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우체국 (더블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블린 중앙우체국은 프랜시스 존스턴이 설계하여 1818년에 완공된 건물로, 아일랜드의 역사적, 문화적 상징이다. 이오니아식 기둥이 있는 포르티코가 특징이며,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봉기 지도부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봉기 이후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아일랜드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있다. 1928년부터 1974년까지 라디오 방송국 2RN이 위치했으며, 2023년에는 An Post의 본사가 이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8년 완공된 건축물 - 올드빅
    올드 빅은 1818년 개관하여 로열 코버그 극장, 로열 빅토리아 극장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된 런던의 극장으로, 엠마 콘스와 릴리언 베일리스를 거쳐 로렌스 올리비에 경의 국립 극단이 상주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매튜 워처스가 예술 감독을 맡아 다양한 작품을 공연하며 200년 넘는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 우체국 - 경성우편국
    일제강점기 경성에 있던 경성우편국은 한국의 우편 및 전신 시스템의 중심이었으며, 1915년에 지어진 대규모 우체국 건물은 일제의 경제적, 정치적 착취에 이용되었다는 비판과 함께 한국 통신 및 금융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우체국 - 포스타 (기업)
    포스타는 페로 제도의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영 기업으로, 1870년 최초의 우체국 설립 후 1976년 덴마크 우체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포스트베르크 푀로야'로 출범, 200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75년부터 자체 우표를 발행하는 등 페로 제도의 통신 발전에 기여해왔다.
  • 더블린의 건축물 - 더블린성
    더블린성은 1204년 잉글랜드 왕 존의 명령으로 건설되어 요새, 행정 중심지, 대통령 취임식 장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공공사업청에서 관리하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주요 건축물이다.
  • 더블린의 건축물 - 아비바 스타디움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아비바 스타디움은 럭비 및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2010년 개장 이후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4층 보울 형태의 건축 구조와 물결 모양 지붕, 용이한 대중교통 접근성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우체국 (더블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2006년 더블린 중앙 우체국
2006년의 중앙 우체국
공식 명칭아르드 오피그 안 포이스트 (Ard-Oifig an Phoist)
다른 이름GPO
위치오코넬 거리 하단, 더블린 1, D01 F5P2
건축 양식그리스 부흥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
소유주공공사업 사무소
용도우체국 및 행정 사무실
건설 정보
착공1814년 8월 12일
완공1818년 1월 6일
비용50,000 파운드
건축가프랜시스 존스턴
상세 정보
층수알 수 없음

2. 건축

프랜시스 존스턴이 설계한 중앙우체국 건물은 그리스 복고 양식의 영향을 받은 더블린의 주요 건축물 중 하나이다. 1814년 착공하여 1818년 완공되었다.[2][3]

건물의 정면은 이오니아식 기둥 6개로 이루어진 웅장한 포르티코가 특징이며, 페디먼트에는 히베르니아를 포함한 상징적인 조각상들이 장식되어 있다. 원래 페디먼트의 팀파눔에는 영국 왕실 문장이 있었으나, 아일랜드 독립 이후인 1920년대 복원 과정에서 제거되었다.[5] 건물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계 및 구조 섹션에서 다룬다.

건물 단지 후면에는 아르데코 양식으로 지어진 쇼핑 아케이드인 GPO 아케이드(GPO Arcade)가 있다. 이 아케이드는 헨리 스트리트와 프린세스 스트리트 노스에서 접근 가능하며,[6][7] 1916년 부활절 봉기 이후 공공 사업청에 의해 건설되었다.[8] 과거 지역 라디오 방송국인 밀레니엄 88FM이 이곳에 위치하기도 했다.[7]

2. 1. 설계 및 구조

1818년에 완공된 더블린 중앙우체국의 그리스 양식 육주 기둥 포르티코. 영국 왕실 문장은 킹스 인과 아일랜드 의회의 문장과 유사하며, 독립 이후 제거되었다.


프랜시스 존스턴이 설계한 이 건물의 초석은 1814년 8월 12일, 당시 아일랜드 총독이었던 찰스 휘트워스 제1대 휘트워스 백작에 의해 놓였다. 이 자리에는 아일랜드 우체국장 찰스 오닐 제1대 오닐 백작과 로렌스 파슨스 제2대 로스 백작도 참석했다.[2][3] 건물은 약 3년 만인 1818년 1월 6일에 완공되어 개업했으며, 건축 비용은 출처에 따라 5만파운드[4]에서 8만파운드[10] 사이로 추정된다.

건물의 정면 길이는 67.1m이다. 정면 중앙에는 폭 24.4m의 포르티코가 자리 잡고 있으며, 6개의 홈이 파인 이오니아식 기둥(지름 137.16cm)이 특징이다. 엔타블러처의 프리즈는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페디먼트의 팀파눔에는 원래 영국 왕실 문장이 있었으나, 1920년대 복원 과정에서 제거되었다. 페디먼트 꼭대기의 아크로테리온에는 존 스미스가 조각한 세 개의 조각상이 있다.[5] 건물을 바라볼 때 왼쪽에는 카두세우스와 지갑을 든 메르쿠리우스, 오른쪽에는 발치에 사냥개를 두고 오른손에 열쇠를 든 신뢰, 그리고 중앙에는 창을 짚고 하프를 든 히베르니아가 묘사되어 있다. 아치트레이브를 제외한 엔타블러처는 포르티코를 넘어 정면 전체로 이어지지만, 프리즈 장식은 포르티코 위에만 있다. 건물 처마 위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15.2m이다.

포틀랜드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포르티코를 제외한 주요 건물은 산 화강암으로 지어졌다. 건물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아래층 또는 지하층은 표면을 거칠게 다듬는 러스티케이션 기법으로 마감되었다. 포르티코는 건물의 전체 높이에 걸쳐 웅장하게 뻗어 있다.

3. 역사

아일랜드 중앙 우체국은 더블린 시내 여러 곳을 거쳐 1818년 1월 6일, 현재의 오코넬 스트리트(당시 새크빌 스트리트)에 새롭게 문을 열고 자리 잡았다.[9][10][11]

이 건물은 특히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봉기 지도부의 본부로 사용되면서 아일랜드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12] 패트릭 피어스가 건물 앞에서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한 곳이기도 하다.[12] 봉기 과정에서 영국군의 공격으로 건물 대부분이 화재로 소실되는 등 크게 파괴되었으나, 견고한 화강암 외벽은 살아남아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 수립 후인 1929년에 복구되었다.[11] 이 사건을 계기로 중앙우체국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독립 투쟁을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게 되었다. 현재도 외벽 기둥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다.

복구 이후 중앙우체국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1928년부터 1974년까지는 라디오 에이린(이전 2RN)의 방송 스튜디오가 이곳에 위치했으며[15][18], 프라이즈 본드 추첨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신화 속 영웅 쿠 훌린의 동상이 1935년 내부에 설치되었고[17], 이는 아일랜드 독립 정신을 상징하는 또 다른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아일랜드 독립 역사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부지 임대료는 1980년대까지 영국 및 미국의 지주에게 계속 지불되었다는 역사의 아이러니를 안고 있다.[14][17]

시간이 흐르면서 중앙우체국 주변 환경에도 변화가 있었다. 건물 바로 옆에는 과거 넬슨 기념탑이 있었으나, 1966년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에 의해 폭파되었고, 2003년 그 자리에는 더블린 첨탑이 세워졌다.[17] 2023년 6월에는 아일랜드 우편 서비스 기관인 안 포스트(An Postga)가 본사를 중앙우체국 건물에서 더블린 노스 월 키의 새 부지로 이전했다.[1]

3. 1. 초기 역사

1757년 더블린 코프 거리 지역의 더블린 중앙 우체국을 보여주는 지도, 아일랜드 중앙은행 건물 위치


아일랜드의 중앙 우체국은 처음에는 더블린의 하이 스트리트에 위치했다. 이후 여러 차례 이전 과정을 거쳤다. 1689년에는 피샴블 스트리트로, 1709년에는 시카모어 앨리로 옮겨갔다. 1755년에는 파운스 코트에 있던 피터 바딘의 초콜릿 하우스 자리로 이전했는데, 이곳은 나중에 상업 건물(중앙 은행 건물)이 들어선 곳이다.[9][10] 그 후에는 아일랜드 은행 건물 맞은편 컬리지 그린에 있는 더 큰 건물로 다시 이전했다.

마침내 1818년 1월 6일, 현재 위치인 새크빌 스트리트(오늘날의 오코넬 스트리트)에서 새로운 중앙 우체국이 문을 열고 영업을 시작했다.[11]

3. 2. 1916년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중앙우체국은 봉기 지도자들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1916년 4월 24일, 건물 밖에서는 패트릭 피어스가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하며 아일랜드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다.[12] 봉기 과정에서 영국군의 공격으로 건물은 화재에 휩싸여 크게 파괴되었고, 화강암으로 된 외벽만 남게 되었다. 이후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가 수립된 후인 1929년에 이르러서야 복구 작업이 완료되었다. 현재도 외벽 기둥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어 치열했던 역사의 흔적을 보여준다.

중앙우체국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봉기 당시 낭독되었던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 사본은 한때 중앙우체국 내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이 박물관은 2015년 5월 말 문을 닫고, 2016년 3월 부활절 봉기 100주년을 맞아 새로운 방문자 센터인 "GPO 증언 역사"(GPO Witness History)로 개편되었다.[13]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1911년 올리버 셰퍼드가 조각한 아일랜드 신화 속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형상화한 동상이 1935년 중앙 우체국 메인 홀 중앙 지휘소 자리에 설치되었다. 이 동상은 현재 건물 정면에 세워져 있으며, 봉기 50주년인 1966년에는 아일랜드 10 실링 동전 도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아일랜드 독립 역사에서 갖는 상징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앙우체국 부지의 지대는 1980년대까지 영국과 미국의 지주들에게 계속 지불되었다는 사실은 식민 지배의 잔재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14][17]

2016년 부활절 봉기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기념 2유로 동전의 앞면에는 중앙우체국 지붕에 세워진 히베르니아 동상이 묘사되었다.[16]

한편, 중앙우체국 바로 옆 오코넬 스트리트 중앙에는 과거 넬슨 기념탑이 서 있었으나, 1966년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의 폭탄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그 자리에는 2003년 더블린의 스파이어가 세워졌다.

3. 3. 봉기 이후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중앙 우체국은 봉기 지도자들의 본부 역할을 수행했다.[12] 1916년 4월 24일, 건물 밖에서는 패트릭 피어스가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했다.[12] 봉기 과정에서 영국군의 포격과 화재로 건물은 크게 파괴되었지만, 화강암 외관은 살아남았다. 이후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가 들어선 뒤 1929년에 복구되었다.[11] 현재도 외벽 기둥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다.

중앙 우체국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독립 역사의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봉기 당시 낭독된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 원본은 한때 중앙 우체국 내 박물관에 전시되었고, 박물관은 2015년 5월 말 폐쇄되고 2016년 3월 봉기 100주년을 맞아 새로운 방문자 센터인 "GPO 증언 역사"로 대체되었다.[13] 봉기를 기념하여 1911년 올리버 셰퍼드가 조각한 신화 속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묘사한 동상이 1935년 중앙 홀에 설치되었으며, 현재는 건물 정면으로 옮겨졌다. 이 동상은 봉기 50주년인 1966년에 발행된 아일랜드 10 실링 동전과 B 시리즈 지폐에도 등장했다. 아일랜드 독립 역사에서 중요한 상징임에도 불구하고, 중앙 우체국 부지의 임대료는 1980년대까지 영국과 미국의 지주에게 계속 지불되었다.[14][17]

독립 이후 중앙 우체국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1928년부터 1974년까지 라디오 에이린(이전 2RN) 방송 스튜디오가 이곳에 있었다.[15][18] 또한, 프라이즈 본드 추첨이 매주 금요일 이 건물에서 열린다. 2008년 아일랜드 정부는 부활절 봉기 기념관, 우편 자료관, 더블린 자료관을 통합하고 두 개의 안뜰을 대규모 공공 공간으로 조성하여 대통령 취임식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19]

중앙 우체국 주변 환경에도 변화가 있었다. 과거 건물 옆 오코넬 스트리트 중앙에는 넬슨 기념탑이 있었으나, 1966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에 의해 폭파되었다.[17] 현재 그 자리에는 2003년에 세워진 더블린 첨탑이 있다.

건물 지붕의 히베르니아 동상은 2016년 부활절 봉기 100주년 기념 2유로 동전 앞면에 도안으로 사용되었다.[16]

우편 서비스 기관인 안 포스트(An Postga)는 2023년 6월 본사를 중앙 우체국 건물에서 더블린 노스 월 키의 새 부지로 이전했다.[1]

4. 상징성

더블린 중앙우체국은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봉기 지도자들의 본부로 사용되었고, 건물 앞에서 패트릭 피어스가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한 역사적인 장소이다.[12]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중앙우체국은 단순한 우편 시설을 넘어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아일랜드 독립 투쟁 역사를 상징하는 중요한 건물이 되었다.[17] 건물 곳곳에 남은 역사의 흔적과 관련 기념물들은 이러한 상징성을 더욱 강조하며 아일랜드인들에게 깊은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4. 1. 부활절 봉기 기념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중앙우체국은 봉기 지도자들의 본부로 사용되었다.[12] 1916년 4월 24일, 건물 밖에서는 패트릭 피어스가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했다.[12] 봉기 과정에서 건물은 영국군의 공격으로 인해 화재로 크게 파괴되었으나, 화강암 외관은 남았다. 이후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에 의해 1929년에 재건되었다. 외벽 기둥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어 역사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 건물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아일랜드 역사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1935년, 신화 속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묘사한 동상이 중앙 우체국 메인 홀 중앙에 설치되었다. 이 동상은 1911년 올리버 셰퍼드가 조각한 것으로, 현재는 건물 정면에서 볼 수 있다.[17] 쿠 훌린 동상은 봉기 50주년인 1966년 발행된 10 아일랜드 실링 동전에도 등장했다. 봉기 당시 낭독된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의 원본 사본은 한때 중앙 우체국 내 An Postga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며, 이 박물관은 2015년 5월 말 문을 닫고 2016년 3월, 봉기 100주년을 맞아 새로운 방문자 센터인 GPO Witness History|GPO 증언 역사영어로 대체되었다.[13] 또한, 건물 꼭대기의 히베르니아 동상은 2016년 부활절 봉기 10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 2유로 동전의 앞면 디자인으로 사용되었다.[16]

중앙 우체국은 아일랜드 자유의 상징적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까지 토지 임대료를 영국 및 미국 지주에게 지불해야 했다.[14][17]

4. 2. 문화적 영향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중앙우체국은 봉기 지도자들의 본부로 사용되었다.[12] 1916년 4월 24일, 건물 밖에서는 패트릭 피어스가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을 낭독했다.[12] 봉기 과정에서 건물은 화재로 인해 크게 파괴되었으나, 화강암 외관은 보존되었다. 이후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에 의해 1929년에 재건되었다. 외벽 기둥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 건물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아일랜드 역사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17]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1911년 올리버 셰퍼드가 조각한 신화적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묘사한 동상이 1935년 중앙 우체국 중앙 홀 지휘소 자리에 설치되었으며,[17] 현재는 건물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동상은 봉기 50주년인 1966년에 발행된 아일랜드 10 실링 동전과 B 시리즈 지폐에도 등장했다.[17] 아일랜드 공화국 선언문의 원본 사본은 한때 중앙 우체국 내 박물관에 전시되었었다. 이 박물관은 2015년 5월 말에 문을 닫고, 2016년 3월 봉기 100주년을 맞아 새로운 방문자 센터인 "GPO 증언 역사(GPO Witness History)"로 대체되었다.[13] 또한, 건물 꼭대기에 있는 히베르니아 동상은 2016년 부활절 봉기 100주년 기념 2유로 동전의 앞면 디자인으로 사용되었다.[16] 아일랜드 독립의 상징적인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중앙 우체국 부지의 임대료는 1980년대까지 영국 및 미국의 지주에게 계속 지불되었다.[14][17]

1928년부터 1974년까지는 이후 라디오 에이린이 된 2RN의 방송 스튜디오가 중앙 우체국 내에 위치했다.[15][18] 또한 프라이즈 본드 추첨이 매주 금요일 이 건물에서 열린다.

과거 중앙 우체국 옆 오코넬 스트리트 중앙에는 넬슨 기념탑이 있었으나, 1966년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에 의해 폭파되었다. 그 자리에는 2003년 더블린의 스파이어가 세워졌다.

5. 현재

(내용 없음 - 원본 소스 부재)

5. 1. 미래 계획

2008년 아일랜드 정부는 부활절 봉기 기념관, 우편학 자료관, 더블린 자료관을 통합하고, 현재 두 곳의 안뜰을 대규모 공공 공간으로 만들어 향후 대통령 취임식 등에 사용하자는 제안을 했다[19]

참조

[1] 뉴스 An Post moves headquarters from GPO to new premises https://www.rte.ie/n[...] RTÉ News 2023-06-22
[2] 서적 The Book of Dignities https://archive.org/[...] Longmans, Brown, Green and Longmans
[3] 서적 Picture of Dublin:comprehending a history of the city; an accurate account of its various establishments and institutions and a correct description of all edifices connected with them https://archive.org/[...] A. M Graham
[4] 웹사이트 History & Heritage – Dublin's General Post Office http://www.anpost.ie[...] An Post 2017-11-23
[5] 웹사이트 Irish Architecture Online: 1814 – General Post Office, O'Connell Street, Dublin http://archiseek.com[...] Archiseek.com 2017-11-28
[6] 뉴스 Leasehold on Dublin's GPO Arcade and 10 shops for sale https://www.irishtim[...] 2019-05-14
[7] 웹사이트 'I made a few thousand selling Eircom shares' https://www.independ[...] 2019-05-14
[8] 웹사이트 Dublin's GPO Marks 200 years in business https://www.newstalk[...] 2019-05-14
[9] 간행물 Dublin Post Office http://www.gutenberg[...] J. Limbird 1827
[10] 서적 The GPO - 200 Years of History Mercier Press
[11] 뉴스 Bicentenary commemorative stamp honors Ireland's General Post Office https://www.linns.co[...] Linns Stamp News 2018-03-25
[12] 뉴스 Easter Rising – Day 1: Rebels on the streets https://www.irishtim[...] 2018-06-25
[13] 뉴스 The GPO then and now https://www.irishtim[...] 2018-04-06
[14] 웹사이트 Ceisteanna – Questions: Oral Answers – GPO Ground Rent https://www.oireacht[...] Oireachtas 2021-06-27
[15] 웹사이트 History of Raidió Teilifís Éireann https://www.rte.ie/a[...] Raidió Teilifís Éireann 2020-08-08
[16] 뉴스 Commemorative €2 coin released to mark 1916 centenary https://www.irishtim[...] 2022-07-20
[17] 문서 Debate on GPO ground rent http://www.oireachta[...]
[18] 서적 Marconi: the Irish connection Four Courts Press
[19] 뉴스 GPO may become setting for presidential inaugurations http://www.irishtime[...] 2008-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