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급은 당나라 말기 충무군 절도사로, 880년 충무군을 장악하고 설능을 살해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황소에게 투항했으나, 다시 당나라 편으로 돌아서 황소군 격퇴에 기여했다. 하지만 녹안홍에게 패배하여 허주를 빼앗기고,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녹안홍에게 죽임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무군 절도사 (당) - 마식 (당나라)
    마식은 당나라 중기의 인물로, 헌종 연간에 진사과에 급제하여 문종 연간에 재상이 되었으나 환관과의 관계로 파면되어 절도사로 좌천되었다.
  • 충무군 절도사 (당)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884년 사망 - 황소 (당나라)
    황소는 당나라 말기 농민 반란을 이끈 지도자이며, 장안을 점령하고 황제에 즉위했으나 당나라 군대에 의해 세력이 약화되어 조카에게 살해당하며 난이 종결되었다.
  • 884년 사망 - 카를로마누스 2세
    카를로마누스 2세는 서프랑크 왕국의 국왕으로, 루도비쿠스 2세 발부스의 아들이자 루이 3세의 동생이며, 노르만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멧돼지 사냥 중 사고로 사망했다.
  • 황소의 난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황소의 난 - 황소 (당나라)
    황소는 당나라 말기 농민 반란을 이끈 지도자이며, 장안을 점령하고 황제에 즉위했으나 당나라 군대에 의해 세력이 약화되어 조카에게 살해당하며 난이 종결되었다.
주급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주급
원어명周岌
국적당나라제나라당나라
직업당나라 말기 군벌, 충무군(忠武軍) 절도사
관직
직책충무군 절도사
소속설능(薛能) → (명목상) 당 희종 → 황소 → (명목상) 당 희종
경력충무군(忠武軍) 대장 → 충무군 유후(留後) → 충무군 절도사
생몰
출생일미상
사망일884년 (?)

2. 생애

주급의 생애는 출신 배경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아 불확실하다. 당나라의 정사인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그의 열전이 없어, 초기 생애와 가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1][2] 880년 당시 그는 중무절도사(충무군)의 장교로, 절도사 설능 휘하에서 복무하고 있었다. 이후 그는 황소의 난 진압 과정과 진종권과의 관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1. 충무군 탈취 (880년)

880년 농민 대반란군이 북서쪽으로 진격해 오자, 당나라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동쪽의 여러 번진들에게 은수(溵水)에 군대를 파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당시 충무군 절도사 설능은 휘하 장수였던 주급에게 충무군 군대를 이끌고 은수로 가도록 지시했다.[11]

하지만 주급이 도착하기 전, 허주(許州)에서 감화군(感化軍) 출신 병사들이 난동을 일으켰다. 이들은 규율이 없었으나, 이전에 감화군 절도사를 지냈던 설능은 이들을 통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성 안으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감화군 병사들은 오히려 폭동을 일으키고 여러 물자를 요구했다. 주급은 이 소식을 듣고 군대를 이끌고 허주로 돌아와 감화군 군대를 습격하여 몰살시켰다. 또한, 감화군 병사들을 잘 대우한 설능에게 원한을 품고 그를 추방했다. 설능은 양양으로 달아나려 했으나, 주급 휘하의 반란군에게 쫓겨 가족들과 함께 몰살당했다. 이후 주급은 스스로 유후(留後)를 자칭했다.[11]

주급의 반란으로 인해 인근 번진들이 동요했다. 태녕군(泰寧軍) 절도사 제극양은 주급의 공격을 두려워하여 여(汝州)·정(鄭州) 2주 파절제치사(把截制置使) 자리를 버리고 태녕군 본부인 연주(兗州)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은수에 집결해 있던 여러 번진의 군대들도 각자 위치를 포기하고 떠나갔으며, 이는 황소에게 낙양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다.[11]

황소의 위협에 직면한 당나라 조정은 주급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즉시 그를 충무군 절도사로 임명했다. 한편, 설능이 예전에 채주(蔡州) 수비를 위해 파견했던 충무군 아장(牙將) 진종권이 채주를 점거하자, 주급은 그를 채주자사로 임명했다.[12]

2. 2. 황소에게 투항과 배신 (881년)

881년 새해, 황소장안을 함락하고 제나라 황제를 칭하자 주급은 황소에게 투항했다. 그러나 진종권은 이에 따르지 않았다.[12]

주급의 투항은 오래가지 못했다. 환관 양복광이 연 잔치에서 양복광은 주급에게 당나라 편으로 돌아설 것을 설득하였다. 이들은 땅에 포도주를 붓고 맹세했다. 양복광은 양자인 양수량을 시켜 제나라 사신을 암살하게 하여 주급의 결의를 굳혔다. 이후 주급은 양복광과 황소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 주급은 녹안홍, 진휘(晉暉중국어), 왕건, 한건, 장조(), 이사태(李師泰중국어), 방종() 등 8명의 장수와 8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황소군과 싸웠다.[12]

2. 3. 황소 격퇴 (883년)

883년 초, 당나라 군대가 황소를 장안에서 몰아내자 황소는 동쪽으로 도망쳐 그해 말 진주(陳州중국어, 지금의 허난성 저우커우 시)를 포위했다. 진주자사 조주는 주변의 절도사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주급, 감화 절도사 시부주전충은 모두 지원군을 보냈지만, 이들의 군대는 황소를 격퇴하지 못했다.[5] 그래서 이들은 장안 탈환 작전에 큰 공을 세운 하동 절도사 이극용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이극용이 지원을 와서 황소를 여러 차례 격파하여 진주 포위를 풀고 더 멀리 도망치게 했지만, 주전충이 이극용을 암살하려 한 사건으로 인해 주전충과 사이가 틀어졌다. 이극용이 주급에게 식량을 요청하자, 주급은 자신도 식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고, 이극용은 그 지역을 떠났다.[5]

2. 4. 녹안홍에게 패배 (884년)

883년 양복광이 사망한 후, 녹안홍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약탈을 일삼았다. 당나라 조정에서는 그를 산남서도(山南西道, 본부는 지금의 산시성 한중시) 유후에 임명하여 달래려 하였으나, 녹안홍은 산남서도 번진과 산남동도(山南東道, 본부는 지금의 후베이성 샹판시) 번진을 습격하였다.[13]

884년 가을, 녹안홍은 동쪽으로 진군하여 진종권의 부하 진고(秦誥)와 조덕인의 군대와 합류하여 산남동도의 수도 양주(襄州)를 포위, 함락시켰다. 이후 녹안홍은 무창군(武昌軍, 본부는 지금의 후베이성 우한시)과 회남(淮南, 본부는 지금의 장쑤성 양저우시) 번진의 일부를 습격하고 허주(許州)로 향했다. 녹안홍의 공격 소식을 들은 주급은 충무군을 버리고 도주하였고, 녹안홍은 허주를 점령하고 유후를 자칭하였다. 당나라 조정은 그를 막을 수 없어 절도사로 임명하였다. 이후 주급에 대한 역사 기록은 없으나, 《구당서》와 《신당서희종 본기에는 녹안홍이 주급을 죽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4][15][16]

참조

[1] 서적 Old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2]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Old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8]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9]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0] 서적 신당서 https://zh.wikisourc[...]
[11]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2]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3]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4]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5]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6] 서적 신당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