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티베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 티베트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로, 라싸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자음, 모음, 성조, 문법 체계를 갖춘다. 7세기에 인도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음절 문자를 사용하며,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SOV 어순을 따른다. 현대에는 중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교육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8, 19세기에 서양 언어학자들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다양한 연구와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표준 티베트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라싸 티베트어 |
고유어 | བོད་སྐད་ (보드 스카드) |
로마자 표기 | Lhaséké (라쎄께), Böké (뵈께), Pögä (푀개) |
발음(IPA) | /pʰø̀k˭ɛʔ/ |
문자 | བོད་ཡིག་ (보드익), 티베트 문자, 티베트 점자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
지역 | 티베트 자치구, 우-창 |
모어 화자 | 120만 명 (1990년 인구 조사 기준) |
언어 계통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티베트-버마어파 |
어군 | 티베트-카나우리어군(?) |
어계 | 보드어군 |
언어 | 티베트어 |
하위 언어 | 중앙 티베트어 |
조상 언어 | 고대 티베트어, 고전 티베트어 |
언어 코드 | |
ISO 639-1 | bo |
ISO 639-2b | tib |
ISO 639-2t | bod |
ISO 639-3 | bod |
Linguist List | 70-AAA-ac |
Glottolog | tibe1272 |
표준화 | |
표준화 기구 | 전국 티베트어 표준화 위원회 |
추가 정보 | |
참고 | 스코트 딜랜시, The Sino-Tibetan Languages, 2nd edition (2017), Chapter 19: Lhasa Tibetan 2009년 3월 2일 중국 정부 공식 사이트 기사 Fifty Years of Democratic Reform in Tibet 콘촉겔렉, Variation, contact, and change in language: Varieties in Yul shul (northern Kham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017 찰린 매클리 외, The Amdo Dialect of Labrang,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1999 제르마이 J. 레이놀즈,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in an Amdo Tibetan village: Gender, education and resistance, Georgetown University, 2012 |
2. 문자
티베트 문자는 7세기 초 인도계 문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표음문자로, 30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 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 문자를 사용하여 쓰이며, 역사적으로 보수적인 철자법을 가지고 있어 고대 티베트어 음운론을 반영하고 티베트어 사용 지역의 통합에 기여한다. 또한 원시 중국-티베트어와 고대 중국어를 재구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3]
티베트 문자는 음절 문자이며, 기원은 브라흐미 문자이다.[34]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Windows XP 및 Mac OS X에서 사용 가능하다.
티베트 철자법의 음절 구조는 (C1C2)C3(C4)V(C5C6)이다.[15] 모든 조합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 C1 | C2 | C3 | C4 | V | C5 | C6 |
---|---|---|---|---|---|---|---|
이름 | 접두사 | 상위 접두사 | 어근 | 하위 접두사 | 모음 | 접미사 | 제2 접미사 |
허용되는 문자 | ག ད བ མ འ | ར ལ ས | 모든 자음 | ཡ ར ཝ ལ | 모든 모음 | ག མ ང ད ལ ས ན བ ར འ | ས |
2. 1. 자음
티베트 문자는 음절 문자이며, 기원은 브라흐미 문자이다.[34] 티베트 문자를 라틴 문자로 전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통일되어 있지 않다.티베트 문자는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Windows XP 및 Mac OS X에서 사용 가능하다.
30개의 기본 자모가 있으며, 각 기본 자모의 발음으로 라싸 방언의 발음을 함께 표기한다.[35]
첫 번째 열 | 두 번째 열 | 세 번째 열 | 네 번째 열 | ||||
---|---|---|---|---|---|---|---|
ཀ | 카 | ཁ | 카 | ག | 카 | ང | 응아 |
ཅ | 차 | ཆ | 차 | ཇ | 차 | ཉ | 냐 |
ཏ | 따 | ཐ | 타 | ད | 타 | ན | 나 |
པ | 빠 | ཕ | 파 | བ | 파 | མ | 마 |
ཙ | 짜 | ཚ | 차 | ཛ | 차 | ཝ | 와 |
ཞ | 샤 | ཟ | 싸 | འ | 아 | ཡ | 야 |
ར | 라 | ལ | 라 | ཤ | 샤 | ས | 싸 |
ཧ | 하 | ཨ | 아 | colspan=4| |
2. 2. 모음
티베트 문자는 음절 문자이며, 브라흐미 문자에서 기원하였다.[34] 티베트 문자의 기본 자모는 30개이며, 각 자모에 대응하는 라싸 방언 발음은 다음과 같다.[35]첫 번째 열 | 두 번째 열 | 세 번째 열 | 네 번째 열 | ||||
---|---|---|---|---|---|---|---|
ཀ | ka | ཁ | kha | ག | kha | ང | nga |
ཅ | ca | ཆ | cha | ཇ | cha | ཉ | nya |
ཏ | ta | ཐ | tha | ད | tha | ན | na |
པ | pa | ཕ | pha | བ | pha | མ | ma |
ཙ | tsa | ཚ | tsha | ཛ | tsha | ཝ | wa |
ཞ | sha | ཟ | sa | འ | a | ཡ | ya |
ར | ra | ལ | la | ཤ | sha | ས | sa |
ཧ | ha | ཨ | a |
2. 3. 표기법
티베트어는 인도 문자를 사용하여 쓰이며, 역사적으로 보수적인 철자법을 가지고 있어 고대 티베트어 음운론을 반영한다.[13]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티베트어를 표기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 방식은 와일리 표기법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티베트어 병음을 공식 로마자 표기 시스템으로 사용하며, 영어 자료에서는 THL 표기법[14]을 사용한다. 에베레스트 산을 ''초모룽마''라고 하는 것처럼 특정 이름은 불규칙적인 표기법을 유지하기도 한다.
티베트 철자법의 음절 구조는 (C1C2)C3(C4)V(C5C6)이다.[15]
위치 | C1 | C2 | C3 | C4 | V | C5 | C6 |
---|---|---|---|---|---|---|---|
이름 | 접두사 | 상위 접두사 | 어근 | 하위 접두사 | 모음 | 접미사 | 제2 접미사 |
허용되는 문자 | ག ད བ མ འ | ར ལ ས | 모든 자음 | ཡ ར ཝ ལ | 모든 모음 | ག མ ང ད ལ ས ན བ ར འ | ས |
티베트 문자는 음절 문자이며, 기원은 브라흐미 문자이다.[34] 라틴 문자로 전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통일되어 있지 않다. 티베트 문자는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30개의 기본 자모가 있으며, 각 기본 자모의 발음으로 라싸 방언의 발음을 함께 표기한다.[35]
첫 번째 열 | 두 번째 열 | 세 번째 열 | 네 번째 열 | ||||
---|---|---|---|---|---|---|---|
ཀ | ka | ཁ | kha | ག | kha | ང | nga |
ཅ | ca | ཆ | cha | ཇ | cha | ཉ | nya |
ཏ | ta | ཐ | tha | ད | tha | ན | na |
པ | pa | ཕ | pha | བ | pha | མ | ma |
ཙ | tsa | ཚ | tsha | ཛ | tsha | ཝ | wa |
ཞ | sha | ཟ | sa | འ | a | ཡ | ya |
ར | ra | ལ | la | ཤ | sha | ས | sa |
ཧ | ha | ཨ | a |
티베트어를 다른 언어의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은 발음을 적는 전사와 철자를 적는 음역이라는 두 가지 체계로 나뉜다.
'''전사 체계'''
'''음역 체계'''
- 와일리 확장 방식
- 다스식
3. 음운
표준 티베트어는 성조어이며, 라싸 방언에는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두 가지 성조가 있다. 단음절 단어에서 고조는 평조(平調)와 하강조(下降調)로, 저조는 평조와 상하조(上下調)로 실현될 수 있다. 음조의 차이만으로 구분되는 단어쌍은 매우 적다.[17] 예를 들어 'kham'(ཁམ་|캄bo, '평화')은 고평조([kʰám])로, 'Khams'(ཁམས་|캄bo, 지명)은 고하강조([kʰâm])로 발음된다.[17]
복음절 단어에서는 첫 음절의 성조만 중요하며, 나머지 음절의 성조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티베트어는 엄밀한 의미의 성조 언어라기보다는 고저 악센트 언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17]
투르나드르(Tournadre)와 상다 도르제(Sangda Dorje)는 표준 티베트어에 8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고 보았다.[16]
이 외에 3개의 모음 (혹은 ), , 가 추가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은 각각 , , 의 이음으로, 주로 폐음절에서 나타난다.[16] 예를 들어 'zhabs'(발)는 로, 'pad'(연꽃)는 로 발음되지만, 합성어 'zhabs pad'는 로 발음된다.[16]
모음의 길이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나타난다. 고전 티베트어 접미사의 동화로 인해 단어 마지막에 장모음이 나타나기도 하고, 구어에서는 음절 끝의 과 이 모음의 장음화로 바뀌기도 한다.[16]
, , , , 모음은 각각 비음화된 형태인 , , , , 를 가지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 등에서 유래했다. 드물게 , , 모음도 비음화될 수 있다.[16]
표준 티베트어(라싸 방언)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colspan=3 row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기식음 | 기식음 | 비기식음 | 기식음 | 비기식음 | 기식음 | 비기식음 | 기식음 | 비기식음 | 기식음 | ||||
비음 | |||||||||||||
파열음 | rowspan=2 | | rowspan=2 | | |||||||||||
파찰음 | |||||||||||||
마찰음 | |||||||||||||
반모음 | |||||||||||||
유음 | 비설측음 | 청음 | |||||||||||
탁음 | |||||||||||||
설측음 | 청음 | ||||||||||||
탁음 | |||||||||||||
, , , 는 저성조에서 , , , 로 발음되며, , , , 는 저성조에서 가벼운 유기음으로 소리 난다. 그러나 라싸의 상류 계층 방언에서는 저성조에서도 유성음으로 발음하지 않는다.
3. 1. 음절 구조
라싸 티베트어의 음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며, 어두 자음군이 나타나지 않는다.[1] 어두 자음을 Ci, 모음을 V, 어말 자음을 Cf로 하면, 라싸 티베트어의 음절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2]:(Ci) V (ː) (Cf)
괄호 안의 요소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즉, 자음이 없는 음절도 가능하다. 모음에는 장단 구별이 있다. 가장 짧은 음절은 단모음 하나만으로 이루어진다.[3]
:དབུ|dbubo "머리(존칭)"
이 외에도, 2종류 또는 4종류의 성조가 의미 구별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