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대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 (대전 선거구)는 대전광역시 중구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9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된 후,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중구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강창희, 권선택, 이은권, 황운하, 박용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선거구 - 서구 갑 (대전)
대전 서구 갑은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복수동, 도마동 등 초기 관할 지역에 내동, 관저동이 추가되었으며, 박병석 의원이 6선, 2024년에는 장종태 후보가 당선되는 등 민주당 계열의 강세 지역이다. - 대전광역시의 선거구 - 서구 을 (대전)
대전 서구 을은 1996년 15대 총선 때 서구·유성구에서 분리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용문동, 탄방동, 둔산동, 갈마동, 월평동 등을 관할하며 다양한 정당 후보가 당선되었고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하다. - 대전 중구의 정치 - 대전 중구청장 선거
대전 중구청장 선거는 1995년부터 대전광역시 중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전성환, 김성기, 이은권, 박용갑, 김광신, 김제선 등이 중구청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18년 박용갑 후보의 당선과 2022년 김광신 후보의 당선을 통해 정권 교체의 영향을 보여주었고, 가장 최근 2024년에는 김제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전 중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 중구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 중구의회는 대전 중구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 결과를 담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7석, 자유한국당이 5석을 차지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수성구 갑
수성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범어, 만촌, 황금, 고산 등의 지역을 관할하며, 박철언, 김부겸, 주호영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중구 (대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대전시 중구 대덕군·연기군 |
연도 | 1992 |
의원 | 박용갑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89년 1월 1일을 기해 충청남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에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전시 중구 선거구가 중구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3. 관할 구역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92년 무소속 강창희 1996년 자유민주연합 2000년 자유민주연합 2004년 열린우리당 권선택 2008년 자유선진당 2012년 새누리당 강창희 2016년 새누리당 이은권 2020년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2024년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표)
선거 | 정당 | 의원 |
---|---|---|
1992년 | 무소속 | 강창희 |
1996년 | 자유민주연합 | 강창희 |
2000년 | 자유민주연합 | 강창희 |
2004년 | 열린우리당 | 권선택 |
2008년 | 자유선진당 | 권선택 |
2012년 | 새누리당 | 강창희 |
2016년 | 새누리당 | 이은권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황운하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박용갑 |
5. 역대 선거 결과
1989년 1월 1일을 기해 충청남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전시 중구 선거구가 중구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이후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강창희 | 무소속 | 46,533 | 34.77%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강창희 | 자유민주연합 | 62,716 | 58.51%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강창희 | 자유민주연합 | 41,687 | 45.65%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권선택 | 열린우리당 | 60,046 | 52.19%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권선택 | 자유선진당 | 45,148 | 47.87%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강창희 | 새누리당 | 48,934 | 42.73%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이은권 | 새누리당 | 48,465 | 41.64%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황운하 | 더불어민주당 | 66,306 | 50.30%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박용갑 | 더불어민주당 | 66,509 | 52.08% |
5. 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강창희 후보가 34.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창희 | 무소속 | 46,533 | 34.77 |
김홍만 | 민주자유당 | 29,438 | 21.99 |
송두영 | 통일국민당 | 24,542 | 18.34 |
류인범 | 민주당 | 24,069 | 17.98 |
이선우 | 무소속 | 3,408 | 2.54 |
박종배 | 무소속 | 2,957 | 2.20 |
정희원 | 신정치개혁당 | 2,164 | 1.61 |
송재호 | 무소속 | 704 | 0.52 |
합계 | 133,815 | 100 |
5.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전광역시 중구 선거구에서는 자유민주연합 강창희 후보가 58.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창희 | 자유민주연합 | 62,716 | 58.51 |
안양로 | 신한국당 | 16,406 | 15.30 |
신제철 | 새정치국민회의 | 12,395 | 11.56 |
송두영 | 무소속 | 4,799 | 4.47 |
김홍철 | 통합민주당1995 | 4,598 | 4.29 |
김홍만 | 무소속 | 4,532 | 4.22 |
김종길 | 무소속 | 615 | 0.57 |
이종오 | 무소속 | 566 | 0.52 |
송재호 | 대한민주당 | 551 | 0.51 |
합계 | 107,178 | 100.00 |
5. 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강창희 후보가 45.6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자유민주연합 | 강창희 | 41,687 | 45.65% |
새천년민주당 | 전성환 | 25,322 | 27.73% |
한나라당 | 인창원 | 15,610 | 17.09% |
무소속 | 신제철 | 4,601 | 5.03% |
민주국민당2000 | 박천일 | 1,609 | 1.76% |
희망의한국신당 | 김준회 | 1,366 | 1.49% |
무소속 | 이종오 | 1,108 | 1.21% |
합계 | 91,303 | 100% |
5. 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권선택 후보가 52.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선택 | 열린우리당 | 60,046 | 52.19 |
강창희 | 한나라당 | 38,457 | 33.42 |
박영철 | 자유민주연합 | 13,028 | 11.32 |
박천일 | 새천년민주당 | 3,507 | 3.04 |
합계 | 115,038 | 100 |
5. 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권선택 후보가 한나라당 강창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권선택 후보는 45,148표(47.87%)를 득표했으며, 강창희 후보는 37,258표(39.50%)를 얻었다.
5. 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광역시 중구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209,551명이었다. 총 투표수는 114,503표였다.
5. 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은권 후보가 41.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송행수 후보는 33.87%, 국민의당 유배근 후보는 22.05%, 무소속 송미림 후보는 2.41%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은권 | 새누리당 | 48,465 | 41.64% |
송행수 | 더불어민주당 | 39,423 | 33.87% |
유배근 | 국민의당 | 25,663 | 22.05% |
송미림 | 무소속 | 2,813 | 2.41% |
합계 | 116,364 | 100% |
5. 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후보가 50.30%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5. 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광역시 중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후보가 52.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이은권 후보는 47.91%를 득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