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하련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거창 출신의 소설가이다.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일본 유학 후 도쿄상과대학(현 히토츠바시 대학)을 졸업했다. 1940년 소설 〈결별〉을 발표하며 등단하여, 총 여덟 편의 단편 소설을 남겼다. 임화와 결혼하여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활동했으며, 소설 〈도정〉으로 제1회 조선문학상을 수상했다. 1947년 임화와 함께 월북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남편 임화가 처형된 후 1960년경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상가 - 이현상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활동한 이현상은 6·10 만세운동 참여, 노동 및 항일 운동, 남로당 활동, 남부군 사령관으로서의 게릴라전 지휘 등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빨치산 지도자로서의 삶을 살았으며 북한에서 애국렬사로 추앙받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상가 - 임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친 시인이자 평론가, 프로레타리아 문학 운동가인 임화는 KAPF에서 활동하며 좌익 문학 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월북 후 스파이 혐의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은 논란 속에서도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임화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은 1925년 염군사와 파스큐라가 합쳐져 결성된 좌익 문학 단체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계급 투쟁을 선전하고 계몽하는 것을 목표로 조직적인 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나, 내부 갈등과 일제의 탄압으로 1935년 해산되었다. - 임화 -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는 1945년 임화, 김남천 등 KAPF 소장파가 결성한 문학 단체로, 좌우 통합을 표방했으나 좌익 강경파의 반발과 KAPF 분리 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어 해방 직후 문학 운동 방향 논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주세죽
주세죽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로, 조선공산당 활동, 근우회 결성 참여 등 항일 운동을 전개했으며 박헌영과 결혼 후 소련 망명, 김단야와 재혼, 이후 일본 밀정 혐의 체포 및 유배, 소련 거주 중 사망 후 명예 회복 및 건국훈장 추서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안막
안막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월북할 때까지 활동한 문학 평론가이자 카프 이론가로, 사회주의 운동 참여 및 카프 활동을 통해 임화, 김남천 등과 문단 논쟁을 주도했으며, 광복 후 월북했으나 숙청당한 인물이다.
지하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지하련 |
원어 이름 | 池河蓮 |
본명 | 이현욱 (李現郁) |
출생일 | 1912년 7월 1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거창 |
사망일 | 1960년? (49세)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의주 |
직업 | 작가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르 | 소설 |
학력 | 일본 도쿄 경제전문학교 전문학사 |
경력 | 조선문학가동맹 상임위원 |
활동 기간 | 1940년 ~ 1950년 |
배우자 | 림화 |
자녀 | 없음 |
2. 생애
경상남도 거창에서 태어나 마산에서 성장한 지하련은 부유한 집안 환경에서 자라 일본 유학을 다녀오는 등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문 경험을 했다. 1936년 카프 출신 문학이론가 겸 시인 임화와 결혼했다.[5]
이후 1940년 문학평론가 백철의 추천으로 〈결별〉을 《문장》에 발표하며 등단하였고,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활동하며 조선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47년 임화와 함께 월북하였으나,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박헌영 계열이 몰락하면서 임화가 미제 간첩 혐의로 처형되고, 1960년경 지하련도 사망하였다.[6]
2. 1. 유년 시절과 일본 유학
경상남도 거창에서 태어나 경상남도 마산에서 성장하였다. 부유한 집안 환경 속에서 성장하였으며,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일본 유학을 다녀와 구제 도쿄상과대학(현 히토츠바시 대학)을 졸업했다.[1]2. 2. 등단과 문단 활동
1940년 문학평론가 백철의 추천으로 〈결별〉을 《문장》에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했다.[5] 이후 〈체향초(滯鄕抄)〉(1941), 〈가을〉(1941), 〈산길〉(1942), 〈도정(道程)〉(1946), 〈광나루〉(1947), 〈종매(從妹)〉(1948), 〈양〉(1948) 등 총 여덟 편의 단편소설을 발표했다.광복 후 임화와 함께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활동했으며, 조선문학가동맹 기관지 《문학》 창간호에 발표한 〈도정(道程)〉으로 제1회 조선문학상을 수상했다.[2] 〈도정〉은 지식인이 계급 의식을 깨닫고 실천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섬세한 필치로 그리고 있다.
2. 3. 조선문학상 수상과 월북
조선문학가동맹 기관지 《문학》 창간호에 발표한 〈도정(道程)〉으로 제1회 조선문학상을 수상했다.[6][2] 이 작품은 지식인이 계급 의식을 깨닫고 실천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섬세한 필치로 그리고 있다.1947년 임화와 함께 월북했다.[6] 한국 전쟁 발발 후 만주에 피난차 머물고 있다가, 1953년 박헌영 계열이 몰락하면서 임화도 미제 간첩 혐의로 총살당했다. 이후 1960년경 지하련도 사망하였다.[6] 남편 임화가 처형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발광하여 사망했다고 전해진다.[2]
2. 4. 비극적 죽음
1947년 임화와 함께 월북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만주에 피난차 머물고 있다가, 1953년 박헌영 계열이 몰락하면서 임화도 미제 간첩 혐의로 총살당했다.[6] 이후 1960년경 지하련도 사망하였다.[6] 조선문학가동맹 상임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1946년 7월 기관지 '문학' 창간호에 발표한 작품 '도정'으로 제1회 조선문학상을 수상했다. 박헌영파가 실각한 후, 남편 임화가 처형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발광하여 사망했다고 전해진다.[2]3. 작품 세계
(작품 세계 섹션은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참조
[1]
뉴스
마산창원 역사읽기/ 공기 좋은 마산의 표본, 결핵병원(하)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5-05-21
[2]
뉴스
월북작가 임화(林和)의 기구한 운명
http://nk.chosun.com[...]
조선일보
2001-09-05
[3]
뉴스
일제강점기 소설가 '지하련' 주택, 철거냐 보존이냐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20-06-02
[4]
뉴스
합천군과 (사)향파이주홍기념사업회, 월북 작가 문학세계 재조명 학술세미나
http://www.knnews.co[...]
경남일보
2019-12-23
[5]
뉴스
마산창원 역사읽기/ 공기 좋은 마산의 표본, 결핵병원(하)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5-05-21
[6]
뉴스
월북작가 임화(林和)의 기구한 운명
http://nk.chosun.com[...]
조선일보
2001-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