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식 (당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식은 당나라 중기의 인물로, 당 헌종 연간에 진사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당 문종 연간에는 현량방정능직언극간과에 합격하여 수주 단련부사, 비서성 교서랑 등을 거쳐 요주 자사를 역임했다. 이후 안남도호부 안남초토사로 전임되어 능력을 인정받았고, 검교 좌산기상시에 임명되었다. 당 무종 연간에는 광록시경, 대리시경을 지냈으나 이덕유에게 중용되지 못했다. 당 선종 연간에는 형부시랑, 제도염철전운등사를 거쳐 동중서문하평장사에 임명되어 재상이 되었으나, 환관 마원지와의 관계로 인해 파면되어 절도사로 좌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형부시랑 - 염입본
염립본은 수나라 귀족 가문 출신으로 당나라 초기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 화가이자 정치가로서, 《역대제왕도》 등의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형부상서, 건축가, 재상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당나라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당나라의 무태군절도사 - 왕건조
9세기 신라 말 조덕인의 휘하 장수였던 왕건조는 산남도 유후를 자칭하며 세력을 키웠으나, 당나라에 투항 후 성예의 침공으로 세력을 잃고 아들 왕건에게 의탁했다. - 당나라의 정해군절도사 - 쿡트어주
쿡트어주는 혼란기에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세력을 키운 정해군 절도사로, 베트남 독립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칭송받으며 그의 사상은 베트남 공산당 이념에 영향을 주었고 쿡 가문은 초기 독립 베트남의 중요한 가문 중 하나이다.
마식 (당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마식 |
원어명 | 馬植 |
국적 | 당나라 |
직업 | 당나라 후기 관료 |
한어 병음 | |
중국어 표기 | t: 馬植 s: 马植 p: Mǎ Zhí w: Ma Chih bpmf: ㄇㄚˇ ㄓˊ |
자 | 존지 |
한어 병음 (자) | t: 存之 s: 存之 p: Cúnzhī w: Ts'unchih bpmf: ㄘㄨㄣˊ ㄓ |
생애 | |
출생지 | 부풍 |
사망일 | 857년 8월 이전 |
사망지 | 변주 |
가족 관계 | |
부친 | 마훈 |
자녀 | 아들 마욱 |
손자 | 마주 |
관직 및 경력 | |
소속 | 당 문종 → 당 무종 → 당 선종 |
직책 | 동중서문하평장사 |
임기 | 848년 ~ 850년 |
공동 재임자 | 위종 최원식 주지 최현 위부 |
군주 | 당 선종 |
2. 생애
마식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집안은 부풍 출신으로, 아버지 마훈(馬勛)이 봉주(鳳州, 지금의 섬서성 보계시 봉현) 자사를 지냈다는 것 외에는 조상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그는 당나라의 다른 재상이었던 마수, 마주 가문과는 친척 관계가 아니었다.
마식은 당 헌종 원화 14년(819년) 진사과에 급제했고, 제책과(制策科)에도 합격했다. 당 문종 태화 2년(828년) 현량방정능직언극간과(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에 응시하여 제4등으로 급제하고 관직을 제수받아 수주 단련부사와 비서성 교서랑에 임명되었다. 이후 세 차례 인사 이동을 거쳐 요주 자사를 역임하였다. 요주자사 재직 중에는 요주성 동북쪽 4리(1.6km) 지점에 마당(馬塘)을, 요주성 북쪽 6리(2.4km) 지점에 토호(土湖)를 각각 축조하였다.
개성 원년(836년), 마식은 안남도호·어사중승·안남초토사로 전임되었다. 그는 현지 부족의 수령이 다스리던 무륙현(武陸縣)을 주로 승격시키고 수령을 자사로 임명해 줄 것을 요청하여 문종의 승인을 받았다. 또한, 안남경략압아(經略押衙) 겸 도지병마사(都知兵馬使) 두존성(杜存誠)의 관인을 내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개성 4년(839년)에는 무륙주 관내 6주 경계 바다 북쪽의 연못에서 다시 진주가 생산되기 시작하였다는 상주문을 올려, 하늘이 내린 승인의 표시로 여겨졌다. 이후 검교(檢校)좌(左)산기상시 및 종5품 상계(上階) 중산대부(中散大夫)에 서임되었고, 840년 검중도(黔中道, 지금의 충칭 일대) 관찰사로 승진하였다.
당 무종 회창 연간(841년 ~ 846년)에 마식은 장안으로 소환되어 광록시경(光祿寺卿)과 대리시경(大理寺卿)을 지냈다. 그러나 당시 수상이었던 이덕유에게 중용되지 못하여 원한을 품었다고 한다.
846년, 당 무종이 죽고 당 선종이 즉위한 후, 이덕유는 좌천되었고 백민중이 수상이 되었다. 대중 원년(847년), 가뭄이 들자 재상 노상 등이 수감자들의 사안을 재심하여 사형을 감면해 줄 것을 주장하였으나, 마식은 이에 반대하는 상주문을 올렸다. 마식의 상주문은 받아들여졌고, 노상은 좌천되었다. 마식은 형부시랑(刑部侍郞)으로 승진하였고, 제도염철전운등사(諸道鹽鐵轉運等使)에 보직되었다. 산계로는 정3품 금자광록대부로 승진하였다.
2. 1. 가세(家世)와 초창기 벼슬길
마식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집안은 부풍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버지 마훈(《구당서》 마식 열전과 《신당서》 재상세계표에는 馬曛, 《신당서》 마식 열전 및 《구당서》와 《신당서》 엄려 열전에는 馬勛, 《자치통감》에는 馬勳으로 표기)이 봉주(鳳州, 지금의 섬서성 보계시 봉현) 자사를 역임한 것 외에는 그의 조상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그는 다른 두 명의 마씨 당나라 재상 마수, 마주 가문과는 아무런 친척 관계가 없다.마식은 당 헌종 원화 14년(819년) 진사과에 급제했고, 제책과(制策科, 대책 및 정책 입안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특별 과거 시험)에도 합격했다. 당 문종 태화 2년 3월 25일(828년 4월 13일) 현량방정능직언극간과(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에 응시하여 윤3월 9일(828년 4월 26일) 제4등으로 급제하고 관직을 제수받아 수주 단련부사에 임명되었고 비서성 교서랑에도 보직되었다. 이후 세 차례 인사 이동을 거쳐 요주 자사를 역임하였다. 요주자사 재직 중에는 요주성 동북쪽 4리(1.6km) 지점에 마당(馬塘)을, 요주성 북쪽 6리(2.4km) 지점에 토호(土湖)를 각각 축조하였다.
2. 2. 당 문종 연간
개성 원년(836년), 마식은 요주자사에서 안남도호·어사중승·안남초토사로 전임되었다. 마식은 문학적인 능력 외에도 유능한 행정가였다고 한다. 개성 3년(838년), 그는 현지 부족의 수령이 당나라 조정으로부터 관직을 위임받아 다스리던 무륙현(武陸縣)이 당나라 조정에 충성하고 종종 좋은 건의를 올리고 있다면서 무륙현을 주로 승격시키고 수령을 자사로 임명해 줄 것을 요청하는 상주문(上奏文)을 조정에 올렸다. 문종은 이를 승인하였다.마식은 안남경략압아(經略押衙) 겸 도지병마사(都知兵馬使) 두존성(杜存誠)의 관인을 내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마식의 통치가 양호하여, 그 해 9월에는 기미주 자사 수령 마광요(麻光耀) 등의 현지 부족 수령들이 모두 자신들의 자제들을 인질로 보내어 공문서와 의복 등의 공물을 바쳤다고 한다.
개성 4년 음력 1월 19일(839년 3월 23일) 마식은 이전에는 진주를 생산하였지만 본인의 재임 중에는 더 이상 생산되지 않던 무륙주 관내 6주 경계 바다 북쪽의 연못에서 다시 진주가 생산되기 시작하였다는 내용의 상주문을 조정에 올린 바 있었다. 이것은 하늘이 내린 승인의 표시로 여겨졌다.
마식은 그간의 치적이 제일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받아 검교(檢校)좌(左)산기상시에 임용되었고, 산계로는 종5품 상계(上階) 중산대부(中散大夫)에 서임되었다. 이후 마식은 개성 5년(840년) 검중도(黔中道, 지금의 충칭 일대) 관찰사로 승진하였다. 그는 검주(黔州)에 부임하여 본인의 이름을 기념으로 새겨 두었다.
2. 3. 당 무종 연간
당 무종의 회창 연간(841년 ~ 846년)에 마식은 장안으로 소환되어 광록시경(光祿寺卿)을 지냈고, 후에 대리시경(大理寺卿)이 되었다. 그러나 마식은 유능하다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수상인 이덕유에게 중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두 직책 모두 강력한 권한을 행사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마식은 이덕유에게 원한을 품었다고 한다.2. 4. 당 선종 연간
846년, 당 무종이 죽고 그의 삼촌 당 선종이 그 뒤를 이었다. 당 선종은 이덕유가 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을 싫어하여, 그를 거의 곧바로 좌천시켜 도성 밖으로 내쫓아 버렸고, 백민중을 수상으로 삼았다. 선종 대중 원년 2월 17일(847년 3월 7일), 너무 가혹한 처벌에 대해 신이 불쾌감을 드러내는 징조로 자주 여겨지던 가뭄이 들자, 선종은 재상 노상과 어사중승 봉오(封敖)에게 장안의 수감자들의 사안에 대한 재심을 명하였다. 노상과 봉오는 여러 사람들의 사형을 감면시켜 줄 것을 주장하였다. 마식은 이에 반대하였고, 그러한 관용은 신의 불쾌감을 더욱 자아내는 역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을 담은 상주문을 선종에게 올렸다. 이덕유를 박대하였던 사람들을 자주 등용하던 백민중의 영향으로 마식의 상주문은 받아들여졌고, 노상은 좌천되었다. 마식은 형부시랑(刑部侍郞)으로 승진하였고, 제도염철전운등사(諸道鹽鐵轉運等使)에 보직되었다. 산계로는 종5품 상계 중산대부에서 정3품 금자광록대부로 승진하였다.3. 평가
4. 가계
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마훈(馬曛/馬勳) | 784년 당시 산남서도(山南西道, 본부는 지금의 섬서성 한중시에 있었다) 아장(牙將), 봉주(鳳州, 지금의 섬서성 보계시) 자사 |
본인 | 마식(馬植) | |
아들 | 마욱(馬郁) | |
손자 | 마주(馬儔) | 자는 후기(後己) |
참조
[1]
문서
Ma Zhi died as military governor of Xuanwu Circuit, while in 857 the next military governor named Zheng Ya was appointed.
[2]
서적
Old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3]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4]
웹사이트
漢川草廬-二十四史-新唐書-卷七十二‧表第十二
http://www.sidneyluo[...]
2008-10-03
[5]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8]
문서
However, as there was no crown prince at the time, the post was entirely hono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