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철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에 걸쳐 활동한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다. 시인으로 등단했으나 문학평론가로 전향하여 카프에서 활동했으며, 중일 전쟁 이후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2년 친일 문학인 명단,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인 백씨 - 백아연
    백아연은 2012년 K팝스타 시즌 1 출연 후 데뷔하여 '이럴 거면 그러지 말지', '쏘쏘' 등의 히트곡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감성적인 음색과 서정적인 음악, 다양한 OST 참여 및 협업을 통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태인 백씨 - 백예린
    백예린은 《스타킹》 출연으로 이름을 알린 후 15&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과 밴드 활동을 병행하며, 개인 레이블을 설립하고 멜론 뮤직 어워드 등에서 수상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대한민국의 천도교 교역자 - 강계대
    강계대는 대한제국 말기 관료이자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만세 운동을 주도했으며,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펼치고 광복 후 한국독립당과 자유당에서 활동하다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천도교 교역자 - 공진항
    공진항은 와세다 대학과 파리 대학에서 수학 후 만몽산업주식회사를 창립하고 여러 회사를 거쳐 초대 주프랑스 공사와 농림부 장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 - 송영 (극작가)
    송영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극작가로, 카프 계열 연극인으로 등단하여 노동 운동 풍자 작품을 발표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김일성 항일 무장 투쟁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알려졌으나 한설야 숙청 시기에 숙청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애국렬사릉에 안장된 것으로 보아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백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백철
백철
원어 이름白鐵
출생일1908년 3월 18일
출생지대한제국 평안북도 의주군
사망일1985년 10월 13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시인, 문학평론가, 대학 교수
활동 기간1930년 ~ 1985년
장르문학평론

2. 생애

백철은 일제강점기대한민국시인, 문학평론가, 대학 교수였다. 1930년 시인으로 등단했으나, 1932년 문학평론가로 전향하여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에서 활동했다.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출소 후에는 친일 행적을 보였다. 광복 후에는 대학교수로 활동하면서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일제 강점기 후반, 백철은 쇼와 천황을 찬양하는 글을 발표하는 등 친일 행위를 하였다.[4] 광복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여러 차례 역임했다. 1950년대부터는 미국의 신비평 이론을 소개하고 이무영으로 대표되는 농민 소설을 재조명하는 등 우파적 관점으로 문학을 바라보았다.[4] 1966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예술원상, 국민훈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하며 대한민국 국문학계 현대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유년 시절과 초기 문단 활동 (1908년 ~ 1931년)

대한제국 평안북도 의주 지방의 소지주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대한제국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군 수원면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1927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1930년 1월 초 시인으로 첫 등단하였으며, 1931년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1932년에 문학평론가로 전향하였다.

도쿄 유학 시절 전일본무산자예술연맹에 가담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을 시작하였고, 프로 시단의 최일선 동인지 《전위시인》에 시 〈9월 1일〉, 〈우리들은 알았다 비라의 의미를〉, 평론 〈프롤레타리아 시이노가 실천문제〉를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약했다. 1931년 귀국 후 잡지 《개벽》의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중앙위원으로서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셀 프루스트 류의 신심리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주의를 옹호하는 평론을 쓰며 카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2. 2. 카프 활동과 전향 (1931년 ~ 1937년)

1931년 귀국한 뒤 잡지 《개벽》의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 중앙위원으로서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셀 프루스트 류의 신심리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주의를 옹호하는 평론을 쓰며 카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3]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으로 백철도 체포되었다. 전주형무소에서 약 1년 반 동안 수감 생활을 한 뒤, 객관적 정세가 불리하게 변함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것을 주장하면서 지식인 계층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하는 평론을 발표하여 문학적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

중일 전쟁 이후 《매일신보》 학예부장과 베이징 지부장 등을 지내며 조선문인협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유치진현대극장에 부설된 국민연극연구소에서 강사를 맡기도 했고, 조선문인보국회에는 평의원으로 가입했다. 쇼와 천황이 해군 함정을 돌아보는 광경을 묘사한 〈천황폐하 어친열 특별관함식 배관근기〉(1940) 등 총 14편의 친일 저작물도 발표하였다.[4]

2. 3. 친일 활동 (1937년 ~ 1945년)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으로 백철도 체포되었다. 전주형무소에서 약 1년 반 동안 수감 생활을 한 뒤, 객관적 정세가 불리하게 변함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것을 주장하면서 지식인 계층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하는 평론을 발표하여 문학적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4]

중일 전쟁 이후 《매일신보》 학예부장과 베이징 지부장 등을 지내며 조선문인협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유치진현대극장에 부설된 국민연극연구소에서 강사를 맡기도 했고, 조선문인보국회에는 평의원으로 가담했다. 쇼와 천황이 해군 함정을 돌아보는 광경을 묘사한 〈천황폐하 어친열 특별관함식 배관근기〉(1940) 등 총 14편의 친일 저작물도 발표하였다.[4]

2. 4.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 1985년)

1945년 광복 후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여러 차례 지냈다. 일제 강점기 신경향파 평론은 문학을 사회적 영향 관계에 종속되는 것으로 파악했으나, 1950년대의 평론에서는 문학의 역할에 대한 견해가 우파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미국의 신비평이론 등 외국의 문학이론을 소개하는 계몽적인 글을 발표하거나 이무영으로 대표되는 농민 소설의 재발견에 관심을 보였다.[4]

1966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문학계의 현대문학사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술원상, 국민훈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3. 사후 평가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 그리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원호(源浩, 1849년 ~ ? )[5]
백부연근(連根)
종형세보(世輔)
무근(茂根, 1878년 ~ ? )
백모강릉 최씨(江陵崔氏) 최중희(崔重禧)의 딸
조근화(趙根嬅) 성건당(誠建堂) 충주 조씨(忠州趙氏), 조영록(趙永祿)의 딸
백세명(白世明, 1899년 ~ 1970년) (천도교 고위간부)
형수남원 양씨(南原梁氏) 양봉하(梁奉河)의 딸
형수밀양 박씨(密陽朴氏)
동생세옥(世沃, 1912년 ~ ? )


참조

[1] 문서 백씨 태인파보 1926
[2] 뉴스 藝術院회원 文學평론가 白鐵씨 별세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5-10-14
[3] 간행물 문학과 정치의 우정은 어떻게 가능하고 또 지속되는가 - 백철과 임화의 경우
[4] 간행물 친일문학 작품목록 http://www.artnstudy[...] 2007-10-04
[5] 문서 백관묵의 족질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