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례는 "중화 황제의 발아래"라는 뜻으로, 명나라 초기에 수도였던 난징 주변을 지칭했다. 영락제가 베이징으로 천도하면서 베이징 주변은 북직례, 난징 주변은 남직례로 불렸다. 청나라는 베이징을 수도로 삼고 북직례만을 존속시켰으며, 직례총독을 임명하여 수도를 총괄하는 지방 행정 구역으로 삼았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허베이성으로 변경되었고, 행정 구역은 명나라,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기에 따라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 - 세계 디자인 수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가 디자인을 통한 도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도시를 2년마다 선정하는 세계 디자인 수도는 선정된 도시에서 국제적인 디자인 행사 및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는 제도이며, 2008년 토리노를 시작으로 2026년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까지 선정되었다.
  • 수도 - 수도권
    수도권은 한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행정, 경제, 문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역 도시권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한다.
  • 톈진시의 역사 - 톈진 교안
    톈진 교안은 1870년 톈진에서 종교적 갈등, 유아 실종 소문, 프랑스 영사의 과격한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대규모 폭력 사태로, 반외세 감정 고조와 의화단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 톈진시의 역사 -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며 황하 관리, 치수, 통상, 외국 교섭 등을 담당했고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던 최고위 지방관직이었다.
  • 상하이시의 역사 - 상하이 프랑스 조계
    상하이 프랑스 조계는 1849년 프랑스 영사 샤를 드 몽티니가 설치하여 황푸강 서쪽에 위치했으며, 1900년과 1914년 확장을 거쳐 상하이 최고의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반환되어 현재는 상하이의 일부 지역으로 남아있다.
  • 상하이시의 역사 - 상하이 세인트 존스 대학
    상하이 세인트 존스 대학은 1879년 미국 감리교회에서 설립한 중국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서구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여 중국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1952년 해체되었고, 현재는 화동정법대학이 그 자리에 있으며, 관련 기관들이 여러 곳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직례

2. 역사

"직례"라는 글자 그대로 "중화 황제의 발아래" 지역을 말한다. 원래 명나라 초기 수도였던 잉톈부(난징) 주변을 직례라고 불렀다. 영락제가 베이핑부(베이징)를 근거로 정난의 변을 일으켜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 난징 주변은 남직례(현재의 장쑤성·안후이성)라고 불렸다.

청나라는 베이징에 도읍을 정하고 북직례만을 존속시켜 직례총독(Jyli uheri kadalara amban)을 임명했다. 직례총독은 수도를 총괄하는 지방 장관이었기 때문에 지방관 중 가장 지위가 높았다(청나라 말 광서 33년(1907년)에 설치된 둥산성 총독은 직례총독과 동등한 지위). 남직례는 폐지되어 장쑤성과 안후이성으로 분할되었다. 1928년 중화민국이 베이징에서 난징으로 수도를 변경했을 때, 직례는 허베이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지역의 다소 변동을 포함하여 현대에 이르고 있다.[1]

2. 1. 명나라

영락제가 베이핑부(北平府, 베이징)를 근거로 정난의 변을 일으켜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 난징 주변은 남직례(현재의 장쑤성·안후이성)라고 불리게 되었다.[1]

2. 2. 청나라

"직례"라는 글자는 "중화 황제의 발아래" 지역을 말한다. 원래는 명나라 초기에 수도로 삼았던 잉톈부(應天府, 난징) 주변을 직례라고 불렀다. 그러나 영락제가 베이핑부(北平府, 베이징)를 근거로 찬탈(정난의 변)하여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 난징 주변은 남직례(현재의 장쑤성·안후이성)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다음 왕조인 청나라는 베이징에 도읍을 정하고 북직례만을 존속시켜 직례총독(Jyli uheri kadalara amban)을 임명했다. 직례총독은 수도를 총괄하는 지방 장관이라는 점 때문에 지방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청나라 말 광서 33년(1907년)에 설치된 둥산성 총독은 직례총독과 동등한 지위로 간주되었다). 한편, 남직례는 폐지되어 장쑤성과 안후이성으로 분할되었다.[1]

2. 3. 중화민국

1928년 중화민국이 베이징에서 난징으로 수도를 변경했을 때, 직례는 허베이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지역의 다소 변동을 포함하여 현대에 이르고 있다.[1]

3. 행정 구역

"직례"라는 글자는 "중화 황제의 발아래" 지역을 의미한다. 영락제가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 난징 주변(현재의 장쑤성, 안후이성)은 남직례라고 불렸다.

청나라는 베이징에 도읍을 정하고 북직례만을 존속시켜 직례총독을 임명했다. 직례총독은 수도를 총괄하는 지방 장관이었기 때문에 지방관 중 가장 높은 지위를 가졌다.[1] 남직례는 장쑤성안후이성으로 분할되었다. 1928년 중화민국이 베이징에서 난징으로 수도를 변경했을 때, 직례는 허베이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약간의 지역 변동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명나라

명나라 시기 직례는 크게 북직례와 남직례로 나뉘었다. 영락제가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 지역은 북직례, 난징 주변 지역은 남직례라고 불렸다.[1]

북직례는 순천부, 보정부, 하간부, 광평부, 순덕부, 진정부, 대명부, 영평부, 연경주, 보안주, 만전도지위사사, 북평행도지휘사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남직례는 응천부, 봉양부, 회안부, 양주부, 소주부, 송강부, 상주부, 진강부, 노주부, 안경부, 대평부, 지주부, 영국부, 휘주부, 서주부, 저주, 화주, 광덕주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 외에도 적봉, 준화, 역주, 기주, 조주, 심주, 정주와 같은 직례주와 장가구청, 독석구청, 도론누르청 등의 청이 있었다.

3. 1. 1. 북직례

영락제가 베이핑부(北平府, 베이징)를 근거로 찬탈을 일으켜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라고 불렸다.[1]

3. 1. 2. 남직례

영락제가 베이핑부(北平府, 베이징)를 근거로 정난의 변을 일으켜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난징 주변은 남직례(현재의 장쑤성·안후이성)라고 불리게 되었다.

남직례는 다음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응천부(應天府)
봉양부(鳳陽府)
회안부(淮安府)
양주부(揚州府)
소주부(蘇州府)
송강부(松江府)
상주부(常州府)
진강부(鎭江府)
노주부(廬州府)
안경부(安慶府)
대평부(大平府)
지주부(池州府)
영국부(寧國府)
휘주부(徽州府)
서주부(徐州府)
저주(滁州)
화주(和州)
광덕주(廣德州)



청나라는 남직례를 폐지하고 장쑤성안후이성으로 분할하였다.

3. 1. 3. 직례주(直隸州)

직례주
적봉(赤峰)
준화(遵化)
역주(易州)
기주(冀州)
조주(趙州)
심주(深州)
정주(定州)


3. 1. 4. 청(廳)


  • 장가구청(張家口廳)
  • 독석구청(獨石口廳)
  • 도론누르청(多倫諾爾廳)

3. 2. 중화민국 북양정부

영락제가 베이핑부(北平府, 베이징)를 근거로 정난의 변을 일으켜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베이징 주변(현재의 허베이성)은 북직례라고 불렸고, 난징 주변은 남직례(현재의 장쑤성·안후이성)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다음 왕조인 청나라는 베이징에 도읍을 정함과 동시에 북직례만을 존속시켜 직례총독(Jyli uheri kadalara amban)을 임명했다. 직례총독은 수도를 총괄하는 지방 장관이라는 점 때문에 지방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1] 한편, 남직례는 폐지되어 장쑤성과 안후이성으로 분할되었다. 민국 17년(1928년)에 중화민국이 베이징에서 난징으로 수도를 변경했을 때, 허베이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지역의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여 현대에 이르고 있다.

참조

[1] 서적 《명사》40권 지리지 1 직례 https://zh.wikisourc[...]
[2] 서적 《청사고》54권 지리지 1 직례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