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위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진위험도는 특정 지역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과 예상 피해를 평가하는 개념이다. 1950년대 일본과 미국에서 처음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역사 지진 자료와 활단층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 확률과 예상 진동 강도를 지도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지진 위험도 평가는 시간 의존 모델과 시간 비의존 모델로 나뉘며, 지점별 평가와 지진별 평가 방식을 사용한다. 미국, 일본,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지진 위험도 지도를 제작하고 있으며, 건축 구조 설계, 리스크 관리, 보험, 방재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지진 위험도는 지진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경제적 손실이나 사상자 발생 확률을 제공한다. 하지만 지진 데이터의 불완전성, 확률적 평가의 한계 등 문제점도 존재하며,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평가 방법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험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BCH)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 관리를 위한 국제 정보 교환 플랫폼으로, LMO 관련 정보 제공, 개발도상국 지원, 국제 의무 이행, 다국어 지원,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위험 - 스턴트 배우
스턴트 배우는 영화, 드라마 등 영상 매체에서 배우를 대신하여 위험한 연기를 하는 직업으로, 보디 스턴트와 카 스턴트로 나뉘며, 안전 문제와 권익 보호를 위한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 위기관리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위기관리 - 재난안전관리본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대한민국의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정부 기관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본부장 아래 2실 1국, 6정책관, 1심의관, 28과(1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재난 대응 및 안전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 지진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진학 - 진앙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지진파 분석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지진 규모 및 피해 예측에 활용한다.
지진위험도 | |
---|---|
개요 | |
정의 | 지진으로 인해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피해 정도 또는 손실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
구성 요소 | 지진 위험도 지역의 취약성 노출 |
지진 위험도 평가 | |
방법 | 과거 지진 기록 분석 지진 발생 가능성 평가 지반 특성 조사 |
고려 요소 | 지진 발생 빈도 및 강도 지반 증폭 특성 건축물의 내진 성능 인구 밀집도 사회 기반 시설의 중요도 |
지진 위험도 경감 대책 | |
구조적 대책 | 내진설계 기준 강화 기존 건축물의 내진 보강 |
비구조적 대책 | 지진 대비 교육 및 훈련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 토지 이용 규제 강화 |
보험 | 지진 보험 가입 장려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지진 공학 지진 예측 지진 재해 |
외부 링크 | EFEHR - 지진 위험이란 무엇인가? Seismic Hazard and Risk Analysis (Baker, Bradley, Stafford, 2021) |
참고 문헌 | 片山恒雄 (1975). 研究解説 : 地震活動度・危険度の確率論的な考え方. 生産研究, 27(5), 185-195. |
2. 역사와 각국의 상황
근대 지진학에서 지진 위험도 개념은 일본의 카와스미 히로시와 미국의 알린 코넬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12][13].
이후 여러 국가에서 지진 위험도 평가 및 지도 작성이 진행되었다.
2. 1. 일본
카와스미 히로시는 1951년 일본의 역사 지진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 진도의 지진동이 발생하는 평균 간격과 최대 가속도를 표시한 '카와스미 맵'을 발표했다[14]. 카와스미 맵은 1950년 제정된 건축 기준법의 내진 설계에 반영되었다[14].이후, 카나이·스즈키(1968) 등은 최대 속도 분포를 나타낸 '카나이 맵'을 발표했다[9][12].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일본 정부는 지진 위험도 평가에 더 중점을 두게 되었으며[11][16], 지진 조사 연구 추진 본부는 2005년 '전국을 개괄한 지진동 예측 지도', 2009년 '전국 지진동 예측 지도'를 발표했다[18].
2. 2. 미국
찰스 리히터는 1959년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간이 지진 위험도 조닝을 실시했으며, 이는 미국의 내진 기준 설정에 참고가 되었다[15]. 이후 연구가 진전되어, 알린 코넬(C. Allin Cornell)은 1968년에 확률 모델에 기반한 위험도 평가를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USGS는 (ABAG)와 협력하여 1960년대부터 샌프란시스코만의 위험도 평가 검토를 시작하여, 1980년대에는 위험도 지도를 발표했다[12].또한 미국에서는 USGS, , 의 3자가 공동으로 설립한 "Working Group On California Earthquake Probabilities"(WGCEP)가 캘리포니아주의 위험도 지도 검토를 계속하고 있다. 1990년과 1995년에는 고유 지진의 반복 발생을 모델화한 고유 지진 모델을 도입하여 장기적인 지진 발생 확률을 구하여 발표했다[15].
2. 3. 기타 국가
캐나다에서는 Milne·Davenport(1969)가 역사 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최대 가속도의 분포를 푸아송 과정으로 간주하여 해석한 지도를 발표했다.[9][12] 구 소비에트 연방에서도 Nersesov(1984)나 Sidorenko 등(1984)이 위험도 지도를 발표했다.[15] 리키타케의 『지진 예지 발전과 전망』(2001)에는 터키나 중국 등의 사례도 기재되어 있다.[15]3. 시간 의존과 시간 비의존
지진 발생에 관한 확률 분포는 푸아송 분포를 가정하고 푸아송 과정에 따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정적이고 무작위로 발생하는 지진(예: 무수한 단층을 가진 영역 내에서의 지진 발생 확률)을 다루는 경우, 확률은 정상 푸아송 과정과 구텐베르크-리히터 관계식에 의해 표시되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반면, 발생 확률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지진(예: 하나의 단층이나 해구에서의 고유 지진 발생 확률)을 다루는 경우에는 시간 경과를 포함한 비정상 푸아송 과정에 의해 표시된다[9]。 전자를 시간 비의존 모델, 후자를 시간 의존 모델이라고 한다.
시간 의존 모델에는 몇 가지 기법이 있다. WGCEP가 1995년에 발표한 평가에서는 일반적인 시간 예측 모델에 로그 정규 분포의 변동성을 더하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모델에서는 이전 지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반대로 확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는 기법으로 Matthews(1999)는 BPT(Brownian Passage Time) 분포를 사용한 평가법을 고안했다. BPT란, 진원에서의 응력장의 교란이 지진이나 지각 변동 등의 브라운 운동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교란의 축적으로 대지진의 발생에 이르는 과정을 모델화한 것이다[19]。 지진 조사 연구 추진 본부는 2001년에 이를 사용한 기법을 개발하여, 이후의 평가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4. 지점별 평가와 지진별 평가
지진 위험도 평가는 접근 방식에 따라 확률론적 지진해저드 평가와 시나리오형 지진동 평가로 나뉜다. 확률론적 지진해저드 평가는 특정 지점의 지진동을 평가하며, 여러 지진의 영향을 고려한다. 반면 시나리오형 지진동 평가는 특정 지진 발생 시 지진동을 평가한다.[20]
두 평가는 비슷한 확률값을 사용하지만 혼동을 피해야 한다. 확률론적 지진해저드 평가에서는 일정 지진동(최대 가속도, 진도 등)을 기준으로 지진동 초과 확률을 사용한다. 시나리오형 지진동 평가에서는 특정 지진 발생 확률을 사용한다.[21] 이러한 확률은 시간 의존 모델에서 해저드 커브라는 곡선 형태로 나타난다.
5. 지진 위험도 결정
지진 위험도 결정은 위험 완화 의사 결정의 기초이며, 위험 관리의 핵심 단계이다. 대기업 및 지방 정부와 같은 기관들은 자산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건물 구조 강화 또는 비상 계획과 같은 위험 감소 조치를 위해 제한된 자금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각 시설의 위험을 계산할 때 구조적 손상뿐만 아니라 장비, 내용물 및 비즈니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인명 및 경제적 손실을 고려한다. 공공 기관은 물, 도로 및 고속도로, 전력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의 상호 연결도 고려한다. 보험 회사는 적절한 보험료를 결정하고, 좁은 지역의 과도한 정책 축적을 모니터링하며, 재보험을 구매하기 위해 지진 위험 추정치를 사용한다.[4]
지진 위험도는 지진 위험 입력값을 사용하고 건물, 교량 등 구조물 및 시설의 알려진 취약성과 결합하는 지진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는 경제적 손상이나 사상자의 확률을 제공하며, HAZUS 컴퓨터 프로그램이 그 예시이다.[5] 개별 건물 또는 시설에 대한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지진 위험 추정의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측면 중 하나이다.[6]
5. 1. 상업용 부동산의 지진 손실 추정
1999년, ASTM은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지진 손실 추정 보고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최대 예상 손실(PML) 검토로 알려져 있다.[7] 이 지침은 작업 범위, 검토자의 자격 및 손실 추정 보고에 대한 적절한 명칭을 명시한다.[7]6. 지진 위험 감소
지진 위험은 비상 대응을 개선하고 기본적인 인프라를 개선하는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지진 대비는 지진으로 인한 비상사태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건축 법규는 지진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지진 지반 운동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는 이러한 유형의 적극적인 개선을 내진 보강이라고 한다.[8] 그러나 일반적으로 변경 사항은 기존 건물이 수정 사항을 충족하도록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지역 사회의 지진 위험을 즉시 개선하지는 않는다.
7. 주요 지진 위험도 평가
- 일본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일본어(추본) "[https://www.jishin.go.jp/evaluation/seismic_hazard_map/ 전국 지진동 예측 지도]"(최신: 2020년판)는 시간 의존, 지점별, 지진별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한다.
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 "[https://www.j-shis.bosai.go.jp/ 지진동 예측 지도(NIED 작성판)]"는 추본의 예측 모델을 매년 갱신하여, 임의 지점의 리스크 표시 및 지반 정보와의 중첩 등에 대응한 GIS형 지도를 제공한다.
- 미국
- * 연방 레벨
"USGS 전국 지진 위험 지도[22]" ([http://earthquake.usgs.gov/hazards/products/ USGS National Seismic Hazard Map], NHSM)는 시간 의존, 지점별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한다. 1996년에 본토 48개 주, 1997년에 알래스카주・하와이주의 위험 지도가 처음 발표되었다.[23]
지역 | 최신판 |
---|---|
본토 48개 주 | 2008년판 |
알래스카주 | 2007년판 |
하와이주 | 1998년판 |
푸에르토리코・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2003년판 |
괌・북마리아나 제도 | 2012년판 |
아메리카령 사모아・남태평양 제도 | 2012년판 |
- * 캘리포니아주
"전 캘리포니아 지진 파괴 예측[24]" ([http://wgcep.org/UCERF3 Uniform California Earthquake Rupture Forecast], UCERF) (최신: 2015년판 "UCERF3")는 시간 의존, 지점별, 지진별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한다.
- 세계
USGS "세계 지진 위험 평가 프로그램" ([http://www.seismo.ethz.ch/static/gshap/ Global Seismic Hazard Assessment Program], GSHAP)는 시간 비의존, 지점별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한다. 국제 연합이 1990년대에 내걸었던 "국제 방재의 10년"(IDNDR)의 일환으로 진행된 사업으로, 50년 동안 10%의 확률로 발생하는 최대 가속도를 기준으로 구역화한 지도가 작성되었다.[25]
8. 지진 위험도 값의 의미와 활용 방법
지진 위험도 결정은 위험 완화 의사 결정의 기초이며, 위험 관리의 핵심 단계이다. 대기업 및 지방 정부와 같은 기관들은 자산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건물 구조 강화 또는 비상 계획과 같은 위험 감소 조치를 위해 제한된 자금을 가장 잘 할당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이때 구조적 손상뿐만 아니라 장비, 내용물 및 비즈니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인명 안전 및 경제적 손실을 고려한다. 공공 기관은 인프라의 상호 연결도 고려하며, 보험 회사는 적절한 보험료를 결정하고 재보험을 구매하기 위해 지진 위험 추정치를 사용한다.[4]
지진 위험은 지진 위험 입력값을 건물, 교량 등의 구조물 및 시설의 알려진 취약성과 결합하는 지진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는 경제적 손상이나 사상자의 확률을 제공하며, HAZUS 컴퓨터 프로그램이 그 예시이다.[5] 개별 건물에 대한 정확한 지진 위험은 구성 및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는 것은 지진 위험 추정의 가장 어렵고 비싼 측면 중 하나이다.[6]
1999년, ASTM은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지진 손실 추정 보고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최대 예상 손실 검토로 알려져 있다.[7]
지진조사연구본부는 내륙의 활단층 지진(내륙 지각 내 지진)에 대해 발생 후에 당시의 확률값을 역산하여 몇 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진 발생 직전 30년 발생 확률은 1995년의 고베 대지진(M7.3)에서는 0.02-8%였다.[26]
지진동 예측 지도 공학 이용 검토 위원회의 2002년 보고에 따르면, 확률론적 지진 재해 평가는 건축 구조 설계, 리스크 관리, 수명 주기 비용 평가, 부동산 감정, 지진 보험, 지역 방재 계획 등 방재정책 분야에서 사용된다.[20] 시나리오형 지진동 평가는 특히 원자력 시설 및 초고층 건축물 등의 중요한 구조물의 설계, 지진 피해 예상 등에서 활용된다.[27]
9. 지진 위험도 평가의 문제점
지진 위험도 평가는 19세기 후반 이후의 계측 관측 기록만으로는 부족하며, 장기간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지진 기록의 누락이나 과대평가는 오차로 이어질 수 있어 데이터의 불완전성 문제가 존재한다.[9] 또한, 확률이 낮다고 해서 지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확률이나 예상되는 최대 진도가 낮더라도, 대지진 발생 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28]
확률적 장기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확률의 크고 작음이 지진 방재의 우선순위를 좌우한다"는 비판과 "확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위기 의식이 높아지지만, 낮은 지역에서는 안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한 단층에서 대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확률이 낮다고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확률 대신 "언제 어디서 대지진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다"는 식으로 무작위성을 강조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2011년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은 기존 평가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지진으로, 지진 위험도 평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지진 조사 연구 추진 본부는 전국 지진동 예측 지도의 갱신을 일시 중단하고, 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2014년부터 재개했다. 개선된 평가 방법은 저빈도 거대 지진이나 복수의 활단층 연동을 고려하며, 1만 년이나 10만 년 주기의 초장기 예측 지도를 공표하기 시작했다. 또한, 진원 단층을 미리 특정하기 어려운 지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해일퇴적물 조사 및 지각 변동 관측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29][30][31]
참조
[1]
웹사이트
EFEHR {{!}} What is earthquake risk?
http://www.efehr.org[...]
2024-04-08
[2]
서적
Seismic Hazard and Risk Analysis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09
[3]
간행물
Seismic risk evaluation for an urban centre.
https://www.unisdr.o[...]
250TH ANNIVERSARY OF THE 1755 LISBON EARTHQUAKE
[4]
문서
Simple Survey Procedures for Seismic Risk Assessment In Urban Building Stocks
http://www.uni-kasse[...]
[5]
웹사이트
Fema: Hazus
https://web.archive.[...]
2022-01-17
[6]
학술지
Fire Research Division
http://fire.nist.gov[...]
2008-12-11
[7]
웹사이트
Seismic Reports | ASTM E2026 – Cascade Crest Consulting Engineers
https://web.archive.[...]
2013-02-26
[8]
서적
Acceptable Risk Processes: Lifeline and Natural Hazards
https://web.archive.[...]
ASCE, TCLEE
[9]
문서
地震の事典
[10]
학술지
研究解説 : 地震活動度・危険度の確率論的な考え方
https://repository.d[...]
東京大学生産技術研究所
1975-05-01
[11]
문서
藤原・河合ら、2002年
[12]
문서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長期評価部会・強震動評価部会、「[https://www.jishin.go.jp/evaluation/seismic_hazard_map/shm_report/shm_report_2004/ 確率論的地震動予測地図の試作版(地域限定-西日本)]」内「説明文」§1(31頁)
2004-03-25
[13]
문서
地震動予測地図工学利用検討委員会、2002年
[14]
학술지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s://repository.d[...]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951-10-01
[15]
문서
力武、2001年
[16]
문서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https://www.jishin.go.jp/evaluation/seismic_hazard_map/shm_report/shm_report_2005/ 「全国を概観した地震動予測地図」報告書]」内「分冊1: 確率論的地震動予測地図の説明」§1(1-2頁)
2005-12-14
[17]
간행물
活断層を考慮した神戸における地震危険度評価
http://www.jsce.or.j[...]
[[토목학회]]
1996
[18]
웹사이트
全国地震動予測地図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3-09-14
[19]
간행물
擾乱を含んだ時間予測モデル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00
[20]
문서
地震動予測地図工学利用検討委員会、2002年
[21]
웹사이트
地震の発生確率と地震動の超過確率
https://www.j-shis.b[...]
防災科学技術研究所 J-SHIS 地震ハザードステーション
2013-09-14
[22]
문서
暫定訳
[23]
문서
地震動予測地図工学利用検討委員会、2002年
[24]
문서
暫定訳
[25]
문서
地震動予測地図工学利用検討委員会、2002年
[26]
웹사이트
「過去に発生した地震の地震発生直前における確率」:地震調査研究本部>地震に関する評価>長期評価
https://www.jishin.g[...]
[27]
문서
地震動予測地図工学利用検討委員会、2002年
[28]
간행물
今後の地震動ハザード評価に関する検討 ~2011年・2012年における検討結果~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2-12-21
[29]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伴う長期評価に関する対応について
https://www.jishin.g[...]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지진조사위원회]]
2011-06-10
[30]
뉴스
地震予測の手法見直し 発生例なくても想定 政府調査委
http://www.asahi.com[...]
読売新聞, Asahi.com
2011-06-09
[31]
간행물
全国地震動予測地図2014年版 これまでの経緯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23-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