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하나로, 1867년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가 개발하고 1892년 허버트 자일스와 그의 아들에 의해 개선되었다. 이 표기법은 1980년대 병음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대만에서 수십 년 동안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한어 병음이 공식 표기법이지만, 대만에서는 여전히 일부 고유 명사 표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역사적 자료나 대만 관련 표기에 일부 활용된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성조를 위첨자 숫자로 표시하고, 유기음과 무기음을 아포스트로피로 구분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19개의 성모와 53개의 운모를 사용하여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분음 부호와 문자 'h'를 조합한 성조 표기가 특징이며 학습자에게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
---|---|
개요 | |
종류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언어 | 표준 중국어 |
고안자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허버트 자일스 |
제작 시기 | 19세기 |
BCP 47 태그 | wadegile |
중국어 표기 | c: 威翟式拼音 p: Wēi-Zhái Shì Pīnyīn w: Wei1 Chai2 Shih4 Pʻin1-yin1 mi: mps: Wēi Jái Shr̀ Pīnyīn myr: Wēi Jái Shr̀ Pīnyīn tp: Wei Jhái Shìh Pin-yin gr: Uei Jair Shyh Pin'in bpmf: |
다른 중국어 표기 | c: 韋氏拼音 p: Wéi Shì Pīnyīn w: Wei2 Shih4 Pʻin1-yin1 c: 威妥瑪拼音 p: Wēi Tuǒmǎ Pīnyīn w: Wei1 Tʻo3-ma3 Pʻin1-yin1 |
2. 역사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중국 학자이자 주중 영국 대사였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최초의 중국어 교수였다. 웨이드는 1867년 영어로 된 최초의 베이징 방언 관화 교과서인 ''''[2][3]를 출판했는데, 이는 이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알려진 체계의 기초가 되었다. 이 시스템은 중국 전문가들을 위해 중국어를 표기하도록 설계되었으며, 1892년 중국 주재 영국 외교관인 허버트 자일스와 그의 아들 라이오넬 자일스에 의해 ''중국어-영어 사전''에서 더욱 개선되었다.[4]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1980년대에 병음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대만에서는 공식 로마자 표기가 된 적은 없지만, 과거 공식 로마자였던 국어 로마자나 주음 부호 제2식(1986-2003)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다. 2008년 이후 한어 병음 방안이 공식 로마자로 지정되었지만[12], 현재도 도로 표지판, 영자 신문, 명함 등에서 고유 명사의 로마자 표기에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또는 우정식 표기법이 일부 남아 있다[13]。
2. 1. 토머스 웨이드의 초기 고안 (19세기 중반)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중국 학자이자 주중 영국 대사였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최초의 중국어 교수였다. 웨이드는 1867년 영어로 된 최초의 베이징 방언 관화 교과서인 를 출판했는데,[2][3] 이는 이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알려진 체계의 기초가 되었다.2. 2. 허버트 자일스의 개선 (19세기 말 ~ 20세기 초)
허버트 자일스는 1892년 ''중국어-영어 사전''을 통해 표기법을 개선하였고, 그의 아들 라이오넬 자일스도 이에 기여하였다.[4]2. 3. 대만에서의 사용
대만에서는 수십 년 동안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사실상 표준처럼 사용되었으며, 국어 로마자(1928년), 주음부호 제2식(1986년), 통용 병음(2000년) 등 여러 공식 로마자 표기법과 함께 쓰였다.[2]중국 국민당(KMT)은 2008년 마잉주의 대통령 당선과 국민당 소속 시장이 있는 여러 도시에서 병음을 권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차이잉원 정부와 민주진보당(DPP)은 대만 내 및 해외 거주 대다수의 국민들과 함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앞서 언급된 다른 표기법을 바탕으로 법적인 이름을 표기하고 있다. 이는 대만 독립 성향이 강한 민주진보당이 중국 대륙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어 병음 대신, 대만에서 오랫동안 널리 쓰인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선호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표기 방법
다음 표는 각 중국어 소리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굵은 글씨)을 보여주며,[5] 해당 IPA 음성 기호(대괄호 안), 주음 부호와 한어 병음에서의 동등한 표기를 함께 나타낸다.
colspan="2" | | 순음 | 치경음/치조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m] ㄇ m | n [n] ㄋ n | ||||
파열음 | 무기음 | p [p] ㄅ b | t [t] ㄉ d | k [k] ㄍ g | ||
유기음 | pʻ [pʰ] ㄆ p | tʻ [tʰ] ㄊ t | kʻ [kʰ] ㄎ k | |||
파찰음 | 무기음 | ts [ts] ㄗ z | ch [ʈʂ] ㄓ zh | ch [tɕ] ㄐ j | ||
유기음 | tsʻ [tsʰ] ㄘ c | chʻ [ʈʂʰ] ㄔ ch | chʻ [tɕʰ] ㄑ q | |||
마찰음 | f [f] ㄈ f | s [s] ㄙ s | sh [ʂ] ㄕ sh | hs [ɕ] ㄒ x | h [x] ㄏ h | |
유음 | l [l] ㄌ l | j [ɻ~ʐ] ㄖ r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ŭ'' 앞에서는 ''ts'', ''tsʻ'', ''s'' 대신 ''tz'', ''tzʻ'', ''ss''를 사용한다 ('''음절 자음''' 참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베이징어가 표준화되기 전 정해졌으며, 현재 베이징어에 없는 chʻiai(楷), chio(角) 등의 음절이 존재한다. 웨이드와 자일스는 로마자 표기법을 엄밀히 기술하지 않았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자일스 사전 표제어에서 귀납한 현대 베이징음 표기 방법이다.
『대한화사전』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대체로 위와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 는 성모에 관계없이 항상 ê로 표기한다.
- 는 성모에 관계없이 항상 uo로 표기한다(단, po, pʻo, fo, wo 제외).
- 는 항상 uei로 표기한다(단, 성모가 없을 때는 wei).
- 은 en으로 표기한다(ên으로 하지 않음).
- 은 uen으로 표기한다(단, 성모가 없을 때는 wen).
3. 1. 성모 (Initial Consonants)
다음 표는 중국어 소리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굵은 글씨)을 보여주며,[5] 해당 IPA 음성 기호(대괄호 안), 주음 부호, 한어 병음에서의 동등한 표기를 함께 나타낸다.colspan="2" | | 순음 | 치경음/치조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m] ㄇ m || n [n] ㄋ n || || || | |||||
파열음 | 무기음 | p [p] ㄅ b | t [t] ㄉ d || || | k [k] ㄍ g | ||
유기음 | pʻ [pʰ] ㄆ p | tʻ [tʰ] ㄊ t || || | kʻ [kʰ] ㄎ k | |||
파찰음 | 무기음 | ts [ts] ㄗ z | ch [ʈʂ] ㄓ zh | ch [tɕ] ㄐ j || | ||
유기음 | tsʻ [tsʰ] ㄘ c | chʻ [ʈʂʰ] ㄔ ch | chʻ [tɕʰ] ㄑ q || | |||
마찰음 | f [f] ㄈ f | s [s] ㄙ s | sh [ʂ] ㄕ sh | hs [ɕ] ㄒ x | h [x] ㄏ h | |
유음 | l [l] ㄌ l || j [ɻ~ʐ] ㄖ r || ||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유기음과 무기음을 구별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파열음에서 무기음은 '''p''', '''t''', '''k'''로, 유기음은 '''pʻ''', '''tʻ''', '''kʻ'''로 표기한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종종 아포스트로피를 무시하거나 생략하기도 한다.
3. 2. 운모 (Finals)
다음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사용되는 운모(韻母, finals) 표기 방식이다. 운모는 음절에서 성모(initials)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모음 또는 모음과 자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5]colspan=2 rowspan=2| | 코다(Coda) | |||||||||||||
---|---|---|---|---|---|---|---|---|---|---|---|---|---|---|
∅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Medial | ∅ | ih/ŭ [ɨ] ㄭ | ê/o [ɤ] ㄜ e | a [a] ㄚ a | ei [ei] ㄟ ei | ai [ai] ㄞ ai | ou [ou] ㄡ ou | ao [au] ㄠ ao | ên [ən] ㄣ en | an [an] ㄢ an | ung [ʊŋ] ㄨㄥ ong | êng [əŋ] ㄥ eng | ang [aŋ] ㄤ ang | êrh [aɚ̯] ㄦ er |
i [i] ㄧ i | ieh [je] ㄧㄝ ie | ia [ja] ㄧㄚ ia | iu [jou] ㄧㄡ iu | iao [jau] ㄧㄠ iao | in [in] ㄧㄣ in | ien [jɛn] ㄧㄢ ian | iung [jʊŋ] ㄩㄥ iong | ing [iŋ] ㄧㄥ ing | iang [jaŋ] ㄧㄤ iang | |||||
u [u] ㄨ u | o/uo [wo] ㄛ/ㄨㄛ o/uo | ua [wa] ㄨㄚ ua | ui/uei [wei] ㄨㄟ ui | uai [wai] ㄨㄞ uai | un [wən] ㄨㄣ un | uan [wan] ㄨㄢ uan | uang [waŋ] ㄨㄤ uang | |||||||
ü [y] ㄩ ü | üeh [ɥe] ㄩㄝ üe | ün [yn] ㄩㄣ ün | üan [ɥɛn] ㄩㄢ üan |
위 표는 각 중국어 소리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굵은 글씨), 해당 국제 음성 기호(IPA) 음성 기호(대괄호 안), 주음 부호와 한어 병음에서의 표기를 나타낸다.
몇 가지 특수한 경우의 표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uei''와 ''-ui'': ''k''와 ''k'′'' 다음에는 ''-uei''를 쓰고, 그 외에는 ''-ui''를 쓴다. (예: ''k′uei'', ''kuei'', ''hui'', ''shui'', ''ch′ui'')
- ''-o''와 ''-ê'': ''k'', ''k′'', ''h'' 다음에는 ''-o''로 표기하고, 그 외에는 ''-ê''로 표기한다. (예: ''k′o'', ''ko'', ''ho'', ''shê'', ''ch′ê'') 가 음절을 단독으로 형성할 때는 문자에 따라 ''ê'' 또는 ''o''로 표기한다.
- ''-wo''와 ''-o'': ''k′'', ''k'', ''h'', ''sh'' 다음에는 ''-uo''로 표기하고, 그 외에는 ''-o''로 표기한다. (예: ''k′uo'', ''kuo'', ''huo'', ''shuo'', ''bo'', ''tso'') ''ch′'' 다음에는 문자에 따라 ''ch′o'' 또는 ''ch′uo''로 표기한다.
자일스의 ''중국-영어 사전''에는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üeh''로 발음되는 ''-io'' (''yo'', ''ch′io'', ''hsio'', ''lio'', ''nio'')와 ''-üo'' (''chüo'', ''ch′üo'', ''hsüo'', ''lüo'', ''nüo'')도 포함되어 있다. (예: ''yüeh'', ''chüeh'', ''hsüeh'', ''lüeh'', ''nüeh'')
colspan=2 rowspan=2| | 종성 | ||||||||||||
---|---|---|---|---|---|---|---|---|---|---|---|---|---|
∅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중간음 | i/yi [i] ㄧ yi | yeh [je] ㄧㄝ ye | ya [ja] ㄧㄚ ya | yai [jai] ㄧㄞ yai | yu [jou] ㄧㄡ you | yao [jau] ㄧㄠ yao | yin [in] ㄧㄣ yin | yen [jɛn] ㄧㄢ yan | yung [jʊŋ] ㄩㄥ yong | ying [iŋ] ㄧㄥ ying | yang [jaŋ] ㄧㄤ yang | ||
wu [u] ㄨ wu | wo [wo] ㄨㄛ wo | wa [wa] ㄨㄚ wa | wei [wei] ㄨㄟ wei | wai [wai] ㄨㄞ wai | wên [wən] ㄨㄣ wen | wan [wan] ㄨㄢ wan | wêng [wəŋ] ㄨㄥ weng | wang [waŋ] ㄨㄤ wang | |||||
yü [y] ㄩ yu | yüeh [ɥe] ㄩㄝ yue | yün [yn] ㄩㄣ yun | yüan [ɥɛn] ㄩㄢ yuan |
- 음절 는 문자에 따라 ''i'' 또는 ''yi''로 표기한다.
- 최종 ''o''는 현대 베이징 방언에서 와 의 두 가지 발음을 가진다.
베이징 방언에서 로 발음되는 것은 ''ê''로 표기하지만, 역사적인 발음에 따라 ''o''로 표기하기도 한다.[6] 연구개 자음 ''k'', ''k′'', ''h'' 뒤에는 ''o''가 사용된다. (예: "哥"(gē)는 ''ko1''(병음: gē), "刻"(kè)는 ''k′o4''(병음: kè)) 가 단독으로 음절을 형성하면, ''ê'' 또는 ''o''를 사용한다. 그 외에는 ''ê''를 사용한다.
베이징 방언에서 로 발음되는 것은 ''o''로 표기되지만, ''wo'', ''shuo''(예: "說"(shuō) ''shuo1'')와 ''kuo'', ''k′uo'', ''huo'' (過, 霍 등)는 예외이다. 이들은 병음으로 ge, ke, he에 해당하는 ''ko'', ''k′o'', ''ho''와 대조된다. 羅, 多 등(웨이드-자일스: ''lo2'', ''to1''; 병음: luó, duō)는 원래 매개 모음 를 갖지 않았다. 베이징 방언은 ''o''와 ''-uo''/''wo'' 사이에 음운 대립이 없으며, 를 위해 ''-o'' 앞에 가 삽입된다.
IPA | |||||||||||||||||||
---|---|---|---|---|---|---|---|---|---|---|---|---|---|---|---|---|---|---|---|
웨이드-자일스 | po | pʻo | mo | fo | to | tʻo | no | lo | ko | kʻo | ho | cho | chʻo | jo | tso | tsʻo | so | o/ê | wo |
주음 부호 | ㄅㄛ | ㄆㄛ | ㄇㄛ | ㄈㄛ | ㄉㄨㄛ | ㄊㄨㄛ | ㄋㄨㄛ | ㄌㄨㄛ | ㄍㄜ | ㄎㄜ | ㄏㄜ | ㄓㄨㄛ | ㄔㄨㄛ | ㄖㄨㄛ | ㄗㄨㄛ | ㄘㄨㄛ | ㄙㄨㄛ | ㄜ | ㄨㄛ |
병음 | bo | po | mo | fo | duo | tuo | nuo | luo | ge | ke | he | zhuo | chuo | ruo | zuo | cuo | suo | e | wo |
주음 부호와 병음은 ㄅ ''b'', ㄆ ''p'', ㄇ ''m'', ㄈ ''f'' 뒤의 를 ㄛ ''-o''로 쓰고, 다른 초성 뒤에는 ㄨㄛ ''-uo''로 쓴다.
개음 | 주모음 | 운미 | ||||
---|---|---|---|---|---|---|
/·/ | ||||||
∅ | rowspan=4 | | a | ai | ao | an | ang |
ia 야 | iao 야오 | ien 옌 | iang 양 | |||
ua 와 | uai 와이 | uan 완 | uang 왕 | |||
üan 위안 | ||||||
∅ | rowspan=4| | ê/o | ei | ou | ên | êng |
ieh 예 | iu 유 | in 인 | ing 잉 | |||
o/uo 워 | ui/uei 웨이 | un 원 | ung 웡 | |||
üeh 위에 | ün 윈 | iung 융 | ||||
∅ | rowspan=4 | | ŭ /ih | ||||
i | ||||||
u 우 | ||||||
ü 위 |
- 는 "ê"로 표기하지만, 단운모 및 "k, k′, h" 뒤에는 "o"를 쓴다. 성모가 없으면 "o"로 표기한다.[9]
- 성모 없고 개음에서 음절 시작 시, "i"는 "y", "u"는 "w", "ü"는 "yü"로 쓴다. 주모음 "i"인 경우, 단운모 "i"는 "i", 비운모 "in, ing"은 "yin, ying"으로 한다. 단운모 "u"는 "wu", "ü"는 "yü"로 한다.[10]
- 는 "ieh", 는 "üeh"로 표기한다.
- 는 "iu"를 쓰며, 중간 o는 생략한다. 성모 없으면 "yu"로 한다.
- ()는 "o"를 쓰지만, "sh, k, k′, h" 뒤는 "uo"로 표기한다.[11] 성모 없으면 "wo"로 한다.
- 는 "ui"를 쓰지만, "k, k′" 뒤는 "uei"로 표기한다. 성모 없으면 "wei"로 한다.
- 은 "un"을 쓴다. 성모 없는 경우만 "wên"으로 한다.
- 은 성모 없을 때만 "wêng"으로 나타난다. 은 "ung"으로, 성모와 결합하며, 성모 없으면 안 나타난다.
- 설첨전 성모 (ts, ts′, s)와만 결합하는 설첨전 운모 는 "ŭ", "s"는 "ssŭ", "ts"는 "tzŭ", "tsʻ"는 "tzʻŭ"로 한다. 설첨후 성모 (ch, ch′, sh, j)와만 결합하는 설첨후 운모 는 "ih"로 한다.
3. 3. 음절 자음 (Syllabic Consonants)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음절 자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ŭ'': 이 음절은 쓰촨어 등에서 /ʊ/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으나, 표준 중국어에서는 /u/로 소리난다.
- ''-ih'': 이 음절은 한어 병음에서 ''-i''로 표기되는 것과 달리, ''-ih''로 표기하여 구분한다.
다음은 다른 표기법과의 비교이다.
표기법 | 해당 음절 |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tzŭ, tsʻŭ, ssŭ / chih, chʻih, shih, jih |
예일 | dz, ts, sz / jr, chr, shr, r |
MPS II | tz, ts, sz / jr, chr, shr, r |
통용 병음 | zih, cih, sih / chih, chih, shih, rih |
한어 병음 | zi, ci, si / zhi, chi, shi, ri |
국어 로마자 | tzy, tsy, sy / jy, chy, shy, ry |
간체 웨이드-자일스 | tz, ts, sz / 'ch, ch, sh, j'' |
3. 4. 성조 (Tones)
성조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음절 뒤에 위첨자 숫자(1-4)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이는 한어 병음에서 성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변별 부호와 대조된다.[5] 예를 들어, 한어 병음 ''qiàn''(4성)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chien4''에 해당한다.베이징 관화의 성조는 음절 말에 숫자를 위첨자로 표기하여 나타낸다. 음평성은 "1", 양평성은 "2", 상성은 "3", 거성은 "4"로 표기한다. 경성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다(실제로는 "0"이나 "5"를 사용하거나, 표기하지 않기도 한다).
성조 | 예시 (간; 번; 직역) | 한어 병음 | 웨이드-자일스 |
---|---|---|---|
1. 높은 음 | 媽|媽|엄마중국어 | mā | ma1 |
2. 상승조 | 麻|麻|삼중국어 | má | ma2 |
3. 낮은 음 (하강조) | 马|馬|말중국어 | mǎ | ma3 |
4. 하강조 | 骂|罵|꾸짖다중국어 | mà | ma4 |
5. 경성 | 吗|嗎|의문사중국어 | ma | ma |
3. 5. 기타 표기 규칙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단어 내의 모든 음절을 구분하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한다. (반면, 병음 표기법은 특별히 정의된 경우에만 하이픈 또는 닫는 (오른쪽) 작은따옴표를 사용하여 음절을 구분한다.)음절이 단어의 첫 음절이 아닌 경우,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되지 않는다. 비록 그것이 고유 명사의 일부일지라도 마찬가지이다. 지명과 인명에서는 작은따옴표와 유사한 문자, 하이픈, 대문자 사용이 자주 지켜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해외 대만인들은 자신의 이름을 "Tai Lun" 또는 "Tai-Lun"과 같이 표기하지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실제로 "Tai-lun"이다. (중국 이름 참고)
4. 다른 표기법과의 비교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주음 부호, 국어 로마자 표기법, 통용 병음 등 다른 표기법과 비교했을 때 성조 및 유·무성음 표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1] 한어 병음과 비교했을 때는, 유성음과 무성음 표기, 권설음 표기, 모음 Ü 표기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4. 1. 한어 병음 (Hanyu Pinyin)과의 비교
한어 병음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쓰이는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으로, 국제 표준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비교했을 때, 한어 병음은 몇 가지 두드러지는 차이점을 보인다.항목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한어 병음 | 설명 |
---|---|---|---|
무성-유성음 표기 | 기식음과 무기음을 구분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와 비슷한 기호 사용 (예: p와 p‘) | 유성음과 무성음을 나타내는 라틴 문자 사용 (예: b는 무성음, p는 유성음)[2] |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발음을 더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도록 도움 |
권설음 표기 | 권설음 ch와 ch‘가 모두 ch로 표기될 수 있어 혼동 야기[3] | zh와 ch를 사용하여 권설음을 명확하게 구분[3] | |
모음 Ü 표기 | 모음 Ü() 위에 항상 움라우트를 붙임[4] | nü, lü 등 일부 경우에만 움라우트 사용, j, q, x, y 뒤에서는 움라우트 생략[4] | 표기 단순화 |
기타 | 프랑스어와 유사하게 j를 사용하여 핀인의 r에 해당하는 소리 표기[4] | r 사용 | |
기타 | '-ung' | '-ong' | |
기타 | 자음 뒤에서 -iu와 -un을 사용[4] | 자음 뒤에서 -iu와 -un을 사용[4] |
이러한 차이점들을 고려할 때, 한어 병음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소통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대한민국과 같이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한 국가에서는 한어 병음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4. 2. 기타 표기법과의 비교 (간략하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주음 부호, 국어 로마자 표기법, 통용 병음 등 다른 표기법과 비교했을 때 성조 및 유·무성음 표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1]4. 3. 대만에서의 사용 현황
대만에서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된 적은 없지만, 오랫동안 사실상 표준 표기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과거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던 국어 로마자나 주음 부호 제2식(1986-2003)보다도 더 널리 사용되었다.[12]2008년 이후 한어 병음 방안이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 표지판, 영자 신문, 명함 등에서 고유 명사의 로마자 표기에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우정식 표기법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3] 이는 대만이 중국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민주진보당 정부는 이러한 경향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는 중국에 대한 반발 심리와도 관련이 있다.
다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이용한 컴퓨터 입력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4. 4. 대한민국에서의 사용 현황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1980년대에 병음이 널리 사용되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대만에서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공식 로마자 표기가 된 적은 없지만, 과거 공식 로마자였던 국어 로마자나 주음 부호 제2식(1986-2003)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다.[12] 현재도 도로 표지판, 영자 신문, 명함 등에서 고유 명사의 로마자 표기에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또는 우정식 표기법이 일부 남아 있다.[13]4. 5.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변형
매튜스 중국어-영어 사전(Mathews'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사용된 로마자 표기법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7]- 아포스트로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1970년대 개정 이전의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된 분철 부호와 유사한 왼쪽 아포스트로피(''p'', ''t'', ''k'', ''ch'', ''ts'', ''tzŭ'')를 사용하지만, 매튜스 사전은 오른쪽 아포스트로피(''p'', ''t'', ''k'', ''ch'', ''ts'', ''tzŭ'')를 사용한다.
- 음절 : 의 경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문자에 따라 ''i'' 또는 ''yi''를 사용하지만, 매튜스 사전은 일관되게 ''i''를 사용한다.
- 음절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문자에 따라 ''ê'' 또는 ''o''를 사용하지만, 매튜스 사전은 ''o''를 사용한다.
- ''ssŭ''와 ''szŭ'':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ssŭ''를 사용해야 하지만, 매튜스 사전은 ''ssŭ''와 ''szŭ''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현대 발음: 매튜스 사전은 ''chio'', ''chio'', ''hsio'', ''yo'' 대신 ''chüeh'', ''chüeh'', ''hsüeh'', ''yüeh''를 사용한다.
- 제2성 표기: 다음 음절이 중성이고 성조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만, 원래 제3성에서 파생된 제2성을 나타내기 위해 밑줄이 그어진 ''3''을 사용한다 (예: ''hsiao3•chieh'').
- 중성 표기: 음절 앞에 점(중성이 필수인 경우) 또는 원(중성이 선택 사항인 경우)을 배치하여 나타낸다. 점 또는 원은 하이픈을 대체한다.
5.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표 (Table)
한어 병음 | 주음 부호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IPA | 설명 |
---|---|---|---|---|
a | ㄚ | a | a | |
ai | ㄞ | ai | aɪ | |
an | ㄢ | an | an | |
ang | ㄤ | ang | ɑŋ | |
ao | ㄠ | ao | ɑʊ | |
ba | ㄅㄚ | pa | pɑ | |
bai | ㄅㄞ | pai | paɪ | |
ban | ㄅㄢ | pan | pan | |
bang | ㄅㄤ | pang | pɑŋ | |
bao | ㄅㄠ | pao | pɑʊ | |
bei | ㄅㄟ | pei | peɪ | |
ben | ㄅㄣ | pen | pən | |
beng | ㄅㄥ | peng | pɤŋ | |
bi | ㄅㄧ | pi | pi | |
bian | ㄅㄧㄢ | pien | pjɛn | |
biao | ㄅㄧㄠ | piao | pjɑʊ | |
bie | ㄅㄧㄝ | pieh | pjɛ | |
bin | ㄅㄧㄣ | pin | pin | |
bing | ㄅㄧㄥ | ping | piŋ | |
bo | ㄅㄛ | po | pɔ | |
bu | ㄅㄨ | pu | pu | |
ca | ㄘㄚ | tsʻa | tsʰɑ | |
cai | ㄘㄞ | tsʻai | tsʰaɪ | |
can | ㄘㄢ | tsʻan | tsʰan | |
cang | ㄘㄤ | tsʻang | tsʰɑŋ | |
cao | ㄘㄠ | tsʻao | tsʰɑʊ | |
ce | ㄘㄜ | tsʻe | tsʰɤ | |
cen | ㄘㄣ | tsʻen | tsʰən | |
ceng | ㄘㄥ | tsʻeng | tsʰɤŋ | |
cha | ㄔㄚ | chʻa | ʈʂʰɑ | |
chai | ㄔㄞ | chʻai | ʈʂʰaɪ | |
chan | ㄔㄢ | chʻan | ʈʂʰan | |
chang | ㄔㄤ | chʻang | ʈʂʰɑŋ | |
chao | ㄔㄠ | chʻao | ʈʂʰɑʊ | |
che | ㄔㄜ | chʻe | ʈʂʰɤ | |
chen | ㄔㄣ | chʻen | ʈʂʰən | |
cheng | ㄔㄥ | chʻeng | ʈʂʰɤŋ | |
chi | ㄔ | chʻih | ʈʂʰɨ | |
chong | ㄔㄨㄥ | chʻung | ʈʂʰʊŋ | |
chou | ㄔㄡ | chʻou | ʈʂʰoʊ | |
chu | ㄔㄨ | chʻu | ʈʂʰu | |
chua | ㄔㄨㄚ | chʻua | ʈʂʰwɑ | |
chuai | ㄔㄨㄞ | chʻuai | ʈʂʰwaɪ | |
chuan | ㄔㄨㄢ | chʻuan | ʈʂʰwan | |
chuang | ㄔㄨㄤ | chʻuang | ʈʂʰwɑŋ | |
chui | ㄔㄨㄟ | chʻui | ʈʂʰweɪ | |
chun | ㄔㄨㄣ | chʻun | ʈʂʰwən | |
chuo | ㄔㄨㄛ | chʻo | ʈʂʰwɔ | |
ci | ㄘ | tzʻŭ | tsʰɨ | |
cong | ㄘㄨㄥ | tsʻung | tsʰʊŋ | |
cou | ㄘㄡ | tsʻou | tsʰoʊ | |
cu | ㄘㄨ | tsʻu | tsʰu | |
cuan | ㄘㄨㄢ | tsʻuan | tsʰwan | |
cui | ㄘㄨㄟ | tsʻui | tsʰweɪ | |
cun | ㄘㄨㄣ | tsʻun | tsʰwən | |
cuo | ㄘㄨㄛ | tsʻo | tsʰwɔ | |
da | ㄉㄚ | ta | tɑ | |
dai | ㄉㄞ | tai | taɪ | |
dan | ㄉㄢ | tan | tan | |
dang | ㄉㄤ | tang | tɑŋ | |
dao | ㄉㄠ | tao | tɑʊ | |
de | ㄉㄜ | te | tɤ | |
dei | ㄉㄟ | tei | teɪ | |
deng | ㄉㄥ | teng | tɤŋ | |
di | ㄉㄧ | ti | ti | |
dian | ㄉㄧㄢ | tien | tjɛn | |
diao | ㄉㄧㄠ | tiao | tjɑʊ | |
die | ㄉㄧㄝ | tieh | tjɛ | |
ding | ㄉㄧㄥ | ting | tiŋ | |
diu | ㄉㄧㄡ | tiu | tjoʊ | |
dong | ㄉㄨㄥ | tung | tʊŋ | |
dou | ㄉㄡ | tou | toʊ | |
du | ㄉㄨ | tu | tu | |
duan | ㄉㄨㄢ | tuan | twan | |
dui | ㄉㄨㄟ | tui | tweɪ | |
dun | ㄉㄨㄣ | tun | twən | |
duo | ㄉㄨㄛ | to | twɔ | |
e | ㄜ | o/ê | ɤ | |
ei | ㄟ | eh | eɪ | |
en | ㄣ | en | ən | |
eng | ㄥ | eng | ɤŋ | |
er | ㄦ | erh | ɑɻ | |
fa | ㄈㄚ | fa | fɑ | |
fan | ㄈㄢ | fan | fan | |
fang | ㄈㄤ | fang | fɑŋ | |
fei | ㄈㄟ | fei | feɪ | |
fen | ㄈㄣ | fen | fən | |
feng | ㄈㄥ | feng | fɤŋ | |
fo | ㄈㄛ | fo | fɔ | |
fou | ㄈㄡ | fou | foʊ | |
fu | ㄈㄨ | fu | fu | |
ga | ㄍㄚ | ka | kɑ | |
gai | ㄍㄞ | kai | kaɪ | |
gan | ㄍㄢ | kan | kan | |
gang | ㄍㄤ | kang | kɑŋ | |
gao | ㄍㄠ | kao | kɑʊ | |
ge | ㄍㄜ | ko/kê | kɤ | |
gei | ㄍㄟ | kei | keɪ | |
gen | ㄍㄣ | ken | kən | |
geng | ㄍㄥ | keng | kɤŋ | |
gong | ㄍㄨㄥ | kung | kʊŋ | |
gou | ㄍㄡ | kou | koʊ | |
gu | ㄍㄨ | ku | ku | |
gua | ㄍㄨㄚ | kua | kwɑ | |
guai | ㄍㄨㄞ | kuai | kwaɪ | |
guan | ㄍㄨㄢ | kuan | kwan | |
guang | ㄍㄨㄤ | kuang | kwɑŋ | |
gui | ㄍㄨㄟ | kuei | kweɪ | |
gun | ㄍㄨㄣ | kun | kwən | |
guo | ㄍㄨㄛ | kuo | kwɔ | |
ha | ㄏㄚ | ha | xɑ | |
hai | ㄏㄞ | hai | xaɪ | |
han | ㄏㄢ | han | xan | |
hang | ㄏㄤ | hang | xɑŋ | |
hao | ㄏㄠ | hao | xɑʊ | |
he | ㄏㄜ | ho/hê | xɤ | |
hei | ㄏㄟ | hei | xeɪ | |
hen | ㄏㄣ | hen | xən | |
heng | ㄏㄥ | heng | xɤŋ | |
hong | ㄏㄨㄥ | hung | xʊŋ | |
hou | ㄏㄡ | hou | xoʊ | |
hu | ㄏㄨ | hu | xu | |
hua | ㄏㄨㄚ | hua | xwɑ | |
huai | ㄏㄨㄞ | huai | xwaɪ | |
huan | ㄏㄨㄢ | huan | xwan | |
huang | ㄏㄨㄤ | huang | xwɑŋ | |
hui | ㄏㄨㄟ | hui | xweɪ | |
hun | ㄏㄨㄣ | hun | xwən | |
huo | ㄏㄨㄛ | huo | xwɔ | |
ji | ㄐㄧ | chi | t͡ʃi | |
jia | ㄐㄧㄚ | chia | t͡ʃjɑ | |
jian | ㄐㄧㄢ | chien | t͡ʃjɛn | |
jiang | ㄐㄧㄤ | chiang | t͡ʃjɑŋ | |
jiao | ㄐㄧㄠ | chiao | t͡ʃjɑʊ | |
jie | ㄐㄧㄝ | chieh | t͡ʃjɛ | |
jin | ㄐㄧㄣ | chin | t͡ʃin | |
jing | ㄐㄧㄥ | ching | t͡ʃiŋ | |
jiong | ㄐㄩㄥ | chiung | t͡ʃjʊŋ | |
jiu | ㄐㄧㄡ | chiu | t͡ʃjoʊ | |
ju | ㄐㄩ | chü | t͡ʃy | |
juan | ㄐㄩㄢ | chüan | t͡ʃyɛn | |
jue | ㄐㄩㄝ | chüeh | t͡ʃyɛ | |
jun | ㄐㄩㄣ | chün | t͡ʃyn | |
ka | ㄎㄚ | kʻa | kʰɑ | |
kai | ㄎㄞ | kʻai | kʰaɪ | |
kan | ㄎㄢ | kʻan | kʰan | |
kang | ㄎㄤ | kʻang | kʰɑŋ | |
kao | ㄎㄠ | kʻao | kʰɑʊ | |
ke | ㄎㄜ | kʻo/kʻê | kʰɤ | |
kei | ㄎㄟ | kʻei | kʰeɪ | |
ken | ㄎㄣ | kʻen | kʰən | |
keng | ㄎㄥ | kʻeng | kʰɤŋ | |
kong | ㄎㄨㄥ | kʻung | kʰʊŋ | |
kou | ㄎㄡ | kʻou | kʰoʊ | |
ku | ㄎㄨ | kʻu | kʰu | |
kua | ㄎㄨㄚ | kʻua | kʰwɑ | |
kuai | ㄎㄨㄞ | kʻuai | kʰwaɪ | |
kuan | ㄎㄨㄢ | kʻuan | kʰwan | |
kuang | ㄎㄨㄤ | kʻuang | kʰwɑŋ | |
kui | ㄎㄨㄟ | kʻuei | kʰweɪ | |
kun | ㄎㄨㄣ | kʻun | kʰwən | |
kuo | ㄎㄨㄛ | kʻuo | kʰwɔ | |
la | ㄌㄚ | la | lɑ | |
lai | ㄌㄞ | lai | laɪ | |
lan | ㄌㄢ | lan | lan | |
lang | ㄌㄤ | lang | lɑŋ | |
lao | ㄌㄠ | lao | lɑʊ | |
le | ㄌㄜ | le | lɤ | |
lei | ㄌㄟ | lei | leɪ | |
leng | ㄌㄥ | leng | lɤŋ | |
li | ㄌㄧ | li | li | |
lia | ㄌㄧㄚ | lia | ljɑ | |
lian | ㄌㄧㄢ | lien | ljɛn | |
liang | ㄌㄧㄤ | liang | ljɑŋ | |
liao | ㄌㄧㄠ | liao | ljɑʊ | |
lie | ㄌㄧㄝ | lieh | ljɛ | |
lin | ㄌㄧㄣ | lin | lin | |
ling | ㄌㄧㄥ | ling | liŋ | |
liu | ㄌㄧㄡ | liu | ljoʊ | |
long | ㄌㄨㄥ | lung | lʊŋ | |
lou | ㄌㄡ | lou | loʊ | |
lu | ㄌㄨ | lu | lu | |
lü | ㄌㄩ | lü | ly | |
luan | ㄌㄨㄢ | luan | lwan | |
lüe | ㄌㄩㄝ | lüeh | lyɛ | |
lun | ㄌㄨㄣ | lun | lwən | |
luo | ㄌㄨㄛ | lo | lwɔ | |
ma | ㄇㄚ | ma | mɑ | |
mai | ㄇㄞ | mai | maɪ | |
man | ㄇㄢ | man | man | |
mang | ㄇㄤ | mang | mɑŋ | |
mao | ㄇㄠ | mao | mɑʊ | |
me | ㄇㄜ | me | mɤ | |
mei | ㄇㄟ | mei | meɪ | |
men | ㄇㄣ | men | mən | |
meng | ㄇㄥ | meng | mɤŋ | |
mi | ㄇㄧ | mi | mi | |
mian | ㄇㄧㄢ | mien | mjɛn | |
miao | ㄇㄧㄠ | miao | mjɑʊ | |
mie | ㄇㄧㄝ | mieh | mjɛ | |
min | ㄇㄧㄣ | min | min | |
ming | ㄇㄧㄥ | ming | miŋ | |
miu | ㄇㄧㄡ | miu | mjoʊ | |
mo | ㄇㄛ | mo | mɔ | |
mou | ㄇㄡ | mou | moʊ | |
mu | ㄇㄨ | mu | mu | |
na | ㄋㄚ | na | nɑ | |
nai | ㄋㄞ | nai | naɪ | |
nan | ㄋㄢ | nan | nan | |
nang | ㄋㄤ | nang | nɑŋ | |
nao | ㄋㄠ | nao | nɑʊ | |
ne | ㄋㄜ | ne | nɤ | |
nei | ㄋㄟ | nei | neɪ | |
nen | ㄋㄣ | nen | nən | |
neng | ㄋㄥ | neng | nɤŋ | |
ni | ㄋㄧ | ni | ni | |
nian | ㄋㄧㄢ | nien | njɛn | |
niang | ㄋㄧㄤ | niang | njɑŋ | |
niao | ㄋㄧㄠ | niao | njɑʊ | |
nie | ㄋㄧㄝ | nieh | njɛ | |
nin | ㄋㄧㄣ | nin | nin | |
ning | ㄋㄧㄥ | ning | niŋ | |
niu | ㄋㄧㄡ | niu | njoʊ | |
nong | ㄋㄨㄥ | nung | nʊŋ | |
nou | ㄋㄡ | nou | noʊ | |
nu | ㄋㄨ | nu | nu | |
nü | ㄋㄩ | nü | ny | |
nuan | ㄋㄨㄢ | nuan | nwan | |
nüe | ㄋㄩㄝ | nüeh | nyɛ | |
nuo | ㄋㄨㄛ | no | nwɔ | |
o | ㄛ | o | ɔ | |
ou | ㄡ | ou | oʊ | |
pa | ㄆㄚ | pʻa | pʰɑ | |
pai | ㄆㄞ | pʻai | pʰaɪ | |
pan | ㄆㄢ | pʻan | pʰan | |
pang | ㄆㄤ | pʻang | pʰɑŋ | |
pao | ㄆㄠ | pʻao | pʰɑʊ | |
pei | ㄆㄟ | pʻei | pʰeɪ | |
pen | ㄆㄣ | pʻen | pʰən | |
peng | ㄆㄥ | pʻeng | pʰɤŋ | |
pi | ㄆㄧ | pʻi | pʰi | |
pian | ㄆㄧㄢ | pʻien | pʰjɛn | |
piao | ㄆㄧㄠ | pʻiao | pʰjɑʊ | |
pie | ㄆㄧㄝ | pʻieh | pʰjɛ | |
pin | ㄆㄧㄣ | pʻin | pʰin | |
ping | ㄆㄧㄥ | pʻing | pʰiŋ | |
po | ㄆㄛ | pʻo | pʰɔ | |
pou | ㄆㄡ | pʻou | pʰoʊ | |
pu | ㄆㄨ | pʻu | pʰu | |
qi | ㄑㄧ | chʻi | t͡ʃʰi | |
qia | ㄑㄧㄚ | chʻia | t͡ʃʰjɑ | |
qian | ㄑㄧㄢ | chʻien | t͡ʃʰjɛn | |
qiang | ㄑㄧㄤ | chʻiang | t͡ʃʰjɑŋ | |
qiao | ㄑㄧㄠ | chʻiao | t͡ʃʰjɑʊ | |
qie | ㄑㄧㄝ | chʻieh | t͡ʃʰjɛ | |
qin | ㄑㄧㄣ | chʻin | t͡ʃʰin | |
qing | ㄑㄧㄥ | chʻing | t͡ʃʰiŋ | |
qiong | ㄑㄩㄥ | chʻiung | t͡ʃʰjʊŋ | |
qiu | ㄑㄧㄡ | chʻiu | t͡ʃʰjoʊ | |
qu | ㄑㄩ | chʻü | t͡ʃʰy | |
quan | ㄑㄩㄢ | chʻüan | t͡ʃʰyɛn | |
que | ㄑㄩㄝ | chʻüeh | t͡ʃʰyɛ | |
qun | ㄑㄩㄣ | chʻün | t͡ʃʰyn | |
ran | ㄖㄢ | jan | ɻan | |
rang | ㄖㄤ | jang | ɻɑŋ | |
rao | ㄖㄠ | jao | ɻɑʊ | |
re | ㄖㄜ | je | ɻɤ | |
ren | ㄖㄣ | jen | ɻən | |
reng | ㄖㄥ | jeng | ɻɤŋ | |
ri | ㄖ | jih | ɻɨ | |
rong | ㄖㄨㄥ | jung | ɻʊŋ | |
rou | ㄖㄡ | jou | ɻoʊ | |
ru | ㄖㄨ | ju | ɻu | |
ruan | ㄖㄨㄢ | juan | ɻwan | |
rui | ㄖㄨㄟ | jui | ɻweɪ | |
run | ㄖㄨㄣ | jun | ɻwən | |
ruo | ㄖㄨㄛ | jo | ɻwɔ | |
sa | ㄙㄚ | sa | sɑ | |
sai | ㄙㄞ | sai | saɪ | |
san | ㄙㄢ | san | san | |
sang | ㄙㄤ | sang | sɑŋ | |
sao | ㄙㄠ | sao | sɑʊ | |
se | ㄙㄜ | se | sɤ | |
sen | ㄙㄣ | sen | sən | |
seng | ㄙㄥ | seng | sɤŋ | |
sha | ㄕㄚ | sha | ʂɑ | |
shai | ㄕㄞ | shai | ʂaɪ | |
shan | ㄕㄢ | shan | ʂan | |
shang | ㄕㄤ | shang | ʂɑŋ | |
shao | ㄕㄠ | shao | ʂɑʊ | |
she | ㄕㄜ | she | ʂɤ | |
shei | ㄕㄟ | shei | ʂeɪ | |
shen | ㄕㄣ | shen | ʂən | |
sheng | ㄕㄥ | sheng | ʂɤŋ | |
shi | ㄕ | shih | ʂɨ | |
shou | ㄕㄡ | shou | ʂoʊ | |
shu | ㄕㄨ | shu | ʂu | |
shua | ㄕㄨㄚ | shua | ʂwɑ | |
shuai | ㄕㄨㄞ | shuai | ʂwaɪ | |
shuan | ㄕㄨㄢ | shuan | ʂwan | |
shuang | ㄕㄨㄤ | shuang | ʂwɑŋ | |
shui | ㄕㄨㄟ | shui | ʂweɪ | |
shun | ㄕㄨㄣ | shun | ʂwən | |
shuo | ㄕㄨㄛ | shuo | ʂwɔ | |
si | ㄙ | ssu/szu | sɨ | |
song | ㄙㄨㄥ | sung | sʊŋ | |
sou | ㄙㄡ | sou | soʊ | |
su | ㄙㄨ | su | su | |
suan | ㄙㄨㄢ | suan | swan | |
sui | ㄙㄨㄟ | sui | sweɪ | |
sun | ㄙㄨㄣ | sun | swən | |
suo | ㄙㄨㄛ | so | swɔ | |
ta | ㄊㄚ | tʻa | tʰɑ | |
tai | ㄊㄞ | tʻai | tʰaɪ | |
tan | ㄊㄢ | tʻan | tʰan | |
tang | ㄊㄤ | tʻang | tʰɑŋ | |
tao | ㄊㄠ | tʻao | tʰɑʊ | |
te | ㄊㄜ | tʻe | tʰɤ | |
teng | ㄊㄥ | tʻeng | tʰɤŋ | |
ti | ㄊㄧ | tʻi | tʰi | |
tian | ㄊㄧㄢ | tʻien | tʰjɛn | |
tiao | ㄊㄧㄠ | tʻiao | tʰjɑʊ | |
tie | ㄊㄧㄝ | tʻieh | tʰjɛ | |
ting | ㄊㄧㄥ | tʻing | tʰiŋ | |
tong | ㄊㄨㄥ | tʻung | tʰʊŋ | |
tou | ㄊㄡ | tʻou | tʰoʊ | |
tu | ㄊㄨ | tʻu | tʰu | |
tuan | ㄊㄨㄢ | tʻuan | tʰwan | |
tui | ㄊㄨㄟ | tʻui | tʰweɪ | |
tun | ㄊㄨㄣ | tʻun | tʰwən | |
tuo | ㄊㄨㄛ | tʻo | tʰwɔ | |
wa | ㄨㄚ | wa | wɑ | |
wai | ㄨㄞ | wai | waɪ | |
wan | ㄨㄢ | wan | wan | |
wang | ㄨㄤ | wang | wɑŋ | |
wei | ㄨㄟ | wei | weɪ | |
wen | ㄨㄣ | wen | wən | |
weng | ㄨㄥ | weng | wɤŋ | |
wo | ㄨㄛ | wo | wɔ | |
wu | ㄨ | wu | wu | |
xi | ㄒㄧ | hsi | ɕi | |
xia | ㄒㄧㄚ | hsia | ɕjɑ | |
xian | ㄒㄧㄢ | hsien | ɕjɛn | |
xiang | ㄒㄧㄤ | hsiang | ɕjɑŋ | |
xiao | ㄒㄧㄠ | hsiao | ɕjɑʊ | |
xie | ㄒㄧㄝ | hsieh | ɕjɛ | |
xin | ㄒㄧㄣ | hsin | ɕin | |
ㄒㄧㄥ | hsing | ɕiŋ | ||
xiong | ㄒㄩㄥ | hsiung | ɕjʊŋ | |
xiu | ㄒㄧㄡ | hsiu | ɕjoʊ | |
xu | ㄒㄩ | hsü | ɕy | |
xuan | ㄒㄩㄢ | hsüan | ɕyɛn | |
xue | ㄒㄩㄝ | hsüeh | ɕyɛ | |
xun | ㄒㄩㄣ | hsün | ɕyn | |
ya | ㄧㄚ | ya | jɑ | |
yan | ㄧㄢ | yen | jɛn | |
yang | ㄧㄤ | yang | jɑŋ | |
yao | ㄧㄠ | yao | jɑʊ | |
ye | ㄧㄝ | yeh | jɛ | |
yi | ㄧ | i/yi | i | |
yin | ㄧㄣ | yin | in | |
ying | ㄧㄥ | ying | iŋ | |
yo | ㄧㄛ | yo | jɔ | |
yong | ㄩㄥ | yung | jʊŋ | |
you | ㄧㄡ | yu | joʊ | |
yu | ㄩ | yü | y | |
yuan | ㄩㄢ | yüan | yɛn | |
yue | ㄩㄝ | yüeh | yɛ | |
yun | ㄩㄣ | yün | yn | |
za | ㄗㄚ | tsa | tsɑ | |
zai | ㄗㄞ | tsai | tsaɪ | |
zan | ㄗㄢ | tsan | tsan | |
zang | ㄗㄤ | tsang | tsɑŋ | |
zao | ㄗㄠ | tsao | tsɑʊ | |
ze | ㄗㄜ | tse | tsɤ | |
zei | ㄗㄟ | tsei | tseɪ | |
zen | ㄗㄣ | tsen | tsən | |
zeng | ㄗㄥ | tseng | tsɤŋ | |
zha | ㄓㄚ | cha | ʈʂɑ | |
zhai | ㄓㄞ | chai | ʈʂaɪ | |
zhan | ㄓㄢ | chan | ʈʂan | |
zhang | ㄓㄤ | chang | ʈʂɑŋ | |
zhao | ㄓㄠ | chao | ʈʂɑʊ | |
zhe | ㄓㄜ | che | ʈʂɤ | |
zhei | ㄓㄟ | chei | ʈʂeɪ | |
zhen | ㄓㄣ | chen | ʈʂən | |
zheng | ㄓㄥ | cheng | ʈʂɤŋ | |
zhi | ㄓ | chih | ʈʂɨ | |
zhong | ㄓㄨㄥ | chung | ʈʂʊŋ | |
zhou | ㄓㄡ | chou | ʈʂoʊ | |
zhu | ㄓㄨ | chu | ʈʂu | |
zhua | ㄓㄨㄚ | chua | ʈʂwɑ | |
zhuai | ㄓㄨㄞ | chuai | ʈʂwaɪ | |
zhuan | ㄓㄨㄢ | chuan | ʈʂwan | |
zhuang | ㄓㄨㄤ | chuang | ʈʂwɑŋ | |
zhui | ㄓㄨㄟ | chui | ʈʂweɪ | |
zhun | ㄓㄨㄣ | chun | ʈʂwən | |
zhuo | ㄓㄨㄛ | cho | ʈʂwɔ | |
zi | ㄗ | tzŭ | tsɨ | |
zong | ㄗㄨㄥ | tsung | tsʊŋ | |
zou | ㄗㄡ | tsou | tsoʊ | |
zu | ㄗㄨ | tsu | tsu | |
zuan | ㄗㄨㄢ | tsuan | tswan | |
zui | ㄗㄨㄟ | tsui | tsweɪ | |
zun | ㄗㄨㄣ | tsun | tswən | |
zuo | ㄗㄨㄛ | tso | tswɔ |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Subtag Registry
https://www.iana.org[...]
IANA
2024-03-13
[2]
서적
Yü-yen Tzŭ-erh Chi: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As Spoken in the Capital and the Metropolitan Department
https://books.google[...]
Trübner
[3]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in Chinese Education: 1895–1919
https://books.google[...]
Brill
[4]
웹사이트
Chinese Language Transliteration Systems – Wade–Giles
http://polaris.gseis[...]
UCLA film and television archive
2007-08-04
[5]
문서
A Chinese–English Dictionary
[6]
문서
A Chinese–English Dictionary
[7]
문서
Mathews' Chinese–English Dictionary
[8]
서적
西洋近代文明と中華世界――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70周年記念シンポジウム論集
[9]
문서
ジャイルズの辞典には声母のない「o」と「ê」が別の項目として存在する
[10]
문서
これはあくまで後世から見たウェード式の再解釈であり、ウェードやジャイルズ自身は「y」「w」をあくまで音節頭子音として扱っている(以下同様)。またジャイルズの辞典には「i」と「yi」は別の項目として出てくる。
[11]
문서
ジャイルズの辞典では「chʻo」と「chʻuo」が別の項目として存在する
[12]
문서
中文譯音使用原則 (民國97年)
s:zh:中文譯音使用原則 (民國97年[...]
[13]
뉴스
Taipei Times (台北時報)
http://www.taipeit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