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저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저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허페이, 벙부, 차오후, 장쑤성과 접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473년 남조 송에 의해 돈구현이 설치된 것이 추저우 행정 구역의 시작이며, 현재 2개 구, 2개 현급시, 4개 현을 관할한다. 징후선 철도와 징후 고속철도가 지나며, 난징 지하철 S4호선이 추저우역과 라이안현을 연결한다. 랑야산, 추저우 대학 등이 있으며, 호유용, 오경재, 주원장 등이 출신 인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후이성의 지급시 - 허페이시
    허페이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안후이성의 성도로, 산업 도시로 성장하여 현재는 첨단 기술 산업과 교육 및 연구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 안후이성의 지급시 - 츠저우시
    츠저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남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1개 시할구와 3개 현으로 구성되며, 난징-안칭 시외 철도, 퉁링-주장 철도, 츠저우 지우화산 공항이 있어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고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추저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추저우 시
현지어 명칭滁州市
로마자 표기Chúzhōu
별칭없음
행정 구역 종류지급시
청류허 공원에서 바라본 추저우
청류허 공원에서 바라본 추저우
추저우 북역 (2007년)
추저우 북역 (2007년)
추저우 대학
추저우 대학
추저우 시 정부 청사 남쪽 건물
추저우 시 정부 청사 남쪽 건물
낭야산의 정자
낭야산의 정자
위치안후이 성 내 추저우 시 위치
행정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 성
현급 행정 구역8개
향급 행정 구역178개
시 정부 소재지랑야 구
중국 공산당 서기미확인
시장장샹안 (张祥安)
지리
총 면적13,523.21 km²
도시 면적1404.3 km²
시가지 면적2903 km²
인구
총 인구 (2020년)3,937,868 명
도시 인구782,671 명
시가지 인구1,198,719 명
경제
GDP3,362억 CN¥ (427억 US$)
1인당 GDP84,263 CN¥ (13,062 US$)
기타
시간대CST (+8)
우편 번호239000
지역 번호0550
ISO 3166-2CN-AH-11
차량 번호판皖M

2. 지리

서쪽으로 허페이, 북쪽으로 벙부, 남쪽으로 차오후, 동쪽으로 장쑤성과 접한다.

추저우시는 뚜렷한 사계절을 가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Cfa'')를 보인다. 겨울은 춥고 습하며,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영하 바로 아래로 내려간다. 1월 24시간 평균 기온은 2.6°C이다. 여름은 전형적으로 덥고 습하며, 7월 평균 기온은 27.6°C이다. 연평균 기온은 15.9°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074.7mm로, 대부분 5월에서 8월 사이에 발생한다.[5][6][7]

추저우 (1991–2020년 평년값, 1971–2010년 극한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7°C9.8°C15°C21.5°C26.7°C29.3°C32.1°C31.6°C27.7°C22.7°C16.2°C9.6°C
평균 기온 (℃)2.6°C5.2°C10°C16.2°C21.6°C25°C28.1°C27.4°C23.2°C17.5°C11.1°C4.9°C
평균 최저 기온 (℃)-0.6°C1.6°C5.8°C11.5°C17.1°C21.3°C24.9°C24.4°C19.7°C13.6°C7.1°C1.3°C
역대 최고 기온 (℃)20.7°C27.7°C29.5°C33.9°C36°C37.6°C39.5°C39.5°C38.6°C34.3°C29°C23.7°C
역대 최저 기온 (℃)-13°C-11.8°C-5.7°C0.2°C6.9°C12.7°C17.1°C15.7°C9.1°C1.5°C-6.7°C-12.3°C
강수량 (mm)45.9mm46.9mm74mm71.5mm82.3mm165.2mm221.1mm171.5mm76mm50.6mm55.6mm33.2mm
상대 습도 (%)747370687076818279747472
강수일수 (≥ 0.1mm)8.28.69.98.69.610.113.212.38.07.67.96.5
일조 시간116.0114.5144.7172.5177.3139.3172.2172.6146.9153.9136.8129.2
월간 일조율 (%)363739444133404240444442
강설일수4.12.71.00.10000000.51.4


3. 기후

추저우시는 뚜렷한 사계절을 가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Cfa'')를 보인다. 겨울은 춥고 습하며,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영하 바로 아래로 내려간다. 1월 24시간 평균 기온은 2.6°C이다. 여름은 전형적으로 덥고 습하며, 7월 평균 기온은 28.1°C이다. 연평균 기온은 15.9°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074.7mm로, 대부분 5월에서 8월 사이에 발생한다.[10][1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7°C9.8°C15°C21.5°C26.7°C29.3°C32.1°C31.6°C27.7°C22.7°C16.2°C9.6°C
평균 기온 (℃)2.6°C5.2°C10°C16.2°C21.6°C25°C28.1°C27.4°C23.2°C17.5°C11.1°C4.9°C
평균 최저 기온 (℃)-0.6°C1.6°C5.8°C11.5°C17.1°C21.3°C24.9°C24.4°C19.7°C13.6°C7.1°C1.3°C
역대 최고 기온 (℃)20.7°C27.7°C29.5°C33.9°C36°C37.6°C39.5°C39.5°C38.6°C34.3°C29°C23.7°C
역대 최저 기온 (℃)-13°C-11.8°C-5.7°C0.2°C6.9°C12.7°C17.1°C15.7°C9.1°C1.5°C-6.7°C-12.3°C
평균 강수량 (mm)45.9mm46.9mm74mm71.5mm82.3mm165.2mm221.1mm171.5mm76mm50.6mm55.6mm33.2mm
평균 상대 습도 (%)747370687076818279747472
평균 강수일수 (≥ 0.1mm)8.28.69.98.69.610.113.212.38.07.67.96.5
평균 일조 시간116.0114.5144.7172.5177.3139.3172.2172.6146.9153.9136.8129.2
평균 일조율 (%)363739444133404240444442
평균 적설일수4.12.71.00.10000000.51.4


4. 역사

남북조 시대 473년(원휘 원년), 남조 송신창군에 돈구현을 설치한 것이 추저우(滁州) 행정 구역의 최초 기록이다. 남조 양 때 신창군은 영양군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시구(市區)부에 남초주가 신설되었다.

589년(개황 9년), 추저우가 설치되어 말까지 이어졌으며, 청류현, 전초현, 라이안현을 관할했다. 중화민국 성립 후 1912년(민국 원년)에 저현이 설치되었다.[9]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시역(市域)에는 저현전구가 설치되어 9개 현을 관할했다. 1992년 지급시로 개편되어 2구 6현을 관할했으며, 1993년 톈창자산이 현급시로 개편되어 현재는 2구 4현 2현급시를 관할한다.[9]

상세한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변동 사항비고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완베이 행정구 추현 전구 성립. 추현, 라이안현, 장푸현, 취안자오현, 딩위안현, 펑양현, 자산현, 쉬이현, 빙후이현 발족.(9개 현)
1949년 12월장푸현난징시 편입.(8개 현)
1950년 1월장푸현난징시 편입.(9개 현)
1952년 3월 28일페이둥현 ← 차오후 전구 편입.(10개 현)
1952년 7월 25일펑양현 일부 → 쑤현 전구 화이위안현 편입.(10개 현)
1952년 8월 7일안후이성 성립, 안후이성 추현 전구 됨.
1952년 11월 15일장푸현장쑤성 타이저우 전구 편입.(9개 현)
1954년 11월페이둥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9개 현)
1954년 12월 11일페이둥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9개 현)
1955년 2월 21일쉬이현장쑤성 화이인 전구 편입.(8개 현)
1955년 5월화이난시 교외 일부 → 딩위안현, 펑양현 분할 편입.(8개 현)
1955년 7월추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8개 현)
1956년 1월 12일추현 전구 + 쑤현 전구 → 방부 전구 발족, 소멸.
1961년 4월 7일추전현, 자산현, 딩위안현, 펑양현, 라이안현, 톈창현, 합비시 페이둥현방부 전구 편입, 추현 전구 성립.(7현)
1961년 12월 15일추전현 → 추현, 취안자오현 분할.(8현)
1963년 7월 13일합비시 동시구 일부 → 페이둥현 편입.(8현)
1964년 10월 31일딩위안현페이둥현 일부 + 육안 전구 수현 및 비서현 일부 → 합비시 장펑현(8현)
1964년 12월 27일취안자오현 일부 → 추현 편입.(8현)
1965년 5월 21일페이둥현차오후 지구 편입.(7현)
1965년 7월 10일합비시 장펑현 일부 → 딩위안현 편입.(7현)
1971년 3월 29일추현 전구 → 추현 지구 개칭.(7현)
1974년 4월자산현 일부 → 추현 편입.(7현)
1975년 12월 19일취안자오현 일부(진푸궁사 일부) → 추현 편입, 추현 일부(황위궁사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7현)
1979년 4월 20일라이안현 일부 → 장쑤성 난징시 푸커우구 편입.(7현)
1982년 11월 25일추현 → 추저우시 승격.(1시 6현)
1985년 11월펑양현 일부 → 방부시 교외구 편입.(1시 6현)
1992년 12월 20일추현 지구 → 지급시 추저우시 승격, 랑야구, 난차오구 분할.(2구 6현)
1993년 9월 18일톈창현 → 톈창시 승격.(2구 1시 5현)
1994년 5월 31일자산현밍광시 승격.(2구 2시 4현)
2010년 5월 13일난차오구 일부(난차오 가도) → 랑야구 편입, 랑야구 일부(칭류 가도 일부) → 난차오구 편입.(2구 2시 4현)
2018년 9월 11일난차오구라이안현 각 일부 → 랑야구 편입, 랑야구 일부 → 난차오구 편입.(2구 2시 4현)


4. 1. 고대

추저우시 취안자오현 일대에 전초현(全椒縣), 그리고 그 동쪽에 부릉현(阜陵縣)이 있었는데, 이 현들은 모두 구강군에 속했다. 추저우 시는 전초현의 일부에 속했다.

남북조시대 473년(유송 후폐제 원휘 원년), 송나라가 지금의 푸양시 칭펑현 남부에 있던 돈구현(頓丘縣)을 랑야구 서문가도 일대에 교치하면서 추저우에 군현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 돈구현에는 신창군(新昌郡)이 설치되었다. 양나라에서 신창군은 영양군으로 개명되었고 536년(양 무제 대동 2년), 영양군에 '''남초주(南譙州)'''가 설치되었다.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초주는 저주(滁州)로 개명되었고 속군이었던 신창군은 폐지되었다. 낙거현(樂鉅縣), 고당현(高塘縣)은 돈구현에 통폐합되고 돈구현은 신창현(新昌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8년) 신창현은 청류현(淸流縣)으로 개명되었고, 수 양제 집권 초기, 군현제가 재실시됨에 따라 강도군에 통폐합되었다.[12]

589년 (개황 9년), 추저우가 설치되어 말까지 이어졌다.

4. 2. 수나라와 당나라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초주는 저주(滁州)로 개명되었고 속군이었던 신창군이 폐지되었다. 낙거현(樂鉅縣), 고당현(高塘縣)이 돈구현에 통폐합되고 돈구현은 신창현(新昌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8년) 신창현은 청류현(淸流縣)으로 개명되었고, 수 양제 집권 초기, 군현제가 재실시됨에 따라 강도군에 통폐합되었다.[12]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회남 지방을 통치한 군벌 두복위가 당에 투항함에 따라 당나라로 편입되었다. 강도군 청류현은 다시 '''저주(滁州)'''로 분리되었고 전초현(全椒縣)이 내속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됨에 따라 영양군(永陽郡)으로 개명되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함에 따라 저주로 돌아갔다. 초창기에는 2개 현, 4,689호 21,535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3개 현, 26,486호 152,374명을 거느리게 되었다.[13]

당나라 시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청류현淸流縣추저우시 랑야구 서문가도 일대 저주고성양나라 때 상근산(桑根山)의 조양(朝陽)에 남초주가 설치되었다. 남초주 고성은 당나라 때 현 서남쪽 80리에 있었다. 북제 때 남초고성에 신창군이 설치되었고 남초주의 치소는 당나라 때 위치로 옮겨졌다.
전초현全椒縣추저우시 취안자오현양나라 때 북초군(北譙郡)이 있었는데 이후 임저군(臨滁郡)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때 저현(滁縣)으로 개명되었다가 양제 때 본명으로 돌아왔다.
영양현永陽縣추저우시 라이안현708년(당 중종 경룡 2년), 청류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4. 3. 송나라와 원나라

남송건염연간에 저, 호주진무사(滁,濠鎮撫使)가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 송 이종 가희 연간에 왕가사(王家沙)로 치소가 옮겨졌다가 1264년(송 이종 경정 5년) 원래의 치소로 옮겨졌다. 숭녕 연간에는 40,026호 97,089명을 거느렸고 견(絹)을 공납으로 바쳤다. 속현은 당나라 때와 같았다.[14]

송나라 시기 현황
현명한자현급비고
청류현淸流縣
전초현全椒縣
래안현來安縣남당 시기에 영양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135년(송 고종 소흥 5년), 청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48년(송 고종 소흥 18년) 복구되었다. 1173년(송 효종 건도 9년), 진(鎭)으로 격하되었다가 1175년(송 효종 순희 2년) 현으로 복구되었다.



원나라 쿠빌라이 칸 지원 15년(1278년)에 저주로총관부(滁州路總管府)로 분리되었다. 1283년(원 쿠빌라이 칸 지원 20년) 양주로에 속주로 편입되었다. 3현을 통치했다.[15]

원나라 시기 현황
현명한자현급비고
청류현淸流縣1277년(원 쿠빌라이 칸 지원 14년), 녹사사가 폐지되었다.
래안현來安縣
전초현全椒縣


4. 4. 명나라, 청나라 그리고 중화민국

589년(개황 9년), 추저우가 설치되어 말까지 이어졌으며, 청류현, 전초현, 래안현을 관할했다. 중화민국이 성립되자 1912년(민국 원년)에 저현이 설치되었다.[1]

4. 5.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시역(市域)에는 추셴 전구(滁県専区)가 설치되어 9개 현을 관할했다.[15] 1992년에 지급시로 개편되어 2구 6현을 관할했으며, 1993년에 톈창(天長)과 자산(嘉山)이 현급시로 개편됨에 따라 현재는 2구 4현 2현급시를 관할하고 있다.[15]

상세한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변동 사항비고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완베이 행정구 추현 전구 성립. 추현, 라이안현, 장푸현, 취안자오현, 딩위안현, 펑양현, 자산현, 쉬이현, 빙후이현 발족.(9개 현)
1949년 12월장푸현난징시 편입.(8개 현)
1950년 1월장푸현난징시 편입.(9개 현)
1952년 3월 28일페이둥현 ← 차오후 전구 편입.(10개 현)
1952년 7월 25일펑양현 일부 → 쑤현 전구 화이위안현 편입.(10개 현)
1952년 8월 7일안후이성 성립, 안후이성 추현 전구 됨.
1952년 11월 15일장푸현장쑤성 타이저우 전구 편입.(9개 현)
1954년 11월페이둥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9개 현)
1954년 12월 11일페이둥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9개 현)
1955년 2월 21일쉬이현장쑤성 화이인 전구 편입.(8개 현)
1955년 5월화이난시 교외 일부 → 딩위안현, 펑양현 분할 편입.(8개 현)
1955년 7월추현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8개 현)
1956년 1월 12일추현 전구 + 쑤현 전구 → 방부 전구 발족, 소멸.
1961년 4월 7일추전현, 자산현, 딩위안현, 펑양현, 라이안현, 톈창현, 합비시 페이둥현방부 전구 편입, 추현 전구 성립.(7현)
1961년 12월 15일추전현 → 추현, 취안자오현 분할.(8현)
1963년 7월 13일합비시 동시구 일부 → 페이둥현 편입.(8현)
1964년 10월 31일딩위안현페이둥현 일부 + 육안 전구 수현 및 비서현 일부 → 합비시 장펑현(8현)
1964년 12월 27일취안자오현 일부 → 추현 편입.(8현)
1965년 5월 21일페이둥현차오후 지구 편입.(7현)
1965년 7월 10일합비시 장펑현 일부 → 딩위안현 편입.(7현)
1971년 3월 29일추현 전구 → 추현 지구 개칭.(7현)
1974년 4월자산현 일부 → 추현 편입.(7현)
1975년 12월 19일취안자오현 일부(진푸궁사 일부) → 추현 편입, 추현 일부(황위궁사 일부) → 취안자오현 편입.(7현)
1979년 4월 20일라이안현 일부 → 장쑤성 난징시 푸커우구 편입.(7현)
1982년 11월 25일추현 → 추저우시 승격.(1시 6현)
1985년 11월펑양현 일부 → 방부시 교외구 편입.(1시 6현)
1992년 12월 20일추현 지구 → 지급시 추저우시 승격, 랑야구, 난차오구 분할.(2구 6현)
1993년 9월 18일톈창현 → 톈창시 승격.(2구 1시 5현)
1994년 5월 31일자산현밍광시 승격.(2구 2시 4현)
2010년 5월 13일난차오구 일부(난차오 가도) → 랑야구 편입, 랑야구 일부(칭류 가도 일부) → 난차오구 편입.(2구 2시 4현)
2018년 9월 11일난차오구라이안현 각 일부 → 랑야구 편입, 랑야구 일부 → 난차오구 편입.(2구 2시 4현)


5. 행정 구역

滁州市|추저우 시중국어는 2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2년 12월 20일 추현 지구가 지급시인 추저우 시로 승격되면서 랑야구난차오구가 설치되었다. 1993년 9월 18일에는 톈창 현이 톈창시로, 1994년 5월 31일에는 자산 현이 밍광시로 각각 승격되었다.

이들은 다시 86개의 진, 78개의 향, 14개의 가도를 포함하는 178개의 향급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5. 1. 시할구

추저우 시 현급행정구역도


추저우시는 2개의 구, 2개의 현급시, 4개의 현을 관할한다.

이름중국어 간체자한어 병음면적 (km2)인구인구 밀도 (/km2)
랑야구Lángyá Qū181km2310,4271,715
난차오구Nánqiáo Qū1187km2251,894212
현급시
톈창시Tiāncháng Shì1770km2602,840341
밍광시明光市중국어Míngguāng Shì2335km2532,732228
라이안현Lái'ān Xiàn1481km2432,021292
취안자오현Quánjiāo Xiàn1572km2383,885244
딩위안현Dìngyuǎn Xiàn2998km2779,174260
펑양현Fèngyáng Xiàn1950km2644,895331


5. 2. 현급시



추저우 시는 2개의 현급시를 관할한다.

  • 톈창 시(天长市)
  • 밍광 시(明光市)


이름중국어 간체자한어 병음면적 (km2)인구인구 밀도 (/km2)
톈창 시Tiāncháng Shì1770km2602,840341
밍광 시明光市|밍광 시중국어Míngguāng Shì2335km2532,732228


5. 3. 현



추저우시는 2개의 구, 2개의 현급시, 4개의 현을 관할한다. 현급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이름중국어 간체자한어 병음면적 (km2)인구인구 밀도 (/km2)
랑야구Lángyá Qū181km2310,4271,715
난차오구Nánqiáo Qū1187km2251,894212
현급시
톈창시Tiāncháng Shì1770km2602,840341
밍광시明光市|밍광시중국어Míngguāng Shì2335km2532,732228
라이안현Lái'ān Xiàn1481km2432,021292
취안자오현Quánjiāo Xiàn1572km2383,885244
딩위안현Dìngyuǎn Xiàn2998km2779,174260
펑양현Fèngyáng Xiàn1950km2644,895331


6. 교통

징후선과 징후 고속철도가 지나며, 추저우 북역과 딩위안역, 추저우역이 있다.

6. 1. 철도

추저우역(중국철로고속 이용 가능)과 추저우 북역이 있다. 징후선에는 추저우 북역이, 징후 고속철도에는 딩위안역과 추저우역이 있다.

6. 2. 지하철

난징 지하철 S4호선은 추저우역과 라이안현을 연결한다.[8]

7. 관광

랑야산은 추저우시에 위치한 국가 삼림 공원이자 국가 풍경 명승지이며 4A 관광 명소로, 안후이성의 5대 명승지 중 하나이다.

8. 교육


  • 추저우 대학 (CZHU, 滁州学院|추저우 학원중국어)
  • 추저우 방송통신대학교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China: Ānhu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www.citypopul[...]
[2] 웹사이트 《安徽统计年鉴2022》电子查阅版 http://tjj.ah.gov.cn[...] 2022-10-18
[3] 웹사이트 China: Ānhu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www.citypopul[...]
[4] 웹사이트 Compilation by LianXin website. http://www.luqyu.cn/[...] 2012-03-25
[5]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6]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7] 웹사이트 滁州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9
[8] 웹사이트 Google Traduction https://translate.go[...]
[9] 웹사이트 安徽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0]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6-27
[11]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6-27
[12]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 下 양주 강도군 https://zh.wikisourc[...]
[13] 서적 《구당서》40권 지 제20 지리지 3 회남도 저주 https://zh.wikisourc[...]
[14] 서적 《송사》 권88 지리지 4 회남동로 저주 https://zh.wikisourc[...]
[15] 서적 《원사》 권59 지리지 2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 강북회동도숙정염방사 양주로 저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