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장 (스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장 (스포츠)은 스포츠 팀에서 선수들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며, 감독의 지도 아래 팀을 통솔하고 운영하는 리더이다. 주장은 경기 시작 전 동전 던지기 결정, 심판과의 소통, 선수 격려, 전략 전달 등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며, 팀의 대변인으로서 언론 인터뷰 및 팬들과의 소통에도 참여한다. 스포츠에 따라 주장의 역할과 책임은 다르지만, 팀의 경기력이 좋지 않을 경우 가장 먼저 주목받는 대상이 된다. 축구에서는 팀 주장과 클럽 주장이 존재하며, 미식축구 NFL은 공격, 수비, 스페셜 팀별로 주장을 임명한다. 또한, 프로 스포츠에서는 선수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선수 회장 제도를 운영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주장 (스포츠)

2. 주장의 역할과 책임

스포츠에서 주장은 종목에 관계없이 팀을 대표하고 선수들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감독의 지휘 아래 팀을 통솔하고 운영하며, 뛰어난 리더십이 요구된다.[1] 학생 스포츠에서는 주로 최고 학년 선수 중에서 주장을 선출한다.

주장은 팀의 경기력이 좋지 않을 때 팬, 분석가, 다른 팀들로부터 가장 먼저 주목받는 선수 중 한 명이다.[3] 따라서 팀의 대표로서 경기 결과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팀원들의 사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포츠 팀에서는 주장을 나타내기 위해 유니폼과 별도로 휘장을 부착하기도 한다. 축구에서는 완장 형태의 캡틴 마크를 사용하고, 고교 야구에서는 '주'라고 표시된 아플리케형 주장 마크를 사용한다. 아이스하키에서는 'C'를 본뜬 캡틴 마크를 사용하며, 배구에서는 주장의 유니폼 가슴 번호 아래에 밑줄을 그어 표시한다.

2. 1. 경기 내 역할

주장은 경기 중 심판과 소통하고, 선수들을 격려하며, 전략을 전달하는 등 팀의 경기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1] 크리켓, 배구와 같은 일부 스포츠에서는 경기 시작 전 동전 던지기를 통해 공격/수비 결정권을 갖는다.[1] 축구에서는 주장 완장을 착용하고, 경기 중 팀을 대표하여 심판과 소통한다.[1] 농구에서는 공격과 수비에서 선수들을 지휘하고, 팀의 전술 수행을 돕는다.[1]

스포츠에 따라 주장의 역할은 다르다. 크리켓이나 배구에서는 주장이 동전 던지기를 통해 어느 팀이 먼저 공격 또는 수비를 할지 결정한다.[1] 이 결정은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하다.[1]

주장은 심판이 판정을 설명하거나 반칙을 선언할 때 가장 먼저 찾는 사람이다.[1] 심판은 보통 주장이나 코치를 제외한 다른 선수와는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지 않는다.[1] 주장의 반응은 심판의 진행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장은 침착하고 냉정하게 심판과 대화하여 경기의 정확한 판정을 이끌어내야 한다.[1]

농구팀의 주장은 공격을 지휘하고 수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선수들과 소통해야 한다.[1] NBA에서 주장은 인터뷰를 진행하고, 경기력이 좋지 않을 때 가장 먼저 주목받는 선수이다.[1] 농구에서는 주장이 경기에서 교체될 수 있으며, 항상 코트에 주장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1] 반면 축구에서는 주장이 항상 경기장에 있어야 한다.[1] 일반적으로 축구에서 주장이 교체되면, 비슷한 경력의 선수에게 "주장 완장"이 전달된다.[1]

팀의 경기력이 좋지 않을 때, 팬, 분석가, 다른 팀들은 가장 먼저 주장을 주목한다.[1]

2. 2. 경기 외 역할

주장은 팀의 대변인 역할을 하며, 언론 인터뷰나 팬들과의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팀 내 갈등을 중재하고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NFL에서는 2007-08 시즌부터 공격, 수비, 스페셜 팀별로 주장을 임명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프로 스포츠에는 선수 회장이라는 직책이 존재한다. 선수 회장은 선수를 대표하여 프런트와 교섭하거나 회의에 참가하는 등, 선수 조합의 대표자를 의미한다. 리그 내 선수에 의한 조직(선수회)이 시행되는 경우에 이 제도가 채택되며, 각 팀의 선수 회장이 지부장이 된다.

주장이 선수 회장을 겸임하기도 하고, 주장과는 다른 선수가 선수 회장으로 취임하는 경우도 있으며, 주장 제도가 없고 선수 회장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선수 회장은 팀의 토박이 선수 중에서 선출되는 경우가 많다.

프로레슬링에서도 일부 단체에서 선수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도 선수 회장이 수장이 된다. 선수 회장은 단체 대표(사장 등)를 겸임하는 선수나 선수 대표, 현장 감독 등과는 다른 선수가 맡지만, 프로레슬링 노아처럼 선수 회장이 이사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는 "선수회 흥행"이라고 칭하는 자율 흥행을 여는 단체도 존재하며, 선수 회장이 프로모터를 맡는다.

공영 경기에서도 각각 선수회가 설치되어 있지만, 일본 경륜 선수회의 장은 선수 회장이 아니라 이사장이다.

2. 3. 리더십과 자질

주장은 감독의 지도 아래, 부주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보좌를 받아 팀 또는 클럽·서클을 통솔·운영하며, 뛰어난 리더십이 요구되는 역할이다.[1] 주장은 팀원들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경기 중 심판과 소통하고,[2] 팀의 사기를 관리하는 등 중요한 책임을 맡는다.

스포츠에 따라 주장의 역할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질이 요구된다.

  • 리더십: 주장은 팀을 하나로 묶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끄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스포츠 문화에서는 선후배 관계와 팀워크를 중시하기 때문에, 주장의 리더십은 팀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책임감: 주장은 팀의 대표로서 경기 결과에 대한 책임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 팀의 경기력이 좋지 않을 때, 팬, 분석가, 다른 팀들이 가장 먼저 주목하는 사람 중 하나가 주장이기 때문이다.[3]
  • 소통 능력: 주장은 심판, 코치, 팀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여 팀 내 갈등을 해결하고, 팀워크를 향상시켜야 한다.[2]
  • 경기 이해도: 주장은 해당 스포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기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전략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1]
  • 침착함: 주장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며 팀을 안정시켜야 한다. 심판과 대화할 때도 침착하고 냉정하게 대응하여, 경기의 정확한 판정을 이끌어내야 한다.[2]


스포츠 팀의 유니폼과는 별도로, 주장을 나타내는 휘장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축구에서는 완장형 캡틴 마크, 고교 야구에서는 '주'라고 표기된 아플리케형 주장 마크, 아이스하키에서는 'C'를 모티브로 한 캡틴 마크 등이 사용된다. 배구에서는 주장의 유니폼 가슴 번호 아래에 밑줄을 표시한다.

3. 스포츠별 주장

스포츠 팀에서 팀원을 대표하는 사람을 주장 또는 캡틴이라고 한다. 주장은 감독의 지도 아래, 부주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보좌를 받아 팀을 통솔·운영하며, 뛰어난 리더십이 요구되는 역할이다. 학생 스포츠의 경우, 기본적으로 최고 학년의 선수 중에서 선출된다.

스포츠 팀의 유니폼과는 별도로, 주장을 나타내는 휘장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축구에서의 완장형 캡틴 마크[1], 고교 야구에서의 '주'라고 표기된 아플리케형 주장 마크,[1] 아이스하키의 'C'를 모티브로 한 캡틴 마크 등이 알려져 있다. 배구에서의 주장의 유니폼에는 가슴 번호 아래에 언더라인이 부착된다.

대학 야구나 소년 야구, 소프트볼 등 일부 스포츠에서는 고정된 등번호를 주장용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단체가 있다.[1] (야구의 등번호 참조).

올림픽 선수단에도 주장이 존재한다. 무도 (유도, 검도 등)에서의 '대장'과는 비슷한 듯 다르다.

프로 스포츠에는 선수 회장이라는 직책이 존재한다. 이는 선수를 대표하여 프런트와 교섭하거나 회의에 참가하는 등, 플레이 외적인 부분에서 선수 조합의 대표자 역할을 한다. 리그 내 선수에 의한 조직(선수회)이 시행되는 경우에 이 제도가 채택되며, 각 팀의 선수 회장이 지부장이 된다. 주장이 선수 회장을 겸임하는 경우, 주장과 다른 선수가 선수 회장으로 취임하는 경우, 주장 제도가 없고 선수 회장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선수 회장은 팀의 토박이 선수 중에서 선출되는 경우가 많다.

프로 레슬링에서도 일부 단체에서 선수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수 회장이 수장이 된다. 선수 회장은 단체 대표(사장 등)를 겸임하는 선수나 선수 대표, 현장 감독 등과는 다른 선수가 맡지만, 프로레슬링 노아처럼 선수 회장이 이사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 "선수회 흥행"이라고 칭하는 자율 흥행을 여는 단체도 존재하며, 선수 회장이 프로모터를 맡는다.

공영 경기에서도 각각 선수회가 설치되어 있지만, 일본 경륜 선수회의 장은 선수 회장이 아니라 이사장이다.

3. 1. 축구

축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팀 주장'''과 '''클럽 주장''' 두 종류가 있다. 클럽 주장은 시즌 내내 고정되며, 해당 클럽 소속 경력이 길거나 베테랑 선수, 경기 중 동료 선수들에게 강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선수가 감독에 의해 지명된다. 클럽 주장은 감독과 선수 사이를 조율하고, 경기가 열세일 경우 동료 선수들을 격려하며, 언론과 서포터에게는 선수를 대표하는 대변인 역할도 한다.[1]

팀 주장은 경기(피치) 위 11명의 리더 역할을 한다. 팀 주장은 주장 완장이라고 불리는 암밴드를 착용하고, 경기 시작 전 동전 던지기를 한다.[1] 클럽 주장이 경기에(피치에) 있을 때는 클럽 주장이 이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 클럽 주장이 출전할 수 없을 때는 시즌 내내 고정되어 있는 '''부주장''' ('''바이스 캡틴''')이 팀 주장을 맡는 경우가 많다.[1] AC 밀란의 프랑코 바레시나 파올로 말디니처럼 선수 생활 전부를 한 팀에서 하는 경우도 있다.[1]

3. 2. 야구

일본 고교 야구에서는 주장 마크를 부착하고, 대학 야구, 소년 야구 등에서는 주장용 등번호를 사용하기도 한다.[1]

3. 3. 미식축구

NFL에서는 2007-08 시즌부터 공격, 수비, 스페셜 팀별로 주장을 임명하는 독자적인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1] 구단별로 1~4명을 주장으로 임명한다.[2] 대부분 구단은 주장이 고정되어 있지만, 일부 구단은 매주 주장을 변경하기도 한다.[3]

3. 4. 기타 스포츠

배구에서는 유니폼 가슴 번호 아래에 언더라인을 표시하여 주장을 나타낸다. 아이스하키에서는 'C' 마크를 부착한다. 이 외에도 크리켓, 호주식 축구, 필드하키, 게일식 스포츠, 핸드볼, 럭비 리그, 컬링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주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4. 선수 회장

한편, 프로 스포츠에서는 선수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선수 회장'''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선수 회장은 선수들을 대표하여 구단과 협상하거나, 선수회 활동을 주도한다. 주장과 선수 회장을 겸임하는 경우도 있지만, 별도로 선출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레슬링의 경우, 프로레슬링 노아와 같이 선수 회장이 이사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으며, 선수회 주최 흥행을 개최하기도 한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kipper" Definitions https://www.wordnik.[...] Wordnik 2015-01-31
[2] 뉴스 Oy, oy captain! Picking captains can give coaches headaches https://www.usatoday[...] 2017-08-19
[3] 뉴스 Forget charisma and skill — the captains of the best teams in sports history shared 7 subtle traits http://www.businessi[...] 2018-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