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산 미국 영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미국 정부가 부산 지역의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치했던 기관이다. 1982년 경제과 부산 사무소 개설을 시작으로, 1984년 영사관으로 승격되어 부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를 관할했다. 1994년 비자 발급 업무가 중단되었고, 1998년 폐쇄되었다. 현재는 제한적인 영사 업무를 수행하는 영사 사무소로 운영되며,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전남 동부 지역 거주 미국인에 한해 비자 발급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은 2016년 3월 10일에 개관하여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관할한다.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부산 부산진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부산광역시의 수돗물 안정적 공급을 위해 원수 개발부터 급수, 수질 향상 연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경영지원부, 급수부, 시설부와 하부 기관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제공한다. - 부산 부산진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진경찰서
부산진경찰서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치안을 담당하며 1957년 개서 후 명칭 변경을 거쳐 1978년 환원되었고, 현재 여러 지구대와 파출소를 관할하며 지역 치안을 유지한다. - 미국의 영사관 - 주오사카·고베 미국 총영사관
주오사카·고베 미국 총영사관은 1867년 고베에 영사관으로 개설되어 1961년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오사카시에 위치하며 긴키, 호쿠리쿠, 주고쿠, 시코쿠 지방을 관할한다. - 미국의 영사관 - 주삿포로 미국 총영사관
주삿포로 미국 총영사관은 1865년 하코다테 미국 영사관에서 시작되어 잠시 폐쇄 후 1952년 삿포로에 영사관으로 재개설, 1986년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지역 외교 및 영사 업무와 한반도 거주 자국민 대피 지원 역할을 수행한다.
주부산 미국 영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 |
---|---|
주부산 미국 영사관 정보 | |
위치 | 부산광역시, 대한민국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93 롯데골드로즈 612호 (양정동 231-2, 우편번호: 47209) |
좌표 | 35.178030 |
개설일 | 1984년 1월 27일 (원래 개설), 2007년 10월 19일 (재개설) |
폐쇄일 | 1998년 7월 10일 |
관할 지역 |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영사 | 고든 처치 |
웹사이트 | 주부산 미국 영사관 웹사이트 |
기관 정보 | |
소속 기관 | 미국 국무부 (주한 미국 대사관) |
기타 | |
로마자 표기 | ju busan miguk yeongsagwan |
2. 역사
1982년 1월 19일, 주한 미국 대사관은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2가 25번지에 있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청사 안에 경제과 부산 사무소를 일방적으로 개설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외무부가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 따른 대한민국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이루어진 조치라고 항의했고, 주한 미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외무부의 승인 절차를 통해 1982년 3월 3일에 경제과 부산 사무소를 정식 개설했다.[14] 1982년 10월 12일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이 부산 사무소를 영사, 정무, 경제에 관한 업무를 관할하는 영사관 수준으로 승격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요청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거절했다.[14]
1983년 11월 13일에 대한민국을 방문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한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 정부의 공동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가 대한민국 부산에 영사관을 설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5] 그런데 이 과정에서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 없이 일방적인 부산 주재 영사관 개설 절차를 시행하여 외교적 논란을 일으켰다.[14]
1984년 1월 27일, 미국 정부는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2가 24번지에 있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2층에 영사관을 개설했다.[16][17][18] 이 영사관은 부산광역시·경상남도(울산광역시 포함)·대구광역시·경상북도·광주광역시·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의 영사 업무와 사증(비자) 발급 업무를 담당했다.[16][17][18] 이는 1983년 11월 13일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한 공동 성명에 따른 것이었으나,[15]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 없이 일방적인 부산 주재 영사관 개설 절차를 시행했다.[14]
1994년 4월 1일, 미국 연방 정부의 예산 절감 조치로 인해 사증 발급 업무가 중단되었다.[19][20] 1996년 10월 1일에는 1949년부터 운영해 왔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이 폐쇄되었고,[21] 1998년 7월 10일에는 부산 주재 미국 영사관이 폐쇄되었다.[22] 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변화와 예산 감축의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미국 정부는 1999년 4월 30일을 기해 부산 주재 영사관 부지,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지를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했다.[23]
미국 정부는 1996년 10월 1일을 기해 1949년부터 운영해 왔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을 폐쇄했고,[21] 1998년 7월 10일을 기해 부산 주재 영사관을 폐쇄했다.[22] 1999년 4월 30일에는 부산 주재 영사관 부지,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지를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했다.[23] 부산 주재 영사관이 폐쇄된 이후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 영사부에 흡수되어 대한민국 특허법원과 비슷하게 대한민국 전 지역을 관할 구역으로 변경했다. 2003년에는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산 주재 미국 영사관이 있던 자리에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했다. 2007년 10월 19일에는 제한적인 영사 업무를 받는 영사 사무소가 설치되었지만 이후 미국 정부 당국의 외교 정책 개정에 따라 출장소, 영사 사무소를 일반 영사관으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24]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과정 (1982년 ~ 1984년)
1982년 1월 19일, 주한 미국 대사관은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2가 25번지에 있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청사 안에 경제과 부산 사무소를 일방적으로 개설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외무부가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 따른 대한민국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이루어진 조치라고 항의했고, 주한 미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외무부의 승인 절차를 통해 1982년 3월 3일에 경제과 부산 사무소를 정식 개설했다.[14] 1982년 10월 12일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이 부산 사무소를 영사, 정무, 경제에 관한 업무를 관할하는 영사관 수준으로 승격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요청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거절했다.[14]1983년 11월 13일에 대한민국을 방문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한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 정부의 공동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가 대한민국 부산에 영사관을 설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5] 그런데 이 과정에서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 없이 일방적인 부산 주재 영사관 개설 절차를 시행하여 외교적 논란을 일으켰다.[14]
2. 2. 영사관 운영 및 폐쇄 (1984년 ~ 1998년)
1984년 1월 27일, 미국 정부는 부산직할시 중구 대청동2가 24번지에 있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2층에 영사관을 개설했다.[16][17][18] 이 영사관은 부산광역시·경상남도(울산광역시 포함)·대구광역시·경상북도·광주광역시·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의 영사 업무와 사증(비자) 발급 업무를 담당했다.[16][17][18] 이는 1983년 11월 13일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을 통해 발표한 공동 성명에 따른 것이었으나,[15]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 없이 일방적인 부산 주재 영사관 개설 절차를 시행했다.[14]1994년 4월 1일, 미국 연방 정부의 예산 절감 조치로 인해 사증 발급 업무가 중단되었다.[19][20] 1996년 10월 1일에는 1949년부터 운영해 왔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이 폐쇄되었고,[21] 1998년 7월 10일에는 부산 주재 미국 영사관이 폐쇄되었다.[22] 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변화와 예산 감축의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미국 정부는 1999년 4월 30일을 기해 부산 주재 영사관 부지,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지를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했다.[23]
2. 3. 폐쇄 이후 (1998년 ~ 현재)
미국 정부는 1996년 10월 1일을 기해 1949년부터 운영해 왔던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을 폐쇄했고,[21] 1998년 7월 10일을 기해 부산 주재 영사관을 폐쇄했다.[22] 1999년 4월 30일에는 부산 주재 영사관 부지,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지를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했다.[23] 부산 주재 영사관이 폐쇄된 이후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 영사부에 흡수되어 대한민국 특허법원과 비슷하게 대한민국 전 지역을 관할 구역으로 변경했다. 2003년에는 부산 주재 미국 문화원, 부산 주재 미국 영사관이 있던 자리에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했다. 2007년 10월 19일에는 제한적인 영사 업무를 받는 영사 사무소가 설치되었지만 이후 미국 정부 당국의 외교 정책 개정에 따라 출장소, 영사 사무소를 일반 영사관으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24]3. 관할 구역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한다.[25][26][12][13] 관할 구역 내에는 독도의 실효 지배권을 가진 경상북도가 포함되어 있다.[25][26][12][13] 이는 한미 관계와 독도 문제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향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로 관할 구역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
4. 영사 업무 시간 및 휴관일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매주 토요일 및 일요일에 휴관한다. 또한 대한민국의 공휴일 전체와 미국의 공휴일 전체에도 휴관한다.
4. 1. 영사 업무 시간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4. 2. 휴관일
주부산 미국 영사관은 매주 토요일 및 일요일에 휴관한다. 또한 대한민국의 공휴일 전체와 미국의 공휴일 전체에도 휴관한다.5. 특이 사항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전남 동부 지역 거주 미국인에 한하여 미국 비자 발급이 가능하다.[27] 한국인과 다른 제3의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미국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 가야 한다.[27]
6. 같이 보기
6. 1. 일반 주제
주한 미국 대사관은 워싱턴 D.C.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1883년 5월에 개설되었다. 한미 관계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6. 2. 부산 소재 অন্যান্য 영사관
부산에는 주부산 미국 영사관 외에도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도 설치되어 있다.참조
[1]
뉴스
[Exclusive Release] Verdict and Truth of the Busan U.S. Cultural Center Arson Case Revealed through Diplomatic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www.cnbcnews.[...]
CNBC News
2016-04-23
[2]
뉴스
South Korea-U.S. Joint Statement
[3]
뉴스
U.S. Consulate in Busan to Open on January 27, Next Year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1984-01-01
[4]
뉴스
Foreign Consulates in Busan <1> U.S. Consulate History
http://www.busan.com[...]
Busan Ilbo
1996-05-08
[5]
뉴스
[American Center Brief History] Used as U.S. Cultural Center Since 49 Years from the Oriental Express Company Building
http://www.busan.com[...]
Busan Ilbo
1999-03-15
[6]
뉴스
U.S. Consulate in Busan to Close Soon, Ambassador Laney Says Due to Budget Cuts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94-02-05
[7]
뉴스
U.S. Consulate in Busan Stops New Visa Issuance
https://newslibrary.[...]
DongA Ilbo
1994-03-12
[8]
뉴스
Busan U.S. Cultural Center closes after 47 years
http://www.busan.com[...]
Busan Daily
1996-09-30
[9]
웹사이트
Timeline: Busan Modern History Museum - Busan City Museum
http://museum.busan.[...]
2020-10-08
[10]
뉴스
Busan U.S. Cultural Center closes after 47 years
https://newslibrary.[...]
Maekyung Economy
1999-05-01
[11]
뉴스
U.S. Consulate in Busan opens in Yangjeong-dong
http://www.busan.com[...]
Busan Daily
2007-10-19
[12]
웹사이트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in Japan
[13]
웹사이트
U.S. Consulate in Busan
https://kr.usembassy[...]
2020-09-23
[14]
뉴스인용
[단독공개]외교부 외교문서 통해 드러난 부산美문화원 방화사건의 판결과 진실
http://www.cnbcnews.[...]
CNBC뉴스
2016-04-23
[15]
뉴스인용
韓美頂上(한미정상)공동聲明(성명) <全文(전문)>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3-11-14
[16]
뉴스인용
부산에 미 총영사관 내년1월27일 개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4-01-01
[17]
뉴스인용
부산의 외국공관 <1> 美 영사관 내력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6-05-08
[18]
뉴스인용
[아메리칸센터 略史]동양척식회사 건물 49년부터 미문화원 사용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9-03-15
[19]
뉴스인용
釜山(부산) 美(미)영사관 곧 폐쇄방침 레이니大使(대사),예산감축 일환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4-02-05
[20]
뉴스인용
釜山(부산) 美(미)영사관 신규 비자發給(발급) 중단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4-03-12
[21]
뉴스인용
부산 美문화원 47년만에 폐쇄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6-09-30
[22]
웹인용
연혁 : 부산광역시 부산근대역사관 - 부산시립박물관
http://museum.busan.[...]
2020-10-08
[23]
뉴스인용
부산 美문화원 47년만에 폐쇄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9-05-01
[24]
뉴스인용
부산 미국 영사관 양정동서 개관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07-10-19
[25]
일반
[26]
웹인용
주부산미국영사관
https://kr.usembassy[...]
2020-09-23
[27]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