

  • 4월 - 마쓰야마 중학교(에히메현 심상중학교)(에히메현립 마쓰야마 히가시 고등학교의 전신)에 스가 토라오의 주선으로[68] 부임했다.
  • 12월 - 귀족원 서기관장 나카네 주이치의 장녀 쿄코와 상견례를 하고 약혼했다.

1896년(메이지 29년)

  • 4월 - 구마모토현의 제5고등학교 강사가 되었다.
  • 6월 - 나카네 쿄코와 결혼했다.
  • 7월 - 교수가 되었다.

1897년(메이지 30년) 6월 - 친부 나오카쓰 사망.

1898년(메이지 31년) 10월 - 하이쿠 결사 「시메이긴샤」의 주재가 되었다.[47]

1899년(메이지 32년) 5월 - 장녀 힛코 출생.

1900년(메이지 33년) 5월 - 영국으로 유학(도중에 파리 만국박람회를 방문).

1901년(메이지 34년) 1월 - 차녀 쓰네코 출생.

1902년(메이지 35년) 9월 - 마사오카 시키 사망.

제1고등학교 본관 현관 앞의 소세키(1907년 2월)


1903년(메이지 36년)

  • 4월 - 제1고등학교 강사가 되고,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강사를 겸임했다.
  • 10월 - 삼녀 에이코 출생. 수채화를 시작하고 서예도 잘했다.

1904년(메이지 37년) 4월 - 메이지 대학 강사를 겸임했다.

1905년(메이지 38년) 1월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호토토기스』에 발표(이듬해 8월까지 단속 연재).

  • 12월 - 사녀 아이코 출생.

1906년(메이지 39년) 4월 - 『방짜』를 『호토토기스』에 발표.

1907년(메이지 40년)

  • 1월 - 『야분』을 『호토토기스』에 발표.
  • 4월 - 모든 교직을 사임하고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 직업 작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 6월 - 장남 준이치 출생. 『우미인초』를 『아사히 신문』에 연재(-10월).

1908년(메이지 41년)

  • 1월 『광부』(-4월), 6월 『문조』, 7월 『꿈 십야』(-8월), 9월 『사사로』(-12월)을 『아사히 신문』에 연재.
  • 12월 - 차남 신로쿠 출생.

1909년(메이지 42년) 3월 - 이미 절연 상태였던 양부로부터 상당한 돈을 갈취당했고, 그러한 사건이 11월까지 계속되었다. 이 경위는 후의 자전적 소설 『도꾸사』에서 소재로 사용되었다.

1910년(메이지 43년)

  • 3월 - 오녀 히나코 출생.
  • 6월 - 위궤양으로 인해 나이코초의 나가요 위장병원에 입원.
  • 8월 - 요양을 위해 슈젠지 온천으로 전지했다. 같은 달 24일 밤, 대토혈하여 한때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 10월 - 나가요 병원에 입원.

1911년(메이지 44년)

  • 2월 21일 - 문부성으로부터의 문학박사 학위 수여를 사퇴했다.[69]
  • 8월 - 아사히 신문사 주최의 강연회를 위해 아카시, 와카야마, 사카이, 오사카에 가서 오사카에서 위궤양이 재발하여 유가와 위장병원에 입원.
  • 11월 29일 - 오녀 히나코가 원인 불명의 돌연사. 후에 소세키의 시체 해부의 원인이 된다.

1913년(다이쇼 2년)

  • 1월 - 심한 노이로제가 재발.
  • 3월 - 위궤양 재발. 5월 하순까지 자택에서 병상에 누워 있었다. 홋카이도에서 도쿄로 재전적했다.

「소세키산방」서재의 소세키(1914년)


1914년(다이쇼 3년)

  • 4월 - 『마음』을 『아사히 신문』에 연재(-8월).
  • 11월 - 「나의 개인주의」를 가쿠슈인 후진회에서 강연.

1915년(다이쇼 4년)

  • 6월 - 『도꾸사』를 『아사히 신문』에 연재(-9월).
  • 11월 - 나카무라 제이코와 유가하라에 놀러 갔다.
  • 12월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쿠메 마사오가 문하에 들어왔다. 이 무렵부터 류머티즘으로 고생했다.

1916년(다이쇼 5년)

  • 1월 - 류머티즘 치료를 위해 유가하라 아마노야의 나카무라 제이코 집으로 전지했다.
  • 5월 - 『명암』을 『아사히 신문』에 연재(-12월).
  • 12월 9일 - 오후 7시 전, 위궤양으로 사망. 계명·문헌원 고도 소세키 거사.

1984년(쇼와 59년) 11월 - 천엔 지폐에 초상이 채택되었다.

2. 1. 어린 시절

나쓰메 소세키는 1867년 1월 11일(음력 1월 5일) 에도의 우시고메 바바시모요코초(오늘날 신주쿠구 기쿠이 정)에서 나쓰메 고효에 나오카쓰(夏目小兵衛直克일본어)의 막내로 태어났다.[32] 늦둥이로 태어나 어머니가 부끄럽게 여겼으며, 긴노스케라는 이름은 태어난 날이 경신일(庚申日)이었기 때문에 액을 막는 의미에서 붙여졌다.[32] 세 살 때쯤 걸린 천연두 흔적은 이후에도 남았다. 소세키의 할아버지 나쓰메 나오모토는 방탕하고 낭비벽이 심해서, 죽을 때도 술에 취해 갑자기 죽었다고 전해질 정도였다. 그 때문에 나쓰메가의 재산은 나오모토 대에서 기울었다. 하지만 아버지 나오카쓰의 노력으로 나쓰메가는 상당한 재산을 얻을 수 있었다.

나쓰메 소세키의 어머니 치에


5, 6세 무렵의 나쓰메 소세키


당시 에도 막부 붕괴 이후 혼란기였고, 생가는 몰락하고 있었으므로[32] 태어난 직후에 요쓰야(四谷일본어)의 낡은 도구점(일설에는 야채가게)에 양자로 보내졌지만, 늦은 밤까지 물건 옆에서 나란히 자는 것을 지켜본 누나가 불만을 품고 곧 본가로 데리고 왔다. 이후 1세 때 부친의 친구였던 시오바라 쇼노스케(塩原昌之助일본어)의 양자로 갔지만,[33] 양부의 여성 문제 등으로 가정불화가 불거지면서 7세 때 양모가 잠깐 생가로 데려왔다. 이후 양부모 이혼과 함께 9세 때 생가로 되돌아오지만,[3] 친부와 양부 대립으로 복적이 21세 때 이루어졌다. 이러한 양부모와 관계는 이후 소설 《한눈팔기》의 소재가 되었다.

어수선한 집안 분위기 속에서 이치가야 학교(市ヶ谷学校일본어)를 거쳐 니시키하나 소학교(錦華小学校일본어)로 전학했다.[32] 12세 때인 1879년에 도쿄부 제1중학 정칙과(正則科, 훗날 부립 1중, 오늘날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에 입학했다.[4] 그러나 대학 예비문 수험에 필수였던 영어 수업이 없던 것과 함께 한학과 문학에 뜻을 두었으므로 2년 뒤 중퇴했다. 1883년에 대학 예비문 수험을 위해 영어를 가르치던 영학숙 세이리쓰 학사(成立学舎일본어)에 입학해 두각을 드러냈다.

1884년에 무사히 대학 예비문 예과에 입학했다. 당시 하숙 동료로 훗날 남만주 철도 총재가 되는 나카무라 요시코토가 있다. 1886년에 대학 예비문이 제1고등중학교로 개칭하고, 이후 맹장염 등으로 인해 예과 2급의 진급시험을 통과하지 못하고 요시코토와 함께 낙제하였다.

2. 2. 학창 시절과 마사오카 시키와의 만남

1889년 나쓰메 소세키는 동창생이자 하이쿠 시인인 마사오카 시키를 만났는데, 시키는 훗날 소세키에게 문학적, 인간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시키가 쓴 한시하이쿠 등을 모은 문집 《칠초집》(七草集)이 돌고 있을 때, 소세키가 그 비평을 책 말미에 한문으로 쓴 것을 계기로 둘의 우정이 시작되었다. 이때 소세키는 처음으로 ‘소세키’라는 호를 사용했다. 소세키는 진서에 나오는 고사성어 ‘수석침류’(漱石枕流,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겠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억지가 강하거나 괴짜라는 것을 뜻한다. 소세키는 원래 시키의 수많은 필명 가운데 하나였으나, 이후 소세키는 시키에게서 이 필명을 물려받았다. 소세키와 시키의 교류는 1902년 시키가 죽을 때까지 이어졌다.

1890년 소세키는 창설된 지 얼마 안 된 도쿄 제국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는데, 이 무렵 염세주의와 신경쇠약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887년에는 큰형을, 얼마 지나지 않아서는 둘째 형을 잃었고, 1891년에는 셋째 형의 아내가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892년 소세키는 병역을 피하기 위해 분가하여 홋카이도로 적을 옮겼고, 같은 해 5월에는 와세다 대학의 전신인 도쿄 전문학교의 강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이후 시키가 대학을 중퇴했지만, 소세키는 마쓰야마에 있는 시키의 집에서 훗날 자신을 직업 작가의 길로 이끄는 다카하마 교시를 만났다.

소세키는 12세 때 도쿄부 제일중학교 정칙과(府立一中)에 입학했으나,[34] 2년 정도 재학 후 1881년 중퇴하고 한학 사숙 니소가쿠샤에 입학했다.[35] 그러나 장남의 반대로 1년 만에 중퇴하고, 1883년 영어를 배우기 위해 영학교육기관 세이리쓰가쿠샤에 입학하여 두각을 나타냈다.[36] 1884년 대학예비문 예과에 입학했으며, 대학예비문 시절 나카무라 제코 등과 함께 "십인회"를 조직했다.[37] 1886년 대학예비문이 제일고등학교로 개칭된 후, 소세키는 충수염으로 낙제하기도 했으나,[37] 이후 학업에 매진하여 거의 모든 과목에서 수석을 차지했다.[37]

대학예비문 시절의 소세키


여름날 漱석 시비 「기야정에 숙소를 정하고 강 건너편 오타카 씨에게 봄의 강을 사이에 두고 남녀인가」(교토시 중경구 오이케도리 기야마치 동쪽 입구)。

2. 3. 제국대학 입학과 영국 유학

1890년,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제국대학(후의 도쿄제국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38] 이 무렵부터 염세주의·신경쇠약에 빠지기 시작했다고도 한다.[38] 1893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어교사가 되었으나,[42] 일본인이 영문학을 가르치는 것에 위화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잇단 가족 죽음과 함께 폐결핵, 극도의 신경쇠약 등이 나타났다.[45] 1895년 도쿄에서 도망치듯 고등사범학교에서 사직하고, 스가 도라오(菅虎雄일본어)의 주선으로 에히메현 심상 중학교로 부임한다.[46] 마쓰야마시시키의 고향으로, 이 즈음에 시키와 함께 하이쿠나 작품을 남기고 있다.

1896년에는 구마모토현 제5고등학교(구마모토 대학의 전신)의 영어교사로 부임하고,[46] 친족들의 권유로 교코와 결혼했지만, 원만한 부부 관계는 맺지 못했다.[46]

1900년 5월에 문부성에 의해 영문학 연구를 위해 영국 유학을 떠나게 된다.[49] 메리디스나 디킨스 등을 주로 읽었다. 《긴 봄날의 소품》(永日小品일본어)에서도 등장하는 셰익스피어 연구가 윌리엄 크레이그의 지도를 받거나, 《문학론》(文学論일본어) 연구 등을 하지만 영문학 연구와의 위화감은 지속되어 신경쇠약은 심해졌다.[49] 또한 동양인이라는 이유에서 인종차별을 받는 등의 초조함도 쌓여 몇 번이나 거처를 옮겼다.[49]

1901년에 물리화학 연구를 위해 2년간 독일로 유학해 있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베를린에서 소세키를 찾아와 잠시 동거한 것으로 인해 깊은 자극을 받았다.[141] 그러나 이 시기에 혼자서 연구에 몰두하는 등으로 인해 주변의 일본인들에게서 “나쓰메가 미쳤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문부성에서 귀국 명령을 내린다.[50] 1903년에 결국 일본으로 귀국하게 되었으며, 소세키가 마지막으로 살았던 집의 맞은 편에 1984년에 쓰네마쓰 이쿠오에 의해 런던 소세키 기념관이 설립되었다.[52][53]

런던(ロンドン) 체류 당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마지막 집. 램베스 구#관계자도 참조

2. 4. 아사히 신문사 입사와 문호의 길

1903년 영국 유학에서 귀국한 나쓰메 소세키는 도쿄 제국대학과 메이지 대학 등에서 강사로 일했다.[54] 고이즈미 야쿠모의 후임으로 도쿄제국대학에서 강의를 맡았으나, 학생들의 야쿠모 재임 운동이 일어나는 등 악평에 시달렸다.[56] 이로 인해 신경쇠약을 앓게 되었고, 1904년에는 다카하마 교시의 권유로 처녀작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집필하여 호평을 받았다.[57]

1905년 1월, 《호토토기스》에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게재한 후 속편을 집필하면서 작가의 길을 열망하기 시작했다.[15][16] 이후 〈런던탑〉,[17]도련님》 등을 발표하며 자연주의와 대립되는 여유파로 불렸다.[20][21] 1906년에는 모리타 소헤이등 문하생들과 목요회를 결성했다.[59]

1907년, 도쿄 아사히 신문 주필 이케베 산잔의 초청으로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하여[61] 직업 작가로서의 첫 작품 《우미인초》를 연재하기 시작했다.[18] 1909년에는 남만주 철도 총재 나카무라 요시코토의 초청으로 만주조선을 여행하고, 그 기록을 《아사히 신문》에 〈만한 이곳저곳〉(満韓ところどころ일본어)으로 연재했다.[62]

센다이(Sendagi), 도쿄에 있는 그의 서재에서의 소세키(1906)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도쿄제국대학 총장 하마오 아라타(濱尾新)에게 제출한 사표(1907년)

2. 5. 슈젠지의 큰 병과 만년

1910년 6월, 《산시로》와 《그 후》에 이은 전반기 3부작의 세 번째 작품 《》을 집필하던 중에 위궤양으로 입원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이즈의 슈젠지로 요양을 떠났으나, 그곳에서 병세가 악화되어 많은 양의 피를 토하며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이 사건을 ‘슈젠지의 큰 병’(修善寺の大患일본어)이라고 부른다. 이 때의 경험은 훗날 소세키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칙천거사(則天去私)"라는 말년의 이상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있다.

같은 해 10월, 병세가 안정되어 다시 입원하였으나 이후에도 위궤양 등으로 수차례 고통을 겪는다. 1912년 12월에는 병으로 《행인》의 집필도 중단한다. 이후의 작품은 인간의 이기적인 마음을 따라가면서, 후반기 3부작이라고 불리는 《피안이 지날 때까지》, 《행인》, 《마음》으로 연결되었다.

1915년 3월에 교토에서 요양 중 다섯 번째 위궤양으로 쓰러졌다. 6월부터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집필 당시의 환경을 돌아보는 내용인 《한눈팔기》의 연재를 시작했지만[63] 1916년에는 당뇨병도 앓게 된다. 같은 해 1월 9일에 큰 내출혈을 일으켰으며, 12월 9일 복강내출혈로 《명암》 집필 중 향년 49세로 사망하였다.[64]

마지막 유언은 잠옷의 가슴을 활짝 열고 "여기에 물을 뿌려줘, 죽으면 곤란하니까"라고 외쳤다는 설과, 넷째 딸 아이코가 울자 아내인 거쿄가 주의를 주었을 때 漱石이 "괜찮아, 괜찮아, 이제 울어도 괜찮아"라고 달래준 말이 마지막 말이라는 설[65]이 있다.

소세키가 사망한 다음 날, 시신은 도쿄 제국대학 의학부 해부실에서 나가요 마타로에 의해 해부되었다. 이때 적출된 뇌하고 위는 기증되어, 뇌는 현재도 에탄올에 담긴 상태로 도쿄 대학 의학부에 보관되어 있다. 무게는 1,425그램이었다. 묘는 도쿄도 도시마구 미나미이케부쿠로의 조시가야 묘원(雑司ヶ谷霊園일본어)이다.

나쓰메 소세키의 묘(잡사가야 령원)


1984년부터 2004년까지 발행된 일본은행권D천엔권에 초상이 사용되었다.

3. 1000엔 지폐

나쓰메 소세키가 새겨진 1000엔 지폐


나쓰메 소세키는 원래 1000엔 지폐의 인물이 아니었다. 일본 정부는 맨 처음 쇼토쿠 태자를, 그 다음에는 이토 히로부미를 1000엔 지폐의 인물로 선정해서 인쇄를 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대한민국을 비롯한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대만 등의 주변국들과 심각한 외교 마찰을 빚는 바람에 일본 정부에서는 1984년(쇼와 59년)에 이토 히로부미에서 나쓰메 소세키로 1000엔 지폐의 인물을 바꾸는 것으로 일단락했다.[22] 헤이세이 16년(2004년) 이후로는 노구치 히데요로 초상이 바뀌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졌다.[22]

4. 주요 작품

나쓰메 소세키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나쓰메 소세키 주요 작품 목록
연도일본어 제목한국어 제목비고
1905吾輩は猫であるWagahai wa Neko de aru나는 고양이로소이다소설
倫敦塔Rondon Tō런던탑수필집
薤露行Kairo-kō개로행소설
1906坊っちゃんBotchan방황하는 청춘소설
草枕Kusamakura풀베개 (The Three-Cornered World, Kusamakura)소설
趣味の遺傳Shumi no Iden취미의 유전소설
二百十日Nihyaku-tōka이백십일소설
1907野分Nowaki노분소설
虞美人草Gubijinsō우미인초 (Field Poppy)소설
1908坑夫Kōfu광부소설
夢十夜Yume Jū-ya꿈 열흘밤단편 소설집
三四郎Sanshirō삼사랑소설
1909それからSorekara그리고 아들소설
1910Mon소설
思い出す事などOmoidasu Koto nado회상회고록
永日小品Eijitsu shōhin춘일소품수필집
1912彼岸過迄Higan Sugi Made춘분을 지나서소설
行人Kōjin나그네소설
1914こころKokoro마음소설
私の個人主義Watakushi no Kojin Shugi나의 개인주의수필집
1915道草Michikusa길가의 풀소설
硝子戸の中Garasu Do no Uchi유리창 안에서수필집
1916明暗Meian명암 (Light and Dark)미완성 소설



이 작품의 저작권은 이미 소멸되어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다.

4. 1. 소설

나쓰메 소세키는 소설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1905년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시작으로, 1906년에는 《도련님》, 《풀베개》, 《이백십일》을 발표했다. 1907년에는 《태풍》, 《우미인초》를 발표했으며, 1908년에는 《산시로》와 《갱부》를 발표했다.

1909년에는 《그 후》, 1910년에는 《》을 발표했다. 1912년에는 《피안이 지날 때까지》, 《행인》을 발표했으며, 1914년에는 《마음》, 1915년에는 《한눈팔기》를 발표했다. 그의 마지막 작품은 1916년에 발표된 미완성 소설 《명암》이다.

나쓰메 소세키 주요 작품 목록
연도일본어 제목한국어 제목
1905吾輩は猫である나는 고양이로소이다
1906坊っちゃん도련님
1906草枕풀베개
1906二百十日이백십일
1907野分태풍
1907虞美人草우미인초
1908坑夫갱부
1908三四郎산시로
1909それから그 후
1910
1912彼岸過迄피안이 지날 때까지
1912行人행인
1914こころ마음
1915道草한눈팔기
1916明暗명암


4. 2. 단편 소설·소품

1905년에 발표된 《런던탑》(倫敦塔일본어)은 나쓰메 소세키의 초기 단편 소설 중 하나이다. 《환영의 방패》(幻影の盾일본어), 《琴のそら音일본어》, 《하룻밤》(一夜일본어), 《해로행》(薤露行일본어) 등도 같은 해에 발표되었다. 1906년에는 《취미의 유전》(趣味の遺伝일본어)이 발표되었다. 1908년에는 《문조》(文鳥일본어)와 《몽십야》(夢十夜일본어)가, 1909년에는 《긴 봄날의 소품》(永日小品일본어)이 발표되었다.

4. 3. 평론·강연 등

나쓰메 소세키는 평론, 수필, 강연, 기행문, 시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평론

  • 《문학론》(文学論일본어, 1907년)
  • 《문학평론》(文学評論일본어, 1909년)

수필

  • 생각나는 것들 〈思ひ出すことなど일본어〉(1910년)
  • 〈유리문 안에서〉(硝子戸の中일본어, 1915년)

강연

  • 〈현대 일본의 개화〉(現代日本の開化일본어, 1911년)
  • 〈나의 개인주의〉(私の個人主義일본어, 1914년)

기행

  • 〈カーライル博物館일본어〉(1905년)
  • 〈만한 이곳저곳〉(満韓ところどころ일본어, 1909년)

시집 등

  • 《소세키 하이쿠집》(漱石俳句集일본어, 1917년)
  • 《소세키 시집 인보부》(漱石詩集 印譜附일본어, 1919년)

신체시

  • 〈종군행〉(従軍行일본어, 1904년)


1909년에 발표된 〈만한 이곳저곳〉은 나쓰메 소세키가 만주와 조선을 여행하며 기록한 기행문이다.

5. 한국어 번역본

행인(유숙자 역, 문학과지성사, 2001), 유리문 안에서(김정숙 역, 민음사, 2000), 소가 되어 인간을 밀어라(미요시 유키오 편, 이종수 역, 미다스북스, 2004), 명암(김정훈 역, 범우사, 2005), 마음, 그 후(서석연 역, 범우사, 1990), 나쓰메 소세키 단편선집(김정숙 역, 삼신각, 1996) 등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이 외의 개별 작품에 대한 판본 정보는 해당 작품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졌다.[22]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소세키의 장편 작품 전집이 출판되기 시작했다.[22]

6. 사상

6. 1. 아시아관

1909년(메이지 42년) 10월 18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에 게재된 수필 『만한의 문명』에서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인의 진취적인 기질과 경영자의 기개를 칭찬하며, 중국인이나 조선인과 비교하며 일본인으로 태어난 것에 대한 감사함을 나타냈다.[97]

8일 후인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하얼빈역에서 암살당한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 이후, 11월 6일자 『만주 일일 신문』에 게재된 수필 『한만소감(하)』에서 소세키는 일본인이 만주와 조선에서 문명 사업의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것을 보고, 일본인으로 태어난 것에 대한 자각과 함께 중국인이나 조선인으로 태어나지 않은 것에 대한 안도감을 표현했다.[98][99]

비교문학자 히라카와 유키히로는 소세키가 일본의 식민지화 사업을 긍정하고 재외 국민의 활동을 축하하며, 한일 병합에 의문을 제기한 다른 인물들과 달리 일본 제국 일원으로서의 발전을 축하했다고 평가했다.[100][101]

6. 2.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에 대한 반응

1909년(메이지 42년) 11월 5일자 『만주일일신문』에 게재된 漱石의 수필 『한만소감(상)』에서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을 언급하며, “어제 밤 오랜만에 잠깐 시간을 내어 만주일일신문에 소식을 써볼까 생각하고 붓을 들었는데, 이토 공이 하얼빈에서 저격당했다는 호외가 왔다. 하얼빈은 내가 얼마 전에 구경 간 곳이고, 공이 저격당했다는 플랫폼은, 실제로 한 달 전에 내 신발 밑창이 닿았던 곳이기 때문에, 드문 흉변이라는 사실 외에도, 장소와의 연상에서 오는 강한 자극을 받았다.”[99]라고 적었다. “나 같은 정치의 문외한은 (중략) 보도할 자격이 없으므로 매우 평범한 편지에만 그쳐두겠다”[99]라고 쓰고 있어,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에 대한 감상을 적고 있다.

7. 명언

나쓰메 소세키가 영어 교사 시절 "I love you"를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번역한 학생에게 "달이 아름답네요"라고 번역하도록 가르쳤다는 일화가 있다. 그러나 소세키의 저작이나 기록에는 그러한 이야기가 남아 있지 않으며, 소세키나 그 관계자로부터 그것을 들었다는 문헌이나 기록도 존재하지 않는다.[130]

다만, 소세키가 조지 메러디스의 《비토리아》를 인용하여 "'I love you'는 일본에 없는 formula이다"라고 메모한 것은 남아 있다. 도쿄 제국대학에서 소세키와 동료였던 우에다 빈이나, 소세키에게 사사한 구리야가와 하쿠손 등도 마찬가지로 "I love you는 일본어로 번역할 수 없다"는 것을 언급했다.[131][132]

이를 바탕으로 서양인이 "I love you"라고 말하는 장면에서는 일본인은 "좋은 달이네요"라고 말하는 것이라는 언설이 1920년대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133][134] 1970년대 이후에는 그것이 '나쓰메 소세키의 일화'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135][136][137]

참조

[1] 서적 Natsume soseki. https://www.worldcat[...] Shimizu쇼인
[2] 서적 Zukai sengokushi = The sengoku history https://www.worldcat[...] Seitōsha
[3] 서적 Two Japanese Novelists: Sōseki & Tōson Tuttle Publishing
[4] 서적 신서로 입문 漱석과 鷗외 (A pocket paperback == introduction: Natsume and Ōgai) Shinchosha
[5] 간행물
[6] 학술지 Natsume Sōseki's English Translation of Hōjōki :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Japanese Studies
[7] 서적 夏目漱石 https://books.google[...] 保育社 1970
[8] 웹사이트 Soseki's Life {{!}} Tohoku University Library http://www.library.t[...] 2017-11-03
[9] 간행물
[10] 간행물
[11] 서적 I Am A Cat Tuttle Publishing
[12] 간행물 Theory of Literature 1907-05
[13] 서적 Spring miscellany and London essays Tuttle
[14] 간행물
[15] 서적 The Columbia Companion to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Soseki's Cat: A Quantum Leap for Japanese Literature https://www.redcircl[...] 2021-09-10
[17] 학술지 'Braving the London fog': Natsume Sōseki's ''The Tower of London'' http://iafor.org/arc[...] 2013-03
[18] 서적 Natsume Sōseki Garland
[19] 서적 Reflections in a Glass Door: Memory and Melancholy in the Personal Writings of Natsume Sosek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 웹사이트 Ryunosuke Akutagawa: Writing in the Shadow of Japan's Literary Giants https://www.japantim[...] 2017-08-19
[21] 웹사이트 Kume Masao 2018
[22] 뉴스 Meiji-Taisho Era novelist Natsume becoming trendy across the world 100 years later https://web.archive.[...] 2014-04-20
[23] 웹사이트 「夏目漱石」の真実をどれだけ知っていますか https://toyokeizai.n[...] 2017-10-02
[24] 웹사이트 Let's Discuss the Soseki Robot https://www.japantim[...] 2016-12-09
[25] 웹사이트 Asahi Beer Oyamazaki Villa Museum of Art https://www.asahibee[...]
[26] 웹사이트 Soseki, Kyoto and the Oyamazaki Villa https://www.asahibee[...] 2017-03
[27] 웹사이트 Commemorating the 150th Anniversary of the Novelist's Birth https://www.japantim[...] 2017-03-14
[28] 웹사이트 Museum Chronicling Novelist Natsume Soseki's Life in U.K. Begins New Chapter https://www.japantim[...] 2019-07-08
[29] 웹사이트 Soseki Museum https://www.culture2[...] 2017
[30] 웹사이트 Dai Gyakuten Saiban/Great Ace Attorney scans from Weekly Famitsu 07/02 https://web.archive.[...]
[31] 서적 문호 스트레이독스 (Bungou Stray Dogs) Volume 12 Kadokawa Shoten
[32] 간행물 夏目漱石 人と作品3
[33] 간행물 夏目漱石 人と作品3
[34] 기타
[35] 서적 二松學舎百年史
[36] ウィキペディア
[37] ウィキペディア
[38] 웹사이트 漱石の生涯-学生時代 https://www.library.[...]
[39] 논문 19世紀末から20世紀初頭の英米における『方丈記』の受容 http://doi.org/10.24[...]
[40] 웹사이트 夏目漱石は兵役逃れのため北海道に転籍したと聞いたが、そのことについて書かれた本はあるか。 https://crd.ndl.go.j[...]
[41] 웹사이트 墨汁一滴 五月三十日の項 https://www.aozora.g[...]
[42] 논문 教師夏目金之助の研究(四) https://researchmap.[...] 2000
[43] 웹사이트 私の個人主義 https://www.aozora.g[...] 1914
[44] 논문 教師夏目金之助の研究(四) https://researchmap.[...] 2000
[45] 논문 夏目漱石の参禅 http://repo.komazawa[...] 2019-10
[46] 서적 日本近代文学入門-12人の文豪と名作の真実 中央公論新社 2019-08-20
[47] 서적 熊本県大百科事典 熊本日日新聞社 1982
[48] 웹사이트 夏目漱石と遠山参良 http://www.kyugaku.e[...] 2018-09-12
[49] 간행물 ◯學事 ◯留學生出發 {{NDLDC|2947190/3}} 1899-09-11
[50] 웹사이트 赤いレンガ http://www.tsuboi-cl[...] 1982-10
[51] 서적 精神科医三代 中公新書 1971
[52] 뉴스 「ロンドン漱石記念館」が9月で閉館 EU離脱の影響で前倒し https://web.archive.[...] 산케이 신문
[53] 뉴스 漱石記念館、ロンドンで再開 天皇陛下の記帳など公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5-09
[54] 간행물 ◯學事 ◯留學生歸朝 {{NDLDC|2949174/2}} 1903-01-28
[55] 웹사이트 夏目漱石旧居跡(猫の家) https://b-kanko.jp/s[...] 2024-11-23
[56] ウィキペディア
[57] ウィ키페디아
[58] 서적 草枕 新潮社 1950-11-25
[59] 웹사이트 夏目漱石(なつめ そうせき) https://www.city.bun[...] 2024-11-23
[60] 웹사이트 《通常展》テーマ展示 ああ漱石山房 のみどころ(前編) https://www.city.bun[...] 2024-11-23
[61] 웹사이트 漱石山房:新宿区 https://www.city.shi[...] 2020-11-23
[62] 논문 夏目漱石「行人」論ノート
[63] 서적 明治・大正家庭史年表:1868-1925 河出書房新社
[64] 논문 夏目漱石の持病 https://www.jstage.j[...]
[65] 서적 父・漱石とその周辺
[66] 소설 道草
[67] 웹사이트 在籍地の碑 http://www.town.iwan[...]
[68] 서적 夏目漱石 人と作品
[69] 신문 博士称号を返上 {{NDLDC|1920445/213}[...] 1911-02-24
[70]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6-09-11
[7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9-10-11
[72] 방송 アナザースカイ 2009-07-03
[73] 웹사이트 喜久井町#地名の由来
[74] 웹사이트 有限会社サイア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cyan.a.la9.jp[...]
[75] 웹사이트 Visa TVコマーシャル https://web.archive.[...]
[76] 블로그 夏目房之介の「で」 http://blogs.itmedia[...] 2008-11-18
[77] 서적 少女目にみゆ 新評論
[78] 뉴스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02-12-07
[79] 서적 家族写真の歴史民俗学 ミネルヴァ書房 2004
[80] 서적 日本人名大辞典 https://kotobank.jp/[...]
[81] 웹사이트
[82] 서적 父・夏目漱石 文藝春秋社
[83] 서적 世界の一環としての日本 白揚社 1937
[84] 논문 漱石山脈 新潮 1946-05
[85] 서적 漱石と十弟子 芸艸堂 1974
[86] 웹사이트 修善寺へ急行せよ!夏目漱石、療養先の旅館で倒れる。【日めくり漱石/8月18日】 https://serai.jp/hob[...] 2016-08-17
[87] 서적 Soseki nikki. https://www.worldcat[...] Iwanami Shoten 2007-12
[88] 웹사이트 夏目漱石、帰郷する命の恩人のために盛大な送別会を催す【日めくり漱石/4月12日】 https://serai.jp/hob[...] 2016-04-11
[89] 서적 思い出るまま(九)師弟と朋党 八木書店 2001
[90] 서적 夏目先生のこと 角川書店 1962
[91] 서적 漱石山脈 現代日本の礎を築いた「師弟愛」 朝日新聞出版 2018
[92] 논문 白樺派研究 漱石への接近 高知大学 1969-03
[93] 논문 野上彌生子の 先生 漱石という体験 愛知教育大学 2005
[94] 서적 日本の文学 夏目漱石(三) 中央公論社 1966-09
[95] 서적 武者小路実篤全集 新潮社 1955
[96] 서적 漱石山脈 現代日本の礎を築いた「師弟愛」 朝日新聞出版 2018
[97] 서적 1993
[98] 뉴스 漱石の全集未収録随筆を発掘 作家の黒川創さんが小説に 1/2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3-01-07
[99] 뉴스 夏目漱石「韓満所感」(抜粋)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3-01-07
[100] 뉴스 日本人に生まれて、まあよかった 比較文化史家、東京大学名誉教授・平川祐弘 1/4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3-04-03
[101] 뉴스 日本人に生まれて、まあよかった 比較文化史家、東京大学名誉教授・平川祐弘 2/4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3-04-03
[102] 서적 漱石、ジャムを舐める 新潮文庫
[103]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104] 서적 漱石の精神界 金剛出版 1981-01
[105] 서적 天才 岩波新書
[106] 웹사이트 森鷗外・夏目漱石住宅 https://www.meijimur[...] 2020-01-01
[107] 웹사이트 山下浩 https://www.hiroshiy[...]
[108]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角川文庫
[109] 서적 行人 角川文庫
[110] 서적 坑夫 角川文庫
[111] 기타
[112] 기타
[113] 서적 漱石詩注 岩波新書 1967
[114] 서적 十字屋書店 1966
[115] 서적 岩波書店
[116] 기타 2009-11
[117] 서적 新訳 漱石詩集 柏書房 1994
[118] 서적 漱石の漢詩 文藝春秋 2016
[119] 뉴스 読売新聞 読売新聞 2016-01-26
[120] 웹사이트 漱石の肉筆を後世へ!漱石文庫デジタルアーカイブプロジェクト https://readyfor.jp/[...] 2019-11-05
[121] 서적 「草枕」変奏曲―夏目漱石とグレン・グールド
[122] 서적 世界文学のスーパースター夏目漱石 講談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07
[123] 서적 差別用語を見直す
[124] 서적 差別用語を見直す
[125] 서적 硝子戸の中
[126] 학술지 漱石山房座談 1914-04
[127] 서적 永井荷風と部落問題 リベルタ出版 2012
[128] 서적
[129] 서적 正岡子規へ送りたる句稿 その八 十二月四日夜 1935
[130] 서적 140字の文豪たち 秀明大学出版会 2020
[131] 서적 予の観たる欧米各国 明治学会 1908
[132] 서적 近代の恋愛観 改造社 1922
[133] 서적 東方へ 帝人社 1927
[134] 서적 沙漠の国 岩波書店 1935
[135] 서적 珈琲店のシェイクスピア 晶文社 1978
[136] 서적 あなたもSF作家になれるわけではない 徳間書店 1979
[137] 웹사이트 「月が綺麗ですね・死んでもいいわ」検証 https://niguruta.web[...]
[138] 웹사이트 「20世紀デザイン切手」シリーズの発行 https://www.post.jap[...] 日本郵便(旧郵政省) 2024-05-08
[139] 웹사이트 ふるさと切手「近代俳句のふるさと 松山」の発行 https://www.post.jap[...] 日本郵便(旧郵便事業株式会社) 2024-05-08
[140] 웹인용 소세키 연구자인 동의대 일어일문학과 권혁건 교수의 홈페이지에서 자료실의 "나쓰메 소세키 생애" http://www.soseki.co[...] 2008-08-05
[141] 서적 소세키가 본 물리학 : 목조르기 역학에서 상대성 이론까지 주코 신서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