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고속도로 제29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간고속도로 제29호선(I-29)은 미국 중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고속도로로, 총 연장은 1,207.94km이다.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사우스다코타주, 노스다코타주를 지나 캐나다 국경까지 연결된다. 1950년대에 I-31로 계획되었으나 I-29로 변경되었으며, 2019년에는 중서부 홍수로 인해 상당 구간이 폐쇄되는 피해를 입었다. 주요 분기점으로는 캔자스시티, 수폴스, 파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간고속도로 - 주간고속도로 하와이 제1호선
주간고속도로 하와이 제1호선(Interstate H-1)은 오아후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약 48km의 주요 고속도로로, 카폴레이에서 시작하여 호놀룰루를 통과, 카할라에서 끝나며 여러 고속도로, 공항, 주도와 연결되고,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가변차로 제도를 운영한다. - 주간고속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5호선
미국 서부 해안을 따라 멕시코 국경에서 캐나다 국경까지 뻗어 있는 주간고속도로 제5호선(I-5)은 샌디에이고, 로스앤젤레스, 새크라멘토, 포틀랜드, 시애틀 등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남북 간선 고속도로로, US 99번 국도의 역할을 계승하여 1979년에 완공되었다. - 나라별 도로 - 니시세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는 히로시마현과 에히메현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시마나미 해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로, 여러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혼슈와 시코쿠를 육상으로 연결하며,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고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 나라별 도로 - 반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와 니가타현 니가타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태평양과 동해를 횡단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주간고속도로 제29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종류 | 주간고속도로 |
노선 번호 | 29 |
개통 | 알려진 정보 없음 |
총 연장 | 1,215.88km (755.51mi) |
방향 (남) |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I-35, I-70, US 24, US 40, US 71) |
방향 (북) | 노스다코타주 펨비나 (US 81) / PTH 75 (펨비나-에머슨 국경 위치) |
경유 주 |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사우스다코타주 노스다코타주 |
![]() | |
![]() | |
주요 교차로 | |
교차 도로 | 미주리주 I-35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I-635 (캔자스시티) 미주리주 I-435 (페럴뷰, MO ~ 플랫시티, MO) 미주리주 I-229 (세인트조지프, MO) 아이오와주 I-80 (카운슬블러프스, IA) 아이오와주 I-680 (크레센트, IA 근처) 아이오와주 I-880 (미주리밸리, IA 근처) 사우스다코타주 I-90 (수폴스, SD 근처) 노스다코타주 I-94 / US 52 (파고, ND) |
2. 노선 설명
주간고속도로 제29호선(I-29)은 총 약 1207.94km (1207.94km)의 길이로, 미국의 중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고속도로이다. 이 도로는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사우스다코타주, 노스다코타주를 지나며, 각 주별 구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주 | 길이 (mi) | 길이 (km) |
---|---|---|
미주리주 | 약 207.14km | 207.14km |
아이오와주 | 약 244.35km | 244.35km |
사우스다코타주 | 약 406.36km | 406.36km |
노스다코타주 | 약 350.10km | 350.1km |
총계 | 약 1207.94km | 1207.94km |
2. 1. 미주리주
I-29는 남쪽 종점 근처에서 I-35 및 미국 71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 고속도로는 세인트 조셉 바로 북쪽에서 US 71에서 벗어나 미주리 강을 따라 인구가 희박한 회랑을 따라 카운실블러프스로 향한다. 설계 단계에서 미주리주 메리빌과 아이오와주 클라린다의 더 큰 도시들을 통해 US 71을 따라 노선을 더 연장하는 대안이 있었다. 1993년 대홍수 동안, 미주리 강이 이 구간을 범람하여 교통이 메리빌과 클라린다를 거쳐 US 71으로 우회되었다. I-29는 2011년 미주리 강 홍수 동안 약 두 달 동안 다시 폐쇄되었다.미주리주 I-29의 거의 모든 구간은 미주리가 연방에 가입했을 때 원래 미주리의 일부가 아니었던 플랫 구매라고 불리는 지역에 있다.
2. 2. 아이오와주

I-29는 햄버그 근처 아이오와주에서 시작한다. 아이오와 2번 국도(Iowa 2)와 교차로를 지나 북서쪽으로 향한 다음 카운실블러프스까지 북쪽으로 향한다. I-80와 잠시 합류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I-29는 실제로 I-80의 바깥쪽으로 달리다가 오마하에서 약 1.61km도 안 되는 거리에서 분리되어 미주리강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서 카운실블러프스의 서쪽 및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구불구불 이어진다. 카운실블러프스 북쪽에서 I-29는 61번 출구에서 I-680과 교차한다. 71번 출구에서 I-880이 시작되고, I-29는 수시티 방향으로 북서쪽 길을 계속 따라간다. 수시티에서 I-129는 I-29에서 분기되어 사우스수시티 방향으로 서쪽으로 향한다. I-29는 수시티 시내 방향으로 북쪽으로 계속 달리다가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사우스다코타주로 진입한다.
2. 3. 사우스다코타주
I-29는 빅 수 강을 건너 사우스다코타주 노스 수 시티에서 사우스다코타 주로 진입한다. 50번 도로(SD 50)와의 분기점까지 북서쪽으로 달리다가 사우스다코타주 버밀리언 근처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이 도로는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 바로 전까지 북쪽으로 향한다. 수폴스 지역에서 I-29는 수폴스의 서쪽 지역을 지나고, 사우스다코타주 I-229는 동쪽 수폴스를 지난다. 수폴스 북서부에서 I-29는 사우스다코타주 I-90과 만난다. 그 후, 사우스다코타주 브루킹스와 US 14와의 교차점을 지나 북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SD 28과의 교차점에서 I-29는 사우스다코타주 워터타운을 향해 북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워터타운을 지나면 북쪽으로 계속 진행되어 US 12와의 교차점을 지나 노스다코타주로 진입한다.2. 4. 노스다코타주
I-29는 남쪽의 핸킨슨 근처에서 노스다코타 주로 진입한다. 퍼고에서 I-94/US 52와 만나 레드 강을 따라 북쪽으로 그랜드 포크스 방향으로 계속 이어진다. 북쪽 종점에서는 I-29가 캐나다로 진입하여 PTH 75가 되며, 이는 위니펙으로 이어진다.3. 역사
1957년, 노스다코타주 파고에서 캐나다-미국 국경까지의 구간은 현재의 I-29를 위해 원래 주간고속도로 제31호선(I-31)으로 지정될 예정이었으나,[3] 1958년에 I-29로 번호가 변경되었다.[4]
1960년대에는 I-29를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까지 연장하려는 캠페인이 있었으며, 이 연장선은 I-49로 명명되었다.[6]
2019년 홍수로 인해 I-29의 상당 구간이 폐쇄되었다가 복구되었다.[7][8][9]
3. 1. 31번 주간고속도로 (I-31)
1957년, 노스다코타주 파고에서 캐나다-미국 국경까지의 구간은 현재의 I-29를 위해 원래 주간고속도로 제31호선(I-31)으로 지정될 예정이었다.[3] 파고 남쪽으로는 처음에는 고속도로가 계획되지 않았다. 그러나 1958년에 수폴스와 파고 사이에 I-29와 I-31을 연결하기로 결정했다. 그 후 전체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I-29로 번호가 매겨졌다.[4]3. 2. 49번 주간고속도로 (I-49)
1960년대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까지 US 71 회랑을 통해 I-29를 연장하려는 캠페인이 미주리, 아칸소, 루이지애나 주민들에 의해 시작되었다.[5] 이 캠페인은 뉴올리언스에서 캐나다를 거쳐 위니펙까지 제한된 접근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1957년 마스터 플랜에 포함되지 않았던 이 연장은 I-49로 명명되었다. 주간 고속도로 번호 지정 규칙(남북 노선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증가)에 따라 I-35 동쪽과 I-55 서쪽에 위치하여 I-29 대신 별도 번호가 지정되었다.[6] I-49가 완공되면, 다른 주간 고속도로 또는 US 71에 의해 제공되는 짧은 구간을 제외하고 협회의 목표가 달성될 것이다.3. 3. 2019년 폐쇄
2019년 3월과 4월, 2019년 미국 중서부 홍수의 결과로, I-29는 세인트조셉과 카운슬블러프스 사이 약 약 300.95km 구간에서 양방향 통행이 금지되었다. 미주리-아이오와 경계를 포함한 I-29의 이 구간 대부분은 미주리 강과 플래트 강의 넓은 범람원 위 또는 통과한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여러 고가 구간이 붕괴되었고 다른 구간은 홍수로 침수되거나 유실되었다. 이는 고속도로 시스템 역사상 거리 기준으로 가장 큰 주간 고속도로 폐쇄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공식적인 우회로가 지정되지 않았는데, 우회로로 사용될 도로들이 대부분 홍수로 침수된 시골 농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오와 주 I-80을 따라, 아이오와 주 I-80의 교통은 데모인에서 캔자스시티까지 I-35를 통해 공식적으로 우회되었다. US 75는 미주리 강 반대편에서 I-29와 나란히 달리며, 홍수로 인해 광범위한 구간이 폐쇄되었다.[7]2019년 5월까지, I-29의 대다수는 복구되어 재개통되었으며, I-680과 I-29가 중첩되는 카운슬블러프스 주변 약 16.09km 구간(현재 I-680과 I-880 사이의 I-29 구간)을 제외했다. 그러나 봄과 여름, 심지어 초가을까지 더 많은 강우량과 홍수로 인해 최근 복구된 구간을 포함하여 I-29의 일부 구간이 다시 폐쇄되었다. 몇 차례, 세인트조셉과 카운슬블러프스 사이의 전체 약 300.95km 구간이 완전히 폐쇄되었지만, 이는 2019년 5월 이후 드문 일이었다.[8][9]
2019년 10월 현재, I-29는 양방향 모두 교통이 개통되었지만, 일부 미주리 강 교량과 지방 농로는 홍수로 인해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4. 주요 분기점
주 | 분기점 | 비고 |
---|---|---|
미주리 | 캔자스시티 다운타운 루프. I-29 / I-35는 캔자스시티를 관통하며 동행, I-29 / US 71는 아마조니아 동쪽까지 동행.[10] | |
글래드스톤과 캔자스시티의 경계선상[10] | ||
캔자스시티. 플래트시티까지 동행.[10] | ||
세인트조셉 남남동쪽 및 세인트조셉[10] | ||
세인트조셉 북북동쪽. 아마조니아 동쪽까지 동행.[10] | ||
세인트조셉 북쪽[10] | ||
아마조니아 서북쪽. 약 약 2.90km 동행.[10] | ||
오레곤 북쪽[10] | ||
마운드시티 남남동쪽[10] | ||
크레이그 동쪽[10] | ||
록포트[10] | ||
아이오와 | 글렌우드 서쪽. I-29 / US 275는 카운슬블러프스까지 동행.[10] | |
카운슬블러프스. I-29 / US 6는 카운슬블러프스를 관통하며 동행.[10] | ||
크레센트 서남서쪽[10] | ||
러브랜드 서남서쪽[10] | ||
미주리밸리[10] | ||
수시티[10] | ||
수시티[10] | ||
사우스다코타 | 워싱 남남서쪽. 약 약 4.86km 동행.[10] | |
수폴스[10] | ||
브루킹스[10] | ||
워터타운[10] | ||
워터타운 북동쪽. 매니벌 동쪽까지 동행.[10] | ||
서밋 서북쪽[10] | ||
노스다코타 | 파고[10] | |
그랜드포크스[10] | ||
졸리에트 남남서쪽. 캐나다-미국 국경 펨비나 북쪽까지 동행.[10] | ||
펨비나 북쪽 캐나다-미국 국경[10] |
5. 보조 노선
참조
[1]
웹사이트
Table 1: Main Routes of the Dwight D. Eisenhower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22-01-27
[2]
웹사이트
Overview Map of I-29
http://www.google.co[...]
Google Maps
2008-02-15
[3]
이미지
Official Route Numbering for the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1957-08-14
[4]
이미지
Official Route Numbering for the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1958-06-27
[5]
뉴스
Rival Highway Groups Study Compromise
https://www.newspape[...]
1965-09-01
[6]
웹사이트
Interstate 49: Origin, Planning, Construction
https://www.modot.or[...]
Missouri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12-04
[7]
웹사이트
Stretch of I-29 closes again
https://www.3newsnow[...]
2019-10-06
[8]
웹사이트
Flooding closes parts of I-680, I-29 near Council Bluffs, Missouri Valley
https://www.omaha.co[...]
2019-09-21
[9]
웹사이트
Flooding Again Closes Section of I-29, Grassley Grandson to Lead Iowa House
https://www.kwit.org[...]
2019-10-07
[10]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