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급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소는 인체의 특정 부위를 일컫는 용어로, 비교적 약한 압력에도 심한 고통이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남인도의 바르마 칼라이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 무술에도 존재한다. 급소에 대한 이야기는 무협 소설에 등장했고, 서양에서는 "점혈" 또는 "죽음의 손길"로 알려지기도 했다. 급소는 머리, 몸통, 다리 등 신체 여러 부위에 존재하며, 각 부위별로 고유한 특징과 위험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예 기술 - 발차기
    발차기는 인간의 공격성을 나타내는 행위로, 다리의 길이와 힘을 이용하여 거리를 유지하고, 기습하며, 피해를 입히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기본 및 고급 기술과 특수 기술로 분류된다.
  • 무예 기술 - 필살기
    필살기는 대중문화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상대를 제압하는 강력한 기술을 의미하며, 작품의 흥미와 캐릭터의 개성을 부각하고 희망, 역경 극복, 승리 등의 긍정적인 가치를 내포한다.
  • 격투기 용어 - 그라운드 앤 파운드
    그라운드 앤 파운드는 종합격투기에서 상대를 넘어뜨려 상위 포지션에서 주먹이나 팔꿈치 등으로 가격하는 기술 및 전략으로, 현대에는 초크나 관절기 시도, 포지션 확보 등 복합적인 기술 활용이 나타나며 다양한 격투기 스타일의 선수들이 특기를 살려 구사한다.
  • 격투기 용어 - 녹아웃
    녹아웃(KO)은 격투 스포츠에서 가격으로 인해 선수가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거나 경기 속행이 불가능한 상태를 뜻하며, 심판의 카운트 안에 일어서지 못하면 녹아웃으로 판정되고, 선수 보호를 위한 안전 규정이 중요시된다.
급소
일반 정보
정의신체의 특정 부위로, 자극에 민감하거나 손상되기 쉬운 곳
관련 의학전통 한의학, 아유르베다
기타 명칭급소 (急所)
혈위 (穴位, 중국어: xuéwèi)
묨못 (Marmam, 산스크리트어)
닐라/마르마 스타나 (싱할라어: Nila/Marma Sthana, 앙감포라에서 사용)
마르마 스타남 (텔루구어: Marma Sthanam)
마르맘 (말라얄람어: marmam)
바르맘 (타밀어: varmam)
관련 무술큐쇼 (일본어: kyūsho, 급소(急所))
앙감포라
바르마 칼라이

2. 역사

해병대 무술 교관의 근육 관통 기술 시연


압점(급소)에 대한 초기 개념은 남인도의 바르마 칼라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시다 의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3][2] 고류 일본 무술에도 압점 개념이 존재한다. 1942년 ''신 부도 잡지'' 기사에서 히사 타쿠마는 신라 사부로 미나모토노 요시미츠(1045–1127)에게 압점 공격의 최초 개발을 돌리는 전통이 있다고 주장했다.[4]

핸콕과 히가시 (1905)는 일본 무술의 여러 급소를 지적하는 책을 출판했다.[5]

이후 압점 격투는 중국 무협 소설에 등장했으며, 1960년대 서양 대중문화에서는 점혈 또는 "죽음의 손길"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비교적 약한 압력에도 상당한 고통이나 심각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인체의 민감한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급소''가 죽음의 개념과 연관되는 것은 격렬한 비판을 받아왔다.[6]

2. 1. 동양 무술의 기원



압점(급소)에 대한 초기 개념은 남인도의 바르마 칼라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시다에 기반을 두고 있다.[3][2] 고류 일본 무술에도 압점 개념이 존재한다. 1942년 ''신 부도 잡지'' 기사에서 히사 타쿠마는 신라 사부로 미나모토노 요시미츠(1045–1127)에게 압점 공격의 최초 개발을 돌리는 전통이 있다고 주장했다.[4]

핸콕과 히가시 (1905)는 일본 무술의 여러 급소를 지적하는 책을 출판했다.[5]

압점 격투에 대한 이야기는 중국 무협 소설에 등장했으며, 1960년대 서양 대중문화에서는 점혈 또는 "죽음의 손길"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비교적 약한 압력에도 상당한 고통이나 심각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인체의 민감한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급소''가 죽음의 개념과 연관되는 것은 격렬한 비판을 받아왔다.[6]

2. 2. 근대 서양의 인식



압점(급소)에 대한 초기 개념은 남인도의 바르마 칼라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시다 의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3][2] 압점 개념은 고류 일본 무술에도 존재한다. 1942년 ''신 무도 잡지'' 기사에서 히사 타쿠마는 신라 사부로 미나모토노 요시미츠 (1045–1127)가 압점 공격을 최초로 개발했다는 전통이 있다고 주장했다.[4]

핸콕과 히가시 (1905)는 일본 무술의 여러 급소를 지적하는 책을 출판했다.[5]

압점 격투에 대한 이야기는 중국 무협 소설에 등장했으며, 1960년대 서양 대중문화에서는 점혈 또는 "죽음의 손길"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비교적 약한 압력에도 상당한 고통이나 심각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인체의 민감한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급소''가 죽음의 개념과 연관되는 것은 격렬한 비판을 받아왔다.[6]

3. 대표적인 급소

사람의 신체 중 외부의 충격에 약한 부분을 '급소'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급소는 다음과 같다.

부위설명
얼굴출혈이 쉽게 일어나며, 공격받으면 심리적으로 큰 타격을 받는다. 특히 코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호흡이 어려워진다.
관자놀이강하게 맞으면 평형 감각을 잃고 의식 불명이 될 수 있다.
이마강타당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베이면 많은 양의 피가 흘러나와 눈에 들어가면 시야를 잃을 수도 있다.
작은 상처에도 통증이 심하며, 베이면 실명할 수 있다. 깊게 찔리면 뇌까지 손상이 전달되어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격투기에서는 "서밍"이라는 반칙 기술로 간주된다.
유양돌기귀 뒤의 튀어나온 뼈로, 찔리면 운동 기능이 마비된다.
앞부분을 강타당하면 뇌진탕을 일으킨다. 측면을 강타당하면 뇌가 흔들려 내출혈, 혈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베이면 대량 출혈이 발생한다. 후두융기 부분을 맞으면 호흡 곤란에 빠진다. 조이면 호흡이 곤란해지고 의식 불명이나 사망으로 이어진다.
경추강한 충격을 받으면 경수 손상으로 인해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복싱에서는 후두부를 포함하여 "래빗 펀치"라는 반칙으로 간주된다.
승모근승모근의 혈관이 대동맥과 연결되어 있어 찔릴 경우 심장 압전을 일으켜 사망한다.
심장흉골로 보호받고 있지만, 그 사이로 찔리면 즉사한다.
갈비뼈 (폐)갈비뼈가 부러지면 폐를 찌를 위험이 있다.
맞으면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찔리면 대량 출혈을 일으킨다. 복싱의 펀칭에서는 "레버 블로"라고 불리며, 효과적인 타격 부위로 여겨진다.
신장맞으면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찔리면 대량 출혈을 일으킨다. 복싱에서는 등 부위 공격은 반칙이지만, 특히 큰 손상을 주기 때문에 "키드니 블로"라고 불린다.
명치손상을 입으면 횡격막의 움직임이 순간적으로 멈춰 호흡 곤란에 빠진다. 복싱 펀칭에서는 "스토맥 블로"라고 불리며, 효과적인 타격 부위로 여겨진다.
방광신경 다발이 있어, 약간만 찔려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사타구니, 생식기 근처. 남녀에 따라 기관이 다르며 각각 손상이 있다.
어깨강타당하면 팔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겨드랑이신경이 집중되어 있어 손상이 크다. 압박에 의한 지혈이 불가능하므로 실혈사하기 쉬운 부위가 된다.
상완골 간극찔리면 신경이 끊어져 팔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손목동맥이 지나가 썰리면 대량 출혈을 한다. 이 부분을 스스로 썰는 것을 "자해"라고 부른다.
팔꿈치 뒤쪽 (상완삼두근)썰리면 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무릎반월판이나 전방십자인대 등 손상되기 쉬운 부위가 많아 큰 손상을 입으면 일어서거나 걸을 수 없게 된다.
허벅지발로 차이면 잠시 동안 일어설 수 없게 된다. 뼈 근처를 대퇴동맥이 지나가며, 열상이나 총상으로 인해 대출혈을 일으킨다.
정강이피하 지방이 얇기 때문에 뼈에 충격을 받기 쉬워 심한 통증이 흐른다. 무사시보 벤케이와 같은 호걸도 약점이 될 정도로 아파 벤케이의 울음소리라고도 불린다.
아킬레스건끊어지면 보행이 곤란해진다. 아킬레스건이라는 말은 그대로 약점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3. 1. 두부 (頭部)

얼굴은 출혈이 일어나기 쉽고 공격받았을 때 심리적인 데미지도 크다. 또한 코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호흡이 어려워진다.

관자놀이를 강타당하면 평형 감각을 잃고 의식 불명이 된다.

이마를 강타당하면 장애가 발생한다. 베이면 대량 출혈이 일어나고, 눈에 피가 들어가 시야를 잃을 수도 있다.

은 작은 상처에도 통증이 심하며, 베이면 실명한다. 깊게 찔리면 까지 데미지가 전달되어 죽음에 이를 위험도 있다. 많은 격투기에서 "서밍"이라고 불리는 반칙 기술이다.

유양돌기는 귀 뒤의 융기된 뼈이다. 찔리면 운동 기능이 마비된다.

의 앞부분을 강타당하면 뇌진탕을 일으킨다. 측면을 강타당하면 뇌가 흔들려 내출혈, 혈전 등을 일으킨다.

을 베이면 대량 출혈이 발생한다. 후두융기 부분을 맞으면 호흡 곤란에 빠진다. 조이면 호흡이 곤란해지고 의식 불명이나 사망으로 이어진다.

경추에 강한 충격을 주면 경수 손상으로 인해 마비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복싱에서는 후두부를 포함하여 "래빗 펀치"라는 반칙이 된다.

3. 2. 동체 (胴體)


  • 승모근: 승모근의 혈관이 대동맥과 연결되어 있어 찔릴 경우 심장 압전을 일으켜 사망한다.
  • 심장: 흉골로 보호받고 있지만, 그 사이로 찔리면 즉사한다.
  • 갈비뼈 (폐): 갈비뼈가 부러지면 폐를 찌를 위험이 있다.
  • : 맞으면 격통을 유발한다. 찔리면 대량 출혈을 한다. 복싱의 펀칭에서는 "레버 블로"라고 불리며, 효과적인 타격 부위로 여겨진다.
  • 신장: 맞으면 격통을 유발한다. 찔리면 대량 출혈을 한다. 복싱에서는 등 부위 공격은 반칙이지만, 특히 데미지가 크기 때문에 "키드니 블로"라고 불린다.
  • 명치: 데미지를 받으면 횡격막의 움직임이 순간 멈추어 호흡 곤란에 빠진다. 복싱 펀칭에서는 "스토맥 블로"라고 불리며, 효과적인 타격 부위로 여겨진다.
  • 방광: 신경 다발이 있어, 약간만 찔려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 샅: 사타구니, 생식기 근처. 남녀에 따라 기관이 다르며 각각 데미지가 있다.
  • 남성의 고환은 내분비 기관이며 격통을 동반한다.
  • 여성의 외음부음핵 등 신경이 집중되어 치골에 가까우므로 격통이며, 위의 방광에도 가까워 급소가 된다.
  • 어깨: 강타당하면 팔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 겨드랑이: 신경이 집중되어 있어 데미지가 크다. 압박에 의한 지혈이 불가능하므로 실혈사하기 쉬운 부위가 된다.
  • 상완골 간극: 찔리면 신경이 끊어져 팔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 손목: 동맥이 지나가 썰리면 대량 출혈을 한다. 이 부분을 스스로 썰는 것을 "자해"라고 부른다.
  • 팔꿈치 뒤쪽 (상완삼두근): 썰리면 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3. 3. 다리 (脚部)



반월판이나 전방십자인대 등 손상되기 쉬운 부위가 많아 큰 데미지를 입으면 일어서거나 걸을 수 없게 된다.

  • '''허벅지'''


발로 차이면 잠시 동안 일어설 수 없게 된다. 뼈 근처를 대퇴동맥이 지나가며, 열상이나 총상으로 인해 대출혈을 일으킨다.

  • '''정강이'''


피하 지방이 얇기 때문에 뼈에 충격을 받기 쉬워 격통이 흐른다. 무사시보 벤케이와 같은 호걸도 약점이 될 정도로 아파 '벤케이의 울음소리'라고도 불린다.

끊어지면 보행이 곤란해진다. 아킬레스건이라는 말은 그대로 약점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The Original Modern Reader's Japanese-English Character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04
[2] 웹사이트 To Heal and/or To Harm: The Vital Spots (''Marmmam''/''Varmam'') in Two South Indian Martial Traditions http://spa.exeter.ac[...] Department of Drama at the University of Exeter 2016-03-01
[3] 웹사이트 Thirumoolar Varmalogy Institute - Articles - History of Varmakalai http://www.varmam.or[...] 2016-03-01
[4] 간행물 Daito-Ryu Aiki Budo http://www.aikidojou[...] 1990
[5] 서적 The Complete Kano Jiu-Jitsu (Judo) G. P. Putnam's Sons
[6] 웹인용 The Final Days of Traditional Beliefs? - Part One http://www.chineseme[...] 2006-08
[7] 서적 The Original Modern Reader's Japanese-English Character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04
[8] 웹인용 Untitled Document http://spa.exeter.ac[...] 2016-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