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나이다 세레브랴코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나이다 세레브랴코바는 러시아의 화가로,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나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1911년 러시아 예술 운동인 미르 이스쿠스트바에 참여했다. 그녀는 자화상, 농촌 생활, 오리엔트와 고전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으며, 대표작으로는 〈화장대에서〉, 〈수확〉, 〈목욕탕〉, 〈아침 식사 때〉 등이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남편의 사망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1924년 파리로 건너가 프랑스 시민권을 얻고, 1960년 딸과 재회했다. 그녀의 작품은 밝은 색채와 섬세한 묘사로 인간의 내면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화가 - 천경자
    천경자는 전라남도 고흥 출신의 대한민국 화가이자 수필가로,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하여 '길례언니',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등 다수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미인도' 위작 사건 이후 절필 후 미국으로 떠났다가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했다.
  • 여자 화가 - 로자 보뇌르
    로자 보뇌르는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조각가로, 동물화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니베르네의 쟁기질》과 《말 시장》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 러시아의 화가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러시아의 화가 - 카지미르 말레비치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의 선구자이자 절대주의 미술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하학적 추상을 통해 순수한 예술적 표현을 추구했으며, 대표작 〈검은 사각형〉과 〈흰색 위의 흰색〉은 추상 미술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소련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소련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나이다 세레브랴코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화장대에서. 자화상 (1909)
자화상 〈화장대에서〉(At the Dressing-Table), 1909년
본명지나이다 예브게니예브나 란세레
출생1884년 12월 10일 (율리우스력 11월 30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쿠르스크 현 네스쿠치노예 (현재 우크라이나 지역)
사망1967년 9월 19일 (82세)
사망지프랑스 파리
국적러시아, 프랑스 (1947년 이후)
묘소생트주느비에브데부아 러시아 묘지, 파리
활동
분야회화
사조구상 미술
신고전주의 부흥
미르 이스쿠스ства
스승오시프 브라즈, 일리야 예피모비치 레핀,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
가족
배우자보리스 세레브랴코프 (1905년 결혼, 1919년 사별)
자녀4명

2. 가족

세레브랴코바는 러시아 제국 하르키우 근처 네스쿠치노예에서 예술가 집안인 브누아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예브게니 란세레는 조각가였으며, 어머니 예카테리나 란세레는 화가였다.[5] 할아버지 니콜라이 브누아는 저명한 건축가이자 건축가 협회 회장이자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삼촌 알렉상드르 브누아는 화가이자 예술 단체 '미르 이스쿠스트바'의 창립자였다.[2] 형제 중 니콜라이 란세레는 건축가였고, 예브게니 예브게니예비치 란세레는 회화와 그래픽 아트의 대가로서 러시아 및 소련 미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영국 배우이자 작가인 피터 유스티노프 또한 그녀와 친척 관계였다.

3. 유년기

지나이다 세레브랴코바는 1900년에 여자 김나지움(문법 학교 또는 고등학교)을 졸업하고, 마리아 테니셰바 공주가 설립한 미술 학교에 입학했다. 1901년에는 일리야 레핀에게, 1903년부터 1905년까지는 초상화가인 오시프 브라즈에게 배웠다. 1902년부터 1903년까지 이탈리아에서 시간을 보냈고, 1905년부터 1906년까지 파리의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1905년, 1촌 조카인 보리스 세레브리아코프와 결혼하여 그의 성을 따랐다. 보리스는 훗날 철도 엔지니어가 되었다.

4. 이른 성공

세레브랴코바의 가장 유명한 자화상인 〈화장대에서〉(트레티야코프 미술관 소장, 1909년)는 그 해 겨울에 그려졌다. 그녀의 오빠 예브게니 예브게니예비치 랜스레이의 권유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전시회에 이 그림을 보냈으며, 그림은 전시회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전시 직후 이 그림은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에 팔렸다.[6]

1911년, 세레브랴코바는 러시아의 예술운동인 ''미르 이스쿠스트바''에 참여했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세레브랴코바는 〈농민〉 (1914~1915, 러시아 박물관), 〈잠자는 농민 소녀〉 (개인 소장품) 등 러시아 농촌 생활을 주제로 한 그림들을 그렸다.

1916년, 삼촌 알렉상드르 베누아가 모스크바카잔스키역 장식 의뢰를 받았을 때, 그녀는 오빠 예브게니 랜스레이, 소련의 화가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예술가 므스티슬라프 도부진스키와 함께 장식 작업에 참여했다. 세레브랴코바는 인도, 일본, 튀르키예, 태국동양을 주제로 하여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우화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고전 신화를 주제로 작품을 구상했지만 완성하지는 못했다.

5. 혁명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세레브랴코바의 삶은 바뀌었다. 1919년 남편 보리스가 발진티푸스로 사망했으며, 세레브랴코바는 네 자녀와 아픈 어머니를 부양해야 했다. 네스쿠치노예의 모든 물품들이 약탈당해 가족은 굶주림에 시달렸다. 세레브랴코바는 유화 대신 목탄과 연필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으며, 이 시기에 --를 그렸다.

세레브랴코바는 초기 소련 미술에서 유행했던 절대주의나 러시아 구성주의 스타일로 전향하거나, 인민위원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을 원치 않았다. 대신 하리코프 고고학 박물관에서 작품들을 연필로 그리는 일을 했다. 1920년 12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할아버지의 아파트로 이사했으며, 10월 혁명 이후 개인 아파트 주민들은 추가 주민들과 아파트를 공유해야 했지만, 세레브랴코바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예술가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세레브랴코바는 연극 생활에 초점을 맞춘 작품을 그렸다. 또한 이 무렵 세레브랴코바의 딸 타티아나가 발레 학원에 입학했고, 세레브랴코바는 마린스키 극장에서 파스텔 연작을 창작했다.

6. 파리

1924년 가을, 세레브랴코바는 대형 장식 벽화 의뢰를 받고 파리로 갔다. 이 작업을 마친 후에는 어머니와 네 자녀가 있는 소련으로 돌아갈 생각이었으나, 돌아갈 수 없었다. 1926년과 1928년에 각각 자녀 알렉상드르와 캐서린을 파리로 데려왔지만, 다른 두 자녀 예브게니와 타티아나는 데리고 올 수 없었고 수년 동안 다시 볼 수 없었다.[1]

그 후 세레브랴코바는 많은 곳을 여행했다. 1928년과 1930년에는 아프리카를 여행하며 모로코를 방문했다. 그녀는 북아프리카의 풍경에 매료되어 아틀라스 산맥아랍 여성, 민족 의상을 입은 아프리카인들을 그렸다. 그녀는 또한 브르타뉴반도의 어부들을 주제로 한 연작을 그렸다.[1]

1947년에 세레브랴코바는 프랑스 시민권을 얻었고, 흐루쇼프해빙 이후 소련 정부는 그녀가 소련에 있는 가족과 다시 연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60년, 36년간의 강제 별거 끝에 큰 딸 타티아나(타타)를 만날 수 있었다. 당시 타티아나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풍경을 그리는 예술가로 일하고 있었다.[1]

7. 말년

1947년에 세레브랴코바는 프랑스 시민권을 얻었고, 흐루쇼프의 해빙 이후 소련 정부는 그녀가 소련에 있는 가족과 다시 연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4] 1960년, 36년 만에 그녀의 큰 딸 타티아나(타타)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4] 당시 타티아나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풍경을 그리는 예술가로도 일하고 있었다.[4]

1966년, 세레브랴코바의 작품은 소련의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예프에서 전시되어 큰 호평을 받았다.[5] 그녀의 앨범은 수백만 장이 팔렸고 보티첼리, 르누아르와 비교되기도 했다.[5] 그녀는 200여 점의 작품을 소련에 전시하기 위해 보냈지만, 오늘날 그녀의 작품 대부분은 프랑스에 남아 있다.[5]

세레브랴코바는 1967년 9월 19일 파리에서 뇌출혈로 쓰러져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그녀는 파리의 생트준비에브데부아에 있는 러시아 묘지에 안치되었다.[6]

생트준비에브데부아에 있는 세레브랴코바의 묘

8. 작품

세레브랴코바의 주요 작품으로는 〈화장대에서〉(1909), 〈수확〉(1915), 〈목욕탕〉(1913), 〈아침 식사 때〉(1914) 등이 있다. 그녀의 작품은 밝고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섬세한 묘사가 특징이며, 인물과 풍경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조화롭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레브랴코바는 1910년대 초 러시아 농촌 생활을 주제로 한 그림들을 그렸으며, 〈가을 작물의 싹〉(1908), 자화상(1910, 1911)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1916년에는 모스크바카잔스키역 장식 작업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튀르키예, 태국동양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1928년과 1930년에는 모로코를 방문하여 130개가 넘는 초상화와 도시 풍경을 그렸다. 그녀는 아틀라스산맥아랍인 여성, 민족 의상을 입은 아프리카인들을 그렸고, 브르타뉴반도의 어부들을 위한 자전거를 그리기도 했다.

세레브랴코바의 작품은 1966년 소련의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이우에서 전시되어 큰 호평을 받았다. 그녀의 앨범은 수백만 장에 달했고 산드로 보티첼리, 오귀스트 르누아르와 비교되기도 했다. 그녀는 200여 점의 작품을 소련에 전시하기 위해 보냈지만, 오늘날 그녀의 작품 대부분은 프랑스에 남아 있다.

세레브랴코바의 주요 작품 (대표작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작품)
제목제작 연도소장처비고
--1900년
--1908년트레티야코프 미술관
--1910년
--1910년
--1911년
--1914년경


8. 1. 대표작

〈수확〉(Harvest), 1915년, 오데사 국립미술관

  • 〈화장대에서〉 (1909년,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소장) - 세레브랴코바의 가장 유명한 자화상이다. 1909년 겨울, 눈이 많이 내려 집에 머무는 동안 화장대 앞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1910년 제7회 러시아 예술가 연합 전시회에 출품되어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전시 직후 트레티야코프 미술관에 팔렸다.[6][2]
  • 〈목욕하는 소녀〉 (1911년, 러시아 미술관)
  • 〈예.K. 란세레이의 초상〉 (1911년, 개인 소장)
  • 〈작가(세레브랴코바)의 어머니 예카테리나 란세레이의 초상〉 (1912년, 러시아 미술관)
  • 〈농민〉 (1914~1915, 러시아 미술관)
  • 〈잠자는 농민 소녀〉 (개인 소장)
  • 〈목욕탕〉 (1913년, 러시아 미술관)
  • 〈아침 식사 때〉 (1914)
  • 〈수확〉 (1915년, 오데사 국립미술관)
  • 〈크바스니크를 든 소작농 여인〉 (1914년경)


1916년, 모스크바카잔스키역 장식 작업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튀르키예, 태국동양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다.

9. 평가 및 영향

세레브랴코바의 작품은 1966년 소련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예프에서 전시되어 큰 호평을 받았다.[1] 그녀의 앨범은 수백만 장이 팔렸고, 보티첼리, 르누아르와 비교되기도 했다.[1] 그녀는 200여 점의 작품을 소련에 전시하기 위해 보냈지만, 오늘날 그녀의 작품 대부분은 프랑스에 남아 있다.[1]

참조

[1] 문서 Zinaida Serebriakova
[2] 저널 Zinaida Serebriakova 1982-12-31 # Autumn 1982 – Winter 1983은 연도만 명확하므로 12월 31일로 설정
[3] 웹사이트 Zinaida Serebriakova's 136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0-12-10
[4] 웹사이트 ジナイーダ セレブリャコワ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ビジネス 2016-10-10
[5] 저널 Zinaida Serebriakova 1982-12-31 # Autumn 1982 – Winter 1983은 연도만 명확하므로 12월 31일로 설정
[6] 저널 Zinaida Serebriakova 1982-12-31 # Autumn 1982 – Winter 1983은 연도만 명확하므로 12월 31일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