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 동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우 동형은 바둑에서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는 모양을 의미하며, 흑백 어느 한쪽이 중앙에 착수하는 위치에 따라 사활이 결정된다. 급소를 먼저 차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일수, 양자충, 빅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호리병은 세 개의 돌을 포위하여 중앙의 급소를 찔러 잡는 형태로, 연결과 끊음의 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며, 사활뿐만 아니라 행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좌우 동형 | |
---|---|
대칭성 | |
종류 | |
종류 | 반사 대칭 회전 대칭 병진 대칭 글라이드 반사 대칭 |
2. 좌우 동형과 사활
바둑에서 돌의 모양이 좌우로 대칭을 이루는 좌우 동형 형태는 돌의 삶과 죽음, 즉 사활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대칭의 중심이 되는 지점이 급소인 경우가 많으며, 이 급소를 누가 먼저 차지하느냐에 따라 해당 돌 그룹의 생사가 결정되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좌우 동형 모양에서는 특정 지점이 흑에게는 삶으로 이어지는 급소이지만, 백에게 먼저 그 자리를 빼앗기면 흑돌 전체가 잡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백이 특정 급소 자리에 먼저 돌을 놓음으로써 양자충이나 촉촉수와 같은 수상전 기술을 활용하거나, 혹은 빅을 만들어 살아가는 형태도 나타난다. 때로는 한쪽이 가일수하여 완생할 수 있는 형태에서 욕심을 부려 다른 곳에 두었다가 귀곡사와 같은 형태로 잡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처럼 좌우 동형 형태는 다양한 사활 문제와 직결되므로, 정확한 수읽기를 통해 형태의 급소를 파악하고 올바르게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1. 좌우 동형의 기본 원리
좌우로 돌의 모양이 같은 형태에서는 대칭의 중심이 되는 지점이 급소인 경우가 많다. 이 급소를 누가 먼저 차지하느냐에 따라 유리함과 불리함이 갈리며, 때로는 돌의 사활이 결정되기도 한다.예를 들어, 특정 좌우 동형 모양에서 흑에게 급소가 되는 자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흑이 이 자리에 먼저 돌을 놓으면 살 수 있지만, 반대로 백에게 급소를 빼앗기면 흑돌 전체가 잡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백이 먼저 두면 흑돌을 잡을 수 있지만, 흑이 먼저 특정 지점(대칭의 중심)에 가일수를 하면 백이 양쪽으로 젖혀 궁도를 좁혀오더라도 두 집을 내어 완생하는 모양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흑이 완생하는 대신 한 집이라도 더 이득을 보려고 무리하게 다른 곳에 두면, 백의 반격으로 인해 귀곡사 형태가 되어 오히려 흑돌 전체가 잡히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좌우 동형의 예시에서는, 백이 중앙의 급소에 먼저 두면 양자충이나 촉촉수와 같은 수상전 기술을 활용하여 살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흑이 양쪽 어디를 두어 백의 안형을 없애려고 해도, 백은 다른 쪽에서 안형을 확보하여 결국 살아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어떤 좌우 동형 모양에서는 중앙 급소를 백이 먼저 차지하면 빅이 되어 흑과 백이 모두 살게 되지만, 만약 흑이 이 급소를 먼저 차지하면 백돌 전체가 잡히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좌우 동형 모양에서의 급소는 흑백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자리를 둘러싼 치열한 수읽기는 바둑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2. 좌우 동형의 실전 예제
좌우 동형 형태에서는 대칭의 중심이 되는 곳이 급소가 되는 경우가 많다. 첫 번째 예시 그림처럼 흑의 급소는 a로 표시된 점으로, 흑이 먼저 돌을 놓으면 살고 백이 먼저 돌을 놓으면 잡히는 자리가 된다.두 번째 예시 역시 백이 먼저 두면 흑이 잡히지만, 흑이 먼저 두면 살 수 있는 모양이다. 만약 흑이 대칭의 중앙이 되는 부분에 먼저 가일수하면, 백이 양쪽으로 젖혀 궁도를 좁히려 해도 흑은 떨어진 두 집을 내고 완생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흑이 한 집이라도 더 내려고 무리하게 욕심을 부리면, 백에게 반격당해 귀곡사 형태가 되어 오히려 잡히게 된다.
다음 예시는 백이 중앙의 a 지점에 두면 살 수 있는 좌우 동형 모양이다. 백이 a에 두면 흑은 양자충 때문에 백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다. 흑이 양쪽의 다른 급소(a 또는 b)를 두더라도 백은 남은 급소(b 또는 a)에 두어 촉촉수 형태 등으로 집을 확보하여 살게 된다.
마지막 예시 역시 백에게 중앙인 a 지점이 급소인 모양이다. 흑이 먼저 a에 두면 백 전체가 잡히지만, 백이 먼저 a에 두면 빅이 되어 흑과 백이 모두 살게 된다.
2. 2. 1. 흑선흑활 예제
이 모양의 아래쪽은 전형적인 빗형 6궁 형태이며, 특히 옆의 공배가 모두 메워져 있다. 이 모양 역시 좌우 동형으로 삶과 죽음이 갈리는 좋은 예시다. 자세히 보면 좌우 동형의 중심이 되는 점(바둑판의 'c' 표시 지점)이 위아래 두 곳에 있으므로, 흑은 어느 곳에 두어야 백이 다른 한 곳에 치중하더라도 살 수 있는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제1도의1 (완생) | 제1도의2 (실패) |
---|---|
흑이 이 그림처럼 흑1로 두면, 백이 2로 집요하게 잡으러 오더라도 흑3, 흑5로 응수하여 살 수 있다. 흑 5를 두었을 때, 백이 A 자리에 두어 흑 석 점을 따내면 흑은 B 자리에 두어 두 집을 확보한다. 반대로 백이 B 자리에 두어 위쪽 집을 방해하면, 흑이 A 자리에 두어 백 4를 따내고 두 집을 만들 수 있으므로 흑이 살게 된다. | 언뜻 보면 흑 1로 두어도 살 수 있을 것 같지만, 백 2로 중앙 급소를 두는 수가 남아있다. 백 2로 두면 양쪽 모두 자충이 되어 흑 전체가 잡히게 된다. 흑이 3으로 위쪽에 한 집을 확보하더라도 아래쪽에서는 집을 만들 수 없다. |
바둑에서 세 개의 돌이 한 줄로 늘어선 모양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이 형태가 만들어지면 한쪽이 유리한 국면으로 이어지기 쉽다.
3. 호리병
3. 1. 호리병의 기본 원리
호리병은 줄지어서 이어진 3점의 돌을 포위해 놓고 중앙의 급소로 찔러서 잡는 형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