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 티베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하여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특히 국경 지역과 네팔에서 다양성이 두드러진다. 왈룽충 골라어, 훔라 티베트어, 셰르파어 등이 포함되며, 바숨어는 가장 차이가 큰 방언으로 별개의 언어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앙 티베트어는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 중앙 티베트어의 자음 및 모음 체계는 국제 음성 기호, 티베트 문자,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티베트어 병음을 통해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중앙 티베트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중앙 티베트어
다른 이름위짱
고유 이름དབུས་སྐད་ (Dbus skad) / Ükä, དབུས་གཙང་སྐད་ (Dbus-gtsang skad) / Ü-tsang kä
발음wýkɛʔ, wýʔtsáŋ kɛʔ
사용 국가인도, 네팔, 중국 (티베트 자치구)
주요 사용 지역티베트 자치구
사용자 수122만 3400명 (1990–2014년)
문자 체계티베트 문자
언어학적 분류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파
어군티베트카나우리어군(?)
하위 어군보드어군
하위 언어티베트어군
표준 및 방언
표준어라세티아어, 표준 티베트어
방언라싸 티베트어
돌포어
훔라어, 리미어
로미어 (싱 사파)
무곰 방언 (무구)
누브리어
왈룽게어 (골라)
로와/로케어 (무스탕)
티추롱어
언어 코드
ISO 639-1bo
ISO 639-2btib
ISO 639-2tbod
ISO 639-3bod
글롯로그tibe1272 (티베트어), sout3216 (남서부 티베트어, 부분 일치), basu1243 (바숨어)
에스놀로그4918 (왈룽게어), 4105 (돌포어), 5642 (로미어)
기타
티베트 문자로 쓰인 언어 이름
티베트 문자로 쓰인 언어 이름
싱사바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아틀라스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됨.
싱사바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아틀라스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됨.

2. 방언

드부스(Ü)와 츠앙(Tsang)은 라싸 방언(Lhasa)을 포함하여,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많은 중앙 티베트어가 있으며, 특히 국경 지역과 네팔에서 다양성이 두드러진다.[1] 리미어(Limirong), 무곰 방언(Mugom dialect), 돌포어(Dolkha), 무스탕어(Lowa, Lokä), 훔라 티베트어(Humla Tibetan language), 누브리어(Nubri (language)), 롬어(Lhomi), 드로그파이 골라어(Dhrogpai Gola), 왈룽충 골라어(Walungchung Gola)(Walungge/Halungge), 체쿠어(Tseku language) 등이 이에 속한다.[1] 바숨어(Basum language)는 가장 차이가 큰 방언으로, 별개의 언어일 가능성도 제기된다.[1]

Ethnologue는 왈룽게어가 투담어와 매우 상호 이해 가능하다고 보고한다.

Glottolog는 이러한 남서 티베트어들을 중앙 티베트어 내의 별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지만, 투담어는 별개의 방언이 아니라고 한다. 반대로 Glottolog는 바숨어를 중앙 티베트어로 분류하지 않고 티베트어군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언어로 남겨둔다.

Tournadre (2013)는 체쿠어(Tseku language)를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와 분류한다.[1]

중앙 티베트어는 암도 티베트어(Amdo Tibetan)와 70%의 어휘 유사성을,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2]

중앙 티베트 방언에 대한 비교 조사인 Qu & Jing (2017)은 라싸 방언(Lhasa), 시가쩌 방언(Shigatse), 가르 방언(Gar), 셰르파어(Sherpa language), 바숨어(Basum language), 게르쩌 방언(Gertse), 그리고 나크추 방언(Nagqu) 변종을 기록하고 있다.[3]

2. 1. 주요 방언군

드부스(Ü)와 츠앙(Tsang)은 라싸 방언(Lhasa)을 포함하여,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많은 중앙 티베트어가 있으며, 특히 국경 지역과 네팔에서 다양성이 두드러진다. 리미어(Limirong), 무곰 방언(Mugom dialect), 돌포어(Dolkha), 무스탕어(Lowa, Lokä), 훔라 티베트어(Humla Tibetan language), 누브리어(Nubri (language)), 롬어(Lhomi), 드로그파이 골라어(Dhrogpai Gola), 왈룽충 골라어(Walungchung Gola)(Walungge/Halungge), 체쿠어(Tseku language) 등이 이에 속한다. 바숨어(Basum language)는 가장 차이가 큰 방언으로, 별개의 언어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응아리 지구(Ngari Prefecture) 티베트어'''(Ngari Tibetan)는 티베트 자치구 응아리 지구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전통적으로 드부스츠앙의 변종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게르제 티베트어(Gêrzê Tibetan)와 나그추 티베트어(Nagqu Tibetan)와 같은 서부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 변종들도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1846년 영국의 스피티(Spiti) 침략 이후 인도가 관리하는 티베트에서는 관련 방언이 라훌리어와 스피티어로 알려져 있다.

중앙 티베트어는 암도 티베트어(Amdo Tibetan)와 70%의 어휘 유사성을, 캄 티베트어(Khams Tibetan)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중앙 티베트 방언에 대한 비교 조사에서는 라싸 방언(Lhasa), 시가쩌 방언(Shigatse), 가르 방언(Gar), 셰르파어(Sherpa language), 바숨어(Basum language), 게르쩌 방언(Gertse), 그리고 나크추 방언(Nagqu) 변종을 기록하고 있다.

2. 2. 방언 간 관계

2. 3. 어휘 유사성

2. 4. 방언 비교 조사 (Qu & Jing, 2017)

3. 음운

중앙 티베트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IPA티베트 문자웨이드-자일스 표기법티베트어 병음
k카/ཀ་bokg
카/ཁ་bo 가/ག་bokh, gk
ŋ응아/ང་bongng
차/ཅ་bocj
tɕʰ차/ཆ་bo 자/ཇ་boch, jq
ɲ냐/ཉ་bonyny
t따/ཏ་botd
타/ཐ་bo 다/ད་both, dt
n나/ན་bonn
p빠/པ་bopb
파/ཕ་bo 바/བ་boph, bp
m마/མ་bomm
ts짜/ཙ་botsz
tsʰ차/ཚ་bo 자/ཛ་botsh, dzc
w와/ཝ་boww
ɕ샤/ཞ་bo 샤/ཤ་bozh, shx
s사/ཟ་bo 싸/ས་boz, ss
j야/ཡ་boyy
ɹ라/ར་borr
l라/ལ་boll
h하/ཧ་bohh
c갸/ཀྱ་bogygy
캬/ཁྱ་bo 갸/གྱ་bokyky
따/ཀྲ་bokrzh
tʂʰ타/ཁྲ་bo 다/གྲ་bokhr, grch
ʂ샤/ཧྲ་bohrsh
ɬ라/ལྷ་bolhlh



티베트 문자 འ는 일반적으로 로마자로 표기되지 않으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를 사용한다.

== 모음 ==

aauag
ags

aŋs
ab
abs
am
ams
aral
ai
ad
as
an
aauagabamarai/äai/äain/än
i
il
ai
iu
eu
ig
igs

iŋs
ib
ibs
im
ims
irid
is
in
iiuigibimiriin
uug
ugs

uŋs
ub
ubs
um
ums
urul
ui[5]
ud
us
un
uugubumurüüün
e
el
ei
eg
egs

eŋs
eb
ebs
em
ems
ered
es
en
êêgêŋêbêmêrêên
oog
ogs

oŋs
ob
obs
om
oms
orol
oi
od
os
on
oogobomoroi/öoi/öoin/ön



"ai, ain, oi, oin"은 "ä, än, ö, ön"으로도 표기된다.

3. 1. 자음

중앙 티베트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IPA티베트 문자웨이드-자일스 표기법티베트어 병음
k카/ཀ་bokg
카/ཁ་bo 가/ག་bokh, gk
ŋ응아/ང་bongng
차/ཅ་bocj
tɕʰ차/ཆ་bo 자/ཇ་boch, jq
ɲ냐/ཉ་bonyny
t따/ཏ་botd
타/ཐ་bo 다/ད་both, dt
n나/ན་bonn
p빠/པ་bopb
파/ཕ་bo 바/བ་boph, bp
m마/མ་bomm
ts짜/ཙ་botsz
tsʰ차/ཚ་bo 자/ཛ་botsh, dzc
w와/ཝ་boww
ɕ샤/ཞ་bo 샤/ཤ་bozh, shx
s사/ཟ་bo 싸/ས་boz, ss
j야/ཡ་boyy
ɹ라/ར་borr
l라/ལ་boll
h하/ཧ་bohh
c갸/ཀྱ་bogygy
캬/ཁྱ་bo 갸/གྱ་bokyky
따/ཀྲ་bokrzh
tʂʰ타/ཁྲ་bo 다/གྲ་bokhr, grch
ʂ샤/ཧྲ་bohrsh
ɬ라/ལྷ་bolhlh



티베트 문자 འ는 일반적으로 로마자로 표기되지 않으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를 사용한다.

3. 2. 모음

agsaŋ
aŋsab
absam
amsaral
aiad
asanaauagaŋabamarai/äai/äain/äni
il
aiiu
euig
igsiŋ
iŋsib
ibsim
imsirid
isiniiuigiŋibimiriinuug
ugsuŋ
uŋsub
ubsum
umsurul
ui[5]ud
usunuuguŋubumurüüüne
el
eieg
egseŋ
eŋseb
ebsem
emsered
esenêêgêŋêbêmêrêênoog
ogsoŋ
oŋsob
obsom
omsorol
oiod
osonoogoŋobomoroi/öoi/öoin/ön



IPA웨이드-자일스티베트어 병음IPA웨이드-자일스티베트어 병음
[a]aacolspan =3 |
[ɛ]al, a'iai/ä[ɛ̃]anain/än
[i]i, il, i'ii[ĩ]inin
[u]uucolspan=3 |
[y]ul, u'iü[ỹ]unün
[e]e, el, e'iê[ẽ]enên
[o]oocolspan= 3 |
[ø]ol, o'ioi/ö[ø̃]onoin/ön



"ai, ain, oi, oin"은 "ä, än, ö, ön"으로도 표기된다.

3. 2. 1. 단모음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2. 비모음

"ai, ain, oi, oin"은 "ä, än, ö, ön"으로도 표기된다.

3. 2. 3. 이중 모음

wikitable

IPA웨이드-자일스 표기법티베트어 병음
[au]a'uau
[iu]iu, euiu


3. 2. 4. 말자음

wikitable

IPA웨이드-자일스티베트어 병음
[ʔ]d, s없음
[n]n
[k/ʔ]g, gsg
[ŋ]ng, ngsng
[p]b, bsb
[m]m, msm
[r]rr


4. 문법

현대 라싸 티베트어 문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현대 라싸 티베트어 문법 문서를 참고한다.

참조

[1] 간행물 L'aire linguistique tibétaine et ses divers dialectes http://www.nicolas-t[...]
[2] 웹사이트 China https://web.archive.[...] 2016-09-09
[3] 서적 Zangyu Weizang fangyan yanjiu 藏语卫藏方言研究 Zhongguo Zangxue chubanshe 中国藏学出版社
[4] 논문 西藏的语言多样性及其分类 2022-06
[5] 문서 특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