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 여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여왕은 주나라의 군주로, 탐욕스럽고 잔인한 폭정을 펼쳐 국인폭동을 일으켰다. 간신을 등용하고 현신의 간언을 물리치며 백성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기원전 841년에 호경을 탈출하여 체로 피신했다. 이후 주 정공과 소 목공이 조정을 다스리는 공화제가 시행되었으며, 기원전 828년 사망 후 아들인 주 선왕이 즉위했다. 주 여왕은 타락하고 부패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주나라 쇠퇴의 원인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선왕
    주 선왕은 서주 시대의 왕으로, 주 정공과 소 목공의 보좌를 받아 국세를 중흥시키고 동생 우를 정나라 군주로 봉했으며, 사주편을 저술하여 전서를 완성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주 효왕
    주 효왕은 주 목왕의 아들이자 의왕의 숙부로, 의왕 사후 주 왕위에 즉위하여 서견구의 비자에게 말 관리를 맡기고 진의 땅을 하사했으며, 사후에는 종손인 이왕이 제후들에 의해 옹립되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 사람 - 주 선왕
    주 선왕은 서주 시대의 왕으로, 주 정공과 소 목공의 보좌를 받아 국세를 중흥시키고 동생 우를 정나라 군주로 봉했으며, 사주편을 저술하여 전서를 완성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 사람 - 송 애공
    송 애공은 춘추 시대 송나라의 마지막 군주로, 내부 권력 다툼과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여 송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다.
  • 주나라의 왕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주나라의 왕 - 주 혜왕
    주 혜왕은 동주 시대 제17대 왕으로, 자퇴의 난으로 쫓겨났다가 복위했으며, 제 환공에게 패자의 지위를 하사하고 후처의 아들을 총애하여 태자의 지위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주 여왕
기본 정보
칭호주나라 여왕
중국어주려왕 (周厲王)
재위 기간기원전 877년 – 기원전 841년
왕조주나라 (서주)
희 (姬)
호 (胡)
사후 칭호여왕 (厲王) 또는 랄왕 (剌王)
통치
계승주나라의 왕
선대 왕이왕
후대공화 시대
가계
아버지이왕
어머니왕 계
배우자신 강
자녀선왕
정 환공
생몰
사망일기원전 828년

2. 생애

여왕은 탐욕스럽고 잔인하였다. 간신인 영 이공을 등용하고 현신인 예량부, 주 정공, 소 목공 등의 간언을 물리치고 폭정을 실시했다고 한다. 경대부(卿大夫) 등의 국인(國人)에게 나누어주었던 토지와 산림(山林), 소택(沼澤) 등의 관리권을 회수해 그 이익을 독점하려 하자, 백성들이 이에 반발하여 왕을 비방하였다. 이에 여왕이 감시와 형벌을 강화하여 이를 억눌렀다. 백성들은 세상사에 대해 말하는 것을 조심하고, 눈짓만으로 그 의도를 서로 전했다고 한다. 제후들도 왕을 조회하러 오지 않았다. 이로 인해 주의 기세는 쇠락했으며 조정은 부패하였다. 기원전 841년 국인(國人)들이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죽이려고 하였다 (국인폭동). 사건이 일어날 쯤에 왕은 호경을 탈출해 황하를 넘어 체(彘, 현재의 산시성 훠저우시)로 피했다. 이 때문에 주 정공과 소 목공이 대신해 조정을 보는 공화제가 시행되었다.[4]

기원전 828년(공화 14년)에 왕이 사망하자, 주공 및 소공에 의해 왕자 희정이 즉위해 선왕이 되었다. 선왕의 치세에 여왕의 아들인 희우에 봉해져 정의 환공이 된다.

이 이야기는 사기에 근거하는 것이지만 죽서기년(竹書紀年)이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의하면 제후에게 추대된 공백(共伯) 화(和)라는 인물이 부재한 천자를 대신해 정무를 맡았다고 하며 이것이 공화제의 유래라고 설명되고 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이 때(공화)부터 무력에 의한 정치가 횡행하여 강자는 약자를 괴롭혔고, 군대 동원령은 천자의 재가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리고 왕실의 명분을 빌려, 이국(夷國)을 토벌한 공을 다투어 맹주가 되려고 하였다. 이리하여 정국은 오패(五覇)에 의해 좌우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왕이 없이 신하들이 정치를 행하는 공화 행정은 기원전 841년에 시작되어, 여왕이 망명지인 체 땅에서 죽고 여왕의 아들이 선왕으로 즉위하여 주나라 왕실이 다시 회복되는 기원전 828년까지 14년 동안 지속되었다. 국인폭동 이후 주나라 왕실의 권위는 크게 약해졌으며, 주나라의 국세도 쇠락하였다. 사마천은 공화 원년을 기년(紀年)으로 삼아 12제후연표(十二諸侯年表)를 연대에 따라 상세히 기록하였다. 따라서 공화 원년인 기원전 841년은 중국 역사에서 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연대 확인이 가능한 최초의 시점으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4]

3. 공화(共和)

여왕은 탐욕스럽고 잔인하였다. 간신인 영 이공을 등용하고 현신인 예량부, 주 정공, 소 목공 등의 간언을 물리치고 폭정을 실시했다고 하며, 경대부(卿大夫) 등의 국인(國人)에게 나누어주었던 토지와 산림(山林), 소택(沼澤) 등의 관리권을 회수해 그 이익을 독점하려 하자, 백성들이 이에 반발하여 왕을 비방하였다. 이에 여왕이 감시와 형벌을 강화하여 이를 억눌렀다. 백성들은 세상사에 대해 말하는 것을 조심하고, 눈짓만으로 그 의도를 서로 전했다고 한다. 제후들도 왕을 조회하러 오지 않았다. 이로 인해 주의 기세는 쇠락했으며 조정은 부패하였다. 마침내 기원전 841년 국인(國人)들이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죽이려고 하였다 (국인폭동). 사건이 일어날 쯤에 왕은 호경을 탈출해 황하를 넘어 체(彘, 현재의 산시성 훠저우시)로 피했다. 이 때문에 주 정공과 소 목공이 대신해 조정을 보는 공화제가 시행되었다.

기원전 828년(공화 14년)에 왕이 사망하자, 주공 및 소공에 의해 왕자 희정이 선왕으로 즉위하였다. 또 선왕의 치세에 여왕의 아들인 희우에 봉해졌다. 이 이야기는 사기에 근거하는 것이지만 죽서기년(竹書紀年)이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의하면 제후에게 추대된 공백(共伯) 화(和)라는 인물이 부재한 천자를 대신해 정무를 맡았다고 하며, 이것이 공화제의 유래라고 설명되고 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이 때(공화)부터 무력에 의한 정치가 횡행하여 강자는 약자를 괴롭혔고, 군대 동원령은 천자의 재가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리고 왕실의 명분을 빌려, 이국(夷國)을 토벌한 공을 다투어 맹주가 되려고 하였다. 이리하여 정국은 오패(五覇)에 의해 좌우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왕이 없이 신하들이 정치를 행하는 공화 행정은 기원전 841년에 시작되어, 여왕이 망명지인 체 땅에서 죽고 여왕의 아들이 선왕으로 즉위하여 주나라 왕실이 다시 회복되는 기원전 828년까지 14년 동안 지속되었다. 국인폭동 이후 주나라 왕실의 권위는 크게 약해졌으며, 주나라의 국세도 쇠락하였다. 사마천은 공화 원년을 기년(紀年)으로 삼아 12제후연표(十二諸侯年表)를 연대에 따라 상세히 기록하였다. 따라서 공화 원년인 기원전 841년은 중국 역사에서 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연대 확인이 가능한 최초의 시점으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주 이왕 섭
왕후신강신나라 백작의 여동생
자녀
아들주 선왕기원전 827년 ~ 782년 재위
아들정 환공기원전 806년 ~ 771년 재위, 기원전 773년 ~ 771년 주나라 사도 역임


5. 평가

주 여왕은 탐욕스럽고 잔인한 왕으로 묘사된다. 간신인 영 이공을 등용하고 현신인 예량부, 주 정공, 소 목공 등의 간언을 물리치고 폭정을 실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 또한 경대부 등 국인에게 나누어주었던 토지와 산림, 소택 등의 관리권을 회수하여 그 이익을 독점하려 하자 백성들이 이에 반발하여 왕을 비방하였고, 이에 여왕은 감시와 형벌을 강화하여 이를 억눌렀다.

이러한 폭정으로 인해 백성들은 세상사에 대해 말하는 것을 조심하고, 눈짓만으로 그 의도를 서로 전했으며, 제후들도 왕을 조회하러 오지 않았다. 이로 인해 주의 기세는 쇠락했으며 조정은 부패하였다. 결국 기원전 841년에 국인들이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죽이려고 하는 국인폭동이 일어났다.

사마천사기에서 "이 때(공화)부터 무력에 의한 정치가 횡행하여 강자는 약자를 괴롭혔고, 군대 동원령은 천자의 재가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었다."고 평가했다. 국인폭동 이후 주나라 왕실의 권위는 크게 약해졌으며, 주나라의 국세도 쇠락하였다.

신도 단편들은 주 여왕을 타락하고 부패한 왕으로 묘사하며, 그가 천하에 혼란과 재앙을 가져왔다고 전한다.[4]

6. 기타

여왕은 탐욕스럽고 잔인하였다. 간신인 영 이공을 등용하고 현신인 예량부, 주 정공, 소 목공 등의 간언을 물리치고 폭정을 실시했으며, 경대부(卿大夫) 등의 국인(國人)에게 나누어주었던 토지와 산림(山林), 소택(沼澤) 등의 관리권을 회수해 그 이익을 독점하려 하자, 백성들이 이에 반발하여 왕을 비방하였다. 이에 여왕은 감시와 형벌을 강화하여 이를 억눌렀다. 백성들은 세상사에 대해 말하는 것을 조심하고, 눈짓만으로 그 의도를 서로 전했다고 한다. 제후들도 왕을 조회하러 오지 않았다. 이로 인해 주의 기세는 쇠락했으며 조정은 부패하였다. 마침내 기원전 841년에는 국인들이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을 죽이려고 들었는데, 이를 국인폭동이라 한다. 사건이 일어날 쯤에 왕은 호경을 탈출해 황하를 넘어 체(彘, 현재의 산시성 훠저우시)로 피했다. 이 때문에 주 정공과 소 목공이 대신해 조정을 보는 공화제가 시행되었다.

기원전 828년(공화 14년)에 왕이 사망하자, 주공 및 소공에 의해 왕자 희정이 즉위해 선왕이 되었다. 또 선왕의 치세에 여왕의 아들인 희우에 봉해져 정의 환공이 되었다.

이 이야기는 사기에 근거하는 것이지만 죽서기년(竹書紀年)이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의하면 제후에게 추대된 공백(共伯) 화(和)라는 인물이 부재한 천자를 대신해 정무를 맡았다고 하며 이것이 공화제의 유래라고 설명되고 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이 때(공화)부터 무력에 의한 정치가 횡행하여 강자는 약자를 괴롭혔고, 군대 동원령은 천자의 재가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리고 왕실의 명분을 빌려, 이국(夷國)을 토벌한 공을 다투어 맹주가 되려고 하였다. 이리하여 정국은 오패(五覇)에 의해 좌우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왕이 없이 신하들이 정치를 행하는 공화 행정은 기원전 841년에 시작되어, 여왕이 망명지인 체 땅에서 죽고 여왕의 아들이 선왕으로 즉위하여 주나라 왕실이 다시 회복되는 기원전 828년까지 14년 동안 지속되었다. 국인폭동 이후 주나라 왕실의 권위는 크게 약해졌으며, 주나라의 국세도 쇠락하였다. 사마천은 공화 원년을 기년(紀年)으로 삼아 12제후연표(十二諸侯年表)를 연대에 따라 상세히 기록하였다. 따라서 공화 원년인 기원전 841년은 중국 역사에서 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연대 확인이 가능한 최초의 시점으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7. 계보

항목내용
아버지주 이왕 섭
왕후신강
아들주 선왕 정, 정 환공


참조

[1]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Inscribed Bronze Vessels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4] 문서
[5] 서적 史記
[6] 문서 㝬鐘 国立故宮博物院
[7] 문서 晋侯蘇鐘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