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무늬사향고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무늬사향고양이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옅은 갈색, 회색, 흰색 또는 황토색 털과 7~8개의 짙은 줄무늬를 특징으로 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주로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수마트라, 보르네오 등지에 분포한다. 야행성이며 육식성으로,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고, 꼬리를 부풀려 위협에 대응한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이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르네오섬의 포유류 - 수마트라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코뿔소 종으로,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보르네오섬의 포유류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37년 기재된 포유류 - 민발바닥토끼쥐
- 1837년 기재된 포유류 - 워일리
워일리는 캥거루쥐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호주 남서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균류를 섭취하며 생태계 유지에 기여하며, 붉은여우와 들고양이 등의 포식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줄무늬사향고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emigalus derbyanus |
명명자 | (Gray, 1837) |
속 | Hemigalus (줄무늬사향고양이속) |
속 명명자 | Jourdan, 1837 |
이전 학명 | Paradoxurus derbyanus |
한국어 이름 | 줄무늬사향고양이 |
인도네시아어 이름 | Musang Belang (무상 벨랑) |
![]() | |
아종 | |
아종 목록 | H. d. derbyanus (Gray, 1837) H. d. boiei (Muller, 1838) H. d. minor (Miller, 1903) H. d. sipora (Chasen & Kloss, 1927)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NT (준위협) |
CITES | 부속서 II |
분류학적 정보 | |
목 | 식육목 |
아목 | 고양이아목 |
하목 | 사향고양이하목 |
과 | 사향고양이과 |
아과 | 줄무늬사향고양이아과 |
참고 자료 |
2. 계통 분류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31]
{| class="wikitable"
|+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사향고양이과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줄무늬사향고양이
|-
|
|}
|-
| 사향고양이아과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인도사향고양이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아프리카시벳
|-
| 사향고양이속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존스턴제넷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서발린제넷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케이프제넷
|-
| 유럽제넷
|-
|
|}
|}
|}
|}
|}
|}
|}
줄무늬사향고양이속은 1837년 클로드 조르당이 처음 명명하고 기술했다.[4] 같은 해,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 표본을 ''Paradoxurus derbyanus''와 ''Paradoxurus derbianus''라는 이름으로 기술했다.[5][6] 1939년,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는 1837년에서 1915년 사이에 기술된 줄무늬사향고양이 표본을 줄무늬사향고양이속으로 분류하고, 이 속이 단일 종으로 구성([단형 분류군])되었음을 확인했다.[7]
이 종은 호스사향고양이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9]
2. 1. 하위 분류
다음과 같은 네 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0]아종 | 분포 지역 |
---|---|
H. d. derbyanus | 미얀마, 말레이시아 반도, 수마트라 |
H. d. boiei | 보르네오 |
H. d. minor | 남파가이, 멘타와이 제도 |
H. d. sipora | 시포라, 멘타와이 제도 |
미얀마, 태국,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멘타와이 제도, 보르네오가 원산지이며 해발 1660m 고도까지 서식한다.[1]
시베루트 섬에도 개체군이 있지만, 어떤 아종에 속하는지 불분명하다.[10]
아종 간의 분화 시기는 약 27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11]
3. 형태
줄무늬사향고양이의 털은 보통 옅은 갈색, 회색, 흰색 또는 황토색과 같이 옅은 색을 띠며, 노란색을 띨 수도 있다. 얼굴과 등에 7~8개의 짙은 갈색, 검은색 또는 밤색 줄무늬가 있다.[12][13][7][14] 몸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최대 53cm까지 자라며, 몸무게는 1kg에서 3kg으로 집고양이와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3] 꼬리는 보통 몸과 머리를 합친 길이의 4분의 3 정도이며,[7] 위협을 느끼면 크기가 부풀어 오른다. 발바닥 사이에는 먹이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민감한 털이 있다.[13]
4. 분포 및 서식지
미얀마에서는 20세기 초부터 1960년대 사이에 단 두 개체만 기록되었는데, 둘 다 극남부에 있었다.[15] 2022년에는 탄닌타리 지역의 보호림에서 카메라 트랩에 처음으로 포착되었다.[16]
태국에서는 1996년부터 2013년까지 클롱 생 야생동물 보호구역, 카오 속 국립공원, 쿠이 부리 국립공원, 할라-발라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카메라 트랩 조사를 통해 사진이 촬영되었는데, 모두 해발 162m의 상록수림에서였다.[17]
말레이 반도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테렝가누의 언덕이 많은 딥테로카르푸스 숲에서 조사하는 동안 단 두 곳에서만 기록되었다.[18]
수마트라에서는 케린치 세블랏 국립공원의 원시림 해발 150m에서 기록되었으며, 서해안에서는 800m에서도 기록되었다.[19] 부킷 바리산 셀라탄 국립공원에서는 2011년 해발 800m의 원시 상록수림에서 사진이 촬영되었다.[20] 사우스 솔록 군에서는 2015년 케린치 세블랏 국립공원 인근 야자유 농장 내 숲 조각에서 기록되었다.[21]
20세기 초 싱가포르에서는 지역 멸종되었다.[13]
5. 생태
줄무늬사향고양이는 야행성이며, 낮에는 나무 구멍에서 휴식을 취한다.[3] 단독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활동 영역은 다른 사향고양이, 설치류, 구름표범 등과 겹친다.[13]
포식자나 다른 위협에 대응하여, 줄무늬사향고양이는 꼬리를 부풀린다.[13]
5. 1. 먹이
줄무늬사향고양이는 육식성이며, 갑각류, 개미, 거미, 벌레, 쥐, 개구리, 작은 파충류, 새 등 다양한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13] 때때로 채소와 과일을 먹기도 한다.[13]
12개의 배설물 샘플에서 벌레, 메뚜기목 곤충 및 무척추동물이 발견되었다.[22]
물 근처나 숲 바닥을 돌아다니며 사냥한다.[3] 큰 먹이를 공격하기 위해 희생자의 목 뒤를 물고 격렬하게 흔든 다음, 앞발로 먹이를 잡고 이빨로 공격한다.[23]
5. 2. 번식
암컷은 1년에 한두 번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32일에서 64일까지 다양하다.[23] 야생에서는 최대 12년까지 살지만, 포획된 한 사향고양이는 18년 동안 산 것으로 기록되었다.[22]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25g이며, 보통 태어난 지 8~12일 후에 처음으로 눈을 뜬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최대 70일 동안 젖을 먹는다.[23] 줄무늬사향고양이의 세대 길이는 5년이다.[1]
5. 3. 건강
두 마리의 보르네오 북부 로드킬 줄무늬사향고양이의 장 내용 분석 결과, 선충, 흡충의 알, 진드기 및 요충을 포함한 다양한 기생충이 발견되었다.[24]
6. 위협 요인
벌목으로 인한 자연 서식지 손실 및 파괴, 그리고 농업, 농장 및 댐 건설로의 전환이 줄무늬사향고양이의 주요 위협이다.[1] 사바 지역 주민들은 줄무늬사향고양이를 사냥하여 식용으로 소비한다.[1] 이들이 선호하는 서식지인 저지대 숲은 이러한 위협에 특히 취약하다.[9] 2016년에는 불과 3세대 만에 개체수가 3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25] 2022년에는 개체수가 IUCN 적색 목록 분포의 21%까지 감소한 것으로 추산되었다.[13]
일부 사람들은 애완동물로 기르기 위해 자연 서식지에서 줄무늬사향고양이를 포획하기도 한다.[26]
7.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전 세계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ITES 부속서 II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1] 추정 서식 범위의 약 24%가 보호 구역에 속한다.[9] 그러나 2022년의 후속 연구에서는 그 값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했다.[13]
참조
[1]
간행물
Hemigalus derbyanus
2015
[2]
MSW3
[3]
웹사이트
Wildlife of RER: Banded Palm Civet
https://www.rekofore[...]
2021
[4]
학술지
Mémoire sur deux mammifères nouveaux de l'Inde, considérés comme types des deux genres voisins des Paradoxures, genres ''Hémigale'' et ''Ambliodon''
http://gallica.bnf.f[...]
[5]
학술지
Description of some new and little known Mammalia, principally in the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archive.org/[...]
[6]
학술지
On a new species of Paradoxure (''Paradoxurus Derbianus''), with remarks on some Mammalia recently purchased by the British Museum, and characters of the new species
https://archive.org/[...]
[7]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8]
웹사이트
Wildlife of RER: Banded Palm Civet
https://www.rekofore[...]
2021
[9]
학술지
Predicted distributions and conservation status of two threatened Southeast Asian small carnivores: the banded civet and Hose's civet
2013
[10]
학술지
Molecular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the Hemigalinae civets (Mammalia, Carnivora)
https://europeanjour[...]
2017
[11]
학술지
Mentawai's endemic, relictual fauna: is it evidence for Pleistocene extinctions on Sumatra?: Mentawai's fauna indicates extinctions on Sumatra
https://repository.s[...]
2012
[12]
학술지
Chromosome studies in the Banded Palm Civet, Hemigalus derbyanus Thomas, 1915 (Carnivora, Viverridae) by conventional staining, GTG-Banding and high-resolution techniques
https://www.jstage.j[...]
2011
[13]
학술지
The ecology of the banded civet (Hemigalus derbyanus) in Southeast Asia with implications for mesopredator release, zoonotic diseases, and conservation
2022
[14]
학술지
Coat colour variation in the banded palm civet Hemigalus derbyanus and in Owston's civet Chrotogale owstoni
https://www.research[...]
2004
[15]
학술지
Status and distribution of small carnivores in Myanmar
https://smallcarnivo[...]
[16]
학술지
First camera-trap evidence of banded civet Hemigalus derbyanus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in Myanmar
[17]
학술지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small carnivores in Thailand: a baseline review
https://smallcarnivo[...]
[18]
학술지
Small carnivore records from a threatened habitat linkage in Terengganu, Peninsular Malaysia
https://www.research[...]
[19]
학술지
Small carnivores in central Sumatra
https://smallcarnivo[...]
[20]
학술지
Records of small carnivores from Bukit Barisan Selatan National Park, southern Sumatra, Indonesia
https://www.research[...]
[21]
학술지
Activity pattern and habitat profile of small carnivores in an oil palm landscape
http://jinh.fmipa.un[...]
[22]
서적
Walker's Carnivor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5
[23]
웹사이트
Hemigalus derbyanus (banded palm civet)
https://animaldivers[...]
[24]
학술지
Parasites of civets (Mammalia, Viverridae) in Sabah, Borneo: A coprological survey
https://academicwork[...]
2012
[25]
학술지
Predicted distribution of the banded civet Hemigalus derbyanus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on Borneo
https://lkcnhm.nus.e[...]
2016
[26]
웹사이트
Banded palm civet
https://indonesia.wc[...]
[27]
MSW3
[28]
IUCN
Hemigalus derbyanus
[29]
문서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http://www.archive.o[...]
1939
[30]
문서
Mémoire sur deux mammifères nouveaux de l'Inde, considérés comme types des deux genres voisins des Paradoxures, genres Hémigale et Ambliodon
http://gallica.bnf.f[...]
1837
[31]
저널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